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후반 대중소설 속 지식인 청년상 고찰 -이근영의 「제삼노예(第三奴隸)」와 엄흥섭의 「인생사막(人生沙漠)」을 중심으로

        정하늬 ( Ha Nie Ju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4

        This paper purposes to consider how young intellectuals are represented in the popular novels of the lateer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especially in Lee Gun-Young``s The Third Slave (「第三奴隸」) and Um Heung-Sup``s The Desert of Life (「人生沙漠」). In Lee and Um``s novels, the real situations of Joseon intellectuals and farmers in the Colonial Period were represented. But during the late 1930``s, when Japanese regulations were getting reinforced, the writers could not help but write popular novels in order to avoid censorship. The Third Slave (「第三奴隸」) and The Desert of Life (「人生沙漠」) are also kinds of popular novels, but in these novels, we can find the ``real`` representation of young intellectuals of Joseon who could not find any visions and who were not cheerful far from the Japanese discourse. And along with this, the new prospects of the young intellectuals of Joseon were suggested. Especially, the romance of these novels showed more than a melodramatic story; it demonstrated issues such as the importance of intellectuals`` ethical relationship with money and conviction (in The Third Slave) or the relationship of comrades that is conviction-oriented.

      • KCI등재

        이상(李箱)의〈失花〉에 나타난 도시 ‘동경(東京)’의 의미 연구

        정하늬(Jung Ha-nie)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6

        본고는 이상(李箱)의〈실화(失花)〉에 나오는 도시 ‘동경’의 의미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은 조선이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식민지가 된 후, 식민지 수도 경성에서 나고 자랐으며, 근대적 교육을 받고 총독부의 기수로 일하기도 한 근대 도시인이었다. 그렇지만 김기림의 평처럼, 그는 ‘문명의 깨어진 메커니즘’과 ‘시대의 깊은 상처’를 읽어낼 줄 아는 눈을 가진, ‘한줄기 첨예한 양심’을 가진 작가였다. 이상은 작품 전반에 걸쳐서 그만의 수사학적 방법, 즉 ‘위트와 패러독스를 포석처럼 늘어놓는’ 방법으로 시대와 현실을 비판적으로 보는 글을 썼다. 개인의 사상이 시대를 이끌 수 없는 현실에 개탄하면서도 그만의 방법으로 그가 본 현실의 비밀을 낱낱이 폭로한 것이다. 이상은〈실화〉에서 제국주의적 자본주의의 실험장으로 사용된 식민지 조선, 특히 경성의 현실과 그것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따르기만 하는 도시인의 모습을 생명력을 잃고 ‘GO STOP’ 신호에만 맞춰 오가는 군중의 모습으로 묘사했다. 그리고 그것을 이중, 삼중의 관계를 맺으면서도 사랑 운운하는 여인 ‘연’과 자기, 또 다른 연의 남자라는 삼각관계 속에 넣어서 표현했다. 그에게 경성은 본질은 겹겹이 싸서 감춰두고 온갖 변신술과 야웅 놀이로만 가득 찬 애인 연이의 모습과도 같은 곳이었다. 이 소설은 경성의 야웅의 천재 연이의 비밀을 동경의 C양이 읽어주는 소설을 통해 드러내고, 연이의 모습 속에 숨겨진 경성의 모습을 말하고, 그러한 야웅 놀이가 경성뿐 아니라 동경에서도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경성과 동경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연이가 변신술의 천재, 야웅의 천재라면 ‘나’ 즉 이상은 ‘불우의 천재’이다. 조선과 식민지 현실, 그 공간을 잠식해 들어간 제국주의적 자본주의의 허상을 꿰뚫고 있는 ‘천재’ 이상이지만, 그에게는 그 비밀을 마음껏 풀어낼 지면도 적당하지 않고 열정적으로 자기를 소진할 건강도 없을뿐더러 풀어낸다 해도 그 비밀의 의미를 알아챌 수 있는 사람도 별로 없기 때문이다. 그는 그런 자신을 불우의 천재라고 하며, 그래도 자신의 남은 일, 비밀을 마저 밝혀내는 일을 하기 위해 동경으로 건너간다. 식민지 조선의 본국인 일본의 심장 동경의 비밀을 파헤치기 위해 그는 쇠약한 몸으로 동경을 걷는다. 그가 본 동경의 현실은 경성과 다를 바 없다. 세계를 한 곳에 축약해 놓은 것 같은 맥주홀의 사람들은 모두 야웅의 천재들이며 그들 역시 근대라는 허상에 뒤떨어지지 않기 위해 온갖 포즈로 위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은 그러한 ‘20세기 식’을 따르지 못하는 이상을 슬픈 눈으로 본다. 이미 모든것을 알고 있는 이상은 그들의 요구에 부합하듯 슬픈 포즈를 지을 뿐이다. 그리고 그는 그러한 모든 현실에 작별을 고하듯 20세기의 꽃, 조화 백국을 상장처럼 자기 왼편 깃에 꽂는다. 이상의 표현대로 19세기 식 도덕성을 가진 자는 동경에서도 경성에서도 절름발이로 살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이상은 동경 거리에서 그 조화를 잃어버리고, 20세기 식에도 작별을 고한다. 