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성욱 박사의 삼지(三枝)사회조직론 연구

        정천구 한국민족사상학회 2020 민족사상 Vol.14 No.3

        Among the works of Dr. Baek Sung-wook, his doctoral dissertation, "Buddhist Metaphysics," represents his pure philosophy, while "the Three Branch Social Organization Theory" is the practical philosophy applied to modern life, Here we can see the effects of Kant's philosophy, the achievements of modern natural science, and Theosophy which was popular when he studied in Germany. He combined them with Buddhist philosophy in East Asia and traditional Korean philosophy to create his own theory. By referring to cosmology in modern science, he found that one same principle applies to the micro-cosmos as well as macro-cosmos. He contends that the universe would improve its evolution if it kept its position and origins at any level, or it would explode. If we appeal the history of mankind, it is said that mankind has been operating in three orbits: mental life, legal life, and economic life. However, if one of them oppressed others mankind was unhappy. The ancient and medieval dark ages, when economic and legal life was dominated by religious life, mankind was unhappy. When legal life dominates other lives, mankind was also unhappy. The rule of economic firstism, which Marxists claimed, also predicted that it would eventually make mankind unhappy. He said that economic life is like the blood circulation of the human body so that the economy can run smoothly only when it is distributed well. In that life people should take according to their own means instead of being greedy. Legal life is like the spine of the human body, so there should be no complaint, and in order to do so, it should be operated by justice. Complaining mind angry thought that a soothing mental life should be shared. Mental life is the external equivalent of taking the center of life and giving orders,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of the three. Spiritual life includes religion, academia, and art. By the practicing of mental life we can discover cosmic logic in each field,.we would improve human life. Through the Theory of Three Branch Social Organization Theory we can easily understand Dr. Baek Sung-wook's thought and life. 백성욱 박사의 저작 중, 그의 박사학위 논문인 “불교순전철학,”이 그의 기본철학을 대표한다면 “삼지사회조직론”은 이를 현대 생활에 응용한 실천철학이라 할 수 있다. 백성욱 박사의 철학과 실천적 삶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글이다. 여기서 우리는 칸트 철학, 현대 자연과학의 성과 그리고 그가 독일에 유학할 때 유행하던 신지학 등의 영향을 볼 수 있다. 그는 이들을 동아시아의 불교철학과 한국의 전통민족사상과 종합하여 자신의 독창적 이론을 만들었다. 그는 현대과학의 우주론을 참고하여 태양계, 은하계 같은 대우주나 원자, 전자와 같은 미립자의 소우주나 인간에게도 하나의 일리(一理)가 적용된다는 점을 밝혀냈다. 우주가 어느 차원에서나 하나의 중심을 놓고 궤도를 운행하는데 어느 경우나 자기의 위치와 분수를 지키면 진화 향상하고 그렇지 않으면 원자나 별이나 폭발한다고 보았다. 인류의 역사를 상고하면 인류는 정신생활, 법률생활, 경제생할의 세 궤도로 운행해 왔다고 한다. 그런데 이 중 어느 하나가 독주하면 인류는 불행했다고 하였다. 종교 생활이 독주하던 고대나 중세 암흑시대, 왕권의 전횡으로 법률생활이 지배하던 시대가 그러했고 마르크스주의가 주장하는 경제 제일주의의 지배도 결국은 인류를 불행하게 할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는 경제생활은 인체의 혈액순환과 같아서 분배를 잘해야 경제가 원활하게 잘 돌아가는데 이는 결국 사람들이 탐심을 내지 말고 자기 분수에 맞게 취해야 한다고 하였다. 법률생활은 인체의 척추와 같아서 불평하는 마음이 없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정의로 운영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불평하는 마음 성내 는 마음을 진정시키는 정신생활이 함께 해야 한다고 보았다. 정신생활은 생활의 중심을 잡고 명령을 내리는 대뇌에 해당하며 세 가지 생활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 종교, 학술, 예술 등이 이에 해당하며 각 분야에서 우주의 일리(一理)를 찾아 인류 생활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백성욱 박사의 철학과 일생은 삼지사회조직론을 통해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백성욱 박사의 [大入小의 一理]에 관한 연구

