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後期 宮園儀의 刊印과 粧

        조계영 한국서지학회 2006 서지학연구 Vol.35 No.-

        Gungwonui(宮園儀) is one of the books published to institutionalize the Gungwon system as the official graves and shrines for the royal family in the Joseon Dynasty. The Gungwon system covers both Gung, the shrine of the royal family and Won, the tombs for them. Gungwonuiin(宮園儀引)(Jang K2-2433), which is now held by the Jangseogak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documents all the process from the discussion about the publishing and book binding of Gungwonui to presenting it to the king and the royal shrine. This paper examined the publication and book covering of Gungwonui through Gungwonuiin and Gungwonui in Jangseogak and Gyujanggak. Gungwonui compiled in 1776, was first published in 1780, and again in 1785. Gungwonui was published on 63 wood blocks which contain the title, king’s preface, illustrations and their captions, and the list of supervisors, but 91 leaves of Gungwonui were printed with movable types, containing the table of contents, detailed notes, appendix and postscripts. Various covering materials of Gungwonui were used for different purposes, that is, for the offerings to Gyeongmogung, Bongmodang, and king and for the royal granting to the subjects. Gungwonui enshrined in the noble book cabinet of Gyeongmogung was printed on Cheopchaekji (貼冊紙) and covered with Namdaedan(藍大緞), and therefore exhibited the noble elegance as the royal publication. Gungwonui documents the historical fact that King Jeongjo offered a posthumous title of ‘Jangheon(莊獻)’ to the Crown prince Sado and promoted his grave and shrine to the level of Gung and Won, that is, Gyeongmogung and Yeongwoowon, with the Gungwon system. In this paper, examined were the significance of the publication and book-covering of Gungwonui, the book published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Gungwon system into a regular royal ceremony. 「宮園儀」는 조선왕실에서 왕족들을 위한 별도의 廟墓制인 宮과 園에 대한 의례인 宮園制를 왕실의례로 제도화하려는 목적으로 간인된 책 중 하나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현전하는 「宮園儀引」(장K2-2433)에는 1785년 校書館에서 重刊한 「宮園儀」의 刊印에 대한 논의에서부터 粧䌙을 마치고 進上과 奉安하기까지의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본고는 「궁원의인」의 기록과 장서각과 규장각에 현전하는 「궁원의」를 통해 「궁원의」의 刊印과 粧䌙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궁원의」는 1776년에 編成하여 1780년에 新刊하였으며 1785년에 重刊하였다. 「궁원의」는 編題․御製․圖說․座目에 해당하는 63장을 목판으로 印出하였으며, 目錄․儀註․附錄․跋에 해당하는 91장을 활자로 인출하였다. 「궁원의」는 景慕宮 奉安件․奉謨堂 奉安件․進上件․頒賜件에 따라 장황 재료가 차별되었다. 경모궁의 冊印欌에 봉안한 「궁원의」는 貼冊紙로 인출한 후 藍大緞으로 장황하여 왕실서책의 位格을 갖추었다. 「궁원의」는 정조가 사도세자에게 ‘莊獻’이라는 존호를 추상한 후 궁원제를 적용하여 景慕宮과 永祐園으로 승격시킨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는 책이다. 본 논문은 궁원제를 왕실의례로 정례화하는 과정에서 간인된 서책으로서 「궁원의」의 간인과 장황을 조명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영조 연간의 『改修日記』와 일기청 운영의 실상

