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 그 반성의 자리와 갱신의 계기

        정출헌 ( Chung Chul-heon ) 국제어문학회 2005 국제어문 Vol.35 No.-

        최근, 열병처럼 퍼져나가던 포스트담론이 어느덧 시들해졌다는 말을 종종 듣게 된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근대성에 대한 논의, 더욱이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야 말할 필요도 없다. 시효성을 상실해도 한참 상실한 진부한 논 의가 바로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를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그를 통해 근대성 논의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려는 노력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근대성 논의 의 폐기 또는 갱신의 길을 가늠하기 위해서만은 아니다. 무엇보다 근대성 담론에 의해 무참하게 훼손되거나 평가 절하된 고전문학의 문학적 성취, 곧 고전문학의 중세적 특징을 새롭게 조망하고 그로부터 고전문학 연구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런 목적을 가지고 지난날 우리 문학 연구에 강력한 영향력을 끼 쳤던 전통단절론/이식문학론과 내재적발전론의 인식론적 동일성과 그 한계를 비판적으로 살폈다. 이런 인식론적 한계 위에서 조급하게 이루어졌던 고 전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 그리고 근대성에 대한 모호한 이해 위에서 반복 적으로 되풀이되던 고전문학에서의 근대적 요소 검출 또한 반성적으로 되돌 아보지 않을 수 없었다. 근대, 또는 근대문학이라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고 전문학의 문학적 성취라든가 거기에 담긴 진정성을 읽어내는 데 너무나 소홀 했기 때문이다. 이를 반성적으로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세를 무조건 배척해야 할 그 무엇으로 간주했던 태도에서 벗어나 중세에 대한 충실한 이해를 갖추 려는 태도가 무엇보다 필요하다. 그것은 지워버린 중세에 대한 정당한 자리 매김이라는 일차적인 의미를 넘어선다. 어떤 논자들은 근대성 담론의 과제를 근대와 탈근대의 회통이라고 보고, 문학적으로는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회통으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그에 앞 서 이제껏 간과해온 전근대의 중세성을 진지하게 재조명하는 작업, 그리하여 전근대와 근대가 진정으로 회통하는 작업이 전제되어야만 한다. 그럴 때 비 로소 근대성 논의는 보다 튼실한 지반 위에서 전개될 수 있고, 지금보다 훨씬 활기찬 갱신의 계기를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이 낡아빠진 듯한 고전 문학에서의 근대성 논의가 지금도 여전히 필요한 이유이다. Recently we frequently hear the postmodern discourse that once spread like a fever now becomes disinterested before we are aware. If that is true, the discussion over the modernity, furthermore the discussion over the modernity in classic literature is needless to say. The discussion of the modernity over classic literature would be out-of-date argument that lost the statute of limitations. Despite all the facts, we should not neglect the effort to make new turnover and critically check the discussion of the modernity and never give up efforts to make new opportunity over modernity discussion. It is not only for abolition of modernity argument, nor for estimation of renewal. Above all it is to take a new view of the medieval characteristics of classic literature and find a way out for literary achievement of classic literature that underestimated or horribly damaged by modernity discourse. With this purpose we critically examined the epistemological identity and its limitation in tradition disconnection theory, transplant literary theory, and internal development theory that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literature study. We ought to look back reflectively the facts that the discussion on modernity in the classic literature was made under this epistemological limitation and that we repeatedly detected modern elements in classic literature under the vague understanding of modernity. We paid so little attention to read the authenticity and literary achievement of classic literature because we were seized by obsessional idea of modernism or modern literature. It is necessary to get out of the attitude that absolutely exclude Middle Age and to have full understanding on the Middle Age to overcome this. It is more than basic meaning of restoring right of erased middle age. Some consider that the problem of modernity discourse is communication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or literarily, communication of realism and modernism. However, it should be premised on the work of reilluminating the medievalism of premodernism earnestly and true communicating of premodernism and modernism. By doing so, the discussion of modernity will be developed based on strong foundation and have opportunity for more active renewal. That is why modernity discussion over classic literature that seemingly antiquated is still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

