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논벼 증발산량 산정 방법에 따른 관개용수량 및 농업용 저수지 용수공급능 분석

        조건호 ( Gunho Cho ),한경화 ( Kyunghwa Han ),최경숙 ( Kyungsook Choi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현재 국내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능은 수혜구역의 논벼 관개용수량을 공급할 수 있는 확실성을 빈도개념으로 나타내며, 10년 빈도 한발시의 공급량을 기준으로 안정성을 판단한다. 저수지의 용수공급능은 수혜구역의 주 용수공급원인 논벼의 필요수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우리나라는 논벼에 필요한 관개용수량은 수정 Penman (Modified Penman: MP) 방법에 의한 증발산량을 기반으로 산정되고 있으나,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에서는 Penman Monteith (PM)방법을 추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기상청 및 농촌진흥청에서 증발산량 산정에 PM공식을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농촌진흥청에서 라이시미터를 활용하여 PM 방법을 적용하여 개발한 벼의 생육단계별 작물계수(K<sub>c</sub>)를 활용하여, 기존의 MP 방법 적용 시와의 관개용수량과 저수지 용수공급능의 변화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이를 위해 호남지역의 저수용량 100만 톤 이상의 149개 저수지를 대상으로 최근 30년간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MP 및 PM 방법에 따른 증발산량 변화가 논벼 관개용수량 및 농업용 저수지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하였다. 그 결과, MP 방법에 비해 PM방법을 적용할 경우 잠재 및 논벼 증발산량은 평균적으로는 17.6% 및 14.6%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논벼 관개용수량의 경우에도 평균 18.6% 낮게 나타냈다. 10년 단위로 분석을 진행한 결과, 과거에 비해 최근에 기상변화 영향으로 인해 잠재 및 논벼 증발산량은 평균 1.5% 및 1.6% 증가하였으며, 온도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지역에서 증발산량의 증가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논벼 관개용수량의 경우 평균적으로 3.4% 감소하였으며, 강우량의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지역에서 논벼 관개용수량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저수지 용수공급능은 10년 한발빈도 이하의 저수지가 전체 대상지구 중 MP 방법 적용 시 20.8%에 해당하는 31개 지구, PM 방법 적용 시 15.4%에 해당하는 23개 지구로 나타나 PM 방법을 적용할 경우 8개의 지구가 추가적으로 10년 빈도 한발 시 농업용수 공급량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논벼 증발산량 산정방법의 변화에 따른 저수지의 용수공급능 변화를 분석한 것으로, 실제 용수공급능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변화 및 수혜면적 변화, 영농패턴 변화 등의 영농환경 변화요소들은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저수지 용수공급능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현장여건 및 영농환경 등을 고려한 보다 면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농업용수 공급량과의 비교를 통한 논벼 증발산량 산정 방법 평가

        김상현,조건호,최경숙,Kim, Sanghyun,Cho, Gunho,Choi, Kyungsook 한국수자원학회 2020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3 No.12

        This study assessed evapotranspiration (ET) methods applying for estimation of paddy rice water demand based on agricultural water supply. The Modified Penman (MP) method and the Penman-Monteith (PM) method recently suggested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were considered. The 6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command areas located in Honam province were selected in this study. The climate characteristics were also analysed with the average annual and the growing season temperatures and rainfalls. As a result, the annual average and the growing season temperature showed the increased trend while the rainfall tended to decrease during 30 years. The paddy rice water demand found to be directly influenced by these climate trends as ET also affected by them. The higher values of paddy rice water demand were obtained from applying MP method compared to the one applying PM method. The lower differences were also obtained from MP method for the comparisons between the paddy rice water demand estimated by both methods with agricultural water supply.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P method is more desirable to use for estimating paddy rice water demand in order to achieve stability of irrigation designs and plans.

      • 농업용수 공급량과 논벼 수요량의 비교분석을 통한 증발산량 산정방법 평가

        김상현 ( Sanghyun Kim ),조건호 ( Gunho Cho ),최경숙 ( Kyungsook Choi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논벼 수요량 산정에 있어서 최근 국제식량농업기구 (FAO, Food and Agricultur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및 국내 농촌진흥청 등에서는 Penman-Monteith (PM) 방법에 의한 증발산량 산정 방법을 권고하고 있으나, 국내 논벼 수요량은 Modified-Penman (MP) 방법을 적용하여 산정하고 있다. 논벼 수요량 산정에 있어서 증발산량 산정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농업용수 계획 및 관리측면에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며, 반드시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선정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P방법과 PM 방법에 의한 증발산량 산정 방법을 적용하여 논벼 수요량을 산정하고, 실제 농업용수 공급량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현장여건에 적합한 논벼증발산량 산정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농촌진흥청에서 PM 방법의 의한 작물계수 개발지역이 포함된 호남지역의 용수공급지역을 대상으로, 저수지 100만톤 이상의 한국농어촌공사 관리지역 중 농업용수 공급량 자료가 신뢰성 있는 지구를 선정하여 이들 지역의 농업용수 공급량 자료를 기반으로 두 증발산량에 의한 논벼 수요량 산정 방법을 평가해 보았다. 그 결과, 논벼 수요량의 비교에서는 MP 방법에 의한 수요량이 PM 방법에 의한 수요량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두 방법에 의한 논벼 수요량과 농업용수 공급량과의 비교 분석에서는 MP 방법에 의한 논벼 수요량이 PM 방법에 의해 산정된 논벼 수요량 보다 차이가 적게 나타났다. 농업용수 공급량을 기반으로 논벼 증발산량산정 방법의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계획 및 이수안전도 측면에서 논벼 수요량 산정에 MP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 할 것으로 평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