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상호작용에 있어서의 사죄행동에 관한 한일대조연구 - 한일남녀모어화자의 사용경향을 중심으로 -

        정현아 ( Hyun-a J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日本硏究 Vol.0 No.64

        본연구는, 정신적인 피해를 준 경우의 사죄장면을 설정하여 한일남녀모어화자의 “사죄”라는 언어행동의 상호작용의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조건통제를한 한일남녀모어화자의 대학생 친구간의 64회화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한일남녀모어화자의 사죄하는 쪽은, 주로 “상황설명, 사죄, 책임관련, 대인배려발화문”을 사용하며, 사죄 받는 쪽은, 주로 “사태확인, 비난, 양보, 문제해결발화문”을 사용하여 문제가 되는 내용을 해결하기 위하여 서로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행하고 있었다. 특히 한국어모어화자는 사죄하는 쪽이 “과실수급발화문”을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보였다. 그러나 한국남성은 한국여성보다, “책임관련발화문”과 “비난발화문”을 많이 사용하였고, 한국여성은 한국남성보다 “상황설명, 대인배려발화문”과 “양보발화문”을 많이 사용하였다. 특히 한국여성은 대안(代案)을 제시하는 “과실수급발화문”을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죄내용이 사죄 받는 쪽에게 받아들여지는 회화가 많이 나타나는 특징이 보였다. 한편, 일본남성은 일본여성보다, “상황설명발화문”과 “비난발화문”을 많이 사용하였고, 일본여성은 일본남성보다, “사죄, 대인배려발화문”과 “사태확인, 양보, 문제해결발화문”을 많이 사용하였다. 즉, 여성 쪽이 상대의 face를 배려하는 발화문을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고, 남성 쪽이 상대의 face를 침해하는 발화문을 보다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mpar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Apologetic behaviors’ in interaction, using 64 conversations between college friends of Korean male and female native speakers and Japanese male and female native speakers, respectively. Both Japanese and Korean male and female native speakers that are obliged to apologize mainly used ‘utterances of situational explanation, apology, accountability and/or interpersonal consideration’ while those worthy apology mainly used ‘utterances of situation confirmation, blame, concession and/or problem solving’. In detail, Korean native speakers who have to apologize mainly used ‘utterances of mistake adjustment’. In apologetic interaction, in addition, Japanese male native speakers more used ‘utterances of situational explanation’ and ‘utterances of blame’ than Japanese female native speakers while Japanese female native speakers more used ‘utterances of apology and interpersonal consideration’ than Japanese male native speakers. In the meantime, Korean male native speakers showed apologetic interaction of using more ‘utterances of accountability’ and ‘utterances of blame’ than Korean female native speakers while Korean female native speakers more used ‘utterances of situation explanation and/or interpersonal consideration’ and ‘utterances of concession’ than Korean male native speakers. Particularly, Korean female native speakers used ‘utterances of mistake adjustment’ very often by proposing an alternative, so they had more conversations that accept apology. That is, it was found that females had tendency to more use considerate utterances for the other party’s face while males tended to use utterances of hurting the other party’s face more.