        고전소설의 특징과 그 기원에 대한 변증

        정출헌(Chung Chul he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2

        고전을 읽는다는 것은 그 고전을 짓고 즐겼던 옛사람의 진정(眞情)과 공감하며 함께 걸어가는 시간의 여정이다. 그런 여정을 즐거운 마음으로 동행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향유했던 그때 그들과 눈높이를 같이하고, 그것이 산출되었던 시대를 깊이 이해하고, 그리고 그것이 지금 우리의 삶과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진지하게 되물을 필요가 있다.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사랑하게 된다는 말처럼. 그런 고전 가운데 우리 교육현장에서 고전소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전소설이란 갈래는 매우 유치한 독서물로 치부되기 일쑤이다. 일대기적 구성, 권선징악의 주제, 평면적·전형적인 인간형, 비현실적·우연적인 사건 전개, 전지적 작가 시점이라든가 편집자적 논평 등등. 그렇지만 고전소설에 대한 이런 특징 또는 통념은, 정작 우리 고전소설을 창작하고 향유했던 당대인들은 전혀 생각지도 않고 주목하지도 않았던 생소한 개념이나 규정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은 지금 우리에게 국민적 상식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누가 처음 이런 고전소설의 특징 또는 통념을 발견하여 확정지었던 것일까? 우리는 그 장본인으로 근대전환기에 조선에 들어와 조선을 탐색하고 있던 재조외국인(在朝外國人)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1890년부터 1892년까지 서울에 머물며 우리의 고문헌을 광범위하게 수집·정리했던 프랑스 외교관 모리스 꾸랑(Maurice Courant)과 경성제국대학 설립을 주도하고 조선어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던 다카하시 도루(高橋亨)는 그들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이다. 하지만 이들은 우리 고전소설에 대한 선구적 착목과 연구에도 불구하고, 이른바 ‘근대담론’과 ‘식민담론’에 사로잡혀 우리 고전소설을 조망했다는 한계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우리의 고전소설 연구는 그렇게 일그러진 학술장(學術場)에서부터 출발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물론 경성제국대학을 다니던 식민지 조선의 젊은 학도들은 고전소설 연구 1세대로 성장해가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항담론을 제출하려는 학적 분투를 지속했다. 그리하여 다카하시 도루의 ‘식민담론’은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서구 근대인에 의해 처음 주입된 ‘근대담론’은 식민의 시대는 물론 지금의 시대까지도 제대로 극복되지 못한 채 이어져오고 있다. 우리 고전소설을 낡고 진부한 서사로 간주하고 있는 지금의 우리의 잘못된 통념이 그 부동의 증거이다. Reading classical literature is a journey with an old acquaintance. In order to enjoy such a trip with pleasure, one should join them at the same time. Also, you should understand the times that are produced and how it connects to our lives now. Nevertheless, novels from the Joseon Dynasty are considered childish. The composition of the biography, the theme of the Joseon Dynasty, the theme of romance, unrealistic events, omniscient fiction, and so on, such as the author of the Joseon Dynasty novel, are the concepts that the author never thought of when he created novels and novels. So who created the characteristics of such classical novels first? We consider a resident of Joseon Dynasty, as the heir apparent to Joseon Dynasty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French diplomat Maurice Cuurant, who worked as a professor of French diplomat and 高橋亨 a professor at the University of Kyung-sung, is a representative figure. Despite pioneering research on our classic novels, they have limited the value of our novels, saying, Modern discourse and colonization. Our study of classic novels started off in the wrong direction. Of course, the young students of the colonial Joseon Dynasty grew to study the first generation of classical novels and wanted to submit a discourse to cope with it. Thus, the colonization was able to overcome somewhat. However, Modern discourse has continued to rise, not as well as the period of colonial rule. Our false wisdom is the proof that our classical novel is regarded as an old cliche.