        정천구 한국민족사상학회 2021 민족사상 Vol.15 No.4

        Dr. Baek Sung-wook's article, "Both the big and the small are based on one principle" is an article that interprets Buddha Sakyamun's sermon on the universe and life as today's scientific discovery and universe view. If Great master Wonhyo academically summarized various Buddhist perspectives at the time under the concept of one mind of Mahayana Shaddhotpada Sastra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Dr. Baek Sung-wook interpreted the Buddha's preaching of “Both the big and the small are based on one principle“ in connection with the universe built with modern science. He analyzes how the macroscopic world revealed b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how the world of atoms and electrons, a microscopic world, are organized and operated in one same principle. The universe, microcosm, or circle is 360 degrees every where, and the solar system or atom rotates and revolves while keeping its orbit. Human society is also considered to develop when mental life, legal life, and economic life are balanced and harmonized while keeping their respective trajectories. Among them, mental life is important to study the mind that can occur immediately, and if you empty your mind and rest, you can activate the spirit and gain cosmic wisdom. It is possible by comprehensive immediate rather than experience, and anyone can find a point in life away from experience and concept in their lifetime. By applying this to real life, it is said that the present world of Five turbid and evil worlds can be transformed into a fragrant and beautiful world. 백성욱 박사의 [대입소(大入小)의 일리(一理)]라는 글은 우주와 인생에 관한 석가모니 부처님의 설법을 오늘날의 과학적 발견과 우주관으로 해석한 글이다. 원효 대사가 대승기신론의 일심이라는 개념으로 당시 불교의 다양한 관점들을 학술적으로 명석하게 해설했다면 백성욱 박사는 대입소의 일리라는 부처님의 설법을 현대과학으로 구축된 우주관과 연결하여 해석하였다. 그는 거시적 세계인 우주와 미시적 세계인 원자가 어떻게 일리 즉 하나의 같은 원리로 조직되고 운영되는가를 분석하였다. 우주나 소우주의 어디에서나 기하학적 수학적 공식은 똑같이 적용되고 태양계도 원자도 궤도를 지키면서 자전하고 공전한다. 인간 사회도 정신생활, 법률생활, 경제생활이 각자의 궤도를 지키면서 균형과 조화를 이룰 때 발전한다고 보았다. 그중에서 정신생활은 즉각(卽覺)이 일어날 수 있는 마음공부가 중요한데 마음을 비워서 쉬게 되면 영지(靈智)가 발동하여 우주적 지혜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경험이 아닌 종합적 즉각에 의해 그것이 가능하며 누구나 일생 생활에서 경험과 개념에서 벗어나면 생활에서 일리를 발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를 실생활에 적용함으로써 오탁악세라는 현 세계를 향적(香積) 세계나 연화세계로 변화시켜 나갈 수 있다고 하였다.

      • KCI등재후보

        제3장 한국의 호국불교 : 그 역할과 과제

        정천구 한국민족사상학회 2010 민족사상 Vol.4 No.2

        Korean state-protection(護國) Buddhism has been historically established religion to realize the Buddha’s idea to end sentient suffering and build a land of happiness in Korea surrounded by hostile powers. In the early era, Silla was successful in applying Buddhist religious faith to the foundation of a stronger state and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During Goryo dynasty as well as Josun dynasty the state-protection Buddhism played important roles in protecting Korean nation against foreign invasions and securing internal stability. It is a sort of governing philosophy not for the ruling elite but for the benefit of all human beings. Several Buddhist sutras teach that any national leader should follow Buddhist dharma if he wants his nation safe and prosperous. The state-protection Buddhism is one of the proud national heritages to be preserved and developed. In this democratic world, what the Korean state-protection Buddhism should protect is Constitution which prescribe the people, territory and sovereignty of Korean state.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contains the idea of freedom, equality, fraternity and the dignity of man which the Buddha taught us to enhance. In this modern era, if Korean Buddhists should try to protect the Constitution, collect the will of the people in mass, contribute to social welfare, and work hard in their occupations, they can contribute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tate and society. 한국의 호국불교는 중생의 고통을 덜어주고 불국정토를 실현한다는 불교적 이상을 끊임없는 외세의 침략을 받아온 한국적 현실에 적용하면서 역사적으로 형성된 이념이다. 호국불교는 신라 삼국통일의 사상적 실제적 기초를 제공하고 고려와 조선왕조를 통하여 외침을 극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호국불교는 특권층의 보호를 위해서가 아니라 국가사회를 통합하고 민족의 자주권을 지키는 수 있는 정법치국사상(正法治國思想)이었다. 호국경전들은 불타의 정법(正法)에 따르고 중생의 이익을 위해 나라가 다스려지면 국란을 극복하고 국리민복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가르친다. 호국불교는 오늘에 계승 발전시켜야 할 우리 민족의 자랑스러운 유산이다. 현대국가에서 호국불교가 지켜야 할 대상은 국가의 운영원리와 기본권 등을 열거한 대한민국헌법이다. 헌법에는 완전하지는 않지만 자유, 평등, 우애의 이념과 인간의 존엄성 존중 등 붓다가 추구한 이념들을 규정하고 있다. 오늘날 불교도들은 현대적인 호국의 대상으로 헌법을 수호하고, 국가적 과제에 대하여 국민의 의지를 결집하며, 불교의 보시정신에 따라 사회복지에 기여하고, 복 짓는 마음