      • KCI등재

        스트라이프 패턴을 사용한 패션 디자인 이미지 분석 및 활용방안

        정현 ( Jung¸ Hyun ),우주형 ( Woo¸ Ju Hy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스트라이프 패턴을 사용한 패션 디자인의 이미지와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스트라이프 패턴 사용에 따른 특정 이미지의 디자인 전개를 위한 실질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14년 S/S에서 2018년 S/S까지 패션 컬렉션에 등장한 패션 스타일 중 609점을 대상으로 8개 이미지 범주를 사용하여 패션 이미지를 분석하였고, 통계를 사용하여 디자인의 형태적 요소, 스트라이프의 표현요소, 배색 관계에서 패션 이미지와의 관련성을 도출하였다. 스트라이프 패턴 이 사용된 디자인의 이미지는 로맨틱, 모던, 에스닉, 매니시, 엘레강트, 아방가르드, 스포티, 클래식 순 의 빈도를 보였고, 패션 이미지와 디자인 요소의 연관성 분석, 즉 아이템, 도련 위치, 실루엣, 스트라이프 패턴의 선 방향, 선 모양, 반복 형태, 배색 관계 모두에서 패션 이미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 결과를 토대로 스트라이프 패턴을 사용한 패션 디자인의 이미지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 음과 같다. 로맨틱 이미지는 허벅지 길이의 X 실루엣 원피스 디자인에 고명도의 무채색과 유채색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가로/혼합 방향의 선을 사용, 엘레강트 이미지는 풀렝스 원피스에 명도/채도차를 적게 둔 사선/혼합방향의 선, 클래식 이미지는 수트류에 저명도 중심의 전통적 선염 직물용 세로 방향 스트라이프를 사용, 모던 이미지는 간결한 원피스에 간격의 대비, 명도 차가 뚜렷한 무채색의 규칙적 인 세로 방향 스트라이프 사용, 매니시 이미지는 풀렝스 팬츠 아이템에 규칙적 세로 방향 스트라이프 사용, 스포티 이미지는 탑 & 팬츠/원피스 아이템에 채도차를 강조한 가로 방향 스트라이프 사용, 아방 가르드 이미지는 오벌 실루엣과 착시를 일으키는 불규칙적 반복/혼합 방향의 스트라이프 사용, 에스닉 이미지는 풀렝스 원피스에 가로 방향의 다양한 선들과 탁색조 중심의 멀티배색 등 시각적 복잡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활용하면 패션 이미지의 전달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of fashion design using stripe patterns and design elements, and to provide practical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image using stripe patterns. The research method was to analyze fashion images using 8 image categories targeting 609 fashion styles that appeared in the fashion collection from 2014 S/S to 2018 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image and formative elements of design, expressional elements of stripes, and color combinations was derived by statistical analysis. The fashion design image using stripe patterns among 609 fashion styles was used in the order of romantic, modern, ethnic, mannish, elegant, avant-garde, sporty, and classic.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relevance between fashion image and design elements, such as item, hem-line position, silhouette, line direction, line shape, line repetition, and color scheme.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utilization of the fashion image using stripe patterns are as follows. It can be enhanced that romantic image by X silhouette one-piece dress above knee-length using horizontal/mixed directional lines consisting of white and tinted color combination; elegant image by full-length dress using diagonal/mixed lines with similar value/saturation in colors; classic image by skirt/pants suits using traditional vertical stripes for yarn-dyed fabrics with low values in colors; modern image by simple one-piece dress using regular vertical stripes with clear intervals between lines and value contrast in achromatic colors; mannish image by full-length pants using regular vertical stripes; sporty image by pants/one-piece items using horizontal stripes with saturation contrast in colors; avant-garde image by oval silhouette items using irregularly repeated multi-directional stripes which cause optical illusion; and ethnic image by full-length one-piece dress using various horizontal lines such as zigzag with tone-downed multi-colors which cause visual complexity.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한국전통춤 연구 동향 분석 :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전통춤을 중심으로

        정현아 ( Jung Hyun A ),김형남 ( Kim Hyung Nam ) 무용역사기록학회 2021 무용역사기록학 Vol.62 No.-

        오늘날 한국무용 관련 연구는 양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두었다. 과거에 비해 연구주제의 범위가 넓어지고 연구방법론이 세분화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연구의 질적인 측면과 다양성 부분에서는 미흡한 측면이 있다. 한국무용학 관련 연구는 여전히 특정 학회나 창작춤에 대한 분석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한국무용은 여러 전통춤이 포함돼 있는데 기존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분류 시도가 미흡하여 장르별 연구가 부족하고 전통춤을 하나의 통합 대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만 수십 개에 이르는 전통춤의 연구동향을 개별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쉽지 않을뿐더러, 자료가 부족하거나 내용이 중첩되는 장르들도 있어 전통춤 내에서 특정 장르들을 선별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 국가의 역사적 소산으로써 사회적 가치와 문화적 상징성이 부여되는 국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7개 전통춤의 연구동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전통춤을 하나의 장르로 인식하거나 특정 대중적 장르 위주로 분석하는 기존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아울러 전통춤 연구동향에 대해 보다 심층적이고 세분화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무형문화재 전통 공연·예술 분야 중 춤 항목으로 등록된 7개의 전통춤을 키워드로 하여 논문을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제목과 연도를 중심으로, 빈도분석, 개체명인식, 연결 중심성, N-gram을 살펴보았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수집하여 본 연구와 관계 없는 논문을 제외하고 최종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학술지 1,043건, 학위논문 1,065건이었다. 분석결과, 같은 국가무형문화재들 간에도 장르별로 논문수가 큰 차이를 보였고, 현 시점에 가까워질수록 전통춤에 대한 연구가 점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아울러 국가무형문화재 전통춤의 해석과 개발, 보존과 전승에 초점이 맞춰진 연구가 많은 가운데,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전통춤을 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로 개발하거나 대중화시키려는 연구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of seven Korean traditional dances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at are given social values and cultural symbolism as a historical heritage of the country. Research papers were collected by using the seven dances as the search keyword and analyzed through text mining methods. These collected papers investigated frequency analysis, entity name recognition, connection centrality, and N-gram, focusing on their titles and publication years. For the final analysis, 1,043 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and 1,065 thesis and dissertations in RIS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pers, depending on what genre an intangible heritage belongs to. It can be also found that research on traditional dances has gradually decreased. Many studies have shown the tendency to concentrate on the interpretation,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traditional dances. In the meantime, mor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develop or popularize Korean traditional dances as educational programs and contents.

