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읽기부진 학생을 위한 읽기유창성 지원시스템 사용성 평가

        정평강,김종훈,김중훈,안서헌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 Vol.20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부진 아동을 위한 읽기유창성 지원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통해 그것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아울러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개선점에 대한 의견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총 16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은 읽기유창성 지원시스템에 대한 가이드북을 읽고 테스트 주소를 통하여 충분히 탐색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진 후, 유용성(5문항), 편리성(16문항), 편의성(3문항), 만족도(3문항)를 묻는 사용성 평가지를 완성하였다. 각 문항은 5점 평정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지막에는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개선점에 대한 자유의견을 기술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읽기유창성 지원시스템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유용하고(평균 4.79), 각 구성요소를 작동하기에 편리하며(평균 4.77), 사용하기 쉽고(평균 4.71),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평균 4.81). 추가적으로, 웹 사용 환경, 학급 및 학생 구성, 온라인 검사 도구의 실시 및 채점, 교재 및 보고서와 관련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읽기유창성 지원시스템은 읽기가 어려운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 현장에서 유용하고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ability of a reading fluency support system(RFSS) for students at risk in reading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In addition, we explore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to upgrade the system. Methods: A total of 16 elementary education teachers completed a usability survey including questions about usability (5 items), ease of use (16 items), ease of learning (3 items), and satisfaction(3 items) after exploring the RFSS through a testing site. The participants answered on a 5-point Likert scale for each item, and they provided suggestions for an open-ended question regarding the ways to improve the RFSS. Result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the RFSS as a useful, easy-to-use, and easy-to-learn system, and their overall satisfaction was high. In addition, teachers provided suggestions regarding web environment, classroom and student management, administration and scoring of online assessment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and report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eachers can use the RFSS effectively to support students struggling with reading.

      • KCI등재

        슈퍼비전을 적용한 학교 밖 전문기관 연계 체계적 읽기 프로그램의 효과

        정평강,김중훈,박세은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슈퍼비전을 적용한 학교 밖 전문기관 연계 체계적 읽기 프로그램이 난독증 및 읽기부진 학생의 음운처리 및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초등학교 3~4학년이었으며, 총 18명이었다. 문해교육 전문가인 슈퍼바이저는 학교 밖 전문기관의 중재자에게 중재 기간 전반에 걸쳐 집중 연수와 지도 방향, 자료 등에 대한 슈퍼비전을 제공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중재자는 대상 학생의 읽기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체계적 읽기 프로그램을 18~20회기 실시하였다. 또한 학부모와 담임교사, 중재자 간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가정과 학교에서도 일관되게 교수하도록 노력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한 결과 음운처리능력(음운인식, 음운기억, 빠른 이름대기)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성취도에서는 단어 읽기와 읽기 유창성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ystematic reading intervention with application of supervision in connection with out-of-school professional institutes on phonological processing and reading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For the study, a total of 18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3-4 were participated. A supervisor, a literacy expert, provided intensive and consistent supervision to instructors at an out-of-school professional institution throughout the intervention period by suggesting instructional directions and materials for teaching the students. The instructors provided the systematic reading intervention designed to meet the students’individualized reading needs in 18-20 lessons for each student. In addition, parent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tried to teach the students at home and school, using the same instructional approach. The results of Wilcoxon Signed Rank tes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on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rapid naming in phonological processing of the students. In addition,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found for word reading and reading fluency in reading achievement. The researchers proposed suggestions and future research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을 통한 장애학생 문제행동 개선 효과: 사례연구

        정평강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8 청소년복지연구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he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general schools. Target behaviors were determined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behaviors; for example, pinching behavior in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observed, and attachment behavior toward his mother i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observed. An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consisting of setting events and antecedent interventions, alterna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and consequence interventions was designed based on results from functional assessment and it was implemented for 20 week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students’ problem behaviors decreased. After the intervention started, the mean frequency of behavior was below than that was in baseline for two students. This trend continued after a summer break when the intervention was not delivered. In addition,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efficacy,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did not receive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Limi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the educational field were discussed. 본 사례 연구의 목적은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이 일반 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중학생과 자폐성장애 고등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학생의 행동 특성에 따라 목표행동을 결정하였다. 지적장애 학생은 꼬집기 행동, 자폐성장애 학생은 어머니에 대한 애착행동을 목표행동으로 정하여 관찰하였다. 기능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배경사건 및 선행사건 중재, 대체행동 교수, 후속결과 중재로 구성된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고안한 후, 20주 동안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은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빈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가 시작된 후, 두 학생들의 문제행동 빈도의 평균은 기초선 기간 동안의 문제행동 빈도의 평균보다 낮았다. 이와 같은 경향은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가 제공되지 않은 여름방학 기간 이후에도 지속되어, 여름방학 기간 이후에 측정한 문제행동 빈도의 평균이 기초선 기간 동안의 문제행동 빈도의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하여,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은 특수교사의 교사 효능감을 향상시키고, 같은 학급에 있는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하지 않았던 장애학생들, 연구에 참여한 장애 학생의 학부모와 특수교사와의 의사소통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개별화된 긍정적 행동지원의 교육 현장 적용에의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급단위 시범읽기를 활용한 반복읽기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

