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三生奇緣>의 작품세계와 후대적 수용

        정충권(Jeong Choong-Kwon) 한국문학회 2003 韓國文學論叢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review Samsaenggiyeon which was popular at the end of 18th century, and to review the dramatized motivation as the later adaptation. Following are the results. Samsaenggiyeon focused on the loyalty related conflicts of the hero and marriage of hero and heroine. The characteristic of this work was that it allocated much to internal agony of the hero and the pains and difficulties of his family emphasizing the conflict. Additionally, it put much importance on the course of marriage using the flute(Tungso) as a medium. It considered marriage as the completion of the Karma that Heaven designated. This course is the mental recovery course of the hero, too. Therefore, it is the embodiment of the human attachment, the truth behind it and its recovery. It was dramatized in 1910's and performed as a Korean Musical (Changgeuk). It was selected among many classical novels because it showed the emotion of people under Japanese governance as an allegory. It seemed that the popular style had appealed much to the audience at that time. It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as a later adaptation of classical novel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 KCI등재

        판소리 다섯 바탕의 전승과 재창조 수궁가 <토끼전> 언변(言辯) 대결의 양상과 의미

        정충권 ( Choong Kwon Jeong ) 판소리학회 2005 판소리연구 Vol.20 No.-

        This study explores the aspect and the meaning of speech contests in <Toggi-jeon>. The speech contests in <Toggi-jeon> are special phenomena owing to narrative techniques of allegory and Pansori. Mostly the last speakers contest a victory with the first speakers. Finally it is exposed that the first speaker is untruth and he has a useless knowledge. So, speech contests in <Toggi-jeon> contain the satire gaze.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speech contests are connected with the cultural rising drive of the middle class. Because the classes of two speakers are not considerated. And because the winners of contests are the defeated at other situation. Therefore I think that speech contests in <Toggi-jeon> are based on equal relationship and those forms reflect the features of a transition period.

      • KCI등재

        휘모리잡가와 판소리의 공통 특질

        정충권 ( Choong Kwon Jeong ) 판소리학회 2004 판소리연구 Vol.18 No.-

        본고에서는 그 간 주로 사설시조와 관련하여 논의되어 오던 휘모리잡가를 판소리 사설과 관련지어 봄으로써 19세기말~20세기초 노래 문화의 한 단면을 엿보고자 하였다. 우선 <곰보타령>을 예로 들어 판소리와 휘모리잡가가 모종의 관련을 지녔을 가능성을 점쳐 보고 이어서 두 갈래의 공통 특질을 사설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어휘(語戱)의 활용, 첨언(添言)적·나열적 사설 확장 방식, 터무니 없음으로 인한 웃음 유발 등의 공통 특질을 추출하였다. 다만 그러한 공통 특질은 두 갈래의 직접적 교섭에 기인한 현상이라기보다는, 차라리 19세기말 내지 20세기초엽 두 갈래의 공연 환경 내지 예술적 존재 방식의 유사성에 기인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특질들은 도시 대중의 감성과 맞닿아 있었을 것이며 대중 예술의 길을 걸어갔던 두 갈래의 행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이었다. 하지만 음악상의 수수 관계까지 있었는지의 여부는 앞으로 더 살펴 보아야 할 과제이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Hwimori-japga and Pansori. Half of the forms of Hwimori-japga put origin to the form of Saseol-shijo. However, we can not explain the formation process of Hwimori-japga as that. We must consider latent effect of Pansori.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Pansori and Hwimori-japga, Ifound the pun, the enlargement by adding and weaving words, and the absurdness. The reason that shares these characteristics was not because of the homogeneity of singers but because of the similar artistic phases. And because both Hwimori-japga and Pansori were situated in process that go forword to popular performance gradually. From now on, I will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ongs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20th century.

      • KCI등재후보

        판소리와 창극의 양식적 차이점 고찰

        정충권 ( Jeong Choong-kw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4 고전문학과 교육 Vol.8 No.-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form between Pansori and Changgeuk. According to the result, Pansori is regarded as a solo performance while Changgeuk is performed by multiple actors. Pansori has a descriptive structure in which words and songs alternate with each other while Changgeuk is comprised of lines and guiding singing. In addition, Pansori conveys the work indirectly while Changgeuk does it directly. Standing in the middle of the two extremes, the early Changgeuk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later Changgeuk as a genre.