      • KCI등재

        서거정과 김시습:조선 전기 사대부 문인의 두 초상

        정출헌(Chung Chul-he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5 동양한문학연구 Vol.21 No.-

          조선 전기 문인을 분류할 때, 흔히 조정에서 문인 관료로 활동하던 館閣派와 산림에 은거하여 심성을 도야하던 士林派로 나눈다. 그리고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비판적 지식인을 方外人이라 부른다. 서거정이 관각파 문인을 대표한다면, 김시습은 방외인을 대표한다. 만약 癸酉靖難이 없었다면, 서거정과 김시습은 그처럼 엇갈린 길을 걷지 않았을 것이다. 유교적 명분을 송두리째 뒤흔든 불법적인 왕위찬탈은 21살의 순수했던 젊은 선비 김시습에게 치유할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그리하여 승려의 복장으로 갈아입고 평생토록 이어진 방랑의 길을 떠났다. 하지만 세조가 대군이었을 때부터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집현전 교리로 있던 젊은 관료 서거정은 이후 육조 판서를 두루 거쳤을 뿐만 아니라 대제학의 자리를 무려 23년 동안 독점하기도 했다. 조선시대를 통틀어 김시습만큼 불운한 삶을 산 지식인이 없었다고 한다면, 서거정만큼 영화로운 삶을 산 지식인을 찾는 것도 쉽지 않을 것이다.   한 작가의 삶은 어떤 방식으로든 작품 안팎에 흔적을 남기게 마련이다. 한시와 서사 작품에서도 이 점은 확연히 드러난다. 뿐만 아니라 사후의 평가에서도 그러했다. 서거정이 조선 초에 수행한 역할은 대단했다. 개인 저술을 제외하고 국가적 요구에 의해 편찬한 것만 해도 ??경국대전??, ?삼국사절요??, ??동국여지승람??, ??동문선?? 등 수백 권에 달한다. 거기에 비하면, 김시습은 초라하기 짝이 없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뒷사람의 평가는 엇갈린다. ??조선왕조실록??의 사관은 卒記를 통해, 그토록 영화로운 삶을 살았던 서거정의 업적을 기리는 일방 후진 양성에 적극적이지 못했다는 비판을 덧붙이고 있다. 그에 비해 살아생전 한번도 ??조선왕조실록??에 이름을 올리지 못한 김시습은 죽은 뒤에 비로소 거론되기 시작한다. 그가 남긴 글을 수습해 간행해야 한다는 논의로부터 시작된 ‘김시습 다시보기가 거듭 확산되었다. 대의명분을 중시하던 사림들은 김시습이 평생 지켜낸 절의정신에 주목했던 것이다. 결국 정조는 김시습에게 이조판서를 추증하는 한편, 淸簡公이란 시호를 내린다. 서거정과 김시습은 살아서도 죽어서도 엇갈린 삶을 살았던 조선 전기 사대부 문인의 두 초상이라 할 수 있겠다.   There are two sorts of confucian scholars in early Joseon period according to common classification: one is Gwangakpa, people who work for the government as high ranking officials, the other is Sarimpa, scholars who live in the countryside and cultivate studies. The critical scholars who do not belong to any school are called Bangwein. While Seo geo-jeong represents Gwangakpa scholars, Kim si-seup represents Bangwein. If there had not been Gyeyujeongnan, the conflicting war between parties, Seo geo-jeong and Kim si-seup would not have walked completely different ways of life. The unjust usurpation of the throne that thoroughly shook confucian cause left incurable wound to twenty-one-year old innocent young scholar, Kim si-seup so he wore buddhist monks" robe and led a wandering life. However, young government official, Seo geo-jeong working for Jibhyeonjeon, research institute had been close to King Sejo since the king was the prince and became a minister of six boards of the government and he was the head of Hongmungwan, study center for as many as twenty three years. One could say that there would not be unfortunate scholar as Kim si-seup through the entire Joseon period, whereas it is hard to find a scholar living a glorious life as Seo geo-jeong.   The life of a writer leaves trace in his works one way or another. It is evident in the world of Chinese poetry and epic world. This reveals in their posthumous evaluation. Seo geo-jeong played a great role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re are hundreds of books by national demand such as Gyungguk Dejeon, Samguksa Jeolyo, Dongguk Yeojiseungnam, Dongmunseon let alone individual writings. In contrast, Kim si seup was not prolific. But the evaluation of posterity goes different ways.   The historiographer of Joseon Wangjo Silrok,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 criticized Seo geo-jeong that he was not active to educate younger generation on the day of Seo geo-jeong"s death who lived such a prosperous life. In comparison with that, Kim si seup who had never been listed his name on Joseon Wangjo Silrok,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 while he was living, began to be mentioned for the first time after his death. The movement of looking again Kim si seup expanded from the discussion of publishing his posthumous works. Sarim school that thought highly of confucian cause began to pay attention to Kim si seup"s lifelong commitment to fidelity. In the end, King Jeongjo granted the position of the minister to Kim si-seup posthumously and bestowed a title called Cheonggangong. Seo geo-jeong and Kim si-seup crossed each other in life and death.