      • Plane Detection을 이용한 네트워크 증강현실 콘텐츠 구현

        정현일(Hyun-Il Jung),정형원(Hyung-Won Jung),김태규(Tae-Gyu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11

        수많은 기업들에 주목받고 있는 증강현실은 여러 가지 형태로 현실환경에 가상의 객체를 증강시켜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Wi-Fi 또는 자체서버를 이용하여 증강현실의 통신이 사용되고 있다. Plane Detection기술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증강현실 콘텐츠의 개발을 돕고자 한다. The augmented reality, which is gaining attention from countless companies, is providing users with a new experience by adding virtual objects to the real world in many forms. Currently, communication in augmented reality is used using Wi-Fi or its own server. It is going to use Plane Detection technology and Bluetooth to help develop network augmented reality conten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Community-Based Art Education)

        정현일(Jung, Hyun Il)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1

        본 논문은 최근에 들어와 미국에서 활발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는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에 대한 의미와 역사 그리고 교육실천 가능성들을 탐구하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다. 필자는 먼저, 미국의 여러 미술교육학자들의 교육철학과 그들의 역사적 시각을 통해서 ‘커뮤니티(community)’란 개념과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community- based art education)’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다양하고 포괄적인 의미의 CBAE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한 모형을 만들기 위해서 공동체주의 담론, 사회재건주의, 탈구성주의 담론(Deconstructivism), 그리고 후기구조주의 담론(Post- Structuralism)의 관점들에 입각하여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을 네 종류의 작은 범주로 다시 분류하였다. 이 논문의 두 번째 목적은 국내에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또한 미술교육자들이나 학자들이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앞으로 지속적으로 그 교수-학습법을 연구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efinitions, histories, and possibilities of implementing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which is popularly being research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firstly defines the meaning of the term ‘community’ encompassing the most vague and diverse meaning and then explores the concept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hrough many art educators and scholars' philosophies and in historical perspectives. Secondly, this study grounded in Communitarianism, Reconstructionism, Deconstructivism, and Post-structuralism makes a model to understand well the various and comprehensive educational strategy of CBAE.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called an umbrella term is categorized by four sub-groups such as local society-based art education, ecology-based art education, ethnic-based art education, and virtual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based on the model to closely look at the practical possibilities. The 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apers related to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Korean journals such as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and Art Education Review to know what kinds of contents being studied from 1985 to 2008, to provide Korean art educators and scholars with theoretical foundation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to encourage teachers to engage with communities as source of knowledge and pedagogy, and eventually to help them make invisible histories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in Korea visible.