생명력이 없는, 야웅의 천재들로 가득한 근대의 두 도시 경성과 동경에 대한 불우의 천재의 헌화인 셈이다. This study aims to inquiry the meaning of the city 'Tokyo' in Lee Sang's 'Silhwa(실화, A Lost Flower)'. Lee sang was born and raised in Kyeongsung, the capital of Joseon a colony of Japanese Empire. He had the modern education and had a job in the government-general. However, as Kim Ki-lim said, Lee Sang was a writer who had eyes to read 'the broken mechanism of culture' and 'the deep wound of the era' and had 'a stripe of sharp conscience'. Lee critically expressed the facing reality using his unique rhetoric in his whole works which he called the way 'arranged the wits and paradoxes in strategic positions'. He revealed the secrets what he saw and sensed with his own way though he deplored the situation that the individual's own thoughts could not lead the reality. In this short story, Lee described the people of Kyeongsung as a crowd who moved to the 'GO STOP' sign without any critical thoughts and vitality. They just accepted the ruling ideology and the reality of Kyeongsung uncritically. Lee put this situation in the Kyeongsung's love story with Yeon who has two or three folded relationship with many men On Lee's view, Kyeongsung has the same character of Yeon's relationship that enveloped many times and hid the essence, and it was filled with the imitations and poses made by all kinds of disguised things. 'Silhwa' has dual structure, the story of Kyeongsung and Tokyo. Lee reveal the secret of Yeon, a genius of 'Yaung' in Kyeongsung. And he showed the hidden appearance of Kyeongsung through the secret of Yeon. Through the story of Tokyo, he showed that play of Yaung had already happened in Tokyo either. If we can call Yeon as a genius of 'Yaung'(disguising)(야웅의 천재), we can call Lee Sang, ‘I', as an unlucky genius(불우의 천재). He was a genius who penetrated Joseon's colonial reality, and false images of the imperialistic capitalism. He did not have proper pages of a journal to write the secrets to his satisfaction, he did not have a physical health to consume himself with a passion, and there were a few people who could understand what he expressed as well. Lee called himself an unlucky genius and he went to Tokyo to do his job that is to reveal remained secrets of Empire. He walked and looked every corner of Tokyo. The reality of Tokyo had no difference with the Kyeongsung's. People in the bar called 'NOVA' was the genius of Yaung without exception, and they also camouflaged themselves with a pose of modern or modernist not to fall behind the false of modern. They looked 'I' with a sad look as if he did not and could not follow 'the way of the 20th century'. Nevertheless Lee had already known everything about their poses of the 20th century, he made himself a sad expression as if he corresponded with their needs. Then he tucked an imitation flower Miss C gave to him in the left collar of his coat like a mourning badge, as if he said good-bye to all kinds of false and vile images of modern Kyeongsung and Tokyo. A man who had the 19th century's moral said had to live as a lame person. But he refused modern life and he lost his imitation flower. It was an unlucky genius' a floral tribute to two cities full of geniuses of Yaung and things without vitality.