      • KCI등재

        고전소설의 주인공 <육신전>과 <원생몽유록> -충절의 인물과 기억서사의 정치학-

        정출헌 ( Chul Heon Chung ) 한국고소설학회 2012 古小說 硏究 Vol.33 No.-

        Chugang, Nam Hyo-On is commonly remembered as one of Saengyuksin, six loyal vassals because he wrote Yuksinjeon, which is the story of six vassals who were killed in plotting to restore King Danjong`s throne in revolt against King Sejo`s unjust usurpation. His intention was to pay a tribute to the subjects as figures of fidelity who were branded as traitors and killed 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former king Danjong`s throne. Sarim, who were confucian scholars seizing the political powers in the reign of king Seonjo, tried to continue Nam Hyo-On`s work in earnest. He established his own genealogy in the descent of Jeong Mong-Ju, Gil Jae, Kim Suk-Ja, Kim Jong-Jik, Jo Gwang-Jo, while he actively involved in practical work worth the name. That`s why he started to discover and reward the faithful living figures of fidelity as well as six dead subjects in restoration movement of king Danjong`s throne. The task was not easy but it came to fruition one after another. Sayuksin, six dead loyal subjects were reinstated and king Danjong restored his throne. Also Kim Si-Seup, Nam Hyo-On received honorable praise for their loyalty and Won Ho, Jo Ryeo who left the central government and retired to hermitage were rewarded. In the long run, Saengyuksin were brought forth to the world in parallel to Sayuksin. Nevertheless the tremendous demands of people requesting similar rewards never ceased. King Jeongjo finally established Baesikdan, distribution table, in Jangnyung, king Danjong`s tomb and could put together all those people`s names in one place. Yuksinjeon and Wonsengmongyurok were the works that strongly evoke the tragic death of king Danjong, unyielding fidelity of six dead subjects, the life of Nam Hyo-On who rejected compromising his integrity in the political turmoil through the power of literature. People who were comparable to Nam Hyo-On begin to be discovered one after another. People such as Won Ho, Choi Deok-Ji, Kim Si-Seup, Hwang Yeo-Il whose names were recorded in the final chapters of Wonsaengmongyurok are the political product of future generation who thought these people deserved to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honorable names. Sadebu, confucian scholars strongly but secretly revealed their social, political desires through narrative documents and dream narratives. The sixteenth century narrative literature sharpened literary impression that was accumulated from old time and engaged in sensitive political realities in a very profound way.