      • KCI등재

        백성욱 박사의 불교 철학 연구

        정천구 한국민족사상학회 2020 민족사상 Vol.14 No.3

        Dr. Baek Seong-wook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contributed to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school as the president of Dongguk University, and taught his disciples by developing unique Buddhist practices after retirement. And at the heart of all his activities and philosophy is his Buddhist philosophy. Buddhist philosophy consists of metaphysics, epistemology, ethical theory, and analytical position on the realities(實相) of the world and the universe. Dr. Baek's Buddhist philosophy begins with his doctoral dissertation on Buddhism at the University of Würzburg, Germany. It deals with Buddhist metaphysics, where he defines Buddhism as "a philosophy of consciousness that studies truth acquired from actual reality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not from a subjecive point of view," and called Buddha the subject of truth and Dharma the object of truth. He pointed out that the philosophical approaches to reality were different in Southern Buddhism (or hinayana 小乘) and Northern Buddhism (mahayana 大乘). Although hinayana vehicle as practitioners tried to empty the subject, he could not overcome the fear of objectivity, but mahayana believed that both the subject and the object world were built from human preconceptions and delusions, and said that he would be free to get out of here. His theory of perception, his method of exploring truth, follows the logic of positive →negative →double negative. This logic format is a way for our minds, built on five psychological requirements(五蘊), to discard preconceptions and errors and reach objective truths. Based on this metaphysical study, he regarded Buddha, the host of the truth, as the Maitreya Buddha, who inherited the Buddha's heart in Sakyamuni in our reality, and decided to represent Dharma, the object of the truth. So, he practiced reciting the Diamond Sutra and chanting Maitreya Buddha as Buddhist practice and taught it his disciples. He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science that rely too much on empirical science and said that the real guru who awakened the truth of the universe grasps the reality of the world with an immediate comprehensive judgment combining experience and intuition. 백성욱 박사는 독립운동가이고 대한민국건국에 공헌하였으며 동국대학교 총장으로 학교의 기틀을 세웠고 은퇴 후에는 독특한 불교 수행법을 개발하여 제자들을 가르친 교육자였다. 그리고 그의 모든 활동과 철학의 중심에는 그의 불교 철학이 있다. 불교 철학은 세계와 우주의 실상(實相)에 관한 형이상학, 인식론, 윤리론, 그리고 해석학적 입장 등으로 이루어졌다. 백성욱 박사의 불교 철학은 그의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에서 받는 철학박사 학위 논문 『불교순전철학』에서 시작된다. 불교 형이상학을 다룬 것인데 여기서 그는 불교를 “실제적 현실로부터 구득한 진리를 각개의 주관이 아닌 객관적 견지에서 연구하는 의식 철학”이라고 규정하고 붓다를 진리의 주관, 그리고 달마(Dharma, 法)를 진리의 객관이라고 했다. 그는 남방불교(소승)와 북방불교(대승)에서 실상에 대한 철학적 접근이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소승은 주관만을 비우려 하나 객관에는 공포심을 극복하지 못하였는데 대승은 주관과 객관이 모두 인간의 선입견과 망상에서 건립된 것이라 보고 여기서 벗어나면 자유롭게 된다고 하였다. 그의 진리탐구 방식인 인식론은 긍정 →부정 →불(不) 긍정, 불 부정이라는 논법을 따르고 있다. 이 논리 형식은 다섯 가지 심리학적 요건(오온五蘊: 색色・수 受・상 想・행行・식識) 위에 건립한 우리의 정신이 선입견과 오류를 버리고 객관적 진리에 도달하는 방법이다. 이런 형이상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그는 진리의 주관인 붓다를 우리 현실에서 석가모니 부처의 마음을 이어받은 미륵존여래불이라 보았고 진리의 객관인 달마를 대표하는 경으로 금강경을 정하였다. 그래서 그는 금강경 독송과 미륵존여래불 염송을 불교 수행법으로 정하여 이를 스스로 실천하고 제자들을 가르쳤다. 그는 경험과학에 너무 의존하고 있는 과학의 한계를 지적하고 우주의 진리를 깨친 도인은 경험과 직관이 결합한 즉각적 종합판단으로 세계의 실상을 파악한다고 하였다.

