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지역 어린이집의 단체급식 중 나트륨 함량 실태조사 연구

        정홍래(Hong-Rae Jung),이명진(Myung-Jin Lee),김기철(Ki-Cheol Kim),김중범(Jung-Boem Kim),김대환(Dae-Hwan Kim),강석호(Suk-Ho Kang),박종석(Jong Suk Park),권광일(Kwang-Il Kwon),김미혜(Mee-Hye Kim),박용배(Yong-Bae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4

        어린이 먹거리 안전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경기지역 6개 도시 12개소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여름철과 겨울철에 각각 5일간 현지 출장하였으며, 실측량 기록법으로 단체급식에 제공되는 식품의 섭취량을 조사하였고 총 601건의 시료를 수거하여 식품 중 나트륨 섭취량을 조사?연구하였다. 조사결과 어린이집의 한 끼니 당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582.2 ㎎으로 세계보건기구와 세계농업기구(WHO/FAO)의 성인 섭취 권장량의 2,000 ㎎/1일의 29.1%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본 연구의 조사대상이 어린이임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양이다. 어린이집의 나트륨 섭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식품군은 국 및 탕류로 어린이집 나트륨 섭취량의 35.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에서 나트륨 섭취를 줄이는 방법이 어린이집에서 효율적인 나트륨 섭취 저감화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여름철과 겨울철의 나트륨 섭취량은 각각 572.3 ㎎, 592.3 ㎎으로 나타나 겨울철의 나트륨 섭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지역특성에 따른 나트륨 섭취량은 공단지역이 가장 높은 696.4㎎으로 나타났고, 가장 섭취량이 적은 지역은 아파트단지로서 514.3 ㎎이었다. 영양사의 배치에 따른 나트륨 섭취량은 영양사가 배치되지 않은 어린이집이 545.1 mg으로 영양사가 배치된 어린이집 619.4 mg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나트륨 섭취량(㎎)/한 끼 섭취량(g) 비를 조사한 결과 유의적 차이는 식품의 나트륨 함량과 식품의 섭취량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조사결과 어린이집에서 나트륨 섭취량 저감화를 위해서는 어린이집 단체급식의 종사자에 대한 나트륨 교육 및 실질적인 나트륨 측정방법 교육등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 조사는 어린이 먹거리 안전관리 중 나트륨 저감화 정책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나트륨 저감화 사업을 위해서는 어린이집 단체급식 종사자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revalence rate for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hypertension etc. caused by the increment of national income and the change of food life according to the globalization in Korea have been increased. Especially excess sodium intake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increasing cardiovascular disease ris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odium intake of nursery school meals in Gyeonggi-Do, and to construct database for lesser sodium intake policy. Survey consisted of 601 sample intakes of sodium in summer and in winter. A food weighed record method was used for measuring food intakes. Average intakes of ten children per nursery school were measured. The sodium contents of meals were analyzed by ICP-OES (inductively coupled plasma-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after acid digestion by microwave. The sodium contents on food groups showed that sources (693 ㎎/100 g), grilled foods (689 ㎎/100 g) and kimchies (643 ㎎/100 g) had respectively higher sodium contents and the average sodium intake per meal was 582±204 mg. The sodium contents of soups & hot soups and kimchies had 37.5% and 15.8% of total sodium intakes per meal, respectively. Sodium intakes per meal in summer and winter showed 572.3 mg and 592.3 ㎎, respectively. Regional ranking of sodium intakes showed the ascending order of apartment (514.3 ㎎/meal), rural region (540.5 ㎎/meal), multiplex house (635.9 ㎎/meal) and industrial complex (696.4 ㎎/ meal). A habit of excessive sodium intakes in childhood will threaten their health when they grow up to be adults; thus lesser intake of sodium per meal is needed for children in nursery school.