        조계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규장각 Vol.55 No.-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현전하는 『日記廳謄錄』(奎12952)은 영조 연간에 화재로 소실된 『승정원일기』를 개수하기 위해 설치한 일기청의 많은 정보들이 수록되어 있다. 본 연구는 『일기청등록』을 통해 『개수일기』를 완성하기까지 다양한 작업을 담당할 인력의 동원과 작업에 소요되는 물자를 둘러싼 일기청의 실상을 고찰했다. 일기청은 호조에서 厚白紙를 조달받은 후에 [搗砧 → 裁斷 → 印札]의 순서로 印札空冊을 마련했다. 소실된 99년분의 일기를 복원하는 전례 없던 큰 공역이었기 때문에, 일기청은 개수일기의 주요 물자인 책지의 공급과 도침 工役價 지급으로 호조와의 갈등과 조정이 계속되었다. 『개수일기』는 당상과 낭청들의 [抄出 → 正書 → 校正 → 添書] 작업으로 완성되었다. 일기청은 서역과 교정 작업을 원활하게 진행시키기 위해 세 차례의 절목을 마련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완성된 『개수일기』는 평시에 작성한 『승정원일기』와는 다른 형태와 특징을 지닌다.

      • KCI등재

        조선시대 실록부록의 편찬과 보존 -『 端宗大王實錄附錄』을 중심으로-

        조계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3 한국문화 Vol.62 No.-

        Joseon Dynasty had enshrined the Silloks(Dynasty's annals) in its national history books storehouses, trying to preserve them permanently as ‘records’ and ‘documentaries’. Preserving Silloks as ‘records’ was to make them the references for government operation by preserving the contents of Silloks. Joseon government had taken care of Silloks, the substantial 'documentary’ where records were contained, and managed the buildings of history books storehouses where Silloks were enshrined, taking all the measures to preserve Silloks. Many Silloks had appendix or supplement that included the life's story, profile and tomb's bearings of the late king as well as Sichaekmun(諡冊文) and Aechaekmun(哀冊文). Appendices were recorded at the end of main records while supplements were bound separately. Five copies of appendices or supplements were enshrined at the storehouse of Chunchugwan(春秋館) and one copy was presented to king at the same day. This article examined the compil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appendices and supplements of Silloks by analyzing 『Danjong․daewang․Silloks․burok․chanjipcheong․uigwe(端宗大王實錄附錄撰輯廳儀軌)』(奎14153) that is in existence at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ing Danjong was demoted to Nosangun(魯山君) in 1457 then restored to Danjong in 1698. While the record of 『Nosangun·Ilgi(魯山君日記)』 was preserved as it was, the title was replaced with 'Danjong·daewang(端宗大王)’ in 1704 and 『Danjong·daewang·Silloks·burok(端宗大王實錄附錄)』 was compiled to explain the title change.

      • KCI등재

        『오경백편』의 선사와 규장각의 문서 행정

        조계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2 한국문화 Vol.60 No.-

        The 『Ogyeong-Baegpyeon (五經百篇)』, printed from woodblock in 1798, is a king-edited book(御定書) for which King Jeongjo selected by himself 100 sections from the Five Classics. King Jeongjo ordered the officials of the 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of Gyeongsang(慶尙監營) to copy out fairly the engraving sheets that were necessary to engrave 『Ogyeong-Baegpyeon』 in Janggye style(狀啓體). The king’s intention was to take the thick and simple handwriting style of Gyeongsang province, while restoring the thin and slanted style then in vogue to pure one. This article examined the processes of transcription where the handwriting shape of woodblock 『Ogyeong-Baegpyeon』 had been made by analyzing 『Naegakseonsailrok(內閣繕寫日錄)』. The officials transcribed three copies in the 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of Gyeongsang in 1795, then two copies in Kyujanggak(奎章閣) in 1797. Among the king’s various rewards for those officials, the most special was rapid promotion in that office. Also, this article examined the document administration of Kyujanggak by analyzing the official document delivery system between Kyujanggak and the supreme local government office of Gyeongsang during the transcription process of 『Ogyeong- Baegpyeon』. Kyujanggak, under the king’s order, issued king’s writ directly to Gyeongsang governor while the governor’s reports of writ receipt were received by Imunwon(摛文院). Such practice indicates that King Jeongjo placed Kyujanggak in relatively higher rank among king’s immediate advisory and secretarial institutes.