      • KCI등재후보

        서해북방한계선의 주요 쟁점과 대응 방안

        정천구 한국통일전략학회 2008 통일전략 Vol.8 No.3

        The Northern Limit Line was unilaterally set by the United Nations military force in August 1953 in order to enforce the Armistice Agreement pulling out its overwhelming sea-power from the north. The Line has been the de-facto territorial limi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Korea for more than 50 years. The North Korea began to raise issues from 1973 so on over the NLL in the West Sea challenging militarily several times. The Republic Korea repelled the invasions successfully, especially in the two Naval Battles at Yeonpyeong, thereby maintained firm control over its territory. According to the Article 62 and the Article 63, the Armistice Agreement can not be changed unless both sides agree to change or it changed into another agreement. The Republic of Korea must reinforce its legal justification on the Northern Limit Line in the West Sea firmly defending it militarily as well as politically until both sides reached a new agreement on the Line. Any claim to apply the 1982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to the NLL in the West Sea is tantamount to alter the Armistice Agreement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Law of the Sea. It is absurd and against the legal principles. As we saw in the two Naval Battles at Yeonpyeong, one must not involve any political consideration into the military defense of the Northern Limit Line. Any negotiations on the NLL must be prudent. It must be negotiated not only from the North-South relations point of view but also from the overall military and economic point of view. The NLL issues are related directly to the overall national unification policy. South Korea's unification policy should be reconsidered in order to solve the NLL issues to the roots. A negotiated unification formula doesn't seem to be feasible or desirable at present. Instead, it is recommendable that South Korea should seek a security community in the Korean Peninsular in which neither Korea need prepare for war with each other. 북방한계선(NLL)은 우세한 해군력으로 한반도 동‧서해를 장악했던 유엔군이 정전협정의 실행을 위해 군사력을 후퇴시켜 해상경계선으로 설정한 선으로 지난 50년 이상 남북한 간에 실질적으로 유지되어 온 영토(영해)선이다. 북한은 1973년부터 북한과 합의 없이 그은 선이라고 문제를 제기하고 도발을 계속해 왔으나 한국은 2차에 걸친 연평해전 등에서 이를 성공적으로 격퇴하고 실효적 지배권을 유지해왔다. 정전협정 제61조 및 62조에 의하면 정전협정은 쌍방이 합의하거나 다른 협정으로 대체되기 전에는 폐지될 수 없다. 따라서 한국 측은 새로운 경계선에 합의할 때가지 혹은 다른 협정이 맺어질 때까지 NLL을 굳건히 지켜나가고 법적 정당성을 강화해야 한다. NLL에 1982년 해양법상의 12해리 영해선을 적용하자는 주장은 해양법의 규정으로 정전협정을 변경하려는 주장으로 법리에 어긋난다. 연평해전서 보듯이 NLL을 군사적으로 방어하는 일에 정치적 고려를 개입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공동어로구역의 설치 등 NLL과 관련된 협상은 남북한 관계만이 아니라 서해의 안보적 경제적 중요성 등 종합적 관점에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서해 NLL문제는 나라의 통일정책과 직결되어 있는 바, NLL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통일정책 기조의 근본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한국은 가능하지도 않고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는데 바람직하지도 않은 북한과의 합의통일의 미련을 버리고 남북이 상대방에 대하여 전쟁에 대비할 필요가 없는 안전공동체를 건설하는 일을 먼저 추구해야 한다.

      • KCI등재

        7~8세기 중국 고승전의 정형화와 다양화

        정천구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4 대순사상논총 Vol.48 No.-

        7~8세기에 중국 불교는 가장 융성했고 주요한 종파들이 등장해 각기 다른 길을 갔다. 이러한 사실은 잇따라 저술된 여러 고승전과 그 체재의 성격 변화를 통해서도 드러났다. 6세기 초, 혜교(慧皎)는 중국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의 역사를 담은 『고승전(高僧傳)』을 편찬했다. 이때 십과(十科)라는 체재를 마련했는데, 645년에 도선(道宣)은 이 십과를 기본틀로 삼아 『속고승전(續高僧傳)』을 편찬했다. 그러나 십과의 일부를 수정하고 보완함으로써 십과를 역사서에 걸맞은 체재로서 정형화했다. 『속고승전』이후에는 십과를 변형한 체재를 갖춘 고승전들이 편찬되었다. 법장(法藏)은『화엄경전기』(690년?)를 저술하면서 십과로 구성했으나, 과목들의 명칭과 의미가 화엄철학을 강조하는 쪽으로 크게 변했다. 이어 혜상(惠詳)은 『홍찬법화전(弘贊法華傳)』(706년?)을 편찬하면서 『고승전』과 『속고승전』의 십과를 바탕으로 새롭게 변형한 팔과(八科)를 갖추었고, 승상(僧詳)은 『화엄경전기』의 십과에 두 과목을 새로 추가한 십이과(十二科) 체재의 『법화전기(法華傳記)』(750년?)를 편찬했다. 두 고승전의 체재는 철학보다 신앙에 방점을 찍었다. 선종에서도 8세기 초부터 고승전이 잇달아 편찬되었다. 『전법보기(傳法寶紀)』(713년?), 『능가사자기(楞伽師資記)』(713년?), 『역대법보기(歷代法寶記)』(774년), 『보림전(寶林傳)』(801년) 등이 그것이다. 그런데 네 고승전의 체재는 이전과 전혀 달랐다. 어떠한 과목도 설정하지 않고, 스승에서 제자로 이어지는 계보를 세워 서술했다. 이는 선종이 경전에 의거하지 않고 수행자가 스스로 깨닫는 것을 요체로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처음에는 중국의 조사들만 입전하다가 『보림전』에 이르러서는 붓다 및 가섭 이하 27명의 조사들을 계보에 포함해 역사화했다. 이 허구적인 계보는 선종이 번성하면서 종파적 우월성과 정통성을 확보할 필요에 따른 것이었다.