      • KCI등재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에 나타난 한국전쟁의 경험과 정체성 형성 과정

        정하늬(Jung, Ha-nie)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8 No.-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은 이념 전쟁이자 생존 투쟁의 장이었던 한국전쟁을 ‘시장’과 ‘전장’을 통해 보여준다. 이 소설은 전쟁 체험을 기록하면서 이념의 허위를 보여주는 데 그치지 않고, 전쟁으로 인해 전쟁 이후의 삶을 견인할 수 있는 정체성을 형성 과정을 보여준다. 자기 자신을 우위에 두고 결벽성을 내세워 가족들을 밀어내고 집에서 도망했던 지영, 차가운 이념 주의자 기훈은 전쟁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만나고 새로운 관계를 맺으며 변화된 정체성을 만들어간다. 지영은 집에서 전쟁을 버텨내며 개인의 신념과 무관하게 승기를 잡은 이념에 의해 삶이 위협받는 경험을 한다. 애도조차 할 수 없는 가족 구성원의 부재를 견뎌낸 지영은 살아남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한다는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관계를 통해 깨닫고, 파괴된 집을 떠나 비로소 주체적 존재로 서게 된다. 기훈은 스스로 인정하지 못하는 시인이자 휴머니스트였다. 그러나 가화를 만나고 장덕삼을 만나면서, 그는 자신이 사랑한 이념에는 사람이 없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기훈이 새로 맺은 관계를 통해 그는 시인이자 휴머니스트였던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미래를 꿈꾸게 된다. 한국전쟁의 경험을 통해 지영은 주체적인 인물로 거듭날 준비를 마치게 되고 기훈은 이념의 허상을 깨닫고 진정한 정체성을 찾게 되었다. 전쟁 경험은 삶을 움직이게 하고 그에 맞춰 정체성도 변화하게 만들었다. 이렇게 소설 속 인물들의 정체성의 추이를 통해 이 작품을 새롭게 독해할 수 있을 것이다. Park Kyung-ri"s Market and the Battlefield shows the Korean War, which was a battlefield for ideology and survival, through "Market" and "Battlefield." The novel not only records the experiences of war, but also describes the process of creating a sense of identity that leads to life after the war. Ji-young, who had her own superiority, pushed her family away and ran away from home, and Ki Hoon, a cool-headed ideologist, meet other people through war and create a new relationship and a new identity. Through the Korean War experience, Ji-young is ready to be reborn as a leading figure, and Ki-hoon realizes the illusion of ideology and regains his true identity. The experience of war has moved their lives and changed their identity. In this way, the character"s identity in the novel can be read anew.

      • KCI등재

        `신시대` 과학기술·과학기술자의 표상 - 이광수의 『사랑』과 이북명의 「빙원」을 중심으로 -

        정하늬 ( Jung Ha-ni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7

        이 논문은 중일전쟁 이후 과학(기술)자 표상이 등장하는 소설 중 이광수의 『사랑』과 이북명의 「빙원」을 중심으로 일제 말기의 소설에 나타나는 과학기술 또 과학기술자의 표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사랑』은 일제 말기에 많이 등장했던 과학(기술)자인 `의사`를 주인공으로 하고 빙원 은 토목기술자를 주인공으로 한다. 중일전쟁 이후 `과학기술`에 대한 담론이 여러 매체에 많이 등장하고 그 영역을 담당하는 과학(기술)자가 소설 속 인물로 자주 등장하지만 본고에서 특히 이 두 작품에 집중한 것은 기초과학을 기반으로 한 의학을 다루는 과학자로서의 의사와 `기술`의 영역에 집중하는 과학기술자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는 의도 때문이다. 이 시기의 소설은 일본의 총력전 체제에서 자유롭지 못해, `학`으로서의 과학이든 `술`로서의 과학이든 일본 제국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사랑』에서는 의학도 인간을 위한다는 과학의 정신과 기술이 조화를 이루는 것이어야 한다는 점을, 「빙원」에서는 제국의 이데올로기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기술이 주변으로 눈을 돌려 보면 그 목적을 인식하고 회의주의에 빠질 수밖에 없게 만든다는 점을 찾아볼 수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representation of the scientific technology, scientists and engineers during the late Japanese colonization called the `New Era`. In the novel, Lee Gwang-su`s The Love, the idealistic doctor An Bin showed what the doctors have to do for the people. He was a scientist and a doctor. An`s medical practice was based on science. He was different from the other doctors who did their work just for money or for following the ideology of the Empire. An`s work was based on the understanding human beings, so it could be seen as a form of idealism. Lee Buk-myung`s "The Ice Field" shows how the scientific technology was used as a tool for the extension of the Empire`s power. Choi Ho believed his knowledge of technology would be used for the people, but actually the construction made the native residents homeless. It implies that when they look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struction site, they could be drawn to skepticism.