      • KCI등재

        동초제 <흥보가>의 구성과 특징

        정충권 ( Jeong Choong-kw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8 No.-

        이 글은 동초 김연수의 <흥보가> 사설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특징은 어떠한가 하는 점을 김연수 명창의 판소리 지향점과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그 결과를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흥보가>의 흐름 속에서 볼 때 김연수의 <흥보가>도 唱으로 전승되는 여타 <흥보가>와 유사한 설정을 지니고 있다. 곧 흥보가 쫓겨나 여기저기를 떠돌다 복덕촌이라는 곳에 정착하고 있으며, 매품팔이 삽화에 이어 형에게 구걸하러 가는 삽화가 그 뒤에 놓여 있고, 그 후 서로 자결을 하려 하는 등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을 때 도승이 등장하는 점 등이 현전 <흥보가>의 것과 같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부적으로는 차이가 적지 않다. 김연수는 여러 선생들로부터 소리를 배운 후 그 나름대로 사설을 짰기 때문에 그의 소리는 독특한 소리가 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사설은 그가 배웠다고 한 바 있는 송만갑 바디 <흥보가> 외에 신재효본 <박타령> 사설도 함께 참조하여 근간으로 삼으면서 여타 이본들도 부분적으로 참조하여 재구성한 결과물이었다. 송만갑 바디의 사설과 신재효본 사설을 이어붙이기도 하며 나란히 놓기도 했고, 이들 사설을 해체한 후 그 사이에 자신이 마련한 듯한 사설을 끼워 넣기도 했다. 어떤 경우에는 아예 새로운 사설을 마련하여 몇 개의 소리 대목들을 그 나름대로 새로이 구성하기도 했다. 이렇게 재구성한 결과 그의 <흥보가>는 여타 바디에 비해 상대적으로 흥보에게는 선인의 형상이, 놀보에게는 악인의 형상이 조금 더 강화되었다. 또한 서술 방식면에서 볼 때 그의 <흥보가>는 큰 틀에서는 서사적 합리성을 지향했다고 볼 수 있지만, 치밀한 서사 논리 고려 및 이에 따른 서사 세부 확충의 양상도 주목되었다. 서사 세부 확충은 김연수가 기존 판소리 문법을 자기 식으로 수용한 데 말미암은 것이었다. 이와 함께 골계적 재미 추구, 유식한 한시문구를 통한 사설 품격 부여 등도 그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었다. 그는 창자로서 대중의 취향을 고려하면서도 명창으로서의 품격은 유지하려 했던 것이다. 근현대의 판소리가 우선적으로 정비해야 할 점을 `사설`에 있다고 본 것은 김연수 나름대로의 고민과 진단의 소산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고민을 자신의 판소리 속에 담아내고 양질의 전통을 세워 후속 세대에 이어주려 했다는 점에서 김연수는 명창이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is a text that tries to explore how his Heungbo-ga saseol `narration` for is organized and what are its characteristics, in tandem with the great singer, Dongcho Kim Yeon-su`s consciousness about Pansori.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consideration of the stream of Heungbo-ga, Kim Yeon-su`s Heungbo-ga has a similar conception to those of other Heungbo-ga`s that have been transmitted in singing. This is because Kim`s Heungbo-ga is like other current transmitted Heungbo-ga`s in that Heungbo settles in a town called Bokdeok-chon after wandering here and there, the episode of him begging for foods to his brother is put after the episode of him being a surrogate convict for bastinado, and a enlightened Buddist monk appears when Heungbo is in a serious situation like suicide. However,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Kim`s and others` Heungbo-ga`s in detail. This is because Kim`s song and saseol are reputed to be unique as he created his saseol on his own based on the lessons he had received from various teachers. His saseol is an outcome resulted from his reorganization with partial reference to various versions while basing it on Song Man-gap version Heungbo-ga, which he said he had learned, as well as Shin Jae-hyo`s saseol in Bak-taryeong. He connected and paralleled Song Man-gap version saseol and Shin Jae-hyo`s saseol, and he also deconstructed their saseol`s to put the saseol that seems to be made by him between them. In some cases, he created completely new saseol to organize a part. As a result of this reorganization, his Heungbo-ga can be regarded as being oriented toward a narrative rationality in general, but he especially intended to reflect a neat narrative logic and consequently extend the details of the narrative. In addition to thi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his work include pursuit of comic fun, and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his saseol in terms of phrases from classic Chinese poems. He not only considered popular tastes as a singer, but also tried to maintain his dignity as an honored singer. His conclusion that what should be first improved in early modern and modern Pansori was saseol was a product of Kim Yeon-su`s own reflection and diagnostics. Moreover, Kim Yeon-su can be said to be an honored singer in that he contained his reflections in his Pansori, and made efforts to establish quality tradition and hand it to next generations.

