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산소공급이 제한된 상태에서 자란 대장균 하이드로지나아제 동위효소 1 의 순수분리

        정현순,김광표,양철학 ( Hyun Soon Jong,Kwang Pyo Kim,Chul Hak Yang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92 BMB Reports Vol.25 No.4

        The hydrogenase isoenzyme I from anaerobically grown E. coli has been purified to homogeneity. The hydrogenase isoenzyme I was solubilized from the membrane fraction by sodium deoxycholate, and purified by (NH₄)₂SO₄ precipitation, DEAE chromatography, gel filtration by Sephacryl S-300, second DEAE chromatography, and hydrophobic interaction chromatography. This isoenzyme I was purified 56-fold to a specific activity or 34.1 U/㎎ of enzyme, with a recovery of 1.35% as judged by hydrogen microevolution assay. The molecular weight of this enzyme was about 180 kDa. The hydrogenase isoenzyme I was composed of equimolar polypeptides of molecular weights 64 kDa and 30 kDa.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저작인격권침해죄에 관한 시론 - 대법원 2023. 11. 30. 선고 2020도10180 판결을 소재로 하여

        정현순 사법발전재단 2024 사법 Vol.1 No.67

        최근 대법원은 타인의 SNS 게시글 등을 허락 없이 자신의 SNS 게시판에 올린 사건에서 저작인격권침해죄에 관해서 최초로 판단하면서, 저작인격권침해죄가 보호하고자 하는 법익과 보호의 정도, 저작인격권침해죄에서 명예훼손이 인정되기 위한 판단 기준을 자세하게 제시하였다. 대법원은 저작인격권침해죄가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과 함께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사회적 명예를 보호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저작인격권침해죄는 저작인격권 또는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통해서 저작자 또는 실연자의 사회적 가치나 평가가 침해될 위험이 있으면 성립하고 현실적인 침해의 결과가 발생하거나 구체적·현실적으로 침해될 위험이 발생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하였다. 다만 대법원은 저작인격권이나 실연자의 인격권을 침해하는 행위가 있었다는 사정만으로 바로 저작인격권침해죄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면서 여러 객관적인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판단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그동안 저작재산권 침해와 관련해서는 법원이나 학계에서 많은 판결과 연구 성과가 있었으나, 저작인격권침해죄에 대해서는 의미 있는 판결이나 연구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실무상 저작권자는 저작재산권 침해를 주장하면서 저작인격권 침해도 아울러 주장하는 경우가 적지 않고, 특히 우리나라는 저작권자가 저작권 침해에 대해 형사적 구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따라서 저작인격권침해죄에 대한 명확한 판단 기준을 제시하는 것은 실무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저작재산권의 경우 공정이용을 비롯한 저작재산권 제한 규정에 의해서 저작권자와 이용자 사이의 적절한 이익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저작인격권은 공정이용과 같은 이익 조정 규정이 부족하므로 자칫 저작인격권침해죄가 쉽게 인정되어 표현의 자유에 대한 심각한 제한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대법원이 저작인격권침해죄의 보호법익이나 보호정도뿐만 아니라 그 판단 기준을 제시하면서 그 성립 여부에 대한 신중한 판단을 촉구한 것은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Recently, the Supreme Court ruled for the first time on the crime of author’s moral right infringement in the case of posting other person’s SNS posts on one’s own SNS bulletin board without the author’s permission, and presented in detail the legally protected interest (Rechtsgut) and the degree of protection which the crime seeks to protect, and the criteria for recognizing defamation in the crime of author’s moral right infringement. The Supreme Court stated that the purpose of the crime of author’s moral right infringement is to protect social reputation of the author or performer along with the author’s moral right. In addition, if there is a risk of infringing the social value or evaluation of the author or performer through an act of infringing on the author’s moral right, the crime is established even if there is no result or concrete risk of the social value or evaluation infringement. However, the Supreme Court said that author’s moral right infringement does not immediately constitute the crime of author’s moral right infringement just because there was an act that violated the author’s moral right, and that it should be carefully judg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objective circumstances. There have been many judgments and research results in courts and academia regarding copyright infringement, but there have been few meaningful judgments or studies on the crime of author’s moral right infringement. However, in copyright lawsuit practice, copyright holders often claim both copyright infringement and author’s moral right infringement, and in particular, copyright holders tend to prefer criminal remedies for copyright infringement in Korea. Therefore, it is of practical importance to present clear criteria for judgment on the crime of author’s moral right infringement. In the case of the author’s economic right, an appropriate balance of interests is achieved between copyright holders and users through application of limitations on the author’s economic rights, including fair use, but there is a lack of regulations concerning the author’s moral right with regard to adjustment of interests such as fair use, which can easily lead to serious restrictions on freedom of expression. Therefore, the Supreme Court’s call for a careful judgment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rime of author’s moral right infringement, while proposing the legally protected interests and the degree of protection thereof, is very meaningful in terms of guaranteeing freedom of expression.

