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방법의 적용

        정혜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무용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결과들을 메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계량적으로 종합, 분석함으로써 무용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성별, 연령수준, 무용유형, 교육시간, 교육기간, 교육빈도, 연구설계, 출판유형, 측정검사의 유형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중개효과를 검증하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무용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관련연구 중 국내연구로 한정하고 문헌자료의 검색은 한국연구재단(KC)과 한국교육학술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도서관(NANET)의 검색엔진을 이용하였다. 검색결과‘무용프로그램’과‘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학술지 31편 학위논문 51편 총 82편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중 46편이 실제 메타분석을 위해 최종 선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과정을 거쳐 CMA (Comprehensive Meta-analysis Program)을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자료는 일차적으로 중개변인들의 하위범주별 빈도를 분석하고 출판편향성을 검증하였으며, 효과크기(g)와 95%신뢰구간(CI)을 산출하였다. 이차적으로는 메타분석 결과 산출된 효과크기(g)들의 동질성(Q)을 검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중개변인의 하위범주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무용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크기의 평균은 0.99로서 Cohen(1988)의 기준에 의하면 큰 정도의 정적(+) 크기에 해당된다. 평균 효과크기의 95%신뢰구간(하한값, 상한값)에 의하면 0.83, 1.23을 보임으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한 계수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기초로 ES간의 변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존재할 것 이다 라는 가정 하에 중개변인의 ES 차이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연령수준(Qb=15.97, df=3, p=.001)과 실험설계(Qb=3.93, df=1, p=.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제외 한 모든 중개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무용프로그램 적용으로 자아존중감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실험연구에서 연구자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검사 점수간의 차이를 조정할 수 있는 통계적 방법을 주의 깊게 선정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일집단설계를 이용한 연구는 지양되어야 하며 전후검사통제집단설계 적용 시 연구대상을 무선 표집하지 못할 경우 반드시 무선배정의 원칙을 지켜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dance programs on the self-esteem, by applying the meta-analysis on the results of domestic researches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ex, age level, dance type, education hours, education period, education frequency, research design, publication type, and measurement test type on the self-esteem. The present study delimited to domestic researches among the relevant researches published fo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dance program on the self-esteem'. For the search of the relevant researches, it used the search engine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KC),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Korean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 (NANET). Total 82 researches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dance program’ and ‘self-esteem’ including 31 academic journals and 51 theses were found in the search engine and total 46 of them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actual meta-analysis. Going through the coding proces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of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Program). Primarily, analyzing the frequency of each sub-category of moderator variables, the publication bias was verified, and the effect size(g) and 95% confidence interval(CI) were calculated. Secondarily, examining the homogeneity(Q) of effect sizes(g) calculated from the results of meta-analysis, the differences between sub-categories of moderator variables were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I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effects size of dance program on the self-esteem was average 0.99, which had a very large and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in accordance with the Cohen's standard (1988). As 0.83, 1.23 were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95% confidence interval (lowest value, highest value) of average effect size, it w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efficient. Based on such result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re would be variables having effects on the variability between ES, the differences in ES of moderator variables were investigated. In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except for the result showing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age level (Qb=15.97, df=3, p=.001) and experiment design (Qb=3.93, df=1, p=.05), none of the moderator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uch result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dance program could effectively improve self-esteem.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to perform experimental research, researcher should carefully select the statistical method adjusting the pre-test scor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Also researches using the single-group design should not applied anymore in the experimental research and in case when research subjects are not randomly selected for the application of pre/post 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principle of random assignment should be kept.

      • 고등학교 사회교과서의 사회문제영역에 관한 연구: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정혜정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ur modern societies, the aspects of big social changes including globalization, informatization, and opening is appearing, and our societies changing rapidly bring about various social problems , and by extension, we are face international problems. In the condition of that, the importance of social studies are being emphasized for the sake of cultivating democratic citizens equipped with the ability of rational decisions on the basis of moderate understanding about social problems and analytic ability. Accordingly, this study plan to analyze the patterns of social problems in social changes , understand whether textbooks on social studies properly reflect modernly social problems, search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through analyzing data application for effective understanding about social problems, and finally, plans to suggest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the textbook of social study. Fist of all, for analyzing the division related to social problems in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as the result of classifying social problems printed in textbooks into types and analyzing relative importance, problem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are presented most except for the rest social problems of types , and the problems of social structure, the problems of Korean specialty, and the problems of families and generations are mentioned in order. In the social problem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environmental problems are presented much, while the problems related to families and generations lack in contents. Second, the seventh educational course applied to the practical curriculum in 2001, and it applied to the first-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 so as the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extbooks on social studies reflected social problems properly through the data of people's attitude surveys to social problems from 1999 to 2001, textbooks on social studies moderately reflected economical problems of unemployment and price stability, the problems of values due to social changes, and social problems due to informatization, while they couldn't moderately reflect the problems related to irregularities and corruption as the Korean special problem and juvenile problems including school violence. Third, In case of data application, mainly pictures were used most, and graphs and illustrations followed them. The application of news items was insufficient. According these analysis results, we know that high school social study textbooks lack in increasing critically contemplative faculty and rationally decisive ability to social problems for students. Accordingly, the improvements of textbooks on social studies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ecause social problems does not appear in some specific divisions, but in various divisions, and we can tend to neglect the rest social problems by emphasizing specific problems, it is necessary to broaden the importance of divisions related to social problems in order to compose the contents of social problems. Second, it is necessary that the contents of social problems should suggest the real conditions and problems of our society based on reality and actuality. Thir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ocial problems moderately , to cultivate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social problems through properly using data for the sake of correct understanding to social problems and additionally composing data and news items equipped with reality. Forth, our societies keep changing, while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of textbooks can't change till another educational course appears. So in case of th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especially, education related to social problems , important education, has the limit of lacking in reality.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 it is necessary to try to reconstruct contents through teachers' reflecting idea in practical classes.

