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송욱 시에 나타난 자연과 생명

        정효구(Hyo-goo, Jeong) 어문연구학회 2010 어문연구 Vol.63 No.-

        This paper is written under the premises that Song Wuk’s four collections of poetry emlxxiy the idea of 'principle of Tao' and ‘body of Tao.’ and that their metonymy. wruch include nature. body. life and universe, are regarded as the focal point of comprehending and solving problems. Song Wuk is a poet who approached the process of writing as a highly intellectual attitude. However. it was trus attitude that made rum realize the limitations of the intellect. especially that of the Western culture. He then discovered that beyond the realm of intellect exist the fundmental principle that governs the world, which exists in the vital forms of life. nature, body and universe. Based on such discovery. his poems carry certain significance in the rustory of Korean poetry. First. far from merely being one of many contemporary poets, Song Wuk is one of those who follow the tradition of Korean poet such as Han Yong-Un. Sea Jeong- Ju, Jo Ji-Hun. Kim Gwan-Sik. whose works are based on the Asian idea of Tao. Second, the idea of Tao that he portrays in rus works sucessfully integrates the worlds of Taoism, Buddhsism and Yin and Yang. and focuses on the world of Taoism, nature rather than that of artificiality. This is the point where the idea of Tao embodied in his works diverts from that of Congucianism and Wang Yangming. Third Song Wuk's exploration of the nature, body, uniiverse, and life based on the idea of Tao coincides with the extensive discussions about our body and ecology that has taken place in Korea since 1990s. His poems are in effect their precedents that pioneered the movement. By uncovering such characteristics of Song Wuk's poetry,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his works, which has mostly been confined to acknowledging his use of intellectual satires, ironies and experimental Ianguages. Furthermore, by acknowledging such nature of Song Wuk's poems, we can comprehend the complexity of his poems, and appreciate and assess them with a better structural understanding.

      • KCI등재

        -心 혹은 空心의 詩的 기능에 관한 試論 : 공감의 구조와 양상을 중심으로

        정효구(Jeong Hyo-goo) 한국시학회 2010 한국시학연구 Vol.- No.2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tter of "sympathy,"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reading poetry, based on Buddhist psychology. To examine the matter of sympathy means to explore one aspect of reception theory and reader-centered criticism in literature; more specifically, it means to examine in depth the reality of readers' rather vague response that a poem is "good", "impressive", "appealing", or "touching". In this paper, the source of sympathy is understood as coming from basically two concepts of Buddhist psychology. The first one is the self-centered ego that emerges from the seventh consciousness (manas consciousness) of the doctrine of mere-consciousness. The other is the transpersonal that transcends and exists beyond the self-centered ego. While the former forms a world of ego that differentiates, discerns, and judges, the latter forms a world of one mind and holistic mind that exists beyond ego. The forms of sympathy generated by the self-centered ego include understanding, empathy, liking, being overwhelmed, and delight. The typical forms of sympathy that comes from the transpersonal beyond ego are acceptance, admiration, thrill, and being touched. Whereas the former seeks self-preservation, self-expansion and self-indulgence, the latter pursues self-reduction, self-releasement and deliverance. The former types of sympathy are temporary, unstable, and personal, while the latter ones are eternal, consistent, and universal. Modem Korean poetry often fails to draw the sympathy of transpersonal, especially the state of being touched, which is its highest stage. Both poets and readers are accountable for such failure, but most importantly, it is because they have not yet fully realized, or understood the world of transpersonal beyond ego. At this time of development of postmodernism and new forms of poetry writing, understanding and restoring the transpersonal world of one mind and holistic mind will help bring a significant change and improvement to modem Korean poetry.