      • KCI등재

        한국전쟁의 기억과 전후(戰後)의 정체성 -황순원의 『나무들 비탈에 서다』를 중심으로

        정하늬(Jung, Ha-Ni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71

        한국전쟁은 각기 다른 종류의 전쟁이 섞인 전쟁이었다. 이 전쟁은 공동체내 인간관계를 의심하게 만드는 폭력적인 전쟁으로, 참전해 싸웠던 젊은이들뿐 아니라 삶의 터전에서 전쟁을 맞닥뜨려야 했던 모든 이들에게 보이지 않는 멍을 남겼다. 이 연구에서는 황순원의 『나무들 비탈에 서다』(1960)를 대상으로, 휴전을 즈음한 시기의 전쟁 경험이 전쟁에서 살아남은 자들의 전후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정체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소설은 제목처럼, 분단과 전쟁으로 상처를 입은 청년 세대들이 비탈까지 내몰릴 수밖에 없는 현실을 그린다. 이 소설의 1부 마지막에서 동호는 “대체 우린 피해잘까 가해잘까”라는 질문을 던지는데, 소설을 관통하는 이 질문은 전쟁 경험 세대의 인식의 확장을 유도한다. 전쟁에서 살아남은 모두는 전쟁의 상처를 살아갈 수밖에 없으며, 생존을 위해 자신에게 의미 있는 타인들과의 관계를 깬 가해자이기도 했다. 피해의식에서 벗어나 피해자일 수도 있고 가해자일 수도 있다는 인식이 전제되어야 전쟁을 경험한 이들은 전쟁의 상처를 마주하고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 소설은 ‘가지치기’의 비유를 통해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고난을 감수하고 필요 없는 가지를 쳐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전후의 새로운 정체성 확립 과정은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상처와 마주하고 끊어졌던 관계를 회복하는 등 자기 객관화와 고단한 치유과정을 견뎌내야 한다. 결국 이 소설은 인용된 예레미야의 선포처럼, 상처 뒤의 회복을 향해 나아가는 삶에 대한 긍정을 이야기한다. The Korean War was a mixture of different kinds of wars. This war was a violent war that made people doubt human relationships in the community, leaving invisible bruises not only to the young people who fought in the war, but also to all those who had to face the war on their homes. In this study, Hwang Soon-won"s Trees, Standing on the Slope(1960) focused on the issue of identity as to how the war experience at the time of the ceasefire affected the postwar lives of those who survived the war. As the title suggests, the novel depicts the reality that young generations hurt by division and war are forced to go on the slopes. At the end of the first part of this novel, Dongho asks, “Are we victims or perpetrators?” This question penetrating the novel induces the expansion of the perception of war-experienced generations. Everyone who survived the war had no choice but to live through the wounds of the war, and was also an assailant who destroyed relationships with ‘meaningful others’ to them for survival. Only when they are aware that they can be victims and perpetrators can they face the wounds of war and heal themselves. The novel emphasizes that if you want to bear fruit through the metaphor of “branching,” it is necessary for bear the pain and hardships, and cut out unnecessary branches. In order to heal the wounds of wa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new identity after the war must endure the painful healing process, such as facing the wounds and restoring the broken relationship. In the end, this novel, like Jeremiah’s declaration, talks about the positivity of life moving toward recovery.