        정평강,김중훈,송푸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 Vol.18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학급단위 시범읽기를 활용한 반복읽기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일반학급에 있는 아동의 읽기수준(상, 중, 하)에 따라 다른 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아울러 연구에 참여한 일반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급단위 시범읽기를 활용한 반복읽기의 효과와 적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9명의 일반교사와 48명의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이 참여하였다. 교사들은 시범읽기를 활용한 반복읽기 교수를 6주~8주 동안, 주 2~4회, 1회기에 약 17분 동안 실시하였다. RA-RCP 읽기유창성(이야기글, 설명글), RA-RCP 읽기이해(이야기글, 설명글), KOLRA 읽기이해 검사를 교수 시작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생의 읽기수준을 개체 간 요인, 사전사후 검사 시점을 개체 내 요인으로 적용하여 혼합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급단위 시범읽기를 활용한 반복읽기는 학생들의 읽기유창성(이야기글, 설명글)과 읽기이해(이야기글, 설명글, 문장단위)를 유의하게 향상시켰으며, 학생들의 읽기수준에 따라 유의하게 다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학급단위 시범읽기를 활용한 반복읽기가 학생들의 전반적인 읽기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끼쳤다고 생각하였으며, 교수 방법과 교수 요소, 이후에 적용 여부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적용한 학급단위 시범읽기를 활용한 반복읽기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ass-wide repeated reading with audio-recorded modeling on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of early elementary students in general education classrooms. We examine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lass-wide repeated reading with audio-recorded modeling depending on the students’ level of reading performance(high, average, and below average). We also examined the perceptions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vis-à-vis the effects and application of classroom repeated reading. Method: Nine general educatio teachers and 48 students in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eachers delivered class-wide repeated reading with audio-recorded modeling, 17 min per session, 2- to 4 times each week, for 6- to 8 week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A-RCP reading fluency subtests(narrative and expository text), RA-RCP reading comprehension subtests(narrative and expository text), and KOLRA reading comprehension test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Teacher participants agreed that class-wide repeated reading approach enhanced the students’ overall reading performance. The intervention resulted in positive attitudes in terms of instructional methods, components comprising the intervention, and its future us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lass-wide repeated reading with audio-recorded modeling approach had a positively impacts on the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of students in their early elementary grades.