      • KCI등재

        시적 감동’에 관한 불교심리학적 고찰

        정효구(Jeong, Hyo-goo) 한국문학회 2015 韓國文學論叢 Vol.7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tter of 'poetic impression' in the perspective of Buddhist psychology. The phrase of poetic impression has been used frequently by a lot of people in the circles of poetics, but in fact, in-depth and academic exploration has hardly been made on it. Therefore, it is needed to establish poetic impression as a kind of definite theory of poetry, and the approaches of Buddhist psychology to it satisfy the necessity considerably. There are several conditions to make a good poem. Among them, poetic impression is definitely in the frontline, and it is a crucial source that allows poems to exist on the high place of human society. Poetic impression is to let humans encounter and realize 'divine reality' that can be referred to as terms like pure mind, holistic mind, tao mind, mindlessness, mercy, spirituality, or eternity buried deep in humans or operating within them.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psychology, humans' mentality seems very complex, but the basic principle of it is simple differently from how we expect. It is because whether the so-called host and guest use separated 'two minds' or employ 'one mind' transcending the host and guest is the core of how any mentality works. Generally, secular mentality originating from consciousness of selfness, 'I exist’, is to use 'two minds' in which the host and guest are divided. On the contrary, self-transcendental mentality realized in consciousness of selflessness and mindlessness is to use 'one mind' in which the host and guest become the one. Undoubtedly, poetic impression is born from the latter. In poetry, such matter of 'using mind' is a crucial factor that determines the poetic impression of a poem and also the viewpoint and imagination of it. Generally, poetry can be easily seen as the matter of language, but in fact, before language, the matter of 'using mind' present in language is the essential aspect of poetry more important than language itself. Since modern poetry is familiar to us and grounded on egocentrism and anthropocentricism that modernity takes as its base, this matter of 'using mind' might be easily taken for granted. Therefore, the lives of modern people setting the character of individual ego and human pride forth as well as the deeds of using mind understanding the matter of 'using mind' in modern poetry properly and opening the dimension existing beyond the character of individual ego and human pride are to be remembered and explored particularly importantly. This author deems that among the three dimensions of Buddhist psychology, the matter of poetic impression meets the matters of mercy above wisdom, mindlessness, holistic mind or absolute nature, the supreme dimension, and examines the substance of the impression with six categories having 6 paramita, the nuclear training of Mahayana Buddhism, as the criteria. As a result, this author has reconfirmed that the matter of poetic impression does not simply end as the matter of poetry and is associated