      • KCI등재

        이태준의 〈별은 窓마다〉에 나타난 도시

        정하늬(Jung Ha-nie)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8

        Byeoleun Changmada(Stars Every Window, 〈별은 窓마다〉) of Lee Tae-jun was published serially in the magazine The New Era(신시대) from January 1940 to June 1941. In this novel, it is in the cities, that it all happens. The cities of Byeoleun Changmada show how Lee underst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true and how such understanding affected his aesthetic sense. In the present paper I aim to analyze the "reality" of the world as Lee Tae-jun saw it. The focal point of my discussion will be the way in which Lee accepts the ruling discourse of the Imperial system, how Lee expresses this, and how he tried to realize his ideal of constructing 'the cultural city'. The city of Tokyo where Jeong-eun and Ha-yeong studied was the heart of the Japanese Empire. In this novel, Tokyo is represented as a place of culture. Here, 'culture' is something that has been politically aestheticized. Jeong-eun's idea of beauty changes after she comes back to Tokyo from Seoul. They draw the totalitarian ideology spreading in Tokyo to their field of beauty. Although unconsciously, they are accepting the system of fascism. In this novel, three capital cities become the setting, Tokyo(東京) of Japan, Seoul(Kyeongseong, 京城) of Joseon and Shinkyeong(新京) of Manchuria. Joseon and Manchuria were colonies of Japan. Even though the three nation is part of one geo-political empire and these three cities were in the same zone of life following one political structure, these cities are ranked. Tokyo holds a prominent position, although Seoul was one of a modern metropolis. And Manchuria was still undeveloped and in a sense it could be an ideal place. In that respect, Shinkyeong was a testing ground for Japanese ideology and for Ha-yeong's ideal. While studying Architecture in Tokyo, Ha-yeong maps out the aestheticized fascist world which constituted Tokyo as his aesthetic province. The journeys that he takes from Tokyo to Seoul and back helps him conceptualize it. Ha-yeong is especially interested in the construction of a house and it becomes the basis of his theory on city-construction. His interest lies not in modern individuals or in a few upper class people, but in mid-lower class people of Joseon. It shows that he was inclined not toward modern individualisn but toward totalitarian of fascism. He also take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acticality. He wants people to live in comfort. For this, 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ulture. For him, culture is beauty. He affirms the beauty of Joseon but he flatly and strongly denies the mixed style or 'fusion' style that is "neither a Western-style building nor a Joseon-style building". Ha-yeong emphasizes that his dream city is based on a strong criticism of following the western style. He thinks that architecture is culture and that this culture "has to be accompanied by an architectural campaign". For Ha-yeong, culture is for the Joseon people, and it should be practical and reasonable, reflecting the system of the empire. 이태준의 〈별은 窓마다〉는 일제 말기 신체제 하의 도시를 다루는 작품이다. 이태준은 이 작품에서 세 개의 도시, 조선의 경성(京城)과 일본의 동경(東京), 만주의 신경(新京, 옛 장춘)의 모습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신체제 담론이 어떻게 도시를 통해 나타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도시 표상을 통해 나타난 이태준의 현실 인식은 이태준의 미의식과 연결된다. 이태준은 제국의 지배담론이었던 신체제를 도시를 위계화시키면서 보여준다. 주인공 정은과 하영이 유학을 하고 있는 동경은 최첨단으로 가득찬 도시이면서 일제 말기, 전시의 지배 담론이 배어 있는 모습을 동시에 보여준다. 주인공들은 같은 근대 도시이지만 경성보다는 동경을 더 나은 곳으로 생각하고, 경성은 동경의 근대성에는 못 미치는 곳으로 인식한다. 만주국 신경은 일제가 계획도시를 지으려 했던 곳으로, 정은이나 하영에게도 그곳은 아직 미정형의 땅, 실험장과도 같은 땅으로 인식된다. ‘부훗댁 영양’ 정은은 유리나 별을 좋아하는 색다른 미적 감수성을 가진 사람이었으나, 열정이 가득한 청년 하영을 만나고 그가 가진 ‘조선적인 것’에 대한 생각을 듣고 그와 미의식을 공유하면서 정은의 미의식은 바뀐다. 정은의 미의식이 바뀌자 최첨단의 유행 상품이 즐비한 곳 동경은 실용성을 강조하는 상품이나 총후 부인의 역할이 강하게 드러나는 곳으로 바뀌었다. 또 하영에게도 동경은 자신의 이상을 공부하고 수련할 수 있는 곳이다. 이상 도시를 건설하는 것이 꿈인 하영은 조선적인 것에 대해 남다른 생각을 갖고 있다. 그는 몇 안 되는 부자들을 위한 건축이 아니라, 대다수의 서민들을 위한 집이자 소위 말하는 퓨전 식을 지양한 조선적인 멋이 그대로 드러나는 집을 짓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영은 이런 생각을 가진 채로 실험장인 만주로 발령을 받아 그곳에서 일제의 계획 도시를 만드는 일에 참가한다. 하영의 이상도시는 조선적인 것과 근대를 비판적인 안목으로 바라본 후, 조선인을 대상으로 그것을 이상화한 것이다. 이 실용성을 강조하지만 정신적인 아름다움을 견지해야만 하는 하영의 이상도시는 그래서 일견 모순되는 점이 보인다. 이는 이태준이 당대의 일본 제국주의 말기의 지배 담론에 기대고 있기는 하지만 기존 담론을 넘어선 이상화된 것을 꿈꾸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대학교 문학 전공 교과목의 전공연계글쓰기(WAC) 수업 제안 - 국어국문학과 문제해결형 수업을 중심으로 -

