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들뢰즈의 기호론과 전시 내러티브

        조경영 ( Cho Kyoung-you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7 전시디자인연구 Vol.14 No.1

        전시와 설치미술의 차이점은 메시지의 유무다. 전시에는 분명한 메시지가 존재를 하지만 설치미술과 더불어 현대 예술에서는 분명한 메시지가 주어지지 않는다. 현대 예술은 기호로서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현대 예술에서의 기호는 지시대상과의 관계와 고착된 기존의 기호가 아니다. 들뢰즈의 기호는 이러한 지시대상과의 고착된 관계를 벗겨낸다. 들뢰즈의 기호는 해독을 하는 것이 아니라 사유를 강요한다. 전시 디자인은 박물관 및 기념관 등의 전시 활동 가운데 관람객과의 소통에 주목을 한다. 그러나 과연 소통이 무엇인가를 우리는 생각을 해봐야 한다. 그리고 박물관 및 기념관이 소통을 위한 공간인가도 심사숙고를 해봐야만 한다. 과연 그 소통이 누구와의 소통인가 하는 문제를 생각해봐야 하기 때문이다. 강신주는 장자의 바다새의 비유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이 같은 공동체 안에서의 소통이라면 장자의 소통은 다른 공동체와의 소통이라고 피력한다. 재인구달이 행했던 침팬지와의 소통은 다른 공동체와의 소통이다. 박물관 및 기념관에서의 소통이 과연 어떤 소통인가를 고려하지 않은 채 그저 막연한 주장이 아닌지 비판적 반성이 선행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내러티브는 이러한 소통의 문제를 체험형 전시방법이나 리텔링 스토리를 통해 해결을 모색한다. 그러나 재현적 내러티브로는 주어진것의 이해를 넘어서지 못한다. 메시지 전달이라는 단순한 기능을 넘어 현대 예술이 추구하는 담론의 장으로서의 전시의 새로운 기능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The difference between exhibition and installation art 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messages. There is a clear message in the exhibition, but modern art along with installation art does not give a clear message. Contemporary art shows its characteristics as symbols. However, the symbol in contemporary art is not a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of instruction and an established symbol. Deleuze's sign strips away the fixed relationship with these objects. Deleuze's sign does not detoxify, but enforces reason. The existing narrative seeks to solve this communication problem through the experience - based exhibition method or the retelling story. However, the narrative narrative does not go beyond the understanding of the given. I would like to study the new functions of exhibition as a chapter of discourse pursued by contemporary art beyond the simple function of message delivery.

      • 포스트모더니즘의 다원화 경향에 따른 전시공간의 특성 연구

        조경영 ( Cho Kyoung-you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0 전시디자인연구 Vol.7 No.3

        현대사회의 급속한 산업화, 과학화로 인한 지나친 물질문명 발달로 인해 오히려 인간은 더욱 자연환경과 유리된 삶 속에 방치되게 되었다. 시대의 변화에 따른 패러다임의 전환은 철학, 문학, 건축, 예술 전반에 대해 그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사고의 전환에 대한 건축적 수용은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이르러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간의 삶과 행태에 관한 고려 없이 디자인된 기존의 건축물이나 도시환경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어 새로운 해결안이 요구된다. In modern society, by the excessive advance in civilization brought by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scientism, human life was disengaged from living with nature. The conversion of paradigm caused by the changing of the times is expanding its influence over philosophy, literature, architecture, and art. In particular, the conversion of these incidents on the acceptance architectural postmodernism era came to be revealed in more detail. The new solution is required for the existing building or urban environment built without consideration of human behavior. The postmodernism emerged against the rational reason of the modernism shows a marked trend toward pluralism in which various mode coexist in a complicated manner. these kind of circumstance should be understood not as disorder but as openness, and pluralistic tendency should be considered to be the reflection of the diversity of the modern society.