      • 미술관 관람객의 정체성을 돕는 문화전략

        정혜정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question of 'what the visitors to galleries would want and what kind of their desires would be satisfied when they visit galleries' is the most fundamental question, but the answer to that question is neither simple nor temporary. This paper examines what influence the experiences in galleries would have on their visitors and how galleries would be able to help their visitors to find their identity mentally. Galleries have been revitalized mostly when the marketing strategies, focusing on the quality and the extensity of art work and on exhibition planning, were introduced, because there have been continuous studies on visitors. Now, it's not that difficult to find some data on the studies on the visitors to galleries around us, including the studies on how to improve the service in galleries, the studies on how to teach to appreciate art works, and the studies on the diversity of cultural and artistic programs. However, while galleries have sincerely taken the position of valuing much of their visitors' learning and experiencing so far, now it's time to jump to a new level in order to sensitively react to and cope with the fashion of the day. In other words, today's galleries should lay stress on the visitors' thinking power and encourage their rich imagination, future dreams and life stories to open through galleries, rather than implant selected thoughts in visitors' mind from the galleries' point of view, and also should study on the identity of visitors with open mind toward and continuous interest in them. This paper examines how to extend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the diversity of visitors, and how to fulfill the expectation of the visitors to galleries. Galleries are one of the places where you can feel the phase of the times of 'the twenty-first century as an age of culture.' Galleries should be ready to enter upon the future, realizing that the time are moving from the age of images, movies, and information to the age of expressing imagination with stress on stories, dreams, and sensitivities. The present age requires galleries that help visitors recover their identity so that they can appreciate art works from their own point of view, not from the viewpoint of galleries. Therefore, galleries have the task to reexamine and research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visitors and improve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visitors. In particular, they need to take interest in the fact that their visitors become interested in art not only by the messages offered from the galleries, but also by the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fact that the meanings of the messages can be given from the visitors' internal motivations. Alth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galleries and their visitors have been studied on in many ways so far, more detailed studies need to be don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itors who are experiencing galleries and the art works on exhibition and the artists. Through the study results, galleries will be able to broaden the extent of their understanding on their visitors' identity, and take more active interest in and cope with the visitors' appreciation of exhibitions by their own internal motivation. In addition, galleries need to play a role of a multi-cultural space which has clear establishment purposes and aims, sensitively reacts to the needs of the times, and produces culture and art for the masses. The galleries which can keep time with the masses and reflect their voice to the society are the very leaders making today's culture and art. This study focuses on suggesting the ways how galleries can offer visitor-centered and users-centered cultural environments or exhibitions, not suppliers-centered ones. Gang-sik Choi, the curator of National Museum of Korea, once said, "Galleries are the place for festival," which also expresses the museums' current position since today's museums and galleries are popularized and required to play a role of a multi-cultural space. The will to make museums open places where tradition and modernity can communicate presents the direction toward which museums and galleries should advance. Next year is the 100th year since the first museum was built in Korea. In order to become future-oriented galleries in the rank of culturally advanced country, galleries should develop various programs through which visitors can feel sympathy and help people in general become more interested in and have deeper understanding in culture and art. Successful galleries make future plans so that they can cope with the urgently-changing times. Modern galleries have the task to help their visitors find their identity so that they can go to galleries by their own internal motivations. Galleries also should play a role of enhancing their visitors to improve their cultural attainments, express their personal imagination and dreams freely through art and culture, and to use them as a place to express themselves experimentally and actively. Likewise, galleries are continuously required to have wisdom and readiness to react to and cope with the needs of the urgently-changing present times. ‘미술관을 찾은 관람객의 입장에서 요구되어지고, 충족되어지는 부분이 무엇일까?’ 라는 질문은 가장 기본적이지만, 그에 대한 답은 간단하지도 않고, 일시적이지도 않다. 본 연구는 미술관 관람객이 느끼고 경험하는 미술관 체험의 영향력과 동시에 관람객이 심리적으로 미술관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미술관의 방향성을 연구한 것이다. 미술관이 작품의 질과 공간성 그리고 전시기획을 중심으로 한 마케팅의 도입에 집중해서 활성화된 것에는 관람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함께 있었기 때문이다. 