with profound understanding of one existing world and the matter of practice. This means that when it comes to modern poetry, it is related to the dimension of understanding a more essential and ultimate world, not just the matter of genius or acquisition of technique emphasized. Our modern and contemporary poetry so far has been reflecting modern mind grounded on individuals as well as freedom and individuality faithfully and also using the archetypal and deep mind of art itself, so-called mercy, holistic mind, mindlessness, transpersonal psychology, or eternity. In this way, it has significantly succeeded in arousing poetic impression beyond time and space. However, now there is a concern that our poetry of this 21st century is leaning excessively on egocentrism or anthropocentricism and becoming far from the task of creating poetic impression. Though it may not be regarded as a proper name, the title of 'the fu 이 글은 '시적 감동’의 문제를 불교심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씌어진 글이다. 지금까지 시적 감동은 시학계의 수많은 사람들에 의하여 빈번하게 사용된 말이지만 실제로 이에 대한 심층적이며 학구적인 탐구는 부재하였다. 따라서 시적 감동은 하나의 명확한 시론으로 정립될 필요가 있거니와, 이에 대한 불교심리학적 접근은 그 필요성을 상당 부분 충족시켜 준다. 우리는 좋은 시의 요건으로 여러 가지 사항을 들 수 있으나 시적 감동은 그 중에서도 단연 앞자리에 놓일 뿐만 아니라 시를 인간사의 高處에 존재하게 하는 중요한 원천이다. 시적 감동은 인간들의 심층에 묻혀 있거나 그 속에서 작동하고 있는 淸淨心, 一心, 道心, 公心, 慈悲心, 靈性, 永遠性등과 같은 말로 부를 수 있는 '신성한 실재’를 만나고 일깨우는 일이다. 불교심리학적 관점에서 보자면 인간들의 심리는 매우 복잡한 것 같으나 그 근본 원리는 생각과 다르게 단순하다. 이른바 主客이 분리된 '두마음’을 쓰느냐, 아니면 주객을 넘어선 '한 마음’을 쓰느냐 하는 것이 모든 심리 작용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내가 있다’는 유아의식에서 비롯된 세속적 심리는 주객이 분리된 '두 마음’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에 비해 무아의식 및 대아의식에서 이루어지는 자아초월적 심리는 주객이 하나가 된 '한 마음’을 사용하는 것이다. 말할 것도 없이 시적 감동은 후자에 의하여 탄생된다. 시에서 이와 같은 '用心’의 문제는 그 시의 시적 감동은 물론 시의 관점과 상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일반적으로 시를 언어의 문제로 보기 쉽지만 실제로 언어 이전에 혹은 언어 속에 존재하는 '用心’의 문제는 언어 문제 이상으로 중요한 시의 본질적 측면이다. 우리에게 익숙한 근대시는 근대가 기저로 삼고 있는 개인중심주의와인간중심주의에 기반해 있기 때문에 자칫 이 '用心’의 문제를 소홀히 하기 쉽다. 따라서 個我의 개성과 인간의 자부심을 전면에 놓고 있는 근대인의 삶과 근대시에서 '用心’의 문제를 제대로 이해하고 개아의 개성과인간의 자부심 너머에 존재하는 차원을 열어가며 그 마음을 쓰는 일은 특별히 비중 있게 기억되고 탐구되어야 한다. 이 글에선 시적 감동의 문제가 불교심리학의 세 차원 가운데 최고의 차원인 지혜 위의 자비, 大我의식, 일심, 圓成實性등의 문제와 맞닿아있다고 생각하여 대승불교의 핵심 수행법인 6바라밀을 기준으로 삼고 그 감동의 실제를 여섯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적 감동의 문제는 단순한 시의 문제만으로 끝나지 않으며한 존재의 세계에 대한 심층적 이해 및 실천의 문제와 연관돼 있음을 재확인하였고, 이는 근대시를 말할 때 중시되는 천재성이나 기예의 훈습등의 문제를 넘어선, 보다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세계 이해의 차원과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금까지 우리의 근현대시는 개인과 자유와 개성에 토대를 두고 있는 근대정신을 충실하게 반영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예술 본래의 원형적이면서도 심층적인 마음인, 이른바 慈悲心, 大我心, 公心, 一心, 永遠性등을 활용함으로써 시공을 넘어선 시적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데에 상당히 성공하였다. 그러나 지금, 21세기의 우리 시는 지나친 개아중심주의와 인간중심주의에 편향됨으로써 시적 감동을 창출하는 일로부터 멀어져가고 있다는 염려를 자아낸다. 적절한 명칭이라고 할 수는 없으나 '미 래파’라는 호칭과 관련된 21세기 젊은 시인들의 시적 특성을 두고 논쟁까지 치른 우리 시단의 새로운 흐름은 '시적 감동’이 약화되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깊은 성찰을 필요로 하는 상황에 와 있다. 이 글이 그런과제 해결에 작은 도움이라도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문학에 그려진 원효(元曉)의 삶과 사상 ― 소설문학을 중심으로 ―

