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립공원 내 전국 우수 산림생태 복원지역 식생 회복 평가

        정태준,김영선,김영진,김연경,조은숙,조동길,Jung, Tae-Jun,Kim, Young-Sun,Kim, Young-Jin,Kim, Yeon-Gyeong,Cho, Eun-Suk,Cho, Dong-gil 한국환경과학회 2022 한국환경과학회지 Vol.3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egetation recovery status of Mudeungsan National Park Jungmeorijae, Jeungsimsa district restoration site, and the Shimwon Valley ecological landscape restoration site in Jirisan National Park. Compared to the control plots, the Jungmeorijae restoration site was analyzed to have height growth of about 73.5%, the average species diversity index of about 75.2%. and the average similarity index was recovered to 7.75%. In the case of the restoration site in Jeungsimsa district, the height growth compared to the control plots was about 69.2%, the averag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about 55.0%. and the average similarity index was recovered to 25.65%. In the case of the Shimwon Valley ecological landscape restoration area, the height growth compared to the control plots was about 32.6%, the average species diversity index about 176.7%. and the average similarity index was recovered to 0.85%. The restoration site of the Jeungsimsa district was planted with relatively large trees during restoration work, and it took a relatively long time(20 years). Also, the site had less limiting factors due to the low elevation, allowing the degree of vegetation recovery to be higher than that of other sites.

      • KCI등재

        도시 내 자연형 하천 조성을 위한 적정 공간기능 배분과 조성방안 연구 - 서울시 서대문구 홍제천을 사례로 -

        정태준,이경재,한봉호,Jung, Tae-Jun,Lee, Kyong-Jae,Han, Bong-Ho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3

        본 연구는 도시 하천의 자연형 하천 조성을 목표로 도시 하천에 요구되는 이용기능, 생태기능, 경관기능에 대하여 평가를 실시하여 각 공간에 적합한 공간기능을 설정하고, 이에 적합한 조성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홍제천으로 유로연장은 총 6.12km이며, 2003년 말부터 자연형 하천 조성 계획을 수립하여 정비가 완료되었다. 평가 항목 및 지표는 총 3단계를 거쳐서 선정하였다. 먼저 문헌 검색을 통하여 하천 및 공원 평가 기준을 설정하고, 도시 하천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를 추가하였다. 다음으로 목표 적합성, 지표 검증, 유사 항목 병합의 단계를 거쳐 최종 평가 항목 및 지표를 선정하였다. 최종 평가 항목은 이용기능에서 이용요구도, 이용편의성, 생태기능에서 생물다양성, 생물 서식 잠재성, 희귀성, 경관기능에서 역사 문화요소 및 경관성으로 선정되었다. 구간별 평가 결과, 이용요구도가 높게 평가된 구간 1~4는 시민휴양지구, 주요녹지와의 거리가 가깝고 하천 고유성이 남아있는 구간 5~6은 생태보전 복원지구, 이용요구도가 높고, 이용편의성이 좋은 구간 7~8은 하천 연속성을 고려하여 자연이용지구, 역사 문화자원 및 조망점이 다수 분포하고, 녹시율이 높은 구간 9~10은 하천경관지구로 설정되었고, 각 구간별로 세부 공간기능과 조성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간기능 배분 결과, 하천의 자연적 특성과 함께 인문 사회적 특성, 주변의 경관적 특성이 반영된 공간기능 배분이 이루어져 도시 하천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 기능들에 대한 합리적인 공간계획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hat properly organizes urban close-to-nature streams by evaluating the city park functions, ecological functions and landscape functions required for urban stream and setting up space function suitable for the space. The site of this study is Hongjecheon located in Seodaemun gu of Seoul City, whose length of channel spans 6.12km in total. The plan for the construction of close-to-nature streams had been established from late 2003, and the construction was completed. Evaluation Categories and indications were deduced from 4 stages. First, based on theoretical examination, we made a list of stream and park evaluation categories and added Category about Characteristic of urban streams. Next, we set Final Evaluation Categories and indications through the process of goal-relevance, indication verification, merging similar category. Final Evaluation Categories were deduced such as usage demand, usability(city park functions), biodiversity, inhabitation potential, rarity(ecological functions), historical cultural elements, and landscape Quality(landscape functions). As a result of allotting space functions, zones 1 through 4, got high grades at usage demand, was classified as a civic resort district; zones 5 through 6, close to major green area and remained original landscape, as ecological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district; zones 7 through 8, get high grades at usage demand and usability, as environmentally-friendly use district; and zones 9 through 10, many historical cultural elements and view points, and high green possession rate, as stream scenic district. In addition, detail space function and construction plan for each zones were propo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proposed space function assignment considering natural characteristics, humanities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is expected to be utilized at reasonable spatial planning considering various functions required for urban stream.

      • 산림 식생 복원지역 식생 변화 - 무등산국립공원과 지리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

