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나노기술 규제에 관한 연구 : 나노물질을 중심으로

        정효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7

        나노기술은 양날의 검이다. 기존에 접근이 불가능한 매우 미세한 세계의 물질을 다뤄 혁신성을 가지는 반면 잠재적 위험성이 중대할 것으로 예상됨에도 구체적으로 어떤 위험이 있는지 불확실하기 때문이다. 나노기술규제의 필요성은 바로 이 양면성에 있다. 규제를 통해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정적 효과는 억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나노기술규제는 나노물질 관리에 대한 사항을 포함하여야 한다. 나노물질을 조작·분석·제어하는 것이 나노기술로, 나노물질은 나노기술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즉 나노물질의 잠재적 위험성은 나노기술의 부정적 영향으로 반영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 규제법적으로는 나노기술과 나노물질을 함께 다루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국내와 유럽연합의 나노기술개발과 나노물질 관리에 대한 규제를 검토하였다. 국내의 나노기술규제는 나노기술개발 촉진법을 제외하고는 나노기술 또는 나노물질에 구체화된 법률은 존재하지 않는다. 화학물질관리법,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 화장품법, 약사법, 산업안전보건법 등이 나노물질 관리에 적용될 수 있지만, 나노물질에 대한 명시적 조항은 없다. 구체적인 규제법적 수단은 나노물질이 함유된 화장품 또는 의료기기와 같은 특정분야의 가이드라인과 지침만이 존재할 뿐이다. 그러나 유럽에서는 유럽집행위원회가 기존 화학물질관리법인 REACH(Regulation EC No 1907/2006)가 나노물질에 적용됨을 공식적으로 발표했고,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마련하였으며, 화장품규칙, 살생물제 규칙 등에서 나노물질에 구체화된 조항을 포함시키고 있다. 또한 나노기술연구의 책임성을 강조하는 행동강령 역시 유럽집행위원회에서 채택한 바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나노기술 및 나노물질의 규제체계가 명확한 유럽연합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나노기술 및 나노물질의 규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나노기술개발 촉진법 상의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과 나노기술영향평가, 나노안전관리종합계획을 활용한 나노기술 연구의 ELSI 강화 규제 방안을 제시하고, 나노물질 등록 정보 항목과 유해성·위해성 평가 항목, 동일성 식별 기준, 나노물질 표시제도 및 관련 사업장 근로자 보호 강화를 나노물질 관리에 대한 사항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한다. Nanotechnology is a double-edged sword. It is innovative and it deals with materials of that have been impossible to access until relatively recently, however, its potential risks are uncertain as well as gravely dangerous. The necessity to regulate nanotechnology is derived from the double-edged nature. Because regulation can be possible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s and to suppress uncertain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Nanotechnology regulation cannot be separate from nanomaterials management. Nanotechnology is a scientific technology used to operate, analyze, and control; nanomaterials is a core thing for that technology. The potential risk of nanomaterials, maybe seriously dangerous, can be reflected as negative effects of nanotechnology. Therefore, for regulation, it is appropriate to treat nanotechnology and nanomaterials together. Accordingly, this study review the domestic and EU regulations on nanotechnology by covering not only development of nanotechnology but the management of nanomaterials. Regarding nanotechnology regulation in Korea, other than the Nanotechnology Development Act, there are few specific laws and regulations for nanotechnology or nanomaterials. Toxic Chemicals Control Act, the Act on Registration and Evaluation of Chemicals, the Cosmetics Act, and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etc, can be apply to managing nanomaterials, but they do not contain clear articles and provisions on nanomaterials. In contrast, in the EU, European Commission applies REACH (Regulation EC No 1907/2006) officially to nanomaterials, and prepares guidance for it. Futhermore, regulations on cosmetic and biocidal product stipulate requirements about nanomaterials unlike in Korea. There are recommendation on a code of conduct for responsible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ies research also. Emphasizing the regulation on nanotechnology and nanomaterials in the EU; domestic regulation frame and details a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m, improvement measures to regulate nanotechnology for enhancing ELSI(Ethic, Law, Social Impact), utilizing national nanotechnology development plan, evaluation on the effects of nanotechnology and nanotechnology safety management plan are suggested. Moreover nanomaterials registration information, methods of evaluation of risk, standard of identification, labelling, and enhancement of workers in the related workplace need to consider as improvement of nanomaterials regulation.