        정효구 ( Jeong Hyo-goo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7 한국불교사연구 Vol.11 No.-

        한국현대문학사 속에서 원효를 다룬 작품은 소설과 시의 영역에서 골고루 나타났다. 시인들에게도 원효는 소재와 정신의 양 측면에서 현재를 논하고 해결하며 미래를 열어가는 데 훌륭한 선지식(善知識)이었으며, 소설가들에게도 원효는 개인, 국가, 민족, 근대, 인간과 인간 너머의 차원을 다루기에 유의미한 대상이었다. 이 가운데 본고에서 더 큰 비중을 두고 다룬 것은 소설작품이었다. 이광수의 『원효대사』, 한승원의 『소설 원효』, 김선우의 『발원 : 요석과 원효』, 심윤경의 「천관사」가 주된 대상으로 탐구되었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어낼 수 있었다. 첫째, 이 네 작품은 다소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신라인인 원효에게서 근대와 근대 너머의 세계를 한꺼번에 읽어내며 지난 근대를 되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근대 너머의 세계를 시사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 이 네 작품은 역시 다소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원효에게서 민족과 민족 너머의 세계를 읽어내며 민족적 현실과 정체성은 물론 민족 너머의 초역사적인 세계를 바라보고 있었다는 것이다. 셋째, 이 네 작품은 역시 다소의 차이는 있었으나 파계(에로스)와 파계(에로스) 너머의 문제에 집중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파계의 문제는 불교의 기본적인 계율을 점검하는 자리에서, 파계 너머의 문제는 파계가 지닌 방편성을 인지하고 진정한 자유의 문제를 전개하는 데서 논의되고 있었다. 끝으로 이 네 작품은 원효를 지극히 아끼고 사랑하며 우리가 처한 현실을 해결하고 미래를 열어갈 인물로 그려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원효에 대한 과도한 사랑이 때로 작품의 리얼리티를 감하도록 하기도 하지만 원효를 발견함으로써 민족적, 인간적 자부심 속에서 미래의 길까지 설계하고 내다볼 수 있게 된 점은 크게 강조할 필요가 있다. 초록을 작성하다 보니 작은 차이들을 일일이 언급하는 데 충분한 지면을 할애하지 못하였다. 특별히 이광수의 친일문제, 김선우의 페미니즘 문제, 한승원의 성인에 대한 찬탄, 심윤경의 화엄세계에 대한 갈망 등은 본문에서 눈여겨 보기를 바란다. In the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onhyo has been dealt with in works, not only novels but poems as well. To poets, Wonhyo is regarded as a great Buddhist priest of high virtue to discuss the present, solve problems in it, and open the new era in terms of both sides that are as the subject matter and spiritual being, and to novelist, too, Wonhyo is a significant object in dealing with him as an individual, the nation, the people, modernism, mankind, and something beyond humans. This study will be more focused on the works of novels. This author will mainly explore Yi Gwang-Su`s Wonhyo, Great Monk, Han Seung-Won`s Novel, Wonhyo, Kim Seon-Woo`s Sacred Vow: Yoseok & Wonhyo, and Sim Yun-Gyeong`s "Cheongwans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se four works are different in some ways, they all find out modernity and the world beyond modernity from Wonhyo, a person from Silla, at the same time and recall past modernity and suggest things for the world beyond modernity afterwards. Second, although these four works are different in some ways, they all find out the people and the world beyond the people from Wonhyo and view not only ethnic reality and identity but also the post-historic world beyond the people from him. Third, although these four works are different in some ways, they all focus on apostatizing (Eros) and the matter beyond apostatizing (Eros). The matter of apostatizing is discussed at the spot to examine the fundamental commandments of Buddhism, and that beyond apostatizing is done in recognizing the expedient that apostatizing is equipped with and develop the matter of true freedom. Lastly, these four works depicts Wonhyo as a figure that we truly love and adore and that can open a new era in which all problems we have now can be resolved. Too much love towards Wonhyo sometimes impedes reality within the works, but it should be stressed enough that by discovering Wonhyo, we can design and look ahead to the future within ethnic and human pride. This is an abstract so does not contain all the little differences found among them. The body of this paper will particularly deal with the pro-Japanese issue around Yi Gwang-Su, Kim Seon-Woo`s feminism, Han Seung-Won`s admiration about saints, and also Sim Yun-Gyeong`s yearning for the world of Flower Garland.

      • KCI등재
      • KCI등재

        1930년대 시에 나타난 가족의 양상과 그 의미

        정효구(Jeong Hyo-Goo) 한국문학회 2006 韓國文學論叢 Vol.42 No.-

          The object of this writing is to examine the family aspects and their significance expressed in the Korean poems of the 1930s. This object is based on the judgement that the family consciousness represented in those poems show "modernity". What "the modernity" of the family consciousness in this context means is that the idea of "Families (multiform family)" is not only self-consciously explored but also extended, beyond "the Family (uniform family)" ideology.   Yi Sang, Yim Hwa and Baek Seok are the representative poets of the 1930s who display the emergence and real aspect of the idea of Families (multiform family).      In his poems, Yi Sang articulates the idea that an individual precedes a family and an individual as a member of a family is related with market economy. He expresses himself in favor of individuality against the ideology of family honor. He also sees a vision of unprejudiced human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s in opposition to the values centered on the blood-tied family.   Yim Hwa is a socialist and the family which he represents is tied with revolutionary companionship. In his poems set in this context, a community precedes an individual and the fulfillment of a socialist community overshadows a family.   In this sense, individuals are to feel connected to one another as a family only when they pursue the common value in achieving a revolution based on socialism.   The family represented in Baek Seok"s poems is basically a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one. The ideas of the large-family, patrilineal and consanguineous systems lie in his poems, though there appears some digression, which involves an interest in a Buddhist nun who leaves her family and renounces the world, and a scepticism of women"s chastity ideology.   As discussed above, the fact that the idea of the Families (multiform family) is prevalent in the Korean poems of the 1930s shows that even a family is not an ultimate and established group which bears any absoluteness but only a social construction, or a kind of system which is in a process of formation and undergoes shifts. This is an example early shown which explores the possibility that any social systems or values could be reconstructed after overcoming the violence of essentialism and hierarchy.