      • KCI등재

        인스타그램의 기표적 관점에 의한 현대 소비문화공간의 특성연구

        김현영 ( Hyun Young Kim ),조경영 ( Kyoung Young Cho ),윤재은 ( Jae Eun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2

        스마트폰 출현 이래 소셜 네트워크(SNS)의 발전은 ``구전(口傳)효과``라는 마케팅 전략으로 소비자의 문화를 주도하고 있다. 소비자들 사이에서 제품에 대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정보를 전달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기도 하며 나아가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전효과를 통하여 사용자들 사이에서 공론(公論)화를 이끄는 현대시대의 변화안에 인스타그램이 있다. 텍스트기반의 SNS 홍수시대에 살고 있는 피로한 소비자들에게 이미지기반의 인스타그램은 새로운 대안이었다. 인스타그램은 3세대 SNS로써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관심사를 공유하는 버티컬 SNS로 구분되어지며,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징화안에서 댓글이라는 사용자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경험적 측면에서 소통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소통의 형식적 측면에서 SNS가 지향해야 할 개방적이고 수평적 인맥형성을 토대로 양질적 소통을 동시에 취하고 있다는 소통의 형성방식에 따른 특성은 기표적 특성과 일맥상통한다. 소쉬르와 데리다, 라캉이 바라보는 기표적 특성인 전이성, 주체성, 유희성으로 인스타그램의 담론구조 소통과정의 진화는 정보의 전이를 거쳐 향유에 이른다. 구조주의 이후 기표란 기표의 연쇄로 또 다른 기표를 생산해내며, 기표의 의미는 정해진 것이 아닌 다양한 의미를 창조한다고 데리다와 라캉은 주장한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기표에서의 의미란 해석하는데 있어 개인이 처한 환경이나 가치관에 따라 기표적 관점의 의미 해석은 다의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의성은 기업의 브랜드 발전과 홍보 지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제 기업은 브랜드 가치향상을 위한 활동을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소셜 네트워크와 브랜드 스토어의 상호보완성을 가지고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해 소비자에게 다가 가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미 사회문화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기호학을 기반으로 인스타그램의 기표특성을 분석하여 현대 소비문화를 예측하고 브랜드의 아이덴티를 상징하는 브랜드 공간에 투영하여 담론공간으로써 현대 소비문화공간의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SNS) since the introduction of smart phone is leading the culture of the consumers as the marketing strategy called the ``word of mouth effect``. It sometimes deliver positive or negative information of products between the consumers and develop bond of sympathy giving influence to the purchase activity. There is Instagram inside the change of the modern era that leads the public opinion between the users through this mouth of effect. To consumers who get tired living in the text-based SNS flooding era, image-based Instagram was the new alternative. Instagram is classified as the vertical SNS that shares the interests centering the certain topic as the third generation SNS,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communication in the experiential aspect by drawing sympathy of the user in the reply of symbolization. Characteristic by the developing method of communication that is simultaneously adopting quality communication based on the open and horizontal personal connections that SNS should aim from the formal aspect of the communication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signifiant characteristic. Progress of the structure of discourse communication process of Instagram to the metastic, subjectivity, of playfulness that is the signifiant characteristic that the Saussure, Derrida and Lacan views, arrives to the enjoyment passing the spread of information. After structuralism, Derrida and Lacan claims that signifiant produces another signifiant by the link of the signifiant and meaning of signifiant creates various meaning that is not already decided. This is because meaning of signifiant in the Post-modernism era, meaning interpretation of the signifiant aspect by the environment or value that individual is in, can have polysemy. Such polysemy exercises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development and advertisement of the enterprise`s brand. Now the enterprise should approach to the consumer for the improvement of the enterprise`s brand image by having the complementarities of the social network and brand store fit for the change of the era in the activity of brand value improve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signifiant characteristic of the Instagram based on semiotics that is used in the various aspect in the social culture already and forecast the modern consumer culture reflecting the brand space that symbols the identity of the brand and proposes the direction of the modern consumer culture space as the discursive space.