      • KCI등재

        욕망과 깨달음: 역사를 움직이는 두 가지 힘 -불교의 역사관 시론-

        정천구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9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5 No.2

        불교에는 서양의 역사관과 구별되는 역사관이 있는가? 있다면 어떤 것인가? 불교에서역사란 무엇이라 보며, 역사의 주체는 누구라고 보는가? 불교에서 역사는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보며 역사를 움직이는 힘을 무엇이라고 보는가? 이 글은 이런 문제들에 답하기 위하여 쓴 글이며 이를 위하여 계몽시대 이후 전개된 역사관, 그리고 이의 연장선상에서 냉전의 종식을 계기로 후쿠야마(Francis Fukuyama)에 의해 제기되었던 「역사의 종언」의 쟁점들을 검토하고 이를 계기로 불교의 역사관을 정립하기 위한시론(試論)이다. 본론은 먼저 역사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로 삼아야할 일은 역사적 사실이라고 본다. 역사에 관한 어떠한 연구도 역사적 사실을 기본으로 한다는 점에서 역사적 사실 자체를 부정하거나 현재의 시각에서 과거의 사실을 변경시키거나 왜곡하지 말아야 한다. 근대 이후 역사철학은 정신변증법에 기반을 둔 헤겔의 역사철학과 이를 유물변증법으로 바꾼 마르크스의 역사관으로 대별될 수 있다. 둘 다 역사의 시작과 종말이 있다는점에서는 같다. 그러나 역사를 절대정신의 자유 실현과정으로 본 헤겔은 프랑스 혁명으로 자유. 평등의 이상을 국가원리로 채택했기 때문에 역사의 종언에 도달했다고 주장했고 마르크스는 자본가 계급을 타도하는 공산주의 혁명으로 역사의 종언에 이른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소련의 멸망과 사회주의권의 붕괴를 눈앞에 두고 프랜시스 후쿠야마는공산주의의 멸망으로 자유민주주의가 최종 승리함으로써 역사는 종언이 왔다고 주장했다. 그는 마르크스주의자에서 헤겔주의자로 변신한 코제브의 이론을 이어받아 역사를움직여온 힘을 「인정을 받기 위한 투쟁」으로 보았다. 여기에 자연과학의 발달로 경제적 발전을 위한 경쟁이 더해졌다. 그는 공산주의는 경제적 번영에 있어서도 자유민주주의를 이길 수 없었고 인정을 위한 투쟁에서도 보편적 인권을 지향하는 자유민주주의를이길 수 없었다고 썼다. 그러나 향후 세계를 전망하는 논의에서 사무엘 헌팅턴은 20세기의 이데올로기의 투쟁은 「문명의 충돌」로 대체된다고 주장해서 후쿠야마의 「역사의 종언」과 맞섰다. 두사람 간의 중요한 차이점의 하나는 과학기술문명이 보편적인 문명이냐 아니면 서구문명의 연장으로서 다른 문명들과 구별되는 문명의 발전이냐는 점이다. 또 공산주의의 멸망을 역사의 종언으로 볼 것이냐 아니면 새로운 충돌의 시작으로 볼 것이냐 하는 관점이다. 후쿠야마의 「역사의 종언」은 미중무역전쟁과 북한 핵문제 등으로 적실성을 상실한 것 같지만 계몽시대 이후 역사철학의 두 기둥인 헤겔과 마르크스, 그리고 코제브의이론을 깊게 성찰하고 있다는 점에서 쉽게 간과할 글은 아니다. 역사의 종언이라는 관점은 불교와는 맞지 않다고 볼 수 있다. 불교적 관점에서는 인간의 무명에서 나온 욕망이 그치지 않는 한 역사의 투쟁은 끝나지 않으며 역사는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반복된다. 불교에도 말세(末世)가 있지만 그것은 세상의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 그러나 후쿠야마에서 종합된 서구의 역사철학이 역사의 동력을 인정을 위한 투쟁과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가능해진 욕망의 추구로 본 점은 불교의 역사관을 정립하는데 있어서도 벤치마킹할 수 있는 좋은 관점이라 본다. 불교에서 「인정을 위한 투쟁」은 불교에 풍부한 마음에 관한 이론으로 대체할 수...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establish Buddhist philosophy of history. Does Buddhism have a philosophy of history that distinguishes it from the world major philosophies of history? What is the Buddhist view on history, who is the subject of history, and what are main powers that move history? This article is written to answer these questions. To this end, we examine issues related to "The End of History" written by Francis Fukuyama on the occasion of the end of the Cold War. His work reflect the world major philosophies of history developed since the Enlightenment period. One of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is that we should first presume the existence of historical facts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study of history. Any research on history should be based on historical facts, so any attempt to deny historical facts or modify or distort past facts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should be avoided. The philosophy of history since the Enlightenment period can be