      • 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정효경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i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recognize the impact of mental health. by a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find out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influenced by gender, grade, and residential area, and relationship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mental health, and next how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ffect to mental health. This study get sampling from located in downtown and old downtown middle school in S-city, jeollanam-do. and also choose one middle school randomly in rural areas outside the city, collects data based on questionnaire about adolescents self-diagnosis addiction scale smart phones and measuring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with 543 entire people into the subjects of study. The collected data analyzed to extract to 4 keyword -depression(8questions), anxiety(8questions), impulsivity(8questions), aggression(8questions)- which is expected to be high to problem of smart phone addiction tendency in neurosis of factors of SPSS WIN 18.0 and reasonable NEO-PAS adolescents inspection of character.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in the difference of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in accordance with the gender and show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Like this, female students had more severe than male students, daily disturbances, virtual world directivity, withdrawal, tolerance, etc the entire smart phone addiction than male students. The difference in the grade by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ppeared in the order of third grade, second grade, first grade and show statistically similar difference in daily disturbances, withdrawal and tolerance, in posteriori test result 3rd grade is more higher than 1st grade to find out detailed difference daily disturbances and withdrawal effected on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also in tolerance 3rd grade is more higher than 2nd grade and 1st grade. In the case of residential area, downtown had high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students than old downtown. Second, according to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sub factor and relationship of mental health, daily disturbances, mental health, virtual world directivity, withdrawal, tolerance showed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and smart 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show relationship to be attended generally. Third, as high level of smart phone users, mental health problems are growing like depression, anxiety, impulsivity and aggression. In the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factors which effect on mental health problem like depression, anxiety, impulsivity, aggression and etc are badly appear. And also level of effected on mental health appear by impulsivity, aggression, anxiety and depression. Finally, this study provide proposal for a follow-up study. Key Words :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Mental health

      • 교대근무 간호사의 신체활동량, 운동 자기효능감 및 수면의질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