      • KCI등재

        『님의 沈黙』과 『달마의 침묵』에 나타난 禪의 세계

        정효구(Jeong, Hyo-Goo) 한국문학회 2008 韓國文學論叢 Vol.50 No.-

        한용운은 1917년에 오도송을 시로 지어 부른 본격적인 출가승려이고, 최승호는 불교정신을 삶과 시로 체현한 재가시인이다. 그러나 이 두 시인이자 불교인은 공히 선과 불교세계를 정공법으로 치열하게 마주한 사람이며, 또한 시와 선적, 불교적 세계를 틈없이 일치시킨 시인이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한용운의 시집 님의 沈黙(1926) 과 최승호의 시집 달마의 침묵 (1998)에 나타난 선의 세계를 탐구하는 것은 물론 이들을 통하여 20세기 한국시사 속의 선담론의 실상과 그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두 시집을 함께 논의하는 까닭은 이들 시집이 각 시인의 시작 전개과정 속에서는 물론, 우리 근현대시사 속에서 그 어느 시집보다도 선의 문제를 심도 있게 천착하여 미학적으로 수준 높게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두 시집이 제목에서는 물론 형식과 내용 양 측면에서 상당한 연관성 및 유사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 두 시집은 다음의 몇 가지 측면에서 우리 시사 속에 특징적이면서도 의미 있는 모습을 드러내었다. 첫째, 禪心이 시의 출발점이자 도달점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둘째, 역대 선사들의 禪語및 禪談이 기존의 시라는 양식과 훌륭하게 결합되어 장르 간의 통섭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님’ ‘달마’ ‘침묵’ 등의 키워드를 통해 선의 형상화에 함축성과 탄력성을 더해주었다. 넷째, 이미지를 지우려는 선의 수사학과 이미지를 재창조하려는 시의 수사학을 효과적으로 공존시키고 있다. 다섯째, 시쓰기가 시인의 선적 구도 및 구원행위의 일종임을 뚜렷하게 보여주었다. 여섯째, 문명사와 문화사의 대전환이 진행되고 있는 이 시대에, ‘오래된 미래’처럼 이 시대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효한 하나의 정신이자 가치론을 제시해주었다. 여기서 다룬 두 시집은 시, 선, 시와 선, 시와 삶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큰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Han Yong-Woon, who had renounced the world and become a Buddhist monk, transformed O-Do-Song into poems in 1917, and Choi Seung-Ho, who is at once a Buddhist and poet, has embodied Buddhism in the form of poems and by means of the way he leads his life. However, these two, as individuals, have aggressively confronted the world of Zen and Buddhism in a very masterly way, and, as poets, accurately identified the poems with the worlds of Zen and Buddhism. The aim of the current paper is to examine the worlds of Zen as such represented in Han Yong-Woon's The Silence of My Lover(1926)and Choi Seung-Ho's The Silence of Dharma(1998). The reason for discussing the two collections of poetry together is that none of the Korean poets have ever been more totally immersed in the matter of Zen, nor have they embodied it more aesthetically and outstandingly throughout the modern and recent history of Korean poetry than the two poets, each of whom has manifested it best in their respective collections throughout their whole life. Besides, as shown in the titles, the two collections of poetry are quite associated with and similar to each other, and they really are in terms of both form and subject. The two collections of poetry have demonstrated some remarkable and meaningful aspect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from several points of view as suggested in the following. Firstly, they have opened up a possibility of the spirit of Zen being both the departure and destination for poetry. Secondly, they have shown that the utterances and dialogues from monks of Zen Buddhism dating from old times could superbly be integrated with the established genre of poetry, and thereby revealed that it is feasible for the genres to be incorporated into each other. Thirdly, implication and adaptability have been included in their manifesting Zen through such keywords as ‘Nim,’ ‘Dharma,’ ‘Silence,’ Fourthly, the rhetorics of Zen, which tend to remove images, have effectively been made to coexist with those of poetry, which tend to recreate images. Fifthly, they have clearly shown that writing poems is part of the poet's doing dharma practice and seeking salvation. Sixthly, in the current civilization and culture of great fluctuations occurring, they have suggested a spirit or system of value which could efficiently be employed to cope with such current situation as the ‘ancient future’ has ever been. The two collections of poetry being dealt with in this paper will give some significance to those who seek to find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the poetic, Zen, both the poetic and Zen, or, the poetic and life at the same.