미술관 서비스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나 미술작품 감상지도를 위한 연구,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다양성의 연구 등 미술관 관람객 연구에 대한 자료를 이제는 우리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미술관이 관람객을 위한 학습과 체험을 중요시 여기는 입장을 성실히 지켜 왔다면, 이제는 시대적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위치로 도약할 단계이다. 즉, 현 시대의 미술관은 미술관 입장에서 관람객을 위해 선별된 사고를 심어주는 입장이 아니라, 관람객의 사고력을 중요시 여기고 그들의 풍부한 상상력과 미래의 꿈과 삶의 이야기가 미술관을 통하여 펼쳐질 수 있도록, 그 방향성을 정하고 열린 사고와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관람객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사회와 관람객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미술관을 찾은 관람객의 기대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성을 연구한 것이다. ‘21세기는 문화의 세기이다.’라는 시대성을 가장 민감하게 느끼게 해 줄 수 있는 것 중 하나가 미술관이다. 미술관은 이제 이미지와 영상, 정보의 시대에서 이야기와 꿈을 다루며, 감성을 중요시 여기는 상상력의 표현화시대로 가고 있음을 감지하고 미래를 맞을 준비를 해야 한다. 현 시대는 미술관의 입장에서 관람객을 관람하게 하는 것이 아닌, 관람객의 입장에서 미술관을 관람하게 할 수 있도록 관람객의 정체성을 회복시키는 미술관이 필요하다. 미술관은 관람객과의 관계성을 재검토하고 연구해서 관람객과의 소통관계를 원활하게 해야 할 과제가 있다. 특별히 관람객의 관심과 흥미가 미술관이 제공하는 메시지로부터만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미술관의 내 · 외부 환경적 요인과 관람자의 내적동기로부터 메시지의 의미가 부여될 수 있다는 점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지금까지 미술관과 관람객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미술관 체험을 하는 관람자와 전시된 작품이나 작가에 대한 구체적인 만남과 관계성에 대해서는 연구과정의 미흡함을 보인다. 관람객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관람객과 관람객이 접하는 작품, 그 작품의 작가에 대한 관계성에 대한 연구가 구체적으로 필요하며, 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미술관은 관람객의 정체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관람객의 내적동기에 의한 전시 관람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대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아울러 미술관은 명확한 미술관의 설립취지와 목적을 가지고, 시대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대중을 위하여 예술문화를 연출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그 위상을 나타내야 한다. 대중과 함께 호흡할 수 있는 미술관, 대중의 목소리를 사회에 반영시킬 수 있는 미술관이야말로 이 시대의 문화사회를 만들어 나가는 주역이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의 문화적 환경이나 전시의 방향이 공급자 중심이 아닌 수요자 중심의 전시로 관람객 위주의 방향성을 제시해 나가는 데 중점을 두었다. “박물관은 축제의 장이다”라고 표현한 국립중앙박물관 최강식 박물관장의 발언에서도 현 시대의 박물관 · 미술관의 위치가 대중화와 더불어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시대적 입장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박물관을 오픈 된 공간으로 만들어 전통과 현대가 소통하는 공간으로 만들고 싶다는 의지는 박물관 · 미술관의 나아갈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최초로 박물관이 세워진지 내년이면 100년이 된다. 문화선진국의 반열에 서서 미래지향적인 미술관의 위상을 세우는 미술관이 되려면, 관람객이 공감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더불어 사회 전반적인 예술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넓혀 나가야 한다. 급변하는 시대의 요구에 대응해 나갈 수 있도록 미래 계획을 세워 나가는 것이 성공적인 미술관의 자세이다. 현대의 미술관의 과제는 관람객이 미술관을 찾는 동기가 스스로의 내적동기에 의한 것이 되도록 관람객의 정체성을 세워주는 것이다. 미술관은 관람객이 미술관을 통하여 문화적 소양을 함양시킬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상상력과 꿈을 예술문화를 통하여 자유롭게 표출되어 질 수 있도록, 그리고 실험적이고 적극적인 자아표현의 장소로 사용되어 질 수 있도록 그 입장을 세워 나가야 한다. 이와 같이 급변하는 시대의 요구에 반응 · 대처할 수 있는 미술관의 지혜와 준비되어져 있는 태도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혜정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modern world the rapid changes that take place in society have le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family to change and children suffer from emotional anxiety and maladjustment. As such the number of children experiencing difficulty at home and amongst friends is ever increasing. Children of school ages are especially prone to experience problems related to maladaptive behavior caused by ADHD. If children suffering from ADHD are ignored, their ability to adapt to society may deteriorate and turn them into children with problems. Therefore, a comprehensive method of treatment capable of eliminating such maladaptive behavior at an early stage and help the children adapt is required. The issue of children's maladaptive behavior show a negative correlation to emotions. Therefore, this study uses the culture of ceremonial tea making, which encompasses the emotions and traditions of our people, to develop and implement a tea culture therapy’s program and studies the effects said program has in terms of improving the maladaptive behavior by children with ADHD, the final goal being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for the promotion of our traditional tea culture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children suffering from ADHD were chosen from a group of students attending an after school class at the ○○ daycare center in Busan. These children were then subjected to 12 sessions of tea culture therapy’s program.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ea culture therapy’s program with regards to the maladaptive behavior by children with ADHD, the ex facto and post facto ACTeRS test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s well as the frequency of maladaptive behavior during the sessions, the K-HTP picture test, and the observation rec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bility to concentrate of all of the subjects was enhanced after being subjected to tea culture therapy’s progrna. A high level of concentration is required in picking up the necessary tea making utensils and making the tea by following the correct sequence of activities. Also, we can see that the act of drinking tea, using the tea making equipment, and making the tea itself acts as a medium that leads the children suffering from ADHD fo focus for long periods of time. Secondly, all of the subjects showed a reduced amounts of excessive activity after being subjected to the program. This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 children suffering from ADHD were able accumulate experience in self control and regulation by taking controlled actions and conducting a certain ritual by following the designated process of making tea. Third, all of the subjects showed improved social skills after being subject to the program. The children with ADHD learned to respect and be considerate of others by making and serving tea, and by acquiring a respectful tone and attitude by learning tea etiquette, they naturally acquired social skills such as respecting moral standards and rules. Fourth, the hostile actions of all of the subjects decreased after being subjected to the program. This seems to be because the peaceful ambience of the tea drinking and tea meditation sessions help the children with ADHD acquire emotional stability and the children's pride was enhanced as by the fact that their serving tea is a meaningful act towards others and that they were respected accordingly.