        정하늬(Jung, Ha-Ni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과학연구 Vol.- No.68

        대학교의 문학 전공 교과목에서 보고서 작성은 글쓰기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에게도 쉽지 않은 영역의 글쓰기인 듯하다. 문학 전공 교과목에서 과제에 해당하는 보고서 제출은 거의 필수 사항처럼 여겨지지만 많은 학생들은 문학전공 교과목의 학문적 규범과 체계를 쉽게 숙지하지 못한 채 보고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문학 전공 교과목을 문제해결형으로 설계하고 그에 따라 수업했을 때, 수업 중에 이루어지는 비형식적인 짧은 글쓰기(WTL)과 형식을 갖춘 보고서(WID)의 간극이 큰 경우도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문제해결형 수업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전공연계글쓰기(WAC)을 접목할 것을 제안한다. 이 글에서는 국어국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개설된 <현대문학연습>을 문제해결형 수업으로 진행한 사례를 제시하면서 그 수업에서 필요성을 느끼게 된 전공연계글쓰기 접목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문제해결형 문학 전공 교과목 수업에서 전공연계글쓰기를 접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Writing a report for university literature major subjects seems to be a difficult task for students who have completed a composition course. Although submitting a report on a major in literature seems almost necessary, many students do not know the academic norms and systems of major in literature easily. In particular, when literature majors were designed to solve problems and taught accordingly, there was a large gap between informal short writing (WTL) and formal reports (WID) conducted during classes. As a way to solve these problems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oblem-solving classes, it is suggested to combine WAC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In this article, we will present a case in which the "Modern Literature Exercise" for fourth graders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was used as a problem-solving course,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grafting WAC.