      • KCI등재

        감성적 측면에서 바라본 다니엘 오스트의 플라워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우연 ( Woo Yeon Lee ),조경영 ( Kyoung Young Cho ),윤재은 ( Jae Eun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감성문화시대에 도래한 현대사회에서 플라워디자인은 꽃에만 국한 된 것이 아닌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디자인으로 그 중요성을 대두시킨다. 플라워디자인은 꽃이라는 자연적인 소재를 디자이너의 창의성과 예술성이 더해져 한 공간 안에서 이루어지는 친환경적 공간예술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플라워디자인의 감성적 특성을 도출하고 단순한 꽃꽂이 개념에서 감성공간연출로 발전시키며 꽃의 건축가라 불리우는 세계적인 플라워디자이너인 다니엘 오스트(Daniel Ost)의 2000 년부터 현재까지의 작품집을 중심으로 감성적 측면에서 바라본 다니엘 오스트의 공간연출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논문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한 감성의 특징과 플라워디자인의 공간조형요소를 대입한 뒤 플라워디자인의 감성적 특성 3 가지 유기적 공간(空間), 자연적 유한(有限), 구성적 경험(經驗)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특성을 통해 다니엘 오스트 작품집을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첫째, 유기적 공간(空間)은 인간과 공간이 커뮤니케이션하는 상호작용과 예술적 표현으로 장식적 요소를 통해 아름다움을 다양하게 연출하는 예술적 특징이 많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자연적 유한(有限)은 3 집Remaining Flowers 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변화성에서 빛에 의해 공간 분위기와 그림자 패턴을 변화할 수 있는 광영성과 무한한 자연에서 오는 연출의 한계와 제한되는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셋째, 구성적 경험(經驗)에서는 운동성과 방향성이 많이 나타났는데 연속적으로 끊이지 않고 이어지게 하는 표현이 많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다니엘오스트의 플라워 공간연출은 감성적 특성 3 가지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의 디자인은 감성을 수용하고 있다는 결과에 도달하게 된다. 이를 근거로 플라워공간디자인에서의 감성은 공간과 인간을 소통하게하고 공간 안에서의 정서와 깊게 관여되며 공간의 경험을 통해 심리적으로 작용되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이에 플라워디자인이 감성 공간연출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발전될것을 기대해본다. When it comes to flower design in this modern society of the emotional and cultural era, significance of such design as in space design that would focus not only on flowers but also on emotions is being emphasized. As for flower design, these natural materials, flowers, are combined with creativity and artistry of a designer and after all, it is regarded as eco-friendly space arts that is realized in a single space. In the light of that, with collections created by the world``s most recognized flower designer, Daniel Ost, from 2000 to the present determined as a research subject, this study aims to extract emotional features of flower design and analyze Daniel Ost``s space presentation from an aspect of the emotions. Daniel Ost is also known as an architect of flowers, and he had evolved flower design as in floral arrangement into emotional space present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s, through a review on advanced researches, this thesis first applied the emotional features and flower design``s space designing components and then, presented these three emotional features of flower design which were organic space, natural finiteness and constructive experience. Referring to the extracted features, the study conducted a case analysis by applying Daniel Ost``s collections and as a result, first of all, regarding organic space, the study learned that the space seeks for interactions of human-space communications and artistic expression, and via these decorative elements, it creates beauty in many different ways which would eventually highlight artistic features of organic space itself. Second, the study found natural finiteness most frequently in the third collection Remaining Flowers, and variability to change space climates with light, lighting to transform shadow patterns, limited presentation on infinite nature as well as restricted characteristics are what would describe natural finiteness. Third, mobility and directionality prominently feature in constructive experience, and the study noticed that there are more of these presentations that would not intervene but sequentially continue. As described above, flower space design by Daniel Ost consists of the three emotional features, and the study reaches a conclusion that his design takes in emotions.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leads the study to understand that emotions as in flower space design invite spaces and human being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o get deeply involved in the emotions inside the spaces. In the end, the emotions become a significant tool that is psychologically applied through spatial experience. Based on what has been learned so far, the study believes that flower design will cover a greater part of emotional space presentation.