      • SCOPUSKCI등재

        경기도지역 어린이집 단체급식에서 당 섭취량 조사연구

        정홍래(Hong Rae Jung),박용배(Yong-Bae Park),이명진(Myung-Jin Lee),김기철(Ki-Cheol Kim),김중범(Jung-Beom Kim),김대환(Dae-Hwan Kim),강석호(Suk-Ho Kang),박익범(Ik-Bum Park),박종석(Jong-Suk Park),권광일(Kwang-Il Kwon),김미혜(Mi-Hye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2

        어린이집 단체급식에서 제공되는 601건의 식품 중 당 함량을 조사·연구를 통해 어린이 먹거리 안전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실측량 기록법을 사용하여 경기지역 6개 도시 12개소의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여름철과 겨울철에 각각 5일간 현지 출장하여 실측량을 측정하였다. WHO/FAO에서 당 섭취량을 전체 섭취 열량의 10% 미만으로 제한할 것을 권고하고 있어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3-5세 섭취열량 1400 kcal를 기준으로 볼 때 35 g 이하의 당류를 섭취하여야 한다. 조사결과 어린이집의 한 끼니 당 평균 당섭취량은 2.22 g으로 나타나 어린이 단체급식에서 당의 섭취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식단에서 당 절임식품 사용으로 당의 과잉 섭취가 우려되고 있어 당 절임식품의 사용을 자제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철과 겨울철 끼니 당 평균 당 섭취량은 각각 1.83 g과 2.61 g으로 겨울철에 당의 섭취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특성에 따른 당 섭취량 조사결과 아파트지역에서의 끼니 당 평균 당 섭취량은 2.42 g으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농촌지역은 가장 낮은 끼니 당 평균 당 섭취량이 1.41 g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특성에 따른 식품의 차이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며 단당류, 이당류의 사용을 자제하고 올리고당을 사용했기 때문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단체급식 및 식단에서 올리고당을 사용하는 것도 단당류와 이당류와 같은 당 섭취를 줄이는 좋은 방법이라 사료된다. 영양사의 유무에 따른 당 섭취량은 영양사가 없는 집이 2.15 g, 영양사가 있는 어린이집 2.29 g으로 나타나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조사는 어린이 먹거리 안전관리 중 당 저감화 정책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으며 향후 당 저감화 사업을 위해서는 어린이집 단체급식에 종사자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Excess sugar intake by food consumption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iabetes, dental carie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gar intake from meals at nursery schools in Gyeonggi-Do, and to construct a database for reduction policies sugar intake. A total of 601 samples were analyzed for sugar intake in summer and winter, respectively. The average sugar intake from food service was 2.22 g/meal, which was 5% of the Recommended Daily Intake (RDI). Furthermore, the analysis results of sugar content were in the decreasing order of fruits (5.05 g/100 g), fried food (2.92 g/100 g), and braised food (2.31 g/100 g). The habit of excessive sugar intake in childhood can be threaten health in adulthood. Thus, it is necessary for nursery school children to consume schoolmeals that contain less sugar.

      • KCI등재

        GC를 이용한 화장품 살균·보존제의 다성분 동시분석법

        조상훈 ( Sang Hun Cho ),정홍래 ( Hong Rae Jung ),김영숙 ( Young Sug Kim ),김양희 ( Yang Hee Kim ),박은미 ( Eun Mi Park ),신상운 ( Sang Woon Shin ),엄경숙 ( Kyoung Suk Eum ),홍세라 ( Se Ra Hong ),강효정 ( Hyo Jeong Kang ),윤미혜 ( 대한화장품학회 201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5 No.1

