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irth’s Ideal Observer Theory and Its Problems

        Chung, Hun(정훈)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 Vol.48 No.-

        (메타)윤리학에서 이상적 관망자 이론이 가지고 있는 장점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그것은 도덕적 속성들을 이상적인 인간들이 보여주는 심리적 반응으로 해석함으로써 다른 메타윤리학적 이론에 비해 존재론적 부담이 덜하다. 둘째, 그러면서도 그것은 도덕문장들이 가지는 참-거짓이 일견 절대적이라는 우리의 상식적인 입장을 유지한다. 셋째, 그것은 윤리학을 자연화시킴으로써 윤리학을 다른 과학분야들과 더불어 연구될 수 있는 경험이론으로 만들어준다. 본 논문의 목적은 1952년에 이상적 관망자 이론의 초기 전형을 제시한 퍼쓰의 이론을 소개하고, 그것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퍼쓰의 이상적 관망자 이론이, 그것을 성공시키기 위한 퍼쓰의 엄청난 노력에도 불구하고, 방금 소개한 둘째와 셋째 장점들을 충족시키는데 실패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There are three main attractions of an ideal observer theory in ethics: (a) it is less ontologically committed by insisting that moral properties are nothing more than the subjective psychological reactions of an idealized human subject, (b) it, nonetheless, preserves our common sense intuition that the truth of ethical statements are prima facie absolute, and (c) it naturalizes ethics by making it an empirical theory that can be pursued in accordance with other scientific disciplin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and critically analyze an early prototype of such ideal observer theory that was presented by Roderick Firth in 1952. In this paper, I will show how Firth’s ideal observer theory, despite his laborious effort to succeed, fails to meet (b) and (c).

      • KCI등재후보

        데카르트의 세 번째 명상에 등장하는 신의 존재 증명에 대한 고찰

        정훈 ( Chung Hun ) 한국윤리학회 2015 윤리학 Vol.4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세 번째 <명상>에 제시되고 있는 데카르트의 신의 존재에 대한 증명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데카르트의 논증은 크게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첫 번째 부분에서 데카르트는 “세 개의 인과적 법칙들”이 참이라는 것을 확립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 데카르트는 첫 번째 부분에서 확립한 세 개의 인과적 법칙들을 근거로 신의 존재를 증명한다. 첫 번째 부분에 관해서 필자는 세 개의 인과적 법칙들은 데카르트 본인이 제시하고 있는 참이면서 의심 불가능한 지식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두 번째 부분에 관해서 필자는 데카르트의 논증은 오늘날의 관점에서 볼 때 받아들이기 힘든 중세적 형이상학에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다시 말해서,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서 신의 존재증명에 대한 데카르트의 논증의 첫 번째 부분과 두 번째 부분 모두 심각한 논리적 결함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analyze Descartes’ argument for the existence of God, which he presents in the third meditation. Descartes’ main argument may be divided into two parts. In the first part, Descartes establishes the truth of the so called “three causal principles.” In the second part, Descartes uses the truth of these three causal principles to prove the existence of God. For the first part, I will argue that the three causal principles do not meet the standard of true indubitable knowledge. For the second part, I will argue that Descartes’ whole argument rests on a highly dubious medieval metaphysics. In the end, I will argue that Descartes suffers from critical flaws in both parts of his argument.

