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외 한국문화원의 운영 프로그램과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함은희,제갈용준,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6 No.2

        재외 한국문화원은 대한민국의 위상과 정체성을 알리는 곳으로 국제 문화교류와 해외문화홍보 거점으로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중심역할지이다. 이러한 기능적 공간으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국가별 설치되어 있는 재외 한국문화원은 그 위상과 역할에 부합될 수 있는 장소성을 고려한다. 재외 한국문화원의 공간디자인은 기능의 역할에 따라 운영 프로그램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서 재외 한국문화원에 대한 공간디자인의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프로그램 요소로 현대문화, 관광, 교육, 생활, 문화산업, 전통문화영역으로 구분하여, 그에 따라 공간디자인의 특성화 요소를 장소성과 정보성, 기능성, 체험성, 감수성 있는 공간으로 나눌 수 있었다.그리하여 기획 단계부터 지역별 프로그램에 따라 종합적인 이해와 적극적이고 복합적인 공간 해석이 되어 일반적 장소와 정보를 교류하는 문화공간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을 적극적이고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공간 확보 및 체험성, 감수성이 있는 공간디자인으로 진행될 수 있어야겠다. The overseas Korean Cultural Centers have served as a pivotal communicational platform for the cross-cultural exchanges and propagation of Korean culture. Recognizing their functional importances, it is required to create appropriate placeness considering their functions.The spatial design of the overseas Korean Cultural Centers is closely related with the operation programs offered therein. This study classifies the operation programs into six categories: 1) modern culture; 2) toursim; 3) education; 4) life; 5) culture and economy; and 6)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identifies five spatial design elements: 1) placeness; 2) communication; 3) experience; 4) function; and 5) sensibility.Thus, the spatial design process for the overseas Korean Cultural Centers should be deliberately directed toward wisely incorporating various spatial requirements of the programs intended therein, in terms of the multi-functionality, flexibility of space, experiencial role, and sensibility, from the planning stage.

      • KCI등재후보

        실내공간에서 조명에 의한 미니멀 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한정희,제갈용준,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6 No.2

        본 연구는 실내공간에서 인공조명의 배광 및 배치방식이 미니멀 디자인의 특성을 표현하는 능력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니멀리즘의 공간적 표현특성(확장성과 폐쇄감), 재료적 표현특성(물성과 비물성), 그리고 형태적 표현특성(단순성과 반복성)을 분석에 적용하였다. 인공조명의 배광방식은 직접 조명, 반직접 조명, 간접 조명, 반간접 조명, 전반확산 조명으로 분류하였고, 배치의 방식은 점, 선, 면, 입면으로 분류하여 분석에 적용하였다.분석의 결과, 대부분의 배치방식에서 직접조명과 간접조명이 미니멀 실내공간의 특성을 표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배광방식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입면 배치가 전반적으로 미니멀 공간의 특성을 표현하는데 효과적인 방식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bilities of artificial lighting in representing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t interior design, in terms of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d lighting installation type. This study first discusses three typical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minimalist design, including the spatial (openness/closedness), materialistic (materiality/demateriality),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simplicity/repeatednes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identifies the light distribution pattern into five typical patterns for the analysis: 1) direct; 2) semi-direct; 3) indirect; 4) semi-indirect; and 5) general diffused lightings. Furthermore, this study includes four lighting installation patterns for the analysis: 1) point source; 2) linear source; 3) area source; and 4) wall source of light.This study concludes that direct lighting and indirect lighting are the most effective light distribution methods to represent the minimalist interior design characteristics in the most of the lighting installation patterns examined in this study whilst the wall source lighting effectively represents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minimalist interior space in gene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