      • KCI등재

        미술작품을 바라보는 관람자의 시선운동 연구 : 선행지식수준에 따른 시선의 차이

        정현일(Jung, Hyun Il),조안나(Jo, An Na),김수지(Kim, Su Ji),이정은(Lee, Jeong Eu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작품을 보는 관람자의 시선운동을 아이트래킹(eye-tracking)으로 추적함으로써, 미술작품에 대한 선행지식수준의 차이가 관람자의 수렴적 확산적 감상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미술교육 전공 대학생 5인과 타 교육 전공 대학생 5인, 총 10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19년 6월부터 10월까지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아이트래커(eye-tracker) 기술을 활용한 시선 추적활동인 양적 연구방법과 연구 참여자의 대상자 특성파악을 위한 진단평가 및 사후 인터뷰를 통한 질적 연구방법을 동시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관람자의 선행지식 수준이 높은 경우 작품을 감상할 때 특정 영역에서 시선이 집중되었으며, 주로 수렴적 탐색을 통해 작품을 감상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관람자의 선행지식 수준이 중간인 경우 작품을 감상하는 동안 수렴적 탐색과 확산적 탐색이 비교적 동시에 일어났다. 셋째, 관람자의 선행지식 수준이 낮은 경우 특정한 영역이 아닌, 전체 영역에서 고른 시선의 응시 분포를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작품을 감상하는 동안 확산적 탐색이 집중적으로 나타났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미술작품을 감상하는 관람자의 시선운동이 선행지식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시각과 관람자의 시선운동에 대한 연구가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미술교사들에게 시각과 관련된 단서를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k the eye movements of the viewers who see the artworks by eye-tracking, explores the effect of the difference in prior knowledge level on artworks on the specific and diversive appreciation activities of viewers. Participants were 5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rt education and 5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other education. A total of 1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period lasted from June to October 2019. The research method was used both by quantitative research, which is an eye-tracking activity using eye-tracking technolog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rough diagnostic evaluation and post-interview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viewers had a high level of prior knowledge, they showed intensive gaze in a certain area when admiring the work, and tended to look at the work through specific exploration. Second, when the viewers level of prior knowledge was medium, specific exploration and diversive exploration took place at the same time. This depends on the level of prior knowledge and the degree of prior information on the work. Third, when the level of prior knowledge of the viewers was low, the distribution of gaze of the gaze was evenly found in the whole area, not in the specific area, which means that the diversive exploration appeared intensively during the viewing of the work. This study found that the gaze movements of viewers who appreciate works of art differ according to the level of prior knowledge.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of the vision and the movement of the viewer s gaze will provide visual clues to the art teachers who teach students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미술교육 연구를 위한 방법론 고찰

        정현일(Jung, Hyun Il)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3

        본 논문은 미술교육에서 연구되어지고 있는 프로젝트를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전개해 나가기 위한 연구방법론들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필자는 현장연구에서 폭넓게 사용되어지고 있는 실행연구 방법론들 중에서도 가장 친-합리적, 친-민주적, 그리고 친-평화적 연구접근이라 할 수 있는 커뮤니티 중심의 연구(CBR)와 커뮤니티 중심의 실행연구(CBAR)를 중심으로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그 CBR과 CBAR의 연구방법론들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필자는 먼저 방법(method)과 방법론(methodology)의 올바른 정의와 차이점을 설명하기 위해서 조선시대 아낙네들에 의해서 만들어진 ‘조각보’의 비유를 들어 설명하였다. 그런 후에 실행연구 분야의 저명한 학자들이 출간한 논문들을 통해서 CBR과 CBAR의 연구 목적들, 특징들, 정의들, 그리고 기원들 등을 심층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한 가설을 통해 미술교육연구에서 CBR과 CBAR의 연구방법론들을 어떻게 현장연구나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research methodologies for conducting a study in art education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It mainly focuses on defining the terminologies method, methodology, community-based research(CBR), and community-based action research(CBAR). This study also focuses on how to apply CBR and CBAR into the practices of art education that are especially associated with the local communities, such as schools, community libraries, community agencies, churches, youth clubs, ethnic groups, and many other settings. To better understand the meaning of CBR and CBAR, I first give a background that defines the differences between method and methodology using a parable that the process of conducting a research in art education is very similar to the process of making. a Korean patchwork(Jogakbo) created in the 19th century. After defining the meaning of the terms and the principles of CBR and CBAR,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ommunity-based research and community-based action research through a chart that compares the two methodologies in terms of origins, goals, features,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s roles, and other important aspects of research. To address wha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I have reviewed variety books written by prominent scholars in the field of action research and also reviewed two web-sites to give an additional layer to compare the methodologies. Lastly, I mention a hypothesis to suggest one of many ways in which how art educators can apply CBR and CBAR to a research in field-based art education or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