      • KCI등재후보

        무어(G. E. Moore)의 ‘열린 질문 논변’에 대한 헤어(R. M. Hare)의 재구성에 대한 소개

        정훈 ( Chung Hun ) 한국윤리학회 2014 윤리학 Vol.6 No.1

        본 짧은 논문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20세기 초반에 『프린키피아 에티카(Principia Ethical)』에서 무어(G. E. Moore)가 제시한 고전적 열린 질문 논변(Open Question Argument)에 대한 헤어(R. M. Hare)의 재구성을 소개하고 설명하는데 있다. 열린 질문 논변은 기본적으로 도덕적 혹은 윤리적 속성들이 (존재론적으로) 자연적 속성과 동일하다고 주장하는 윤리적 자연주의(ethical naturalism)를 논박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무어의 열린 질문 논변이 지니는 문제점 중 하나는 그것이 의도했던 것에 비해 너무 많은 것을 증명한다는데 있다 - 즉, 그것은 단지 윤리적 자연주의를 논박하는 것을 넘어서, 일반적인 자연적 용어들에 대해 자연주의적으로 정의하는 것까지 논박할 여지를 가지고 있다. 열린 질문 논변에 대한 헤어의 재구성은 바로 이러한 문제점을 회피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헤어가 사용한 주요 전략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 설명하는 데 있다. 마지막 부분에서 필자는 헤어의 해결책이 봉착할 수 있는 두 가지의 문제점들을 간단하게 지적하면서, 열린 질문 논변에 대한 헤어의 재구성이, 그것이 최초에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The main aim of this very short paper is (primarily) to introduce and explain R. M. Hare’s reconstruction of the classical Open Question Argument, which has been originally proposed by G. E. Moore in Principia Ethica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The Open Question Argument was designed to refute ethical naturalism, a meta-ethical view that claim s that ethical or m oral properties are (metaphysically) identical to natural properties. One of the problems with Moore’s Open Question Argument is that it proves too much; not only does it refute ethical naturalism, but it also refutes ordinary naturalistic definitions of natural terms. Hare’s reconstruction of the Open Question Argument was designed to evade this very problem.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what Hare’s main strategies in tackling this problem were. At the end, I will briefly argue that Hare’s own reconstruction of the Open Question Argument doesn’t really solve the problem that it had initially intended to solve by pointing out two possible problems that it might encounter.

      • KCI등재

        중첩적 합의와 공리주의

        정훈(Hun Chung) 한국철학회 2010 철학 Vol.0 No.103

        존 롤즈(Rawls)가 『정치적 자유주의(Political Liberalsim)』를 집필한 근본적인 목적은 어떻게 하나의 정의이론이 합당한 다원주의 사회에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지를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그러기 위해서 롤즈는 『정의론(A Theory of Justice)』에서는 소개하지 않았던 다음의 세 가지 개념들을 새롭게 제시한다: (1) 정치적 정의관, (2) 공적 이성, 그리고 (3) 중첩적 합의. 이러한 세 가지 개념들을 활용하면서, 롤즈는 자신의 정의의 두 원칙들을 다음의 두 단계를 통해 새롭게 제시하고 정당화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 정의의 두 원칙들은 오직 공적 이성에 의해서만 정당화될 수 있는 중립적인 ‘정치적’ 정의관으로서 제시된다. 두 번째 단계에서 각각의 개개인들은 자신들이 믿고 있는 포괄적 교설 속에서 정치적 정의관을 지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근거들을 찾으면서 이미 첫 번째 단계에서 정당화된 정의의 두 원칙들을 재정당화 한다. 이러한 두 단계의 정당화 과정이 바로 “중첩적 합의”라고 할 수 있다. 롤즈는 고전적 공리주의자들 역시 중첩적 합의에 참여를 함으로써 자신이 제시한 정의의 두 원칙들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셰플러(Scheffler)는 이것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셰플러는 고전적 공리주의가 중첩적 합의에 참여할 수 없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네 가지의 근거들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셰플러가 제시하는 네 가지의 근거들 모두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반박을 통해서 나는 고전적 공리주의자들 역시 중첩적 합의를 통해 롤즈의 정의의 두 원칙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The main objective of Rawls’ Political Liberalism was to explain how a workable theory of justice can be established and sustained within a society that is marked by reasonable pluralism. In order to meet this end, Rawls introduces the following three concepts: political conception of justice, public reason, and overlapping consensus. By relying on these three concepts, Rawls presents his two principles of justice as a two stage process. In the first stage, the two principles of justice are presented as a free-standing political conception justified solely by public reason. In the second stage, individuals engage in overlapping consensus which enables them to find additional supporting reasons for the political conception of justice from their own comprehensive doctrine. This two-stage process is what Rawls calls the process of “overlapping consensus”. According to Rawls, even classical utilitarianism can support his two principles of justice by participating in overlapping consensus. However, Samuel Scheffler thinks that this is impossible. Scheffler provides four arguments on why he thinks that this is the ca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at none of the arguments that Scheffler provides is persuasive. In contrast, I will argue that classical utilitarianism can support Rawls’ two principles of justice by participating in overlapping consensus.