      • KCI등재후보

        여성의 시각에서 본 형제 우애 설화에 나타난 가족

        정충권 ( Jeong Choong-kwo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6 No.-

        형제 간 우애를 이야기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흥보전>의 경우처럼 당사자인 형제 간 대립을 통한 방법일 것이다. 그런데 형제 간 우애를 다루고 있으면서도 가족 구성원 중 시집 온 여성, 곧 며느리이자 아내이며 동서인 여성들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이야기들도 있어 주목된다. <여자에게 달린 형제의 우애>와 <정직한 작은동서 어진 큰동서>가 그러한 부류의 설화들이다. <여자에게 달린 형제의 우애>는 우애 있게 지내는 형제들이 그것을 자신들의 공으로 돌리고 아내들의 입장은 고려하지 않는 데서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해 아내들이 모의하여 형제들의 화목함은 자신들 덕분임을 인정받게 되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정직한 작은동서 어진 큰동서>는 여유 있게 사는 형과 노름 등으로 가산을 탕진한 동생 간의 富의 엇갈림이 문제로 설정된다. 맏동서는 아랫동서의 사람됨을 우연한 기회에 알게 되고 그 맏동서가 선의의 속임수를 써서 남편을 속여 작은집을 도와준다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들은 가부장제 하의 남성 이데올로기가 투영된 이야기들이라 볼 수 있다. 자기 집안으로 시집 온 여성들을 길들이기 위한 담론으로서의 기능을 어느 정도는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게만 보면, 섬세한 일상 감각을 바탕으로 한 아내들의 주체적 시선을 무시하는 결과가 된다. 이 이야기는 가족의 일상을 주관하는 아내들의 시각에서 서술되고 있음으로써 형제 우애 문제, 나아가 가족의 의미가 더 근원적이고 포괄적인 관점에서 인식되고 있는 측면이 있다. 그 이면에는 지속을 주안점으로 하는 부부서사가 깔려 있기도 하다. 이 점에, 형제 우애를 여성들의 시각에서 본, 이 유형 이야기의 특수성이 있다. The most common way of describing brotherly love may be through confrontation between the involved brothers as in < Heungbojeon >. However, there are stories that deal with brotherly love but view it from the viewpoint of a female family member in the story such as a married woman, namely, a daughter-in-law, a wife, and at the same time, a sister-in-law. < Brotherly Love Depends on Women > and < Honest Little Sister-in-law Gracious Big Sister-in-law > are some of such stories. In < Brotherly Love Depends on Women >, the brothers maintain a close relation with each other but they attribute it to themselves without considering their wives` position. Taking this for a problem, the wives make a plan and won the brothers` approval that their brotherly love is owing to their wives` support. In < Honest Little Sister-in-law Gracious Big Sister-in-law >, the main issue is the gap of wealth between the rich elder brother and the poor younger brother who squandered his fortune away in gambling. The big sister-in-law, namely, the elder brother`s wife comes to know the litter sister-inlaw`s personality by accident, and helps younger brother`s house by tricking her husband with good intent. These stories reflect the male-dominant ideology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It is because they have a function as discourses for disciplining married women. If we see only from this viewpoint, however, we may miss wives` subjective eyes based on their fine sense of daily life. As these stories are narrated in the eye of wives who manage her family`s daily life, they perceive the issue of brotherly love from a more fundamental and comprehensive viewpoint. On the other side of this is the husband and wife epic emphasizing continuity as a key point. In this sense, the peculiarity of this type of stories is in women`s view of brotherly love.