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is tea culture therapy’s program was effective with respect to improving the maladaptive behaviors of children suffering from ADHD. As such, this therapy’s program using tea culture is effective with respect to improving the maladaptive behaviors of children suffering from ADHD, which signifies that i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activity for enhancing the attention span, self control, and self regulation abilities of primary school children, who are prone to be inattentive and take excessive actions. 오늘날 급속한 사회의 변화에 따라 가족의 구조와 기능이 변하고, 아동의 정서 불안과 적응력 약화로 인하여 학교 및 가정생활, 친구관계 등에서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학령기의 많은 아동들이 ADHD로 인해 부적응 행동 문제를 유발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ADHD 아동을 그냥 방치하면 자칫 사회적 적응이 떨어져 문제아로 성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ADHD 아동의 부적응 행동을 조기에 소거하여 올바른 인격과 자긍심을 가지고 바람직한 행동으로 이끌 수 있는 포괄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아동의 부적응 행동 문제는 정서와 부적 상관 관계를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 민족의 정서와 전통이 응축되어 있는 차문화를 바탕으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ADHD 아동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초등학교 차문화 활동 전개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방과후 교실에 참여하고 있는 아동 중 ADHD 아동을 선별하여 총 12회의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부적응 행동 수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ACTeRS 사전・사후검사를 비교 분석하고, 회기 중 부적응 행동 빈도, K-HTP 그림 검사, 관찰기록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에 대상 아동 모두 주의집중이 향상되었다. 아동들이 필요한 다도구를 손으로 집어서 옮기고 순서에 맞게 행다하는 데는 고도의 집중이 필요하다. 또한 차 마시기와 다도구, 행다 그 자체가 ADHD 아동이 흥미를 느끼고 오랫 동안 주의를 집중할 수 있는 매체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에 대상 아동 모두 과잉행동이 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ADHD 아동이 일정한 절차에 따라 절제된 행동과 의식을 행하는 바른 행다법을 실천함으로써 자기조절 및 자기통제와 규범준수의 경험을 축적할 수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셋째,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에 대상 아동 모두 사회성 기술이 향상되었다. ADHD 아동들이 차를 달여서 대접해 봄으로써 타인을 공경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체득하고, 공손한 태도와 언어로 차예절을 생활화함으로써 도덕적 기준이나 규칙 등 자연스런 사회적 학습이 되었다고 본다. 넷째, 차문화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에 대상 아동 모두 적대적 행동이 감소하였다. 평온한 찻자리 분위기와 차명상 등은 ADHD 아동의 정서적 안정감을 도모할 수 있었으며, 차 대접하기를 통해 아동 자신이 타인에게 의미있는 일을 하고 또한 의미있는 사람으로 존중받음으로써 자긍심이 고양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은 ADHD 아동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은 ADHD 아동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차문화 활동이 부주의하고 과다한 활동을 하기 쉬운 초등학생들에게 주의집중과 자기통제 및 조절력을 길러주는 효과적인 교육활동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참취를 이용한 스낵제품의 품질 특성

        정혜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산채류의 연구에서 관심이 되고 있는 기능성 성분은 식이 섬유와 flavonoids를 비롯한 polyphenol류들이다. 본 연구는 우리 나라의 여러 가지 산채류 중에서 식이섬유와 β-carotene 및 flavonoids함량이 높고, 동물실험 결과 생리활성효과가 높은 참취 (학명: Aster scaber)를 편리하게 다량 섭취하고자 스낵제품으로 개발하여 그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취를 스낵제품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참취의 전처리 조건을 확립하고자 소금첨가량과 데치는 시간을 변인으로 설정하여 참취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확립된 참취의 전처리 조건을 바탕으로 참취 스낵 제조의 최적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참취와 기름첨가량을 변인으로 설정하여 스낵제품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참취의 전처리 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으로 색도, Vitamin C 및 flavonoids 함량을 조사한 결과 색도 L값 (명도)은 소금첨가량이 적고, 데치는 시간이 짧을수록 낮아졌다. Vitamin C 함량 및 flavonoids 함량은 소금첨가량이 적고, 데치는 시간이 짧을수록 많아져 소금 0 %첨가, 1 분 데친 것을 전처리 조건으로 결정하였다. 참취와 기름의 첨가량에 따른 스낵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L값(명도)은 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기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갈변도는 취의 첨가량과 기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기름 흡수율은 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크게 감소하였고, 기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증가하였는데 참취 9 %첨가, 기름 6 %첨가시에 가장 낮았다. 팽화율은 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기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Texture analyser로 측정한 스낵의 경도는 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기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참취와 기름의 첨가량에 따른 스낵의 관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어두운 정도와 참취 향은 취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기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감소하였다. 경도는 취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기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바삭바삭한 정도는 취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기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경도와 반대 경향을 보였다. 기름진 정도는 취가 증가할수록 감소하고 기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짠맛은 취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기름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참취 스낵을 제조하기 위한 요인들의 최적 수준은 스낵의 바람직한 특성인 바삭바삭한 정도, 팽화율이 최대이면서 동시에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인 기름진 정도가 최소가 되는 처리 조합을 최적수준으로 결정하였다. 