divided into the Hegelian philosophy of history based on mental dialectic and the Marxian philosophy of history which changed it into the materialistic dialectic. They both assumed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history. But Hegel, who saw history as a realization of freedom of mind, claimed that since the French Revolution which adopted ideals of freedom and equality as the universal governing principle of any country, human society has reached the end of history, while Marx claimed that when the proletarian-led communist revolution succeeds and communism comes, history is over. However, in the face of the fall of the Soviet Union and the collapse of socialist bloc, Francis Fukuyama insisted that history had come to an end because of the collapse of communist bloc in the struggle with liberal democracy. He saw the two motive powers that moved history as the struggle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He wrote that communism could not overcome liberal democracy in the struggle for the economic prosperity and that it could not defeat liberal democracy the champion of universal human rights in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Samuel Huntington, however argued that the struggle for ideology in the 20th century would be replaced by the "clash of civilizations". One of the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s whether the civ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a universal civilization or only an extension of Western civilization. Another point of view is whether the destruction of communism will be regarded as the end of history or the beginning of a new conflict. Fukuyama's "end of history" seems to have been a mockery in the face of the US-China trade war and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But since the theory itself is deeply reflecting the two pillars of philosophy of history Hegel and Marx(and their heir Kozev), it is not easy to overlook. The view that the end of his history is not compatible with Buddhist view of history From a Buddhist point of view, the struggle for history is not over unless the desire from human ignorance is over. History does not come to an end but there will be a new beginning. Buddhism also has its own eschatology, but it is not the end of the world but the new world sprouts there. However, the idea that the forces that move history are the struggle for the pursuit of recognition and the struggle for the pursuit of desire b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a good point to benchmark in establishing the Buddhist philosophy of history. In his dialogue the Republic, Plato divided the human soul into three parts: reason, courage(thymos), and desire. The request for recognition corresponds to spirit or grit. Buddhism also classified human bad mind into three parts greed, anger(or grit) and desire. In Buddhism, however, instead of reason. there is Buddha nature that can transform every part of human mind into enlightenment. Through enlightenment, the grit becomes quiet, harmonized, not conflict...