        정효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hysical activity, exercise self-efficacy and sleep quality on fatigue among shift work nurses.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performed on 116 shift nurses who worked for more than 6 months at two general hospitals with more than 300 beds in Seoul.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Participants consisted of 16 males (13.8%) and 100 females (86.2%), and the mean age was 28.45 years old, and 91 participants (78.4%) were unmarried. By department, 42 participants (36.2%) we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39 participants (33.6%) were in the emergency room, 9 participants (7.8%) were in the surgical ward, and 20 participants (17.2%) were in the internal medicine ward. The average of total clinical career was 4.99 years, the average of current department career was 3.65 years, and the average number of night shifts per month was 6.14 for the last 3 months. 2. A total of 51 participants (44%) answered that they exercised regularly, with 29 (33.7%) gym/weight training and 15.1% (15.1%) Pilates/Yoga. The average number of exercises per week was 3.1 times, the average daily exercise time was 79.8 minutes, and the average exercise period was 17.61 months. 3. The averag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excluding work was 3063.02 (±2988.48) MET-min/wk. As for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e group with the moderate level of physical activity was the largest with 52 participants (44.8%), high level physical activity group was 34.5%, and low level physical activity group was 20.7%. The self-efficacy of exercise score was 23.79 (±7.45). The sleep quality was 7.04 (±2.97) scores, and among the 7 sub-items, the score of sleep latency was the highest at 1.71 (±0.9). The fatigue score was 92.63(±15.89), and among the three sub-items, the average of daily life dysfunction was the highest at 5.2(±0.9).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5.413, p<.001) and total clinical career (F=3.691, p=.028). The exercise self-efficacy was determined by gender (t=2.026, p=.045) and current department career (F=3.132, p=.047). Sleep quality was affected by age (F=3.241, p=.041), current department career (F=6.933, p=.013), and number of night shifts per month (F=3.560, p=.038). 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impact of physical, self-efficacy of exercise, and sleep quality on fatigue.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xercise self-efficacy (β=-.231, p=.019) and sleep quality (β=.273, p=.003) were found to be influencing factors on fatigue. In summary, exercise self-efficacy and sleep quality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the fatigue of shift nurse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seek efforts ways to reduce fatigue through sleep disorder control in shift nurses, and repeated studies on the positive effects of exercise self-efficacy and the indirect effect of exercise on fatigue are needed. This study has significant benefits in terms of providing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health of shift nurses by confirming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utside of work, exercise self-efficacy, and sleep quality on fatigue in shift nurses.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 간호사의 신체활동량, 운동 자기효능감 및 수면의 질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서울 소재 2개의 300병상 초과의 종합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교대근무 간호사 116명을 편의 표집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도구로는 세계 보건기구가 개발한 한국어판 단축형 국제 신체활동 설문지(IPAQ), Marcus 등이 개발하여 강경순, 구미옥이 수정, 보완한 운동 자기효능감 도구, Buysse 등이 개발하여 한국어로 번역한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 Schwartz 등이 개발한 도구를 토대로 장세진 등이 재구성한 다차원 피로 척도(MF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성은 16명(13.8%), 여성은 100명(86.2%)로 나타났으며, 나이는 평균 28.45세였다. 최종학력은 4년제(학사학위과정 포함) 대학졸업자가 102명(87.9%)으로 가장 많았고, 결혼 상태는 미혼이 91명(78.4%)이었다. 근무부서는 중환자실 42명(36.2%), 응급실 39명(33.6%), 외과계 병동 9명(7.8%), 내과계 병동 20명(17.2%)이었다. 총 임상 재직기간 평균은 4.99년, 현재 근무하는 부서에서의 재직기간 평균은 3.65년이었으며, 최근 3달간의 한 달 평균 야간근무 개수는 평균 6.14개로 나타났다. 2.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고 대답한 대상자는 총 51명(44%)으로 헬스/웨이트 트레이닝(33.7%), 필라테스/요가(15.1%) 등의 운동을 한다고 답하였다. 주당 운동 횟수는 평균 3.1회로 나타났으며, 평균 1일 운동시간은 79.8분, 운동을 시행한 기간은 평균 17.61개월이었다. 3. 근무를 제외한 신체활동량의 평균은 3063.02(±2988.48)MET-min/wk로, 중간 신체활동 수준의 그룹이 52명(44.8%)으로 가장 많았으며, 높은 신체활동 수준 34.5%, 낮은 신체활동 수준 20.7%였다. 운동 자기효능감 점수는 23.79(±7.45)점 이었다. 수면의 질은 7.04(±2.97)점으로 7가지 하부항목 중 수면 잠복기의 점수가 1.71(±0.9)점으로 가장 높았다. 피로의 총 점수 평균은 92.63(±15.89)점이었고, 3가지 하부항목 중 일상생활 기능장애 항목의 평균이 5.2(±0.9)점으로 가장 높았다. 4. 신체활동량은 결혼 여부(t=5.413, p<.001), 총 임상 재직기간(F=3.691, p=.028)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운동 자기효능감은 성별(t=2.026, p=.045), 현 부서 재직기간(F=3.132, p=.047)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수면의 질은 나이(F=3.241, p=.041), 현 부서 재직기간(F=6.933, p=.013), 한 달 평균 야간근무 개수(F=3.560, p=.038)에 영향을 받았다. 5. 다중 회귀분석 결과 운동 자기효능감(β=-.231, p=.019)과 수면의 질(β=.273, p=.003)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에 미치는 영향으로 운동 자기효능감과 수면의 질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교대근무 간호사들의 수면장애 조절을 통한 피로를 감소시키려는 방안이 지속해서 모색되어야 하며, 피로에 대한 운동 자기효능감의 긍정적 효과와 운동의 간접적인 효과에 관한 반복연구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 외 신체활동, 운동 자기효능감 및 수면의 질이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교대근무 간호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데에 의의가 있다.