그 결과 최적 수준은 참취 8.6 %첨가, 기름 7.6 %첨가로 결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로 개발된 참취 스낵을 1일 약 70 개 (90 g) 섭취할 경우 한국인 1일 영양권장량에서 권장하는 총 식이섬유량 20 g의 1/2을 만족시키고, 우리 나라 국민에게 가장 섭취량이 낮은(67 %) Vitamin A의 권장량인 700 R.E.중 139 R.E.를 공급할 수 있으며, flavonoids 1.2 mg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참취 스낵의 이용은 노약자와 어린이 등의 섬유소를 쉽게 섭취할 수 없는 계층의 사람들이 쉽게 섭취할 수 있어 건강증진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며, 참취의 계절적 제약 및 저장기간이 짧은 단점도 보완할 수 있어 새로운 신토불이 (身土不二) 식품개발로 인한 농가소득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snack product made from Cham-chwi which is the important as useful wild vegetable. Because Cham-cwhi had larger amount of total dietary fiber, flavonoids and vitamin A. And so it had the highest antioxidative and Cd detoxifying effects and was effective in lowering lipid.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optimum levels of salt , blanching time of Cham-chwi for the pre-treatment method. The next step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nack according to the amounts of Cham-chwi and oil. This result was used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 of adding levels of Cham-chwi and oil.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examination into the effect of the amount of salt and blanching time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am-chwi showed that the optimum levels were determined as 0% , 1 min for salt and blanching time , respectively. The Investigation on the physical and sensory property of snack with different amount of Cham-chwi and oil showed that flavor, crispness, greasiness, oil absorption, expansion rate were selected as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 of the amount of Cham-chwi and oil. And the predicted values obtained by the regression method of RSM(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optimum condition of Cham-chwi snack was obtained when the amount of Cham-chwi was 8.6% and the amount of oil was 7.6%.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Cham-chwi snack can be used for the health foods as a supplement of total dietary fiber, vitamin A and flavonoids.

      • 계발 활동과 연계한 수학동아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혜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에게는 수학 교과 관련 계발 활동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지도 자료의 아이디어를 제공하여 업무 부담을 줄여주고, 학생들에게는 수학 교과 수업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다양한 수학적 활동을 통해 수학 교과의 가치를 알고 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자료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학생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과서 외적 학습 자료에 대한 연구들을 고찰한다. (2) 중학교 계발 활동 시간에 교사들이 쉽게 활용 가능한 학생 활동 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3) 개발한 프로그램을 수학동아리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4) 수학동아리 활동을 한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태도 변화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학생들은 흥미와 관심을 갖고 수학동아리 활동에 열심히 참여하였으며, 그 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도나 태도의 변화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2) 다양한 수학동아리 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수학은 흥미 있고, 실생활과 관련 있는 교과라는 인식을 심어주어 도전해 볼만한 가치 있는 교과로 수학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기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학동아리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 학교 여건의 개선이 필요하다. (2) 수학동아리 활동이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고, 수학적 사고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자료 개발이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3) 학년별, 수준별, 영역별로 구성된 자료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4) 수학 교사간의 자료 공유가 필요하며, 타 학교 수학동아리와 교류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instructors ideas for lesson to be used during developmental activity sessions related to the math subject. This will reduce the work load for instructors while inducing a positive change in classroom attitude for students by providing various new mathematic activities and illustrating the values of the math subject. The following research was set up for this study. (1) Study on non-textbook learning materials that induce students' interest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math (2) Develop a student-centered program that instructors can easily utilize during middle school developmental activity sessions. (3) Apply the developed program to math club students. (4) Conduct a survey on the math club students and observe the changes in attitude toward the math subjec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 (1) Students were interested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math club activities, and positive changes in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the math subject were observed. (2) Through the various math club programs, students learned that math is interesting and applicable to daily life. The math subject thereby became a subject worth challenging oneself with, and the students showed a more active attitude toward the subject.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1) For an effective operation of math clubs, improvements in school environments need be made. (2) More math club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to help instigate student interest and improve mathematical thinking. (3) Materials divided by grade, level, and area must be developed. (4) Mathematics instructors need to share materials, and there must be interaction between math club instructors of various schools.