      • KCI등재

        이상의 〈地圖의 暗室〉에 나타난 ‘모조’ 이미지 연구

        정하늬(Jung Ha-nie)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5

        이 글은 이상의 〈地圖의 暗室〉에 나타나는 모조 이미지들의 양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조 이미지는 이상의 작품에서 자주 반복되는 이미지 중 하나로, 매우 다양한 형태로 변주되어 나타나는 이미지이다. 이상은 이 모조 이미지를 통해 그의 근대에 대한 생각을 드러내 보인다. 일본의 식민지 수도이자 조선의 수도인 경성은 매우 문제적인 공간이다. 이 소설의 배경이 되는, 그리고 이상이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하였던 1930년대에 경성은 이미 제국주의적 자본주의에 의해 축조되고 재편된 하나의 근대 도시이자 대도시였다. 이 시기 동안 경성은 매우 많은 부분에서 변화하였다. 이상은 이 경성에서 나고 자랐다. 그는 내내 경성이 도시화가 되고, 점점 대도시가 되는 것, 근대의 축도가 되는 것을 보면서 자랐다. 그가 본 것, 또 그가 배운 근대의 건축학 역시 근대의 산물이었다. 그렇지만 그는 근대 사회의 모순을 그 공간 안에서 발견하였다. 이상의 많은 작품들에는 그가 발견한 이러한 모순이 다양한 모습을 통해 드러난다. 그는 자신과 같은 지식인이나 자기의 사상이 당시의 근대라는 현실을 이끌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그는 그가 파악한 근대를 위트와 패러독스, 모조 이미지를 통해 비판할 수밖에 없었다. 이상의 모조 이미지는 그러므로 근대를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보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지도의 암실〉은 1932년에 발표된, 이상의 두 번째 소설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1931년의 〈삼차각설계도〉와 1934년의 〈오감도〉 연작의 사이에 놓이는 작품이다. 본고에서 다룰 모조 이미지와 관련된 이상의 사상은 모두 시의 형태로 〈삼차각설계도〉 혹은 1931년에서 32년 사이에 쓰여진 작품 안에 녹아들어 있으며, 이것이 처음 소설화된 것이 바로 본고에서 다룰 〈지도의 암실〉이다. 이런 측면에서 이 작품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은 근대 도시를 저급한 모방품으로 뒤덮여 있는 곳으로 파악했다. 그것은 원본으로부터 몇 단계나 떨어져 있는 것이다. 그는 지배 담론이나 이데올로기에 무비판적으로 맹목적으로 따르는 근대인을 조롱하였다. 그는 근대 도시 사회를 거대한 동물원, 자연을 흉내 낸 것들로 가득한 동물원에 비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근대 도시를 ‘그의 천문학’과 대비시킨다. 이 별에 가장 가까운 산 위에 있는 공간은 여전히 원본인 별과 태양과 풀들이 있는 곳이다. 이상은 이 두 공간을 모두 답보하면서 그가 본 것, 느낀 것, 경험한 것을 보여준다. 천문학의 공간을 통과하여 다시 근대 도시로 내려왔을 때, 그는 훼손된 신체의 이미지와 그것의 대체물인 ‘저고리’를 통해 산 아래의 도시가 얼마나 생명력이 없는 공간인지를 보여준다. 이상이 이러한 모조 이미지들을 통해 말하고자 한 것은 바로 원본의 감추어진 생명력이다. 이것이 바로 이 소설의 제목에도 잘 드러나 있다. 이상은 이 모조로 가득 찬 도시에서 벗어나서 천문학이 작동하는 영역으로 이동하기를 원한다. 그곳에 이르는 길이 바로 아직 한 번도 가 보지 못한, 한 번도 건설되지 않은 바로 그 곳이며, 그 곳의 지도를 암실에서 그리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aspects and the meanings of the images of imitations in Lee Sang's 'A Darkroom of a Map(「지도의 암실」, Jidoui Amsil)'. The image of imitation is one of the main images repeating in Lee's works. As this images are shown in various forms, it offers Lee's thoughts on the 'Modernity' Kyungsung, the capital of Chosun and a colony of Japan, is very questionable. In 1930s, imperialistic capitalism made Kyungsung a modern city, so to speak a metropolis. In a decade, Kyungsung was changed a lot in all respects. Lee Sang was born and raised in this city where the urbanization was continued. What he saw and learned was the products of the modernity. Yet he had found the contradiction of the modern society where he lived. Many of his works, he mentioned about it in many different ways. Lee recognized that the intellectual like himself or the thoughts that he had could not lead the situations of those days. Thereupon, he criticized that modernity with the world full of imitations and paradoxes which ha made. That is, Lee Sang's the image of imitation takes a role to see the modernity in other way. 'A Darkroom of a Map(「지도의 암실」)' which I treat is written in 1932, the second novel of Lee's novels, and in the middle of the process from 'Samchagak Sulgyedo(삼차각 설계도)' in 1931 to 'Ogamdo(오감도)' series in 1934. That means, through the image of imitation in this novel, he wanted to show his modern critical and overcoming thoughts which he had already indicated in his Japanese writing poems between 1931~1932. Lee Sang grasped the modern city as a place covered with the lower imitations which was fallen apart from the original form(the Form). He made mock of modern citizen who was leaded by that dominating narrative or ideology and who was busy to mimic the modernity. For this criticism, Lee compared the modern society with a huge zoo as a imitation of the nature, and contrast it with "his astronomy" where the stars, the Sun, and the grass are. Lee walked through these places and described what he saw, felt, went through with the images of the cut body and a substitute for the cut body, a shirts(‘저고리’). We shall see that what Lee Sang wanted to tell with these images of imitations is the veiled vitality of the original. That is the meaning of the title, 'A Darkroom of a Map'. Therefore, the purpose of Lee's works is making a map for 'yet to construct, yet to sail' in the map called 'the modernity' and in a dark age of the thoughts which none could see anything.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