      • KCI등재

        중재반응모형 기반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양육시설에 있는 초등학교 읽기위험 및 장애학생의 읽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평강,김중훈,정가희,김가영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3 특수교육 Vol.22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RTI를 적용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양육시설에 있는 초등학교 읽기위험 및 장애학생의 읽기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추가적으로 RTI 단계별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수 형태와 교수 영역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아동양육시설의 초등학생 52명이었다. RTI 중재는 총 두 차례(1차, 2차)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차수별로 각각 주 2회씩, 한 회기에 40분, 20회기를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결과, 위험군 학생은 한글해득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단어인지는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관심군 학생은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TI 단계별 교수 형태 및 교수 영역을 살펴본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소그룹 형태의 교수가 필요한 아동의 수는 줄어든 반면, 개별화 교수가 필요한 아동의 수는 증가하였다. 또한 한글해득 및 단어 인지, 읽기유창성 교수를 받은 아동은 감소한 반면, 읽기이해 교수가 필요한 아동은 증가하였다. 결론: RTI 기반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읽기위험 및 장애학생의 읽기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an online early literacy program within a RTI approach to elementary students at risk of reading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 (RCCI). We explored the type and area of reading needed for students across tiers within RTI as a secondary purpose. Methods: A total of 52 elementary students of RCCI participated in this study. RTI was implemented across two waves. The early literacy program was delivered twice a week, 40 minutes per session, with a total of 20 sessions for each wave. Results: Students in the high-risk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hangul reading but not word recognition. Students in the low-risk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reading fluency and comprehension. The number of students who needed small group instruction decreased, whereas the number of those who needed individualized instruction increased over time. In addition, the number of students who needed hangul reading,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fluency intervention decreased. However, the number of those who needed reading comprehension intervention increased. Conclusion: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n online early literacy program within a RTI is effective in improving reading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at risk in reading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읽기부진 아동을 위한 통합 파닉스 기반 개별화 읽기교수 전문성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정평강,김예리,김중훈 한국특수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학연구 Vol.5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professional development, which consisted of tools, learning modules, and cooperative support, for individualized reading intervention incorporating synthetic phonics for elementary students struggling with reading. Twenty teachers (18 elementary teachers, and two learning clinic center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dividualized reading intervention incorporating synthetic phonic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participated in group interviews. All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verbatim, and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five main themes were identified: concern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learning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es, effects on students, teacher empowerment, and desire.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 effective instructional approaches to teach students struggling with reading and provide directions to suppor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Study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도구, 학습모듈, 협력적 지원을 제공하는 전문성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한글해득에 어려움이 있는 읽기부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통합 파닉스 기반 개별화 읽기교수를 적용해 본 현장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고찰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읽기부진 아동을 위한 통합 파닉스 기반 개별화 읽기교수 전문성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 초등교사 18명, 학습클리닉 교사 2명으로, 총 20명이다. 이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집단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면담은 전사한 후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5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1) 전문성에 대한 고민, 2) 이론과 실제를 통한 배움, 3) 학생들에게 나타난 변화, 4) 교사의 역량강화, 5) 바람. 연구결과를 토대로 읽기부진 아동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과 교사의 전문성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의 지원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함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아동양육시설 아동을 위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구성원들의 경험과 인식

        정평강,정가희,김가영,김중훈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아시아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아동양육시설 아동을 대상으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 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탐구하였다.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 13명과 기관 담당자 6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담(FGI)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의 시작, 내가 경험한 프로그램의 특징, 프로그램의 긍정적 영향, 프로그램의 보완점, 새로운 발견과 인식의 전환이라는 5개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14개 주제모음과 36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초기에는 온라인 기초문해교육에 대해 의심과 기대가 공존하였으나 프로그램을 경험하면서 점차 효과성에 만족하고, 아동과 온라인 기초문해교육에 대한 관점이 변하는 등의 인식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아동들에게 실행된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온라인 기초문해교육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육적인 제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articipants who provided an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s during the COVID-19.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13 teachers and 6 institutional staff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basic literacy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ative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ve categories were derived: program start, features of the program I experienced, positive impacts of the program, program improvements, and new discoveries and changes in perception. 14 theme groups and 36 themes were also derived. The study participants initially had doubts and expectations about the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but as they experienced it, they gradually became satisfied with its effectiveness, and their views on children and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were chang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implemented for children in residential child care institutions. In addition, we provided educational suggestions to improve the online basic literacy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 KCI등재

        Evidence for the Potential Use of Curriculum-Based Measures in Writing for Screen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정평강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2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amine evidence for the potential use of curriculum-basedmeasures of writing (CBM-W) as screening tools. A total of 12 studies were reviewed with particularattention to the extent of validity coefficients and classification accuracy of CBM-W. Findingsindicated that CBM-W has sufficient validity with established criterion measures of writing includingstandardized assessments, teachers’ holistic ratings, and qualitative measures, and supported its use asa valid indicator of students’ overall writing performance. Preliminary promising evidence indicatedthat CBM-W accurately identified students at risk in writing. Types of CBM-W prompts showingadequate technical features for older and younger elementary students are discussed. Implications forresearch and practice are presented.

      • KCI등재

        평생교육에 대한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가족의 요구 탐색

        정평강,이현주,이영선,구정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에 대한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가족의 요구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평생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발달장애인 당사자 10명과 가족 구성원 4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고, 평생교육 경험 및 요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면담 내용은 전사한 후 연속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2개의 대주제와 10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평생교육에 관한 경험에서 도출된 소주제는 연구 참여자가 생각하는 평생교육, 평생교육을 시작하게 된 동기, 평생교육의 유익한 점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의 한계와 요구에서 도출된 소주제는 평생교육을 위한 물리적 접근성, 평생교육을 위한 정보 접근성,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선택권,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평생교육 시스템, 지역사회 내 통합 평생교육, 맞춤형 지원이 가능한 평생교육 시스템, 가족 지원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평생교육의 운영 지원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