      • 대중음악공연의 빛 연출 연구

        정혜정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the history of live pop music performances is relatively short, the recent pa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utilized in live concerts has been faster than any other periods. Performance directors and stage lighting directors altogether take much interest in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es to fulfill artistic concepts of musicians and to satisfy audiences that come to listen to and see the music. The alarmingly rapid pa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s has been forcing the development of newer technologies faster than ever in the field of stage lighting, visual presentation and stage apparatus in general. As a result, it becomes more and more blurry between artistic perspectives and technological advantages as criteria for evaluation and definition of ‘good direction’. In other words, now is the time that stage lighting directors need to develop their ability to determine whether to make broad use of lighting resources or limit them based on their own solid criteria. First of all, this research surveys the ideas of handling light contemplated over by artists in different times and various fields of arts. The study also examines how light was recognized and applied in space of stages. Plus it arranges the perspectives and flows of light among stage directors who dedicated themselves to the aesthetics of lighting direction. Furthermore, this review suggests several points that stage lighting directors should examine themselves, which is to establish their own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 criteria on directing for stage lighting in live pop music performances.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early 20th, many directors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 of stage and light with their own perspectives in the middle of the technological shifts that transformed the perception of stage and light. Adolphe Appia(1862-1928) was a director who proposed and theorized his own ideas about lighting as a tool for visualizing music in the stage space. He had influences on many stage artists through his writings and designs. I argue that Appia’s idea laid the cornerstone of lighting aesthetic and today’s stage lighting design strategies in live pop music performances. There are, of course, some elements in his aesthetics of stage lighting directions which are difficult to apply to contemporary performances. It is because his theory was suggested over 100 years ago, during the period when the stage lighting technology was not well developed. So his idea of light and lighting directions could only be understood theoretically in imagination but could not be experimented in real space as practical tool. Despite many technological efforts to handle light, there were a lot more limitations on light designing, such as securing the stage with high brightness, or using safe and controllable stage lighting. His theory, however, holds greater significance as an ideal one rather than a practical one. Being influenced by the stage aesthetics of Appia, Lee Simonson(1888-1967), an American stage designer, sorted out the aesthetics of Appia into four criteria. This criteria include “Light as the Scene-Painter”, “Light as Interpreter”, “Light Orchestrated”, and “Light as Scene-Builder”. Unlike drama or other stage productions, live pop music performances haven't been around long enough to establish any distinctive stylistic trends or traditions. Therefore, Simonson's interpretation has huge implication as criteria for the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of stage lighting design for live pop music performances. I believe that lighting technology and show production industries have evolved since Appia’s aesthetics of stage direction and Simonson’s interpretations. In the domain of live pop music performances, stage lighting design has been understood from the functional and technological perspectives for the most part. Since the utilization of technology is closely related to the commercial aspect of popular music, the stage lighting directors should be careful not to miss any flows within the criteria of their own directing and must take interest in the usage of better tools and their development to offer the audience newer audio-visual experiences. They should also be aware of the fact that technological development has broadened the scope of options to express light in their own ways so that they can make their intention much clearer. The present study holds its significance as a process of examining stage lighting directors in contemporary live pop music performances as “artists to direct and handle light” by reinterpreting Simonson’s criteria for Appia’s aesthetic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is research introduces them as perfect examples that provide lighting directors with a few solutions for good direction so they can solidify their own perspectives of directing for stage lighting and try to apply their aesthetics to contemporary live pop music performances. By proposing the analytical foundation of directing for stage lighting in live pop music performances based on aesthetic criteria rather than just focusing on functional and technological aspects, this study hopes to inspire stage lighting directors of live pop music performances to re-evaluate apparatus of all kinds of visual objectives as means of lighting. Further, this study encourages them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ttitude on directing light and utilizing a broad range of lighting resources and technologies with their own artistic perspectives on direction beyond conventional concept and practices of stage lighting. 대중음악공연의 역사는 길지 않지만, 그 기술은 어느 시대보다도 빠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또한, 음악을 듣고 보러 찾아온 관객들에게 대중음악 아티스트의 콘셉트에 맞게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고 빛을 더 숙련되고 멋있게 보여주고자 하는 공연 연출가와 조명 연출가의 관심도 대단하다. 너무나 빠른 기술의 발전 속에 조명 기술의 발전도 그 어느 때보다 대단하지만, 다양한 영상장비들과 각종 무대 장치물 등의 발전도 그에 못지않게 빠르게 진행되면서 나날이 복잡해지고 전문화되어가고 있어 좋은 연출이라는 것이 예술적인지 기술적인지 그 판단의 기준 또한 점점 모호해 지고 있다. 