      • KCI등재후보

        사회적 권력과 구조적 행운: 권력에 대한 브라이언 배리와 키쓰 다우딩의 논쟁에 대한 비판적 분석

        정훈 ( Chung Hun ) 한국윤리학회 2014 윤리학 Vol.3 No.2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들은 권력자들인가? 브라이언 배리는 자본주의 사회 하에서 자본가들은 그들의 정부에 대하여 막강한 사회적 권력을 행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권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것에 대해 키쓰 다우딩은 자본주의 사회의 자본가들은 권력자들이라기보다는, 단지 구조적으로 운이 좋은 것이라고 주장하며 배리의 입장을 반박한다. 본 짧은 논문에서 필자는 논문의 초반부에서 다우딩이 제기하는 두 가지의 비판으로부터 배리의 사회적 권력에 대한 정의를 옹호할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논문의 후반부에서 배리 자신의 입장은, 결국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가들이 가진 사회적 권력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주장을 논리적으로 함축한다는 점에서, 자멸적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Are capitalists in capitalist societies powerful? Brian Barry argues that capitalists in capitalist societies are powerful as they have social power over their governments. Keith Dowding disagrees and argues that capitalists are, rather, systematically lucky. In this short paper, I will first defend Barry’s definition of social power from Dowding’s two criticism s. However, in the end, I will show that Barry’s own stance is actually self defeating as his arguments actually com m it him to say that the social power that capitalists possess in capitalist societies is severely limited.

      • KCI등재

        게임이론, 합리적 선택이론, 그리고 죄수의 딜레마에대한 해명

        정훈 ( Hun Chung ) 한국과학철학회 2014 과학철학 Vol.17 No.3

        게임이론에 대한 비판자들은 게임이론이 실증적인 사회과학 연구나 규범적인 정치철학/정치사상 연구에 거의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이 이렇게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들 중 하나는 이들이 게임이론이 인간의 본성과 심리에 관한 매우 잘못된 가정 위에 세워진 이론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 잘못된 가정이란 바로 인간들이 본성적으로 이기적이거나 이기적이어야만 한다는 생각이다. 이러한 인식으로부터 게임이론에 대한 비판자들은 게임이론이 인간행위에 대한 기술적인 이론으로서나 규범적인 이론으로서 커다란 결함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이러한 비판들이 대개의 경우 게임이론에 대한 일반적인 오해에 바탕하고 있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필자는 논문의 전반부에서 게임이론의 기초에 대해서 설명을 한 후에, 논문의 중-후반부에서 게임이론이 인간본성에 관한 어떤 특정한 전제를 가정하고 있는 것이 아니며, 그것은 단순히 다양한 전략적인 상황들을 다양한 목적을 위해 모형화하고 분석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매우 유용한 수학적인 도구라고 주장할것이다 There seems to be critics who think that game theory can provide very littleinsights in doing empirical social scientific research or normative politicaltheory/political philosophy. This is because these people tend to think thatgame theory is committed to some highly contestable theory of humanpsychology; namely, that human beings either are or should be primarilymotivated by their own exclusive self-interest. From this, critics tend to thinkthat game theory is defective both as a normative theory of action as well asa descriptive theory of action. After explaining the basics of game theory, Iwill try to show that such criticisms are mostly based on a generalmisunderstanding of game theory. In the end, I will argue that game theory issimply a mathematical tool that could be used to model any strategicinteraction for many different purposes, and is not committed to anysubstantial theories of human nature.