      • KCI등재
      • KCI등재

        김종직의 사제관계와 도학사적 위상

        정출헌 ( Chung Chul-heon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5 No.-

        유교를 국시로 내걸고 건국된 조선사회를 이해하는 키워드 가운데 하나는 일 터다 조선 초기 道學. 지식계층들은 고려후기에 전래된 신유학을 지배 이데올로기로 삼아 사회 전반에 걸쳐 유교문명으로의 전환을 모색해갔다. 그런 과정에서 학술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인물 가운데 하나로 점필재 김종직을 꼽을 수 있다. 세조대에 출사하여 성종 말년까지 활동했던 그의 행적 가운데 가장 주목할 만한 대목은 성리학적 학문세계를 부친 김숙자로부터 배워서 김굉필ㆍ이심원ㆍ남효온과 같은 제자들에게 전수했다는 사실이다. 그리하여 김종직은 젊은 제자들로부터 생전에는 ‘마음을 바르게 하는 학문[正心之學]’으로 자신을 이끌어준 스승으로 존중되고, 사후에는 文忠이란 시호를 올려 기려질 정도였다. 실제로 사림정권이 자리를 잡게 된 선조대에 이르게 되면, “정몽주 길재 김숙자 김종직 김굉필 조광조”라는 道統이 정립하게 된다. 하지만 이런 전승에 대해서는 적지 않은 의혹이 제기되기도 하고, 심지어 후대에 재구된 假像의 계보에 불과할 뿐이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실제로 그 학문의 授受關係에 대한 실상을 면밀하게 따져보지 않은 채, 정설처럼 통용되고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이런 문제제기에 대한 반성적 차원에서 김종직과 그 제자들의 사제관계에 대해 후대인의 부연이나 추앙이 아니라 당대인의 직접적 증언이라든가 김종직 자신의 기록을 통해 그 실상을 객관적으로 드러내보이고자 노력했다. 그리하여 김종직이 성리학을 새로운 학문으로 받아들이고, 거기에서 터득한 바를 후학들에게 힘써 가르쳤으며, 나아가 유교지식인으로서 자세를 가다듬고 실천해가던 역동적인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김종직을 중심으로 한 사제 간의 공감과 갈등, 또는 제자들 간의 분화와 새 길의 모색은 그렇게 해서 가능할 수 있었다. One of the keywords to understand Joseon, which claimed to be a Confucian state, is Tao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tellectuals sought a transition to Confucian civilization by using the new Confucianism introduced in the late Goryeo Dynasty as a dominant ideology. Kim Jong-jik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process. The most important activity for him, who began to serve in the reign of King Sejo until the end of King Seongjong, is the fact that he taught many disciples about studying abroad. They are disciples such as Kim Goeng-pil, Lee Shim-won, and Nam Hyo-on. Thus, Kim Jong-jik was respected by his young disciples as a teacher who led him to “disciplinary learning that makes his mind right.” Thus, it is said to be one of the members of the line “Jung Mong-ju→Giljae→Kim Sook-ja→Kim Jong-jik→Kim Goeng-pil→Jo Gwang-jo.” However, suspicions are raised about this genealogy. In fact, there is also criticism that it did not closely examine the reality of the academic transmission process.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in detail the priest-teacher relationship between Kim Jong-jik and his disciples in a reflective dimension to this criticism. In particular, he tried to objectively reveal the reality through the testimony of the person of the time and Kim Jong-jik’s own records. As a result, Kim Jong-jik accepted new study as a new study, and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pecific aspect of teaching younger students.