      • KCI등재

        정조대 『국조보감』의 편찬 프로세스와 찬집청 운영

        조계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규장각 Vol.53 No.-

        조선후기에는 先王이 승하하면 왕위를 이은 국왕은 선왕의 실록을 편찬하고 이후 보감과 『列聖御製』, 『列聖誌狀通紀』 등을 편찬하는 것이 정례화 되어갔다. 1782년 정조의 『국조보감』 간행과 종묘 봉안은 이후 1848년과 1909년의 『국조보감』에 전례로서 영향을 끼쳤다. 『국조보감』의 편찬과 간인, 진상과 봉안 등에 대한 많은 정보를 수록한 『國朝寶鑑監印廳儀軌』는 다양한 시각의 연구가 가능한 중요 자료이다. 본 논문은 1782년의 『국조보감감인청의궤』를 대상으로 『국조보감』의 편찬 프로세스와 찬집청 운영을 고찰하였다. 실록을 주요 자료로 활용한 보감의 편찬은, 石室秘藏이라는 실록의 특성으로 인해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장소를 달리하였다. 『국조보감』의 편찬 프로세스는 궐내에 위치하여 실록을 관리했던 예문관에 설치한 內纂輯廳과 궐외의 관상감에 설치한 外纂輯廳의 이원체계로 운영되었다. 해당 장소에는 『국조보감』의 편찬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찬집당상과 등록낭청, 교정당상과 교정낭청 등의 인력이 동원되었다. 이들은 抄出과 割付․謄出 그리고 찬집과 교정 작업을 담당하여 9개월에 걸쳐 13朝의 『국조보감』을 편찬하였다.

      • KCI등재

        조선후기 선원각의 왕실 기록물 보존체계 -정족산사고 「璿源錄形止案」을 중심으로-

        조계영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5 No.-

        Sago(史庫) was consisted of Sagak(史閣) to enshrine Shillok(實錄),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Seonwongak(璿源閣) to enshrine Seonwonrok(璿源錄), the Royal Genealogy. This paper has studied the preservation system of royal records by examining 「SeonwonrokHyeongjian(璿源錄形止案)」 of Mt. Jeongjok(鼎足山) Sago(史庫) which is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The preservation system of Seonwongak(璿源閣) for royal records was operated by enshrining Seonwonrok(璿源錄), wind-dry(曝曬) and repairing Seonwongak(璿源閣) circulated. Jongbusi(宗簿寺) was the office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by compiling Seonwonrok(璿源錄) and managing enshrinement in the late Joseon. In 「SeonwonrokHyeongjian(璿源錄形止案)」, documents corresponded with related office for enshrining Seonwonrok and repairing Seonwongak were included. 「SeonwonrokHyeongjian(璿源錄形止案)」 was the document which show as it is the facts of the system to preserve royal records. 「SeonwonrokHyeongjian」 consisted of ‘① title (Hyeongjianmyeong: 形止案名) + ② documents (Hyeongji: 形止) + ③Seonwonrok(璿源錄) list + ④ position order (Jwamok: 座目)’. ②Hyongji(形止) was the report about all circumstances in detail of enshrinement and wind-dry Seonwonrok and repair Seonwongak. 「SeonwonrokHyeongjian」 is different from 「ShillokHyeongjian(實錄形止案)」 by recording ‘Hyeongji(形止)’. Enshrinement Seonwonrok was held by Bongansa(奉安使: a manager of enshrinement) from Dojejo(都提調) or Jejo(提調) of Jongbusi and Nangcheong(郎廳) from Jeong(正)․Jubu(主簿)․Jikjang(直長) of Jongbusi. The basic care to preserve Seonwonrok enshrined in Seonwongak is to wind-dry(曝曬). Every time Seonwongak was opened, Seonwonrok that was stored in enshrinement chest(奉安樻) was done by wind-dry. While wind-dry is the direct way to preserve Seonwonrok, repair Seonwongak(璿源閣) is the indirect way to make it work well as Pavilion(奉安處). Wind-dry and repair Seonwongak perform complementary roles on the preservation system for Seonwonrok. 조선후기 京外에 건립한 사고는 실록을 봉안한 史閣과 선원록을 봉안한 璿源閣으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은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현전하는 정족산 사고 선원각의 「선원록형지안」을 분석하여 조선후기 선원각의 왕실 기록물 보존체계를 고찰하였다. 조선후기 선원각에 봉안한 왕실 기록물을 보존하는 체계는 선원록 봉안․포쇄․선원각 수개가 순환되는 체계이다. 조선후기 종부시는 선원록을 편찬하고 봉안하는 일을 주관하는 관서로서 왕실 기록물을 보존하는데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종부시가 선원록을 외사고 선원각에 봉안한 후 포쇄와 선원각 수개를 통해 선원록을 보존한 체계는 「선원록형지안」을 통해 규명할 수 있다. 「선원록형지안」은 「① 形止案名 + ② 形止 + ③ 璿源錄 目錄 + ④ 座目」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② 형지’는 事案이 되는 선원록 봉안․포쇄․선원각 수개에 대한 전말을 기록한 것으로 「실록형지안」과 차별되는 가치를 지닌다. 선원록의 봉안은 종부시의 都提調와 提調 중 堂上 1員이 奉安使가 되고, 종부시의 正․主簿․直長 가운데 1員이 낭청이 되어 거행한다. 선원각에 봉안한 선원록을 보존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관리는 曝曬이다. 선원각을 열 때마다 봉안궤에 들어 있는 선원록을 포쇄하였다. 포쇄가 선원록을 보존하기 위한 직접적인 방법이라면, 봉안처로서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선원각을 修改하는 것은 간접적인 방법이다. 선원록을 보존하는 체계에서 포쇄와 선원각의 수개는 상보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 KCI등재