      • KCI등재
      • 남북한 군사통합 시 갈등관리 연구

        정훈 ( Chung Hun ) 한국군사학회 2018 군사논단 Vol.95 No.-

        While summit-level talks such as recent (from April to June in 2018) North-South Korean summit and North Korea-United states summit followed by North-South General-level talks and more are active, security surroundings in the Korean Peninsula is seeking for everlasting peace construction-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Under this circumstances, if Korean Unification is done under Republic of Korea's lead, many conflicts could arise in many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y, military, society, culture and especially in the field of military, there was big and small conflicts such as Korean War in the hostile relations over 60 years. According to the study, in the case of North and South military unification, conflict factors are classified in political, economical, cultural-psychological factors. As the resolution, first in political conflicts, transparent and open military unification must be proceeded for the construction of trust between all the related parties with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second, in economical conflicts, establishment of arms-equipments operation system, and consistent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basic notions on the use of military facilities under the effort to save the budget on military unification in the context of post-unification military strategy is needed. Third, cultural-psychological conflict resolution is to establish identity as a single ethnic group by promoting common cultural feature with stronger historical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idea with single language and history. All efforts must be focused on psychological unification which is the most important and is estimated to require most time. All members should participate with hope based trust by solving from realistic problems such as building SOC to setting blue prints as happy future free democracy citizen for the North Korean people to not feel neglected due to the lead in the unification by the South Korea. To contribute to genuinely unified Korea, all people should be secured with procedural legitimacy by being provided with fundamental rights and opportunity of humane life with secure security of Korean Peninsula after the unification.

      • KCI우수등재

        페어플레이의 원칙에 대한 재조명과 Richard Arneson에 대한 답변

        정훈(Hun Chung) 한국철학회 2012 철학 Vol.0 No.110

        우리가 정부에 대해서 가지는 정치적 의무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된 “합의이론”이 가지는 여러 단점들을 인식하기 시작한 많은 윤리학-정치철학자들은, 그것에 대한 대안으로 “페어플레이의 원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페어플레이의 원칙에 의하면, 만약 누군가가 어떤 협동체계로부터 생산된 성과나 결실을 향유하게 되었다면, 그 사람은, 그것을 공짜로 즐기는 무임승차자가 되어서는 안되며, 자신에게 부여된 몫을 기여해야 할 의무가 있다. 많은 윤리학-정치철학자들은, 어떤 협동체계가 누군가에게 기여의 의무를 제대로 부여하기 위해서는, 의무의 당사자가 그 협동체계로부터 발생한 결실들을 자발적으로 수용해야 할 것이 요청된다고 주장을 하며, 페어플레이의 원칙이 실제로는 합의이론으로 환원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Richard Arneson은 이러한 주장을 거부한다. Arneson에 따르면, 자발적 수용은 페어플레이의 원칙이 누군가에게 의무를 발생시키기 위한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아니다. 더 나아가서, Arneson은 만약 협동체계가 정의롭기만 하다면, 단순히 그것의 결실을 향유했다는 것만으로도 기여의 의무가 발생하며, 이때 협동체계의 다른 참여자들은 비-기여자들에게 그들에게 할당된 몫을 기여하도록 강제할 수가 있다고 주장을 한다. 본 논문의 한 가지 목적은 Arneson의 이와 같은 주장들이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고 밝히는 것이다. Arneson의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 나는 우선 공정성의 원칙에 자체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그 이후에 나는 Arneson은, 자발적 수용의 불필요성을 주장하는 과정에서 실제로는 자발적 수용이 의무발생에 있어서 필수적이라는 것을 역설적으로 전제하고 있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Many political theorists who saw the shortcomings of “consent theory” turned their attention towards “the principle of fair-play (also known as the principle of fairness)” to account for the political obligations we have towards our particular governments. The principle of fair-play claims that if one has enjoyed certain benefits that were produced by a cooperative scheme, then one has an obligation to contribute his/her own share of the cooperative scheme and not become a free-rider. Many philosophers have argued that the principle of fair-play actually reduces to consent theory, since it seems that one would have to consent or voluntary accept the benefits of the cooperative scheme in order for one to be obligated to contribute one"s share. However, this is not how Richard Arneson thinks. According to Arneson, voluntary acceptance is neither a necessary nor a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principle of fair-play to generate obligations. Furthermore, Arneson argues that provided that the cooperative scheme is just, mere receipt of the benefits is sufficient to generate obligations and the other members of the cooperative scheme would, then, have rights to coerce non-contributors to contribute their share. On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rgue that Arneson"s major arguments are fundamentally flawed. In order to argue against Arneson, I first provide what I believe to be one of the most detailed and accurate representations of the principle of fair-play itself. After that, I show that Arneson actually commits himself to the view that voluntary acceptance is essential to the generation of obligations when he tries to argue against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