        정태준 ( Tae-jun Jung ),김영선 ( Young-sun Kim ),김영진 ( Young-jin Kim ),김연경 ( Yeon-gyeong Kim ),조은숙 ( Eun-suk Cho ),조동길 ( Dong-gil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2 No.1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훼손지를 최대한 자연적 상태로 복구하기 위해 1994년 지리산국립공원 노고단, 세석지구에 대하여 복원사업을 시행하였고, 그 후 국립공원 훼손지 복원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등 훼손지 복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복원 공사를 수행한 노력에 비교해 공사 완료 후 복원 현황에 대한 모니터링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고 있지 않아 연구자료가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등산국립공원 중머리재, 증심사지구 복원지와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지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복원지의 식생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구축하고, 향후 다른 복원지의 식생 복원 모델 제시 및 관리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데 있다. 식생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중머리재 복원지와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지에는 조사구 3개소, 대조구 3개소를 설치하였고, 증심사지구 복원지는 조사구 4개소, 대조구 3개소를 설치하였다. 조사구 및 대조구 내 출현한 식물을 교목층, 아교목층, 관목층, 지피층으로 구분하여 교목층과 아교목층수목은 흉고직경(cm)과 수고(m)를, 관목층과 지피층은 수목의 수관폭과 수고(m)를 측정하여 종명과 함께 기록하였다. 조사한 결과 중 목본층을 대상으로 상대우점치, 종다양도지수 및 유사도지수를 분석하여 조사구별로 비교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조사구 수목의 층위구조는 2~4층, 평균수고 2.5~9.0m, 종수 10~18종, 평균종다양도지수 0.53~0.79, 평균유사도지수 0.85~25.65%로 나타났다. 중머리재 복원지는 대조구 대비 수고 생장 약 73.5%, 평균종다양도지수 약 75.2%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조사구와 대조구간의 평균유사도지수는 7.75%로 회복되었다. 증심사지구 복원지의 경우 대조구 대비 수고 생장은 약 69.2%, 평균종다양도지수 약 55.0%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조사구와 대조구간의 평균 유사도지수는 25.65%로 회복되었다.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지의 경우 대조구 대비 수고 생장은 약 32.6%, 평균종 다양도지수 약 176.7%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조사구와 대조구간의 평균유사도지수는 0.85%로 회복되었다. 증심사지구 복원지는 복원 공사 시 비교적 큰 나무를 식재했고, 복원 후 20년이라는 비교적 긴 시간이 경과했으며, 해발고도가 낮아 제한요인이 적어서 다른 대상지에 비교하여 식생 회복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식생 복원 과정에는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고, 따라서 복원 과정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대상지 입지별로 환경 요인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추후 효과적인 식생 복원 계획 수립을 위해서 다양한 대상지에 대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대상지별 모니터링 결과 데이터를 구축하는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 식생 변화

        정태준 ( Tae-jun Jung ),김연경 ( Yeon-Gyeong Kim ),김영진 ( Young-jin Kim ),정명희 ( Myung-hee Jung ),박경희 ( Kyoung-hee Park ),신창근 ( Chang-keun Shin ),박선홍 ( Seung-hong Park ),김영선 ( Young-su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3

        본 연구는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의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복원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복원사업이 완료된 2017년도에 식생 모니터링을 위한 조사구 12개소와 대조구 4개소를 설치하였고, 2017년과 2020년의 상대우점치, 종다양도지수, 유사도 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복원사업 시 수목이 식재되었던 조사구는 종다양도지수가 0∼1.4552로 나타났고, 대조구와의 유사도지수에서는 1개 조사구가 1.32%로 분석된 것을 제외하고 모두 0%로 나타났다. 조사구의 종다양도지수 및 유사도지수가 매우 낮은 것은 복원사업 시 식재된 수목이 고사하거나 멧돼지 피해, 유수에 의한 침식으로 유실되는 등의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복원사업 시 수목이 식재되지 않은 미식재 조사구는 종다양도지수가 0.9538∼2.3222로 나타났고, 유사도지수는 최대 8.33%까지 분석되었다. 국립공원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의 복원 공법 개발을 위한 장기 모니터링과, 미식재 조사구의 천이과정을 분석하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obtain basic data for systematic restoration by analyzing the monitoring results of the Shimwon Valley Ecological Landscape Restoration Project area in Jirisan National Park. In 2017, when the restoration project was completed, 12 monitoring plots and 4 control plots were installed for vegetation monitoring, and changes in the relative dominance,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between 2017 and 2020 were analyze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the surveyed areas where trees were planted during the restoration project was 0-1.4552, and the similarity index with the control group was 0% except for one survey area at 1.32%. The very low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index in the survey areas were attributed to the loss of trees planted during the restoration project due to death, damage by wild boars, or erosion by running water. On the other han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0.9538-2.3222 in the monitoring plot where no tree was planted, and the similarity index was analyzed to be as high as 8.33%.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long-term monitoring for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landscape restoration methods in the national park and analysis of the succession in monitoring plots where no trees were planted.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외래식물의 공간분포와 토지피복간의 상관성 연구 -전국자연환경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정태준 ( Tae Jun Jung ),신현철 ( Hyun Chul Shin ),신영규 ( Young Kyu Shin ),김명진 ( Myung Jin Kim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3 환경영향평가 Vol.22 No.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k application plans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base based on comparison and examination of feasible analysis methods fo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lien plants. In order to set up a correlation analysis method between alien plants and environmental factors, we had reviewed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guide book and consequently, two kinds of analysis method were tested. One was 1/25,000 scale map boundary based analysis and the other was representative mountain area based analysis. In this study we restricted the research area to select reliable surveyed database from whole "2011 National Ecosystem Survey flora database" according to two major criteria. First, an area defined by 1/25,000 scale map boundary and representative mountain area where the number of surveyed flora records should be within top 20%. Second, land cover map should also be built up inside that area. As a result, 25 map boundaries and 25 representative mountain areas were extracted to be analyzed. To limit a boundary for every representative mountain area we had analyzed distribu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around that area by manual inspection with SPOT-5 remote sensed satellite image then designated 3km buffer zone from each alien plant location in that area. After then, naturalized index (NI) and urbanized index (UI) was calculated and correlations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y map boundary only agricultural land area showed significant value of r (0.4~0.6, correlated) and the rest of factors did not. In the case of representative mountain area, the result showed that agricultural land, road and forest area showed significant value of r (0.6~0.8, highly correlated) which was corresponding to existing researches. Therefore, representative mountain area based method is preferable when using the alien plants database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for species distribution analysis. And also, considering the way of database utilization is strongly suggested at the first stage of survey planning for promoting active use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databas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