        건릉 봉안 서책과 규장각의 역할

        조계영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규장각 Vol.56 No.-

        조선 후기의 왕릉에는 부장품의 하나로 서책을 봉안한 전례가 계승되었다. 특히 원릉에 봉안한 서책은 정조가 장황과 발인반차의 御製채여까지 결정했다. 국장도감과 산릉도감은 왕릉에 서책을 봉안하기 위해 필요한 궤와 石函을 제작했다. 본 논문은 건릉에 서책을 봉안하는 과정에서 규장각이 담당한 역할을 규명했다. 1776년에 정조는 어제의 편찬과 봉안을 주관하는 규장각을 건립했다. 정조의 승하 후 규장각은 건릉에 봉안할 서책을 마련하고 灰函을 제작했다. 건릉 이전의 봉안 서책은 국장도감에서 발인할 때 채여에 싣고 산릉으로 옮겼는데, 건릉에서는 규장각의 검서관이 架子에 싣고 발인 전에 능소로 운반했다. 건릉에는 정조가 생전에 정한 『三經四書大全』을 비롯해 『弘齋全書』와 『四部手圈』을 봉안했다. 19세기의 왕릉에는 건릉이 전례가 되어 규장각이 봉안할 어제를 주관했다.

      • KCI등재

        조선후기 『列聖御製』의 編刊과 保存 - 1726년 『景宗大王御製添刊時謄錄』을 중심으로 -

        조계영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연구 Vol.44 No.-

        ‘御製’란 국왕이 지은 글을 말한다. 조선후기에 『열성어제』를 간행하는 규범은 1631년 義昌君 李珖이 太祖부터 宣祖까지의 어제를 繕寫하여 進獻한 것을, 開刊하여 璿源閣에 봉안한 것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후대왕의 『열성어제』를 간인하는 것을 ‘添刊’으로 지칭하며, 선왕들의 『열성어제』에 이어 함께 간인하는 것을 ‘合附’라고 일컫는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현전하는 『景宗大王御製添刊時謄錄』(奎14202)은 1726년 1월부터 6월까지 景宗의 어제를 『열성어제』에 첨간한 과정을 기록한 등록이다. 본 논문은 『景宗大王御製添刊時謄錄』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열성어제』의 편찬․간인․보존에 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국왕의 사후에 어제를 수집하고, 『열성어제』의 목록을 처음으로 만들게 되는 과정, 인출한 『열성어제』를 보존하기 위해 장황→진상→봉안→반사에 이르는 전모를 알 수 있었다. ‘Eoje(御製)’ means the manuscript written by king. The standard for publishing Yeolseong eoje(列聖御製)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originated from the presentation of manuscripts written by kings, starting from King Teajo(太祖) to King Seonjo(宣祖), and transcribed by Yi Gwang(李珖, 義昌君) to Seonwongak(璿源閣) in 1631. Since then, the publication of Yeolseong Eoje(列聖御製) for later kings was called ‘Cheomgan(添刊)’ and the publication of Yeolseong Eoje(列聖御製) to which writings of later kings were added was called ‘Habbu(合附).’ Gyeongjong Daewang Eoje Cheomgan Sideungnok(景宗大王御製添刊時謄錄)(奎14202), now preserved in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s the record of the process of adding the manuscripts of King Gyeongjong from January to June of 1726 to Yeolseong Eoje. This paper examined the compilation, addition and preservation of Yeolseong Eoje(列聖御製)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reviewing