      • KCI등재

        연보와 평전 : 사실의 기록 또는 기억의 서사

        정출헌 ( Chung Chl-heon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7

        전근대 지식인들은 『사기』를 편찬한 사마천처럼 역사를 기록하는 주체인 동시에 역사에 기록되는 객체가 되고 싶은 열망으로 가득 차 있었던 것처럼 보인다. 문집에서 碑誌傳狀類의 생애자료들이 얼마나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가를 보면, 쉽게 납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墓碑ㆍ墓誌 작성의 기초자료로 사용되기 위해 편찬되는 行狀과 年譜가 있다. 이들은 한 인간의 생애를 기록함에 있어 주관적 판단을 배제한 채, 구체적인 삶을 가능한 한 자세하면서도 있는 그대로 적어가는 `사실의 기록`이 되어야 마땅하다. 하지만 우리의 그런 기대와 달리, 亡者의 삶을 빗돌에 새겨 영원히 전하고 싶어 하는 후손 또는 제자에 의해 생애자료들은 크고 작은 가공과 손질이 더해지곤 했다. 그런 점에서 이들은 `기억의 서사`라 부를 수도 있다. 본고는 이런 사실에 유념해야 함을 환기시켜주기 위해, 잘 알려진 몇몇 사례를 되짚어보는 과정을 거치고자 했다. 먼저 퇴계 이황의 사후, 제자그룹에 의해 얼마나 오랜 논의를 거쳐 정성스럽게 亡者의 문집과 연보가 만들어져갔는가를 살펴보았다. 그건, 문집과 연보 편찬의 한 전범이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과정을 동일하게 밟아갔음에도 불구하고 남명 조식의 경우, 뒷사람의 논란이 분분했다. 조식의 제자가 주축이 된 북인정권이 몰락함에 따라 스승의 생애자료까지 온갖 숱한 수난을 겪어야만 했던 것이다. 하나의 비유를 들면 이렇다. 초상화는 대상이 되는 사람의 精髓를 있는 그대로 그려내야 하는 것이지만, 실제로 그림의 정채는 대상 인물의 인품보다 화가의 그림 솜씨에 좌우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문집과 연보도 유사하다. 연보의 편찬은 대상 인물이 살아간 자취를 사실대로 기록해야 하는 것이지만, 뒷사람이 그 사람을 어떻게 기억하고 또는 기억하게 만들고 싶어 하는가에 따라 달라지곤 했다. 그런 극단적인 사례를 탁영 김일손의 경우에서 확인하게 된다. 그의 문집 『탁영집』은 모두 일곱 차례 간행되는데, 改刊의 계기는 그 인물의 추숭과정과 관련되어 있었다. 복권과 증직이 이루어지고, 서원을 지어 배향하게 되고, 서원에 사액이 내려지고, 마지막에는 시호가 내려지는 등 굵직한 사건이 있을 때마다 간행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그때마다 김일손의 이미지는 조금씩 바뀌어갔다. 문장에 뛰어났던 인물에서 절의까지 겸비했던 인물로, 그리고 문장은 餘事였을 뿐이고 오직 덕행에 탁월했던 인물로 그려졌던 것이다. 19세기 말 김일손을 문묘에 배향하고자 했던 후손의 열망이 그런 변화를 추동했던 원동력이다. 그리하여 급기야 『탁영선생연보』까지 찾아내게 되었지만, 기실 그것은 가상으로 재구한 `기억의 서사`에 다름 아니었다. 그와 같은 생애자료의 실상을 확인하게 되면, 한 인간의 삶을 객관적이고도 廣密하게 재구성한 集成年譜의 필요성에 절감하게 된다. 그런 `정확한` 생애자료가 있어야 `좋은` 평전 쓰기도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Premodern intellectuals appear to have been eager to become the subjects who record the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the objects who were recorded in history as Sima Qian who wrote Shiji. We can understand this trend when we see how significantly life data such as biographies and epitaphs in anthologies are treated. There are chronology and tribute for the dead written in order to be used for tombstones and graveyard. They should be `the record of facts` that described the specific lives in detail as it was without the subjective judgment in writing about a person`s life. However, unlike our expectations, people`s life data sometimes went through processes and personal touches big and small by the descendents or the followers who wished to report the life of the dead on the tombstone permanently. In that aspect we can call this `the narrative of memory`. This article traces back several well-known examples to let us keep in mind this fact. I explored how devotedly and earnestly the followers made the anthology and the chronology of Toegae Yi Hwang through long, arduous discussion after his decease. This became a good example of making anthology and chronology to follow for future generations. However, in the case of Nammyeong Jo Sik, despite the same process, controversy of later generations was inevitable. It is because Bukin regime who were mainly the followers of Jo Sik lost control in the central government, their teacher Jo Sik`s life data had to suffer ordeals. Here is a metaphor to explain the situation. A portrait should portray the essence of a person as he/she is but in reality the portrait can be swayed by the painter`s drawing skills rather than portraying the character of the subject. Anthologies and chronologies are similar. The compilation of chronology should be the record of truth of the dead according to his life data but it changed depending on how his descendents remember him and want others to remember him. One extreme example is in the case of Takyoung Kim Ilson. His anthology Takyoungjip was published seven times in all, and the reason of revision is related to the man`s posthumous honoring process. Every time he restored his position and received honorable title posthumously, they constructed Seowon and worshiped him and the Seowon got the signs from the king and in the end he got honorable name after death from the king. All these times they published new anthologies too. Every time they did things to honor him, Kim Ilson`s image changed little by little, from a man of great literary skills to a man of fidelity and integrity. They wrote his literary skills were just hobbies and described him as a man of great virtue later. The eagerness of Kim Ilson`s descendent to worship him in the Confucian shrine was the driving force of the change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hus, people found The Chronology of Mr. Takyoung but as a matter of fact, it was a fabricated fiction, that is the `narrative of fiction`. When we discover the reality of life data like that, we feel the urgent need of collecting anthology of a person`s life that was reconstructed objectively and comprehensively. With that accurate life data we can start writing `good` critical biography.