      • KCI등재

        국립중앙박물관의 선사유물 전시연출 방법에 관한 연구

        이지혜 ( Ji Hye Lee ),조경영 ( Kyoung Young Cho ),윤재은 ( Jae Eun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국립중앙박물관은 경복궁 1기를 거쳐 현재, 용산 시기인 2세대를 맞고 있다. 미래의 3세대 박물관이 되기 위해 관람객과 소통하고 이해를 돕는데 중심을 두어야 하며, 교육과 문화를 함께 즐길 수 있는 복합문화 공간으로 자리매김해야 하는 것이다. 선사유물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의 도입공간이자 우리 역사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는 유물이다. 그리하여 선사유물을 전시라는 매체를 통해 전시연출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범위와 방법을 설명하고, 2장에서는 우리나라의 선사문화와 유물에 대한 시대적 전시흐름과 역사적 구분 및 유물의 분류를 조사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선사유물의 전시목적에 따른 전시연출의 방향을 제시한다. 3장에서는 전시방향에 따라 세 가지 전시연출의 세부적인 내용을 해외사례와 함께 연구하여 보여줌으로써, 사례분석을 위한 전시연출의 구조와 연출 방법을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전시연출 분석틀을 기반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선사유물 전시연출의 현재와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한다. 5장에서는 선사유물 전시연출 분석의 결과로 전시 목적에 부합되는 연출이 도입되었는가를 평가하여 향후 선사유물전시연출의 방향과 연출 방법에 있어 선사유물 전시연출의 방법과 개선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하여 발전에 도모하고자 한다.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in its second generation in Yongsan after the first at Gyeongbokgung Palace. In order to go into its third generation in the future, the museum must focus on communication and aiding understanding of the visitors, as well as establish itself as a comprehensive cultural space where everyone can enjoy education and culture. Prehistoric artifacts are the introduction for exhibitions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important as they contain crucial information of the beginning of our history. Therefore, here the exhibition presentation is analyzed through the medium, prehistoric artifact exhibition. In the first chapter, the appropriate research scope and its method of the study are explained, and the second chapter suggests the direction for the appropriate presentation serving the purpose of each exhibition, by researching the exhibition trends, historical divisions, and artifact classification. The third chapter shows the details of three presentation methods, in comparison with the examples outside Korea, and draws the suggested structure and method of prehistoric artifact presentation for the analysis of these examples. The fourth chapter presents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museum’s prehistoric artifact presentation and its problems and improvement points based on the exhibition presentation analysis. In the fifth chapter,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rehistoric artifact presentati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entation for its purpose is evaluated, in the efforts to promote the advancement of the prehistoric artifact presentation in the future by suggesting points to improve.

      • KCI등재

        바이오미미크리 개념을 통한 이동식 전시의 가변성에 대한 연구

        이용진(Lee, Yong-Jin),윤상영(Yoon, Sang-Young),조경영(Cho, Kyoung-Yo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1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0 No.5

        The world is suffered from sever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due to radical industrializatio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With advancement of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national borders have become meaningless. In this global trend, movable exhibition shall be supposed to pursue “Local in Global.” Thus, movable exhibition should get involved in an effort to find a cultural identity in the globalization and to better our position among the various cultures. As an alternative, movable exhibition can be established by combining biomimicry, which is biomimicry of life by imitating biological system, with Flexibility of movable space. By providing a hint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cultural uncertainty, this alternative will generate an advanced exhibition trend that is more environmental-friendly and more efficient. As a cumulative concept created by the nature for 3.8 billion years, biomimicry has evolved a lot more than the modern science. By catching this point, “A study on flexibility of movable exhibition through biomimicry notion” is providing a revolutionary paradigm stepping beyond the current exhibition trend, which pursues coexistence of human beings and the nature and, at the same time, introduces our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