Gyeongjong Daewang Eoje Cheomgan Sideungnok. As a result of this examination, the entire process of collecting manuscripts after kings’ death, and making the list of Yeolseong Eoje for the first time, and the steps from binding done to preserve the printed Yeolseong Eoje to their presentation, enshrinement and granting were all verified.

      • KCI등재

        조선후기 睿製의 繕寫와 보존

        조계영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인문과학연구논총 Vol.28 No.-

        본 논문은 孝明世子의 예제를 대상으로 조선후기에 睿製를 繕寫하였던 과정을 분석하고, 정황과 進上 및 奉安을 통하여 예제가 보존되었던 과정을 고찰하였다. 한국학중앙연구원에 현전하는 『敬軒集』(藏K4-420, 藏K4-421)은 1833년 선사 이후에 권9에서 권12를 추가로 선사한 효명세자의 예제이다. 효명세자의 예제는 선사한 후 견직물로 장황하여 大內·奎章閣·春坊에 봉인함으로써 보존되었다. 『睿製繕寫謄錄』(藏K2-3657)은 1832년과 1833년에 효명세자의 예제를 선사한 과정을 기록한 자료이다. 이 등록에는 예제의 誤字를 교정한 내용과 예제를 보존과 美觀을 위해 견직물로 장황하고 冊匣을 만들어 보관하였던 사실 등 다양한 정보들이 수록되어 있다. 본 논문은 『예제선사등록』을 분석하여 예제가 御製에 준하는 선사와 보존을 행하였음을 조명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process of complications of the writings of crown princes in the Late Joseon by the writings of crown princes Hyomyeong(孝明) and examined the preservation procedures such as bookbinding, presenting and enshrinement. 『Gyoengheonjip(敬軒集)』(藏K4-420, 藏K4-421), currently possessed in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is the writings of crown princes Hyomyeong which was increased from 9 volumes 세 12 volumes by the additional compilation in 1833. The writings of crown princes Hyomyeong was bound with silk fabrics and enshrined in Daenai(大內), Gyujanggak(奎章閣) and Chunbang(春坊) for reservation. 『Yejeseonsadeungrok(睿製繕寫謄錄)』(藏K2-3657) is a material that recorded the processes of compilations of the writings of crown princes Hyomyeong(孝明) in 1832 and 1833. This record contain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proofreading of wrong words, bookbinding with silk fabrics for preservation and good appearance, and making a bookcase for keeping. This paper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cleared up, through analyzing 『Yejeseonsadeungrok』, the compilations and preservation procedures for the writings of crown princes were equivalent to those for the writings of k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