      • KCI등재

        정지용의 시 「鄕愁」와 陰의 상상력

        정효구(Jeong Hyo-Goo) 한국시학회 2007 한국시학연구 Vol.- No.19

        This thesis is an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Jeong Ji-Yong's poem "Nostalgia" in terms of the theory of the Yin and Yang and the Five Elements. The theory is not a principle of the universe but a principle of phenomena of the universe. It is at once a perspective and methodology highly effective to reveal how the world works and what is hidden below. The examination of the poem from the perspective has led to the conclusion that we could discover 'imaginations of the Yin' variously embodied in the context of both style and meaning, and that the variety of the imaginations of the Yin is the very factor which greatly appeals to the reader. On the concrete level, we see the poet's mastery of imaginations of the Yin realized in a various way from the first stanza to five, which are centered on nature and a rural community and its family lives. Besides, those imaginations of the Yin are multi-dimensionally manifested with the effective use of kinetic and static numbers and refrains, including modernist techniques focused on the rhetoric of descriptions. Those imaginations of "Nostalgia" help people, who are living in a modern urbanized civilization overpowered by force of the Yang, to achieve a balance between material and spiritual lives. Especially, the imaginations of the Yin in "Nostalgia" play a crucial role for urban people living in this country who have suffered from the heat and dry of the existence generated by so called "summer civilization," which has been started with the expansion and increase of force of the Yang since the 1990s. Not only living creatures but also everything in the universe are oriented towards a condition of balance between the Yin and Yang. That the balance has been achieved means that an existence is set in a state of healthy condition. In this sense, Jeong Ji-Yong's "Nostalgia" plays a role in healing people in our society overpowered by the urban force of the Yang, revealing the postmodern symptoms having been developed since the 1990s as well as conditions of the modern urban population. A healthy condition of existence through healing is an essential matter in life for both poets and readers.

      • KCI등재

        1920년대 시가 발견한 ‘들’의 표상성과 그 의미

        정효구(Jeong, Hyo-Goo)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6

        이 글은 1920년대 우리 근현대시사에서 ‘들’이 ‘문학적 관습’의 하나로 발견되고 문제화된 소재이자 대상으로서 그 이면에는 문명사적, 시대사적 정황과 맥락이 가로 놓여 있으며, 이를 통해 시인들은 의식적, 무의식적인 차원에서 상호텍스트적인 의미장을 형성하는 가운데 각자 고유한 정신성과 미학성을 드러냈다는 점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조명희, 주요한, 김소월, 이상화와 그들의 시가 대표적인 경우에 속하거니와 이 가운데 조명희와 주요한의 시는 기초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주변부를 형성한 의미가 있으며, 김소월과 이상화의 시는 탁월한 면모를 드러내면서 근간과 본류의 자리에서 ‘들’의 정신성을 드높이고 미학성을 심화시킨 공적이 있다. 1920년대 시에서 ‘들’은 농경사회적 삶과 도시문명의 근대적 삶이 공존하는 가운데 일반적으로 일종의 전환기에 발생하는 ‘오래된 것’에의 친근성과 ‘지나간 것’에의 그리움을 저변에 지닌 대상이며, 일제강점기라는 왜곡된 시대현실의 흐름 속에서 아직은 희망을 가질 만했던 시기의 지식인이자 시인들이 자기동일화, 일체화, 위로와 치유의 경험을 내재시킬 수 있는 대상이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들’은 자연과 우주의 한 지대로서 생명감각을 발현시키고 철학적, 형이상학적 사유를 행할 수 있게 하는 대상이기도 했다. 특별히 김소월과 이상화의 시에서 ‘들’은 상당한 수준의 질적 높이를 보여준다. 김소월은 ‘들’을 통하여 인생론, 시대론, 생활론, 관념론의 넓은 영역을 다층적으로 느끼며 사유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이상화는 시대의 인위성과 자연의 무위성을 함께 아우르며 피식민지인으로서의 현실 고발과 지식인으로서의 자아성찰을 행하는 가운데 ‘들’ 자체와의 온전하고 순정한 일체감을 느끼고 있다. 김소월의 시에서도 그러하지만 이상화의 시에서 ‘들’을 토대이자 중심에 두고 작동하는 감각, 감성, 지성, 신성은 에피파니의 순간에서처럼 종합적으로 융합되는 가운데 만개한다. 이런 1920년대 시에서의 ‘들’의 표상성은 어떤 하나의 개념, 이를테면 ‘농민시,’ ‘농촌시,’ ‘저항시’, ‘민족시’, ‘계급시’ 등과 같은 한계 안에 제한시켜 논의하기엔 그것이 환기시키는 세계가 매우 넓고 다채롭다. 그러니까 ‘들’은 어떤 개념으로 규정된 시에 소속되어 있다기보다 앞서 말했듯이 문제적인 ‘문학적 관습’의 하나로서 자유롭게 수용되고 다양하게 기능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들’의 표상성은 1920년대로부터 많은 세월이 지난 1960년대 이후의 우리 시에서 새롭게 발견되고 의미화되는 바, 이때의 시를 ‘들’의 문제와 관련시켜 다른 시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일제강점으로부터의 해방, 분단시대의 도래, 문명사적 변화 등이 일어난 그 시대의 시에서 ‘들’은 이전의 시에서와 상이한 양상을 보여주고 다른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具常의 『그리스도 폴의 江』과 불교적 상상력