      • 집단상담에서의 상위인지적 자각과 상담성과의 관계

        정효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부정적인 감정이나 생각에서 한걸음 밖으로 물러나서 봄으로써, 부정적인 생각이나 감정이 자기의 한 측면이거나 현실에 대한 정확한 본뜨기가 아니라 자각의 장에서 일어나는 사건이라는 것을 경험하는 것'을 상위인지적 자각(megacognitive awareness)으로 정의하고, 집단상담에서의 상위인지적 자각 수준의 변화 정도와 상담성과와의 관련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상담성과는 대인관계문제, 역기능적 신념의 감소 및 역기능적인 정보처리 양식의 변화이다. 10개의 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구성원 46명을 대상으로 상위인지적 자각과 상담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집단상담 초기와 말기 2 차례에 걸쳐 자전적 기억 질문지, 대인관계문제검사, 역기능적 태도 척도, 역기능적 태도 척도 문항에 대한 극단적 반응 빈도를 반복 측정하였다. 상위인지적 자각 수준의 변화에 따라 대인관계문제, 역기능적 태도, 역기능적 정보처리 양식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상담 초기와 말기의 상위인지적 자각 수준의 변화량에 따라 상하위 집단으로 나누고, 각 종속측정치에 대해 집단과 시기를 독립변인으로 하는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위인지적 자각 수준이 증가된 집단과 정체 및 감소한 집단간의 상담성과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대인관계문제 점수는 상위인지적 자각이 수준이 증가한 집단이 정체 및 감소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역기능적 태도 척도의 문항에 극단적으로 반응하는 빈도도 상승집단이 정체 및 감소집단보다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역기능적 태도는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집단상담에서 상위인지적 자각과 상담성과 사이에 관련성이 있음을 경험적으로 검증함으로써, 불교 철학을 바탕으로 한 상위인지적 자각 개념이 치료 요인으로 작용함을 탐색하였고, 상담 장면에서 상위인지적 자각을 촉진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In this study, metacognitive awareness is defined as experiencing negative thought and emotion as passing mental event in a wider context or field of awareness, rather than as 'reality which I am condenmed' by repeatedly identifying negative thoughts as they arise and standing back from them( "decentering").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whether change in metacognitive awareness would be associated with counseling outcome, which was measured by K-IIP(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DAS(Dysfunction Attitude Scale). To do this study, KIIP and DAS were administrated to total 46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10 group counseling to assess metacognitive awareness and counseling outcome twice at the times of early and late stages of group counseling process. The above 46 students were divided to upper group and lower group according to level of metacognitive awareness each at the times of early and late stages of group counseling. A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The Repeated measure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ONOVA) was used with the group and the time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metacognitive awareness was revealed to significantly reduce in interpersonal problem scores of interpersonal problem scale.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on mean scores of dysfunction attitude between two groups. However, the group with high level of metacognitive awareness was revealed to reduce in the extreme response scores for dysfunction attitude more than the group with the same or lower level. It showed that change in metacognitive awareness could reduce interpersonal problem and make dysfunctional cognitive set shift into more adaptive cognitive set. Consequently, we can suggest that a work to increase metacognitive awareness is required in the process of personal counseling or group counseling for therapeutic chang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여대생의 진로장벽과 자기격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효경 순천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여대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자기격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여대생들의 합리적인 진로탐색 및 결정을 돕는 진로상담 및 진로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의 진로발달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독립변인으로는 진로장벽을, 매개변인으로는 자기격려를 설정하여 이 변인들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순천지역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230명의 여자대학생과 115명의 남자대학생, 총 345명 대학생들에게 진로장애 검사, 자기격려 검사, 진로준비행동 검사를 실시하여 SPSS 15.0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치, t검증과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Stepwise),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성별에 따른 진로장벽, 자기격려, 진로준비행동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진로장벽과 자기격려 및 그 하위요인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진로장벽은 자기격려를 매개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정적진로장벽과 부적진로장벽이 자기격려를 매개로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이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나 자기격려와 진로준비행동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진로장벽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장벽, 자기격려는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진로장벽을 많이 느낄수록 진로준비행동은 낮고, 자기격려가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장벽, 자기격려의 각 하위변인별로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적진로장벽과 부적진로장벽은 자기격려를 매개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직접,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적진로장벽은 자기격려와 상관없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으며, 진로준비행동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자기격려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적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적으로 직·간접효과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격려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여 진로준비행동을 부적인 효과를 정적인 효과로 변화시킨 결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정적진로장벽과 부적진로장벽은 자기격려를 매개로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직접, 간접적인 영향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자기격려가 진로관련 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을 밝힘으로써 진로관련 연구의 한 변인으로 밝힘으로써 진로상담 및 연구에 새로운 영역을 제시해주었다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effects of women university students' career barriers and self-encouragement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s between the genders but self encourage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hows no difference. Women students have higher career barriers than male students. Secondly, both career barriers and self encouragement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ignificantly. The more career barriers one has, the les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e shows but the more self encouragement one has, the mo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e shows. Every subordinate factors of career barrier and self encouragement gives significant influence directly. Thirdly, positive career barriers and negative career barriers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ignificantly using self encouragement as parameter. Fourthly,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positive career barriers and negative career barrier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ex. This study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searching the self encouragement factor which could help women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fficiently. It is needed to survey the education and the achievement of counseling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 Understanding Customer Loyalty in Smartphone Market: Comparison of Xiaomi, Samsung, and Apple Phone Users : 스마트폰 고객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샤오미, 삼성과 애플 스마트폰 사용자를 중심으로