      • KCI등재

        붓다의 신통에서 고승의 신이로

        정천구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1 대순사상논총 Vol.39 No.-

        In Buddhism, there are specific terms related to miracles and miraculous acts such as the Sanskrit term, abhijñā, which was translated as into Chinese characters as shintong (神通). This term implies the six supranormal powers. It originally meant ‘direct knowledge,’ ‘high knowledge,’ or ‘knowledge beyond the common senses,’ which was understood as a superhuman and transcendental ability possessed by Buddhas, Bodhisattvas, and noblemen. However, this took on different meanings and morphed into different terms later in India and China. This article analyzes the subject, object, type, and purpose of these shintong, focusing on the Sutra for the Householder Kaivarti (堅固經, Gyeonggo-gyeong, Kaivarti-sūtra) from the Longer Discourses (長阿含經, Jang-Ahamgyeong, Dīrghâgama) and exemplary Buddhist texts such as the Sanskrit, In Praise of the Acts of the Buddha (佛所行讚, Bulsohaengchan, Buddhacaritam) and the Chinese Records of Eminent Monks (高僧傳, goseungjeon) and Continued Records of Eminent Monks (續高僧傳, Sok-goseungjeon). The historical evolution and changes to the meaning of Shintong in Indian and Chinese contexts can be observed through these texts. In the Sutra for the Householder Kaivarti, the Buddha said that there are three kinds of Shintong: supranormal footedness (神足, shinjok, ṛddhi-pāda), mindreading (觀察他心, gwanchaltashim, anya-mano-jñāna), and education (敎誡, gyogye, anuśāsana). Among them, supranormal footedness (multiplying one’s body, teleportation, flying, walking on water, etc.) and mindreading were denied because, at that time, claims of this nature were used to appeal to people’s emotions and inspire sincerity, but this was of no use in conveying the Buddha’s teaching. On the other hand, education, acquired only with through enlightenment, was sanctioned as a shintong unique to Buddhism. However, in In Praise of the Acts of the Buddha, supranormal footedness and mindreading were described as important ways to lead people to enlightenment, while education pertained to the whole of spiritual work. In China, Buddhism was a foreign religion at first, and it urgently sought to be accepted. After the increase of its religious influence, introspection on discipline and practice was meant to firmly deepen its roots. In line with this, shintong and miracles were transformed and expanded to suit the Chinese cultural context. Such changes in Buddhist history are well illustrated by the shini (神異, miraculous powers) described in Records of Eminent Monks and the gamtong (感通, penetration of sensitivity) detailed in Continued Records of Eminent Monks. In Records of Eminent Monks, the subject of shini was that of eminent monks and its objects were those who did not know of Buddhism or believe in it. In Continued Records of Eminent Monks, however, the monks themselves could be objects of shini. The change of object suggests that the purpose had shifted from edification to awareness and self-reflection. Shini focused on edification, whereas gamtong re-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pure discipline and practice of monks during the 6th and 7th centuries when China became predominantly Buddhist. 불교에는 기적이나 이적과 관련된 특유한 용어가 존재한다. 산스크리트로 ‘아비즈냐Abhijñā’이며 한자어로 신통(神通)이 그것이다. 본래 ‘직접적인 지식’이나 ‘고도의 지식’ 또는 ‘상식을 넘어선 지식’을 뜻하는 말인데, 붓다나 보살들, 고승들이 지니고 있다고 하는 초인간적이고 초월적인 능력으로 이해된다. 그런데 이 신통은 붓다 당시와 후대, 인도와 중국에서 각기 다른 용어와 의미로 쓰였다. 본고에서는 『장아함경』의 「견고경」, 그리고 탁월한 불교문학인 『불소행찬』, 중국에서 저술된 『고승전』과 『속고승전』 등을 중심으로 신통의 주체와 대상, 유형과 목적 등을 분석해서 인도와 중국에서 역사적으로 신통이 어떻게 인식되고 변화해 왔는지를 고찰했다. 「견고경」에서 붓다는 세 가지 신통, 즉 신족(神足)과 관찰타심(觀察他心), 교계(敎誡)가 있다고 했다. 이 가운데서 신족과 관찰타심은 부정되었는데, 당시에 대중의 정서에 호소하며 신심을 끌어내는 데 널리 이용되고 있었고 붓다의 가르침을 전하는 데에 아무런 소용이 없었기 때문이다. 반면에 올바른 수행으로 깨달음을 얻은 이라야 갖출 수 있는 교계는 불교에만 특유한 신통이어서 인정되었다. 『불소행찬』에서는 교계가 작품 전반을 관통하면서 신족과 관찰타심도 깨달음으로 이끄는 중요한 방편으로 묘사되었다. 이는 붓다 입멸 뒤에 교세의 확장을 위해 교화가 중시되면서 신족과 관찰타심이 허용되었음을 의미한다. 중국에서 불교는 처음에 외래 종교였으므로 수용되는 일이 급선무여서 교화가 중시되었고, 교세가 커진 뒤에는 확고하게 뿌리를 내리기 위해 수행과 실천에 대한 반성이 깊어졌다. 이에 맞추어 신통과 이적들도 중국적 상황에 맞게 변용되고 확장되었다. 그러한 불교사의 변화는 『고승전』과 『속고승전』이 잘 보여준다. 『고승전』에서는 「신이」를, 『속고승전』에서는 「감통」을 두었는데, 용어 변화를 읽을 수 있다. 신이의 주체는 고승이었으나 그 대상은 『고승전』에서는 불교를 모르거나 믿지 않는 이들이었고, 『속고승전』에서는 승려들 자신이었다. 대상의 변화는 교화에서 자각과 자성으로 목적이 변화했음을 의미한다. 신이가 단순히 교화에 치중했다면, 감통은 교세가 확장된 6~7세기에 승려들의 청정한 수행과 실천의 중요성을 다시 강조하기 위함이었다. 초인간적이고 초월적인 능력이 신통이지만 현실적 변화와 밀접한 관련 속에서 그 의미와 목적 등이 변화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동아시아 각국에서 신통이 독특하게 수용되고 다양하게 변용되었을 것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