        정효구(Jeong Hyo Goo)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Buddhist characteristics and Buddhist imagination found in The Christopher s River, poet Gu Sang’s series collection of poems,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greatest masterpiece in his journey of writing poetry. The reason this author tries this is that Buddhist characteristics and Buddhist imagination are prevalent in Gu Sang’s poetry in general, and especially such tendencies are internalized in this collection of poems so much more. Although Gu Sang is known as a poet who devoted his entire life to Catholicism generally, this is only partly true. In fact, his poems exhibit religious prototypes that can be said to embrace all religions integratively with no obstacles, and particularly, Buddhist characteristics and Buddhist imagination are very thickly soaked into them. Buddhist characteristics and Buddhist imagination found in Gu Sang’s collection of poems, The Christopher s River, can be briefly summed up as follows: as mentioned earlier in the main body, first, the poetic words used in it are mostly Buddhist terms or expressions. Second, Buddhist motives, images, or symbols are not a few, either. Third, there is an underlying Buddhist view of the world. In particular, the Buddhist view of the world that can be referred to as ‘Dependent Origination of Emptiness(緣起空性)’ or ‘Dependent Origination of Oneness(緣起一體)’ is uniquely found in Buddhism, not other regions including Catholicism, but Gu Sang does accept and quote those. Fourth, it also includes the Buddhist view of humans. In other words, it internalizes the belief that humans are the beings equipped with the nature of Buddha, that is, ‘sacred substance’, and also, humans can be the trust or sacred substance itself through change of heart and cultivation. Fifth, it embraces the Buddhist view of actuality. He deems that the world where unenlightened humans are living is the Mundane Land, but if those humans open their eyes and devote themselves, they can realize the Pure Land here, now. If so, what kind of effect can the collection of poems, The Christopher s River, exhibit with such Buddhist characteristics and Buddhist imagination, and what meaning or significance can it provide into his poetry and our current events? About these questions, we may be able to mention some of the points as below: First, Gu Sang is a poet who lived his life while valuing ‘truth’ more than any of the religions or their doctrines. And by that, he thinks existing religions or doctrines divided within exclusive religious sentiments become embraced and integrated, and so-called aesthetics of ‘Harmony of Otherness(和諍)’ can be established. Second, he opens the possibility to view and unfold Catholicism in a broader perspective through Buddhism. This can contribute to not only Catholic circles but Catholic literature as well. Third, he created a chance to actualize an even bigger and deeper world in