다시 말해, 빛 연출에 대한 자신만의 기준을 확고하게 가지고 많은 광원과 다양한 기술을 폭넓게 활용할 수 있는 혹은 버릴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한 시대인 것이다. 본 연구는, 비교적 다른 분야에 비해 역사가 짧은 대중음악공연의 빛 연출에 대하여 생각해 보기 전에, 먼저 빛을 인식하고 이미지화했던 여러 분야의 예술적 흐름과 그에 대한 관점들을 살펴봄으로써, 시대와 분야가 달라도 빛을 다루는 사람들이 고민했던 생각들을 점검한다. 그리고 특히 무대라는 공간에서 빛을 어떻게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어떻게 사용해 왔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중에서도 진지하게 무대 공간에서의 빛에 대하여 연출 미학적으로 고민했던 무대 연출가들의 빛에 대한 관점과 그 흐름을 정리해보면서, 대중음악공연의 빛 연출에 대한 자신만의 관점과 해석 기준을 갖기 위해 점검해 보아야 할 생각들을 살펴볼 것이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는 무대와 빛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빛을 다루는 기술의 변화 속에서 무대 공간과 빛에 대해 자신만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많은 연출가가 등장하였던 시기이다. 그중에서도 무대 위 음악을 시각화하는 조명에 대한 생각을 이론화하고 제안해 나갔던 연출가 아돌프 아피아(Adolphe Appia, 1862-1928)는, 자신의 글과 디자인 등을 통해 이후 많은 무대예술가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대중음악공연에서 빛을 다루는 이 시대의 조명 디자이너들에게도 생각의 바탕을 제공할 수 있는 미학적 이념을 제시하였다. 물론, 그의 빛 연출 미학은 이미 100여 년 전의 이론으로 현재의 대중음악공연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아직 무대 공간에서의 빛이 개념적으로만 존재하였던 시기의 이론으로서, 빛을 사용하려는 여러 기술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현재와 같이 밝기가 확보되고 안전하며 통제 가능한 빛을 사용할 수 없었던 시대적 한계로 인해 실제로 적용될 수 없었지만, 현실적이기보다 이상적으로 제시된 이론으로서 더 의미를 가지기 때문이다. 오히려 아피아의 무대 미학에서 영향을 받아 미국의 무대 디자이너 리 시몬슨(Lee Simonson, 1888-1967)이 정리한, 아피아의 조명 미학에 대한 4가지 기준-‘채색자’, ‘해석자’, ‘지휘자’, ‘장면제작자’로서의 조명-을 통한 해석은 그 역사가 길지 않고 무대나 연극의 역사와 같이 사조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 대중음악공연에 있어서 빛을 연출하는 관점과 그에 대한 해석 기준을 마련해 보기 위한 과정으로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아피아의 무대 연출 미학 제시와 시몬슨의 해석 이후, 빛 표현 기술과 공연 제작 방식은 100여 년 동안 엄청나게 빠른 발전을 거듭했고, 공연예술 분야에서 등장한 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대중음악공연의 빛 연출은 상당 부분 기능적, 기술적인 관점에서 해석되어 왔다. 음악을 듣고 보기 위하여 온 관객들에게 더 새로운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의 활용은 대중음악의 상업적인 속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자신의 빛 연출에 대한 기준 안에서 그 흐름을 놓치지 않고 더 좋은 도구의 사용과 그 발전을 위해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임에는 틀림이 없으며, 또한 자신의 빛 표현 도구에 대한 선택지를 늘리고 자신의 연출 의도를 더 확실하게 하는 방법이기도 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어야 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한 관심과 태도를 바탕으로, 대중음악공연의 빛 연출에 대한 자신만의 관점을 확고히 하며 좋은 연출에 대한 해석 기준을 마련해 보기 위하여, 아피아의 빛 연출 미학 해석을 위해 제시된 시몬슨의 4가지 기준들을 현재의 대중음악공연에 맞게 재해석해 보고, 현대 대중음악공연 조명 연출가들을 그 재해석된 기준을 통해 ‘빛’을 ‘연출’하고 ‘사용’하는 ‘예술가’로서 살펴보는 것은 그 과정으로서 의의가 있다. 기능적, 기술적으로만 접근하기 쉬운 대중음악공연의 빛 연출을 위와 같은 미학적 접근 기준을 통하여 분석해 보는 과정인 본 연구를 통해, 대중음악공연의 빛 연출가들이 모든 시각적 목적을 가진 장치들을 빛으로 확장시켜 그 빛을 연출하는 예술가로서 자신만의 연출 관을 가지고 기존의 무대조명 개념을 넘어 다양한 광원과 기술에 접근하는 태도의 중요성을 재고해 볼 수 있었으면 한다.

      •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이 유아의 입체 및 평면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혜정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색, 형, 질감, 공간의 미적 요소와 율동, 반복, 균형, 운동의 미적 원리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 경험이 유아의 입체 표현능력과 평면 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입체 표현능력과 평면 표현능력은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 경험이 유아의 입체 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1-1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 경험이 유아의 주제의 특성 배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1-2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 경험이 유아의 재료 사용의 다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1-3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 경험이 유아의 기법구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1-4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 경험이 유아의 구성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1-5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 경험이 유아의 세부적 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2.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 경험이 유아의 평면 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1-1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 경험이 유아의 표상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1-2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 경험이 유아의 탐색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1-3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 경험이 유아의 예술성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3.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 경험 유무에 따라 유아의 입체 표현능력과 평면 표현능력은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북 익산시에 위치한 한 유치원의 만 5세 2학급 유아 40명이다. 미술활동프로그램의 내용 및 운영방법이 서로 비슷한 두 학급을 대상으로 유아의 선정은 조형활동면에서 입체 표현 능력과 평면 표현능력이 월등하게 높거나 지나치게 낮다고 판단되는 유아는 제외하고 비슷한 미술 표현능력을 가진 유아를 담임교사에게 대상표집을 의뢰하여 교육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으로 배정하였다. 유아의 입체 미술 표현능력 평가도구는 오종숙(1988)이 Eisner의 평가 관점, McFee의 평가 견해, Andrew의 유아작품에 나타나는 일반적 특징과 학습태도의 평가표를 토대로 하여 만든 인체 표현능력에 관한 요인별 평가척도를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입체 표현능력은 주제에 대한 아이디어의 독특성, 주제의 배치, 재료 사용의 다양성, 기법의 구사, 구성방식, 세부적 묘사 등 6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주제를 미리 정해 놓고 입체 표현활동을 하기 때문에 주제의 아이디어의 독특성을 제외한 5개 요인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평면 미술 표현능력 평가도구는 Project Spectrum(Krechevsky, 1994)의 시각 예술 영역(Visual Art Domain)을 평가 척도(Chen & Feinburg, 1990)로 사용하였다. 시각 예술 영역의 평가척도는 2차원과 3차원에서 모두 사용되는 평가척도지만 본 연구에서는 2차원적인 선화에 관련된 평면 미술 표현능력만을 평가하는데 사용하였다. 평면 미술 표현능력은 표상수준, 탐색수준, 예술성수준과 총 3가지 범주로 구분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아의 입체 표현능력 및 평면 표현능력에 대한 동질성 여부를 검사하기 위하며 사전검사는 t-test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사의 자료분석은 사전검사의 결과를 통해 교육집단과 비교집단이 동질집단이라고 가정하는 데 있어서의 오차를 최소화하고 두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한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입체 표현능력과 평면 표현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관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의 경험은 유아의 입체 표현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입체 표현능력의 하위요인인 주제의 배치, 재료 사용의 다양성, 기법의 구사, 구성방식, 세부적 묘사 향상에도 영향을 주었다. 둘째,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의 경험은 유아의 평면 표현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평면 표현능력의 하위요인인 표상수준, 탐색수준, 예술성수준의 향상에도 영향을 주었다. 셋째, 미적 요소에 기초한 입체 조형작품 감상활동의 경험은 유아의 입체 표현능력과 평면 표현능력 향상에 모두 영향을 주었다. 