      • KCI등재

        임진왜란과 전쟁포로, 굴절된 기억과 서사적 재구

        정출헌(Chung, Chul-heon) 한국고전번역원 2013 民族文化 Vol.41 No.-

        임진왜란은 동아시아 삼국의 인민을 전쟁의 광기로 몰아넣었다. 수많은 병사가 전쟁터에서 죽어갔고, 힘없는 백성은 전란을 피해 전국으로 떠돌았다. 그러다가 전쟁포로로 잡혀 일본으로 끌려가기도 했다. 임진왜란 때 잡혀간 조선인은 최대 10만 명쯤 되는데, 그 중 7,500명 정도만 귀환할 수 있었다. 이들의 귀환 경로는 대략 세 가지였다. 첫째는 錦溪 魯認처럼 자력으로 탈출한 경우다. 둘째는 睡隱 姜沆과 月峰 鄭希得처럼 일본인의 도움으로 돌아온 경우다. 셋째는 조선에서 파견한 回答兼刷還使가 데리고 귀국한 경우이다. 이들 가운데 몇몇은 자신의 포로체험을 기록으로 남겼는데, 여기서는 姜沆의 「看羊錄」과 鄭希得의 「海上錄」, 그리고 최척의 구술을 토대로 하여 서사적으로 재구한 趙緯韓의 「崔陟傳」을 주요 텍스트로 삼아 검토하였다. 지금까지 이들 포로체험 實記類는 사실의 기록이란 측면에서 다루어져왔다. 하지만 귀국포로들은 자신의 굴욕적인 체험을 기억하는 과정에서 자기 방어기제를 끊임없이 작동시키며 일정한 굴절 현상을 일으켰다. 자신에게 불리한 과거는 기억에서 흐릿하게 처리하거나 아예 배제해버렸던 것이다. 또한 뒷사람들이 이들의 포로체험 기록을 출판물로 公刊할 때도 유사한 방어기제가 작동했다. 과거의 기억이 굴절될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그 결과 중앙정계에 몸담았던 강항은 「간양록」을 통해 자신의 귀국을 ‘충절의 실천’으로 돋보이도록 만들고, 재지사족이었던 정희득은 「해상록」을 통해 자신의 귀국을 ‘효심의 실천’으로 돋보이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최척전」의 주인공이기도 한 최척은 삼국을 떠돌아다니다가 귀국한 자기 부부의 체험을 구술할 때, 부인에게 드리워진 ‘훼절의 의혹’을 불식시키려 애쓴 흔적이 역력했다. 작가 조위한은 이런 구술 사실을 바탕으로 그들 부부의 전란체험을 서사적으로 재구했던 것이다. 이런 검토의 결과, 포로체험을 담은 실기류는 ‘사실의 기록’이라기보다 오히려 ‘기억의 서사’라는 시각에서 보다 섬세하게 읽을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mjin War drove nationals of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into the insanity of war. Countless soldiers were killed in the battle fields and powerless ordinary people had to wander all over the country to escape the war. Meanwhile some people got caught as prisoners of war (POW) and were taken to Japan. As many as one billion people from Joseon were taken to Japan during Imjin War and only 75,000 people among them could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There were approximately three return paths for these people. First, they escaped by themselves, e.g. in the case of Geumgye Noin. Second, they could escape with the help of Japanese people, e.g. the cases of Sueun Gang-hang and Walbong Jeong-Heedeuk. Third, they could return to Joseon with Hoidapgyeom Seohwansa, who were envoys of Joseon to Japan. Some of them kept a record of their experience as POWs (prisoners of war). Here I have examined as my main texts Gang Hang’s Ganyangrok, Jeong Hee-deuk’s Haesangrok, and Jo We-han’s Choiceokjeon, which was reconstituted based on Choi Cheok’s oral statement. The records of POWs’(prisoners of war) experiences were treated as the record of the truth until now. However returned POWs activated defense mechanism incessantly in the process of recollecting their humiliating experiences and bent the truth to a certain degree. They made dim or even excluded for some past events that were disadvantageous to them. Also similar defense mechanism was activated when future generations published these POW records. That is why past memories went through alterations. As a result, Gang Hang who worked for central government made his returning home look like “accomplishment of fidelity” through Gangyangrok, Jeong Hee-deuk, who was a provincial nobleman made his returning home look like “practice of filial piety” through Haesangrok. When Choi Cheok, who is the hero of Choicheokjeon, dictated he and his wife’s experience while wandering three countries, he made a great effort to eliminate the doubt towards his wife’s faithfulness. Jo We-han reconstituted he and his wife’s war experience based on this oral statement. In conclusion, these documents that have POW experiences need to read with deliberate care in terms of ‘narrative of memories’ rather than ‘record of truth’.