        정효경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들어 많은 기업들이 스마트폰 시장에 진입하여, 스마트폰 시장경쟁이 더욱 치열해 지고 있다. 전통 모바일 생산자들 또한 위협을 겪고 있는 상태다. 기존의 모바일 생산자들은 제품 생산단계 중 R&D 투자를 집중하는 반면, 제품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쪽의 투자가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스마트폰 시장이 발전함에 따라 하드웨어 발전이 둔화되고 여러 브랜드 사이의 차이가 점점 줄어들었기 때문에, 과거처럼 더 많은 경쟁우위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많은 기업들은 고객 만족과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새로운 경쟁우위를 찾아 여러 전략수립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애플의 앱스토어의 성공은 스마트폰의 소프트웨어가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 논문에서 샤오미, 삼성, 애플 세가지 스마트폰 사용자 그룹의 비교를 통하여 스마트폰 고객 만족과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첫째, 이 논문은 과거의 Cognitive-Affective System Theory of Personality 이론을 바탕으로하여 스마트폰에 관한 고객만족과 충성 개념모델을 제시하도록 한다. 둘째,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속성들은 고객들의 인지된 비교우위와 정서부착이라는 인지-감정 평가를 통해 고객만족과 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가설한다. 셋째, 실제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데이터를 SmartPLS와 SPSS 통계도구를 이용하여 가설검정을 통해 스마트폰 고객만족과 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밝히며 경영 관리자한테 스마트폰 고객만족과 충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시야를 제시하도록 한다. Recently, more and more companies are entering smartphone markets, which makes the competition fierce. Conventional mobile phone manufacturers focused on the production of smartphones while pay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improving the software and service. On the other hand, in current smartphone markets, the difference in hardware between different smartphones is relatively small and hardware may not provide as many competitive advantages as before. In particular, the success of APP Store of Apple has revealed the importance of software of smart phone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mobile phone managers to find a new approach to improving their competition conditions. In this thesis, we identify factors that have significant impa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CS&L) in smartphone market by comparing three of the most popular smartphones in China, which are Xiaomi, Samsung, and Apple. First, this thesis builds a conceptual model of CS&L factors for smartphones based on the Cognitive-Affective System Theory of Personality. Second, we hypothesize and test for the influencing roles of hardware, software, and service qualities of smartphones on perceived relative advantage and perceived emotional attachment of customers on their smartphones. Third, with the derived factors, significant factors are examined with an empirical case study. The thesis finds the key factors that have significant impact on CS&L for smartphones.