그 결과 입체 표현능력과 평면 표현능력은 서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ttle children's experience in appreciating three-dimensional formative art works based an such aesthetic elements as color, shape, touch and space as well as such aesthetic principles as rhythm, repetition, balance and movement upon their presentation abilities in two and three dimensions, respectively. The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and two-dimensional presentation abilities is also to be examined. In line with this aim, following questions will he dean with: 1. What kind of influence will lithe children's experience in appreciation of three-dimensional formative works based on aesthetic elements excercise upon their abilities of artistic presentation in the three dimension? 1-1. What kind of influence will little children's experience in appreciation of three-dimensional formative works based on aesthetic elements excercise upon the characteristic placement of their themes? 1-2. What kind of influence will little children's experience in appreciation of three-dimensional formative works based on aesthetic elements excercise upon the diversity of materials they use? 1-3. What kind of influence will little children's experience in appreciation of three-dimensional formative works based on aesthetic elements excercise upon the techniques they use? 1-4. What kind of influence will little children's experience in appreciation of three-dimensional formative works based on aesthetic elements excercise upon their way of construction? 1-5. What kind of influence will little children's experience in appreciation of three-dimensional formative works based on aesthetic elements excercise upon their detail work? 2. What kind of influence will little children's experience in appreciation of three-dimensional formative works based on aesthetic elements excercise upon their abilities of artistic presentation in the two dimension? 1-1. What kind of influence will little children's experience in appreciation of three-dimensional formative works based on aesthetic elements excercise upon the level of their representation? 1-2. What kind of influence will little children's experience in appreciation of three-dimensional formative works based on aesthetic elements excercise upon the level of their search? 1-3. What kind of influence will little children's experience in appreciation of three-dimensional formative works based on aesthetic elements excercise upon the level of their artistic character? 3. Will there b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little children's two-and three-dimensional presentation abilities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s in appreciation of three-dimensional formative artworks based on aesthetic elem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children at the age of 5 enrolled in the two classes of a kindergarten in Iksan-si, Jeonbuk-do. The teachers of the two classes that are similar with each other in terms of contents and operating method of the fine art program were requested to select the children who were supposed to have similar abilities of artistic presentation in the two as well as three dimensions. Those who were found to have extremely high or low level of ability were excluded from this selection. Twenty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20 to the control group. Used for this research was the assessment scale divided by elements of three-dimensional presentation abilities of little children, which was designed by Oh, Johng Sook(1988) on the basis of Eisner's assessment view, McFee's appraisal angle and general characters appeared in Andrew's works of children. Before use, the assessment scale was modified to suit to this study. The abilities of little children to present in the three dimension were composed of 6 domains: uniqueness of idea in Sine with the theme, placement of theme, diversity of materials used, techniques employed, and details. Uniqueness of idea was, however, neglected in this study in which a theme is fixed prior to start of three-dimensional presentation activities. As a tool to assess the presentation abilities of little children on the plane, the assessment tool(Chen & Feinburg, 1991) of visual art domain in project spectrum(Krechevsky, 1994) was used. The assessment of visual art domain was conducted mainly in connection with the presentation ability in two-dimensional line drawings, divided in 3 categories: level of presentation, level of search and level of artistic value. The advance test was analyzed by t-test in an attempt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little children's abilities to express in the two and three dimensions between the two groups, while ANCOVA, with the advance test served as covariance,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y minimizing the deviation in the assumptio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identical as concluded in the advance test.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and three-dimensional presentation abilities, Pearson format was also utilized. From the study, it was found that: first, the experience of little children in appreciating the three-dimensional formative works based on aesthetic elements practiced influence upon their presentation ability in the three dimension. It also affected to upgrade such sub-elements of three-dimensional presentation abilities as placement of theme, diversity of materials used, techniques, way of construction, and details second, the experience of little children in appreciating the three-dimensional formative works based an aesthetic elements promoted their presentation ability in the two dimension, too. It also contributed to upgrading such sub-elements of two-dimensional presentation abilities as levels of presentation, search and artistic value; third, there wa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the two- and three-dimensional presentation abilities of little children, which depends on their experience in appreciation of three-dimensional works based on the aesthetic elements. Consequently, little children's appreciation of three-dimensional art works affected to enhance their abilities to present in the two as well as three dimen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