      • KCI등재

        삼국의 여성을 읽는 두 ‘남성’의 시각-『삼국사기』와『삼국유사』를 중심으로-

        정출헌(Chung. Chul-he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4 동양한문학연구 Vol.19 No.-

        김부식의『三國史記』와 일연의『三國遺事』는 삼국의 역사를 전해주는 귀중한 우리의 古典이다. 이들은 흔히 正史와 野史, 사대적/자주적, 유가적/불교적, 귀족적/서민적, 합리적/신비적이라는 점에서 대비되는 역사서로 평가된다. 하지만 우리는 이들 두 고전을 ‘유학자/남성’인 김부식과 ‘승려/남성’인 일연이 삼국의 여성을 각기 어떤 시각으로 읽었는가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살피고자 한다. 분석의 대상은『三國史記』「列傳」에 실려 있는 ‘설씨녀’와‘도미’, 그리고 『三國遺事』「感通篇」에 실려있는 ‘김현감호’으로 삼았다. 그 결과 김부식은 본래의 텍스트에 인위적인 개작을 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설씨녀와 도미처를 유가적 규범인 節行과 孝行에 충실한 여성으로 만들기 위해 본래의 서사를 개작했던 것이다. 한편 일연은 불교적 영험을 증명하기 위해 본래의 텍스트를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랑하는 낭군을 위해 희생한 호랑이를 진짜 호랑이가 아니라 관음보살의 化身일 것이라 해석했던 것이다. 그 결과 다채롭던 이들 삼국의 여성은 유가적/불교적 여념에 충실한 인간형으로 왜곡·고착되고 말았다. 우리는 이런 몇몇 사례를 통해 삼국의 여성이 인간중심적·남성중심적인 중세사회를 경과하면서 점차 생기를 잃어버리게 되는 단초를 읽는다. 순종과 희생이라는 여성의 덕목을 실천하고 있다는 讚辭를 얻는 대신. Samkuksagi(三國史記)by Kim Bu Sik and Samkukyusa(三國遺事)by Il Yeon are our valuable classics that convey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e two works generally appreciated as confucian history books in terms of authentic history book, subservien/independent, Confucian/Buddhist, aristocrats/ commons, and rational/mysterious history book, respectively. However, we focus here the two male writers-a Confucian male scholar Kim Bu Sik and a male Buddhist monk Il Yeon. A focal point will be with what viewpoint the two men read the women of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in their classical works. The subjects of analysis are <Seolssinyeo(薛氏女)>, <Domi(都彌〉recorded in Yeolgeon, Samkuksagi(『三國史記』「列傳」)and <Kimhyeon-gamho(金現感虎) recorded in Gamtongpyeon, Samkukyusa(『三國遺事』「感通篇」). Kim Bu Sik seems to adapt the original text factitiously. He adjusted original narrative to make Seolssinyeo and Domi’s wife faithful women to Confucian standards and filial piety. On the other hand, Il Yeon seems to interpret original text arbitrary in order to prove Buddhist miraculous efficacy. He interpreted the tiger that sacrifices herself for her loving husband is not the real tiger but the incarnation of Buddhist Goddess of Mercy. As a result, a variety of women of Three Kingdoms ended up distorted characters and sticked to female types dedicated to Confucian/Buddhist ideas. The women of the Three Kingdoms gradually lose their animation through these cases in humanistic and male-oriented medieval society. Instead, they receive praise that practice the female virtues such as obedience and sacrif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