the aspects of poetic aesthetics. Gu Sang’s Buddhist insight and tolerance d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Christopher s River’s overall organization, style, or spiritual class. To wit, through Gu Sang’s poetry works, we can encounter a true world that is more elevated and oriented to mutual living in terms of ‘Harmony of Otherness(和諍)’ for a change in a general perspective. It means we can experience tolerance, convergence, opening, and communication are the grounds to accomplish such a great outcome. The Christopher s River has opened the stage that can move us in such a unique way and is flawless as a controversial work is because of the poet’s such attitudes, pursuit, and functioning of his mind. If time permits, it would be a meaningful task to explore the world of ‘Harmony of Otherness(和諍)’ grounded on all the poetic works of his. 이 글은 구상 시인의 시작 여정 속에서 최고봉을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그의 연작시집 『그리스도 폴의 강』 속에 나타난 불교성 및 불교적 상상력을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고 씌어졌다. 이와 같은 시도를 하게 된 것은 구상 시 전편에 불교성 및 불교적 상상력이 두루 나타나고 있으며, 그 가운데서도 이 시집 속에 그런 경향이 특히 비중 있게 내재돼 있기 때문이다. 구상은 일반적으로 가톨리시즘에 그의 전 생애를 바친 시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것은 일면적 진실일 뿐, 실제로 그의 시에는 범종교적이라 할 만한 종교적 원형이 장애 없이 통합되어 들어 있으며 특별히 불교성 및 불교적 상상력이 아주 강하게 배어 있다. 구상의 시집 『그리스도 폴의 강』에 나타난 불교성 및 불교적 상상력의 대강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로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시어의 상당 부분이 불교용어 및 불교적 표현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이다. 둘째, 불교적 모티프나 이미지 또는 불교적 상징이 적잖게 들어 있다는 것이다. 셋째, 불교적 세계관이 기저에 깔려 있다는 것이다. 특히 ‘연기공성’과 ‘연기일체’라고 부를 수 있는 불교적 세계관은 가톨릭을 비롯한 다른 종교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불교 특유의 세계관인데 구상은 이것을 수용하여 원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불교적 인간관이 들어 있다는 것이다. 인간이 그 자체로 불성, 곧 ‘신성한 실재’를 지닌 존재라는 인식과 더불어, 그런 인간들이 회심과 수행을 통하여 진리 혹은 신성한 실재 그 자체가 될 수 있다는 믿음이 들어 있는 것이다. 다섯째, 불교적 현실관이 들어 있다는 것이다. 깨닫지 못한 인간들이 사는 이 세상은 예토이지만 그 인간들이 눈을 뜨고 정진을 한다면 지금/이곳에서 정토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생각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시집 『그리스도 폴의 강』은 이와 같은 불교성 및 불교적 상상력으로 다음과 같은 시적 성과를 이룩하는 한편 우리 시사 속에서 남다른 의의를 획득하고 있다. 그 첫째는, 구상 시인이 ‘진리’를 개개의 종교나 그 교리보다 앞에 두고 산 시인으로서 그의 시에서 배타적 종교성으로 인하여 분열되었던 기성 종교나 교리가 포용되고 통합되는, 이른바 화쟁의 미학이 성립되었다는 것이다. 둘째는, 불교를 통하여 가톨릭 신앙을 보다 넓은 차원에서 조명하고 펼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놓았다는 점이다. 이것은 가톨릭계를 위해서도, 또 가톨릭 문학을 위해서도 기여할 수 있는 점이다. 셋째는, 시의 미학적인 측면에서 보다 넓고 깊은 세계를 구현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구상의 불교적 안목과 포용력은 『그리스도 폴의 강』의 전체적 구성이나 문체를 원숙하게 하고 그 정신적 품격을 높여주는 데 훌륭하게 기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상의 시를 통하여 모처럼만에 참다운 의미에서의 ‘화쟁’의 사상과 미학을 만날 수 있다. 그리고 포용과 융합, 열림과 소통이 시정신의 향상이나 예술미학의 고양에 얼마나 든든한 토대를 마련해 주는지를 절감할 수 있다. 구상의 시집 『그리스도 폴의 강』이 남다른 감동을 주고 또 한국 시사에 남을 문제작으로서 손색 없는 경지를 열어보인 것은 바로 시인의 이와 같은 자세와 추구 그리고 마음의 작용이 빚어낸 것이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