      • 신체 활동량을 기반으로 한 심전도 분석

        정효경 漢陽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Physical Activity Level(활동량)은 고지혈증, 고혈압 등 특히 심장질환(CAD)의 위험 요소들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렇게 PAL은 중요한 요소이지만 이러한 PAL을 측정하기란 쉽지가 않다. PAL 측정은 실험실내에서의 가스 분석이나 Accelerometer등으로 측정할 수가 있다. 하지만 공간의 제약을 많이 받으며 Accelerometer로만 측정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mbulatory ECG(Holter)와 Accelerometer를 같이 사용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즉 이 연구의 목적은 Ambulatory ECG(Holter) 측정을 바탕으로 일상생활 속에서의 PAL의 측정하고, AECG 심전도 분석에 있어 Physical Activity Level(가속도계)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 방법은 AECG에서 추출한 파라미터(ST)와 PAL(HR, AC)의 파라미터들을 통합하여 어떤 Healthcare Parameter를 찾는 것이다. 실험 세트구성은 PAL(Physical Activity Level)을 측정하기 위해서Accelerometer 종류 중 Actiheart를 사용하였고 AECG 측정은 Holter대신에 BIOPAC의 MP 150과 무선 장비(TEL 100M-C)를 사용하였다. 측정 프로토콜은 트레드밀위에서 2.7km/h 경사 0%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강도를 높여 8.0km/h 경사 8% 까지 운동 하게 하였고 8.0km/h 경사 8%까지 운동 후에 다시 회복기간 동안 2.7km/h 경사 0%로 3분 동안 걷고 그 후 2분 동안 서있게 하였다. 데이터의 획득은 Actiheart로 HR값과 Activity Counts값 그리고 Energy Expenditure 값을 얻었고 MP150으로 ECG 파형을 얻어 Matlab으로 프로그래밍을 하여 ECG 파형에서 ST Level 값을 얻었다. 이렇게 얻은 Data들로 Data들 간의 Recovery-phase patterns을 그려보고, 여러 가지 파라미터들을 추출하여 비교해보았다. 결과는 HR과 ST 그리고 AC 간의 Recovery-phase pattern들을 알아내었고 이들 간의 파라미터 값들을 정의해보았다. 이는 다양한 심혈관 질환 진단에 응용가능성이 있고 AECG를 측정함에 있어 ST Episode 정보도 제공함으로 Ischemia 진단 및 AECG 분석에 있어서 보조적으로 사용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Physical activity is integral to the normal health, whereas physical inactivity is associated with a number of risk factors for hyperlipidemia, hypertension, cardiovascular disease. also, Exercise testing remains the most widely accessible and relatively inexpensive for initial evaluation of suspected coronary disease and for evaluation of its severity. and Ambulatory electrocardiographic monitoring also an essential tool in the diagnostic evaluation of patients with cardiac arrhythmia. It is important for continued health and fitness, in free-living. But These methods can measuring in the laboratory. Measuring outside of the laboratory is difficult." So,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new method combine AECG with Accelerometers. in other word, ECG analysis based on physical activity level measurement method. The records of 5 normal men aged 25-28yr from the graduate school students in the lab. Subjects performed activities on the treadmill for 15-min duration. and while wearing an Actiheart and AECG monitoring(BIOPAC). The activities were treadmill walkling and running. We have found distinct recovery-phase patterns of ST segment with AC(activity counts)and HR(heart rate). also, We have found new parameters between ST level and Activity Counts. We conclude that the pattern of ST segment depression as a function of heart rate and AC(activity counts) during exercise and recovery can markedly enhance the accuracy of the AECG for the identificat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 Jacques Cazotte의 '사랑에 빠진 악마(Le Diable amoureux)'를 통해본 환상문학의 연구

        정효경 淑明女子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8639

        Le conte fantastique fait partie la litte´rature Romantique du XlX^e sie`cle. Il se caracte´rise par le surnaturel que la raison humaine ne comprend pas. Bien qu'il existe beaucoup d'autres e´crivains du conte fantastique, Jacques Cazotte est represente´ comme le pre´curseur du conte fantastique. Le Diable amoureux qui est son chef-d'oeuvre est exemplaire des caracte´ristiques du conte fantastique. Nous avons divise´ deux espaces. L'un est imaginaire, l'autre est re´el. Entres ces deux espaces, en s'aventurant le he´ros Alvare e´prove cinq sentiments : 1. Curiosite´ 2. He´sitation 3. Peur 4. Audace 5. Ambigui`te´. Enfin la sixie`me partie ou` le he´ros Alvare retourne au re´el est Chute. 1. Curiosite´ : Le he´ros Alvare est curieux car il ne sait pas la Kabbale. Il e´voque le Diable Be´elze´buth dans les ruines de Portici avec ses camarades. Et le Diable Be´elze´buth se me´tamorphose en femme. (Biondetta) 2. He´sitaion : Alvare he´site devant cette situation surnaturelle et la figure de Biondetta. Alvare commence a` aimer Biondetta. Mais sa moralite´ ne lui a pas permis de se lier avec le Diable. 3. Peur : Alvare ressent de la peur car son aventure est inhabituelle. Et le Diable Biondetta a peur aussi. 4. Audace : Biondetta a de´cide´ de tenter Alvare parce qu'elle trouve qu'Alvare est audacieux. 5. Ambiguite´ : L'aventure d'Alvare est pleine d'ambigui¨te´s. Parce qu'il ne sait pas distinguer entre imaginaire et re´el. 6. Chute : Alvare retourne au re´el apres l'imaginaire. Par conse´quent nous avons deve´loppe´ la coexistence entre l'imaginaire et le re´el. Nous avons constate´ l'inte´re´t du Diable amoureux est l'ambigui¨te´ qui donne le surnaturel. Ces caracte´ristiques sont en relation avec le Mysticisme auquel s'inte´resse Cazotte. Il n'existe pas d'e´tudes sur Jacques Cazotte et tre`s peu sur le Mysticisme. C'est pourquoi connaissant peu le Mysticisme nous n'avons pas peu e´tudier a` fond ce roman. Nous pensons qu'il est ne´cessaire d'e´tudier le Mysticisme pour estimer a` sa juste valeur qui n'a pas encore de valeur litte´raire en Core´e, Le Diable amoureu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