        우리나라 화장품의 살균·보존제 성분은 포지티브 리스트로 관리되고 있다. 포지티브 리스트는 적절한 정량분석법이 필요하지만 아직 분석법 개발이 미비한 상황이다. 본 실험에서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불꽃이 온화검출기(GC/FID)를 이용하여 살균·보존제 성분 14종을 동시분석 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분석법의 validation 결과 특이성을 확인하였고, 검량선의 직선성은 dehydroacetic acid (0.9891)를 제외한 14종에서 상관계수가 0.9997 이상으로 양호하였다. 검출한계(LOD)와 검량한계(LOQ)는 각각 0.0001 mg/mL ∼ 0.0039 mg/mL와 0.0003 mg/mL ∼ 0.0118 mg/mL로 나타났으나, dehydroacetic acid는 각각 0.0204 mg/mL, 0.0617 mg/mL로 나타났다. 반복성은 1.0% 이하로 나왔으나 dehydroacetic acid는 7.1%로 나왔다. 회수률은 96.9% ∼ 109.2% 나타났다. 본 실험방법으로 유통 중인 화장품 50건을 검사한 결과 화장품에 주로 사용되는 살균·보존제는 chlorophene, phenoxyethanol, benzyl alcohol, parabens 이고, 모두 배합한도 이내로 검출되었다. Preservatives of cosmetics is managed by positive list in Korea. Positive list requires a proper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but the analysis method is still insufficient. In this study, gas chromatography with flame ionization detector was used to simultaneously analyze 14 preservatives in cosmetics. As a result of method validation, the specificity was confirmed by the calibration curves of 14 preservatives showing good linearity correlation coefficient of above 0.9997 except dehydroacetic acid (0.9891). The limits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of 14 preservatives were 0.0001 mg/mL ~ 0.0039 mg/mL and 0.0003 mg/mL ~ 0.0118 mg/mL, respectively, but they were 0.0204 mg/mL, 0.0617 mg/mL for dehydroacetic acid, respectively. The precision (Repeatability) of the values was less than 1.0%, but 7.1% for dehydroacetic acid. The Accuracy (% recovery) of 14 preservatives in cosmetics showed 96.9% ~ 109.2%. Finally, this method was applied to 50 cosmetics available in market. Results showed that the commonly used preservatives were chlorophene, phenoxyethanol, benzyl alcohol and parabens. However, the amount of the detected preservatives was within maximum allowed limits established by KFDA.

      • 합성수시제 주방용품의 납, 카드뮴 안전성 평가

        윤미혜(Mi-Hye Yoon),엄미나(Mi-Na Eom),도영숙(Young-Sook Do),정홍래(Hong-Rae Jung),정일형(Il-Heoung Jeong),고환욱(Hoan-Uck Ko),손진석(Jin-Seok Son) 대한환경위생공학회 2004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Vol.19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and evaluate contents of Pb and Cd in colored plastic kitchenwares by Korea Food Sanitation Act. The tested samples were 160 products(32 PE, 65 PP, 10 PS, 18 ABS and 35 MF) in a local market. The Pb and Cd contents range in the samples were ND~357.l㎎/㎏ and ND~376.6㎎/㎏. Pb contents in 6 samples(1 PE, 1 PP, 2 PS and 2 MF) and Cd contents of 2 samples(1 PE and 1 ABS) were above the legal limits. Among the illegal smples, Pb contents were 140.8㎎/㎏, 283.4㎎/㎏, 134.0㎎/㎏, 329.2㎎/㎏, 357.l㎎/㎏ and 218.3㎎/㎏, respectively and Cd contents were 123.l㎎/㎏ and 376.6㎎/㎏. Pb and Cd in various food simulants were not detected in migration test for illegal samples. Simulants were tested at 25℃ and 60℃ for n-heptane and 4% acetic acid, and 60℃ and 95℃ for water.

      • PVC 포장재에 사용된 가소제에 관한 조사연구

        윤미혜(Mi-Hye Yoon),엄미나(Mi-Na Eom),도영숙(Young-Sook Do),정홍래(Hong-Rae Jung),정일형(Il-Heoung Jeong),고환욱(Hoan-Uck Ko),손진석(Jin-Seok Son) 대한환경위생공학회 2005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and evaluate the contents of plasticizers such as DEP(diethyl phthalate), DPrP(di-n-propyl phthalate), DBP(di-n-butyl phthalate), DPP(di-n-pentyl phthalate), DCHP(dicyclohexyl phthalate), BBP (butylbenzyl phthalate), DEHP (di-(2-ethylhexyl) phthalate) and DEHA(di-(2-ethylhexyl) adipate), which are suspected as endocrine disruptors, in food and drug PVC packaging. Tested samples were 5 food wraps, 35 food containers, 40 food and drug packages(type of tablet and capsule) in Gyeonggi-Do area. The contents of DEHA in wrap were 188.9g/㎏, 203.1g/㎏, 238.4g/㎏, 290.9g/㎏ and 308.3g/㎏, respectively, while the other plasticizers were not detected. DEHP was used in 4 samples of food containers and DEHP contents were 4.7g/㎏, 30.7g/㎏, 35.8g/㎏ and 53.4g/㎏, respectively. In food and drug packaging materials(type of tablet and capsule), the plasticizers were not detect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