        천부경과 수메르 신화의 비교 연구

        정천구 한국민족사상학회 2021 민족사상 Vol.15 No.2

        이 글은 천부경의 삼신 신화와 인류 최초의 문명으로 알려진 수메르의 신화를 비교한 것이다. 수메르 문명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한국의 고대문명이 수메르 문명과 관련되어 있다는 연구들이 나왔다. 천부경에서 천지인으로 나오는 삼신 신화는 다른 민족의 신화와 구별되는 우리 민족의 독특한 신화이며 수메르의 신화는 다른 신화들의 모델이 되는 신화이다. 두 신화의 비교는 한국의 고대사 연구에서 한국의 고대 신화가 수메르 신화와 얼마나 연관성이 있으며 그것이 주는 의미를 검토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글은 첫 장의 서론에 이어 Ⅱ장에서 천부경의 삼신 신화에 나오는 최고신 마고 삼신 신화와 수메르 신 집단 아눈나키(Anunnaki) 신화를 검토하여 두 신화의 관련성을 연구하며 Ⅲ장에서 한국의 고대 신화와 수메르 문명과의 관련성이 얼마나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끝으로, 결론에서 천부경과 수메르 신화 비교 연구가 한민족 고대사 연구에 어떤 함의를 가지는가를 논하고자 한다. This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Mythology of Cheonbu-gyung and the Sumerian Anunnaki Mythology. Amid growing global interest in the Sumerian civilization, some studies in Korea have shown that Korea's ancient myth is related to the Sumerian civilization. The myth of the Margot of three gods is a unique myth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myth of Sumer is a model for other myths.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myths is meaningful in examining how much Korean ancient myths are related to Sumerian myths in the study of ancient Korean history and the meaning they give.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first chapter, the article reviewed the myth of the highest deity, the Three Gods of Cheonbu-kyung, and the myth of Anunaki, the Sumerian gods Group, and examined how related Korea's ancient myths and Sumerian civilizations are in Chapter II. Finally,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discuss how the comparative study of Cheonbugyeong and Sumerian mythology has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ancient Korean history.

      • KCI등재

        삼일신고의 진리론 연구

        정천구 한국민족사상학회 2022 민족사상 Vol.16 No.1

        This article is a study of the truth theory of Samilshingo(三一神誥). Truth is the core subject of religion and philosophy. And truth itself has been the subject of intellectual discussion for thousands of years. The introduction of this article examines the main theories of truth discussed in the background of analyzing truth theory, correspondence theory, coherence theory, pragmatism theory, and constructivism theory. Chapter 2 examines the issues related to the process of the truth theory of the scriptures, agreeing that the scriptures is the collective wisdom that modern humans named Homo sapiens have accumulated as they move collectively from Africa to Northeast Asia to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Chapter 3 will analyze whether the truth is one and but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nd, it appears as a new pavilion to humans, and how humans believe they can restore and practice the truth. In the conclusion, this article will summarize the theory of truth of the Samilshingo discussed above and present future tasks. 이 글은 삼일신고의 진리론을 연구한 것이다. 진리는 종교와 철학의 핵심 주제이고 그 자체로도 수천 년 동안 지적 토론의 주제였다. 이 글은 서론에서 삼일신고의 진리론을 분석할 배경으로 그동안 논의되어온 주요 진리론, 즉 대응 이론(correspondence theory), 일관성 이론(coherrent theory), 실용주의 이론(pragmatism), 구성주의 이론(constituent theory) 등을 검토한다. 제2장은 오늘에 보아도 손색이 없는 삼일신고의 진리론은 호모사피엔스라는 현생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북동아시아까지 집단으로 수천 년 동안 이동하면서 쌓아온 집단적 지혜라는데 동의하면서 삼일신고의 진리론이 형성된 과정과 관련 쟁점들을 검토한다. 제3장은 진리는 하나인데 성명정(性命情)의 세 가지로 나누어지고 인간에게 현실적으로 심기신(心氣身)으로 나타나 진리에서 멀어졌으나 지감(止感), 조식(調息), 금촉(禁觸)의 수행으로 진리를 회복하고 실천할 수 있다는 삼일신고의 교설을 분석할 것이다. 이 글은 결론에서 이상에서 살펴본 삼일신고의 진리론을 요약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