      • 지식재산권과 독점규제법의 관계 - 독점규제법 제59조와 관련하여 -

        정현순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7 Law & technology Vol.13 No.6

        독점규제법 제59조의 적용제외와 관련하여 지식재산권의 부당한 행사 범위를 각 지식재산권의 공공정책에 위반된 행위와 전통적인 민법 제2조 에 따른 권리남용 및 대법원이 판례로 인정하는 무효임이 명백한 지식재산권에 근거한 권리 행사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볼 경우 이는 독점규제법의 규제범위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개념으로 볼 수 있으며, 이렇게 볼 경우 지식재산권의 부당한 행사에 관한 판단이 독점규제법상의 본 안판단에 선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독점규제법 집행당국이나 법관은 지식 재산권 행사가 문제되는 독점규제법 위반 사건에서 먼저 본래적인 지식재산권 행사와 비본래적인 지식재산권 행사를 구분한 다음 비본래적인 지식 재산권 행사에는 독점규제법 제59조를 적용하지 아니하고 바로 독점규제법상의 본안판단으로 나아가고, 본래적인 지식재산권 행사에 대하여는 먼저 그 권리 행사가 정당한 것인지 여부를 해당 지식재산권의 법 원리에 따라 판단한 다음, 만일 정당성을 결여하여 부당한 권리의 행사에 해당될 여지가 있다면 독점규제법 위반의 본안 판단으로 나아가서 관련시장을 획정하고 경쟁제한 효과를 분석한 다음, 지식재산권 행사에 따른 효율성 증대 효과가 현저하여 경쟁제한적 행위를 정당화할 위법성 조각사유로 인정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면 된다. 이렇게 독점규제법 제59조를 적용하는 것이 적용제외로서의 본조의 성격에 부합하며, 지식재산권의 혁신을 통한 동태적 효율성을 존중하면서 동시에 불필요한 법 집행비용을 절감하게 할 수 있다 In relation to the exemption of Article 59 of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if the scope of unreasonable exerci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hall contain the acts in violation of the public policy of each intellectual property right, the traditional abuse of rights under Article 2 of civil law, and exercise of the obviously invalid intellectual property right, this is a broad concept that could include the scope of the monopoly regulation law. In such a case, judging the unreasonable exerci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ill precede the judgment of the monopoly law. Therefore, firstly the antitrust law enforcement Authority and judge shall distinguish between the intrinsic exerci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nd the non-intrinsic exerci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nextly in the case of the non-intrinsic exercise of the original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rticle 59 is not applied to the case, but intrinsic exerci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must be firstly judged in accordance with the legal principles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to decide whether the exercise of the right is reasonable, and then, if there is a unreasonable exercises, the case can be decided as a main cause of violation of the monopoly regulation law, and then the authority and judge shall define the related market and analyze the effect of competition restriction. Then, authority and judge will consider justifications if the efficiency increase effect on the exercise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 is significant. The application of Article 59 of the Monopoly Regulation Act is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this article as exemption, and it can reduce unnecessary law enforcement costs while respecting the dynamic efficiency through innov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 KCI등재

        저작권법상 데이터베이스제작자 권리 침해에 관한 연구 – 대법원 2022. 5. 12. 선고 2021도1533 판결을 중심으로 -

        정현순 한국저작권위원회 2022 계간 저작권 Vol.35 No.3

        Considering that excessive protection of the database may lead to a reduction in database use or restrictions on information exchange, which in turn may hinder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sharing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current copyright law that protects the database by granting exclusive rights so as not to cause excessive restrictions on the distribution and use of information. Similar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issue of information monopoly in the same way as for the EU Database directive which protects databases in a similar way to ours, and the European Court of Justice tries to reduce this risk by narrowly interpreting the scope of the rights of database producers in the British Horseracing Board judgement. The materials of the database can be protected by misappropriation clause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And the fact that the recent revision of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has added illegal data acquisition to unfair competition is also a change in the environment to be considered in protecting the rights of database producers. Recently, Supreme Court of Korea Decision of 12 May 2022 2021Do1533 has ruled on whether data collection by data crawling constitutes a violation of the rights of database producers according to Copyright Law Article 93. In this judgment, the Supreme Court presented a clear standard of judgment regarding ‘a substantial part of the contents of Database’ and ‘repeated and systematic coping’ which are the requirements for infringement of the rights of database producers, taking into account the above concerns and changes in the environment. 데이터베이스의 지나친 보호는 데이터베이스 이용 위축이나 정보 교류에 제한을 가져와 결과적으로 정보의 공유를 토대로 하는 학문과 과학기술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배타적 권리 부여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보호하고 있는 현행 저작권법 적용에 있어서 정보의 유통, 이용에 과도한 제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석할 필요가 있다. 우리와 비슷한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보호하는 유럽 데이터베이스 지침(EU Database directive)에 관해서도 이와 같은 정보 독점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 바 있으며, 유럽 사법재판소는 British Horseracing Board 판결 등을 통해서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 범위를 좁게 해석함으로써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한편 데이터베이스의 소재 자체는 부정경쟁방지법의 성과 도용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최근 부정경쟁방지법 개정으로 데이터 부정취득이 부정경쟁행위에 추가되었다는 점도 데이터베이스제작자 권리 보호에서 고려해야 할 환경 변화라고 할 것이다. 최근 대법원 2022. 5. 12. 선고 2021도1533 판결은 웹 크롤링에 의한 데이터 수집이 저작권법 제93조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 침해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해서 판결한 바 있다. 대법원은 이 판결에서 위와 같은 우려와 환경 변화를 고려하면서 데이터베이스제작자의 권리 침해 요건인 ‘상당한 부분’ 및 ‘반복적・체계적 복제’에 관해서 명확한 판단기준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