      • KCI등재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관용적 지식 담론의 문화적 의미

        정충권 ( Choong Kwon Jeong ) 판소리학회 2011 판소리연구 Vol.31 No.-

        본 연구는 그 간 삽입가요 혹은 단위사설이라 불리던 일련의 사설들 중 상당수가 관용적 지식의 형태로 판소리에 수용되어 있음에 착안하여 당대 지식 문화의 추이와 관련하여 새로운 관점에서 판소리의 문화적 위상을 드러내어 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관용적 지식의 유형을 그 추상화의 수준 및 계층성, 전문성을 기준으로 하여 民俗 지식, 漢詩文 지식, 專門 지식 등으로 나누어 보았다. 판소리에 이러한 지식이 수용된 이유는 서사적 상황에 따른 이면을 제대로 그리고자 하는 의도와, 그러한 지식을 전유하던 계층의 권위에 기대어 공연적 소통에 있어 판을 휘어 잡으려는 창자의 작시 전략 때문이었다. 이러한 관용적 지식 사설이 판소리 작품 세계 속에서는 서술자 혹은 등장 인물들 간에 활용되어 그 지식의 권위적 속성에 기댄 특별한 담론적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등장 인물이나 서술자가 중국 고사 속 인물의 행적을 끌어들여 전범에 호소함으로써 이견의 여지가 없게 하는 담론 효과를 드러내고 있는 것, 전문가가 전문 지식을 구사함으로써 상대로 하여금 그러한 지식에 압도당하게 하는 효과를 드러내고 있는 것 등이 그 예이다. 그러나 판소리 작품 속에는 그러한 지식의 전범성이 약화되거나 놀이 혹은 풍자로 변질되는 양상도 보이고 있었는데, 이는 또다른 계층의 해당 지식의 주체적 전유, 혹은 지식의 專有로부터 共有로의 변화라 부름직한 현상이었다. 하층의 실생활에 근거를 두던 민속 지식의 경우 그러한 지식을 구사하는 인물들의 삶을 하층 청중 자신들의 삶의 연속선상에서 바라보게 하는 효과를 갖게 했다. 그러한 지식은 오늘날 과학적 지식에 해당하는 것들도 적지 않았는데 당시 사대부 학자들이 이러한 류의 지식에 대해 적잖은 관심을 보인 것도 이 때문이었다. 이 세 유형의 지식은 각각 그 계층적 기반은 달랐으나 판소리 속으로 수용되면서 애초의 전유 계층을 넘어선 소통을 보이고 있었다. 이는 더 나은 삶을 갈망하며 새로운 지식을 추구하고 유통시키던 당대 지식 문화계의 동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판소리 공연장은 그러한 지식 문화의 교류 공간이기도 했던 것이다. 판소리의 탈계층적 특성은 이와 같은 측면에서도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many of pansori narrations, which were called pansori insert songs or unit narrations, were introduced to pansori in the form of idiomatic knowledge,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pattern of idiomatic knowledge in pansori narrations and, based on the results, to infer knowledge culture in those days and to understand the cultural standing of pansori. For this, we first examined the types of idiomatic knowledge found in pansori narra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five pansoris extant, idiomatic knowledge was divided in terms of the level of abstraction, hierarchy, and professionalism into folk knowledge based on low-class people`s experiences, Chinese poetic knowledge that was literati`s culture, and expert knowledge in specific areas. The primary reas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se types of knowledge in pansori was that pansori was an epic performed by a single person. Depending on epical situation, the narrator had to be a professional geomancer or a professional medical doctor. Therefore, narrations containing such knowledge were necessary even for composing narrations fit for the reverse side. Furthermore, it was the narrator`s strategy to hold a dominant position in performance communication relying on the class that monopolized such knowledge. In pansori, these knowledge narrations were utilized with maintaining the effect of discourse related to the authority of the monopolizing class but,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m deviated from this pattern. In case of Chinese poetic knowledge, the general pattern was producing an indisputable effect of discourse by appealing to models through introducing phrases in Chinese poems or the records of people in Chinese ancient histories using the words of pansori characters or narrators. Sometimes, however,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models was weakened or degenerated into satires. Expert knowledge seems to originate not from literature but from songs or words restructured based on literature, and it was utilized with a strong discourse force in that it was practical knowledge. However, such knowledge was sometimes utilized to criticize or mock specific figures, and this suggests the occurrence of change in discourse utilization. Folk knowledge was based on low-class people`s real life, and had the effect of identifying the characters of pansori with their low life of low-class audience. However, some of folk knowledge contained the feature of expert knowledge and this is viewed as a phenomenon resulting from communication of knowledge among classes in those days. The three types of knowledge had different class bases from one another, but as they were introduced into pansori they were communicated beyond their original monopolizing classes. This is believed to be closely related with knowledge culture in those days, which pursued a better life and new knowledge. It is because pansori was also a ground for exchanging knowledge culture. In this aspect as well, we can see the characteristic of pansori transcending classes and reg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