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체성으로서의 몸짓

        정진웅(Gene-Woong Chung)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1

        본 연구는 도심의 종묘공원에 모인 노년 남성들이 형성하는 몸짓문화가 어떤 점에서 그들의 정체성을 표현 하고 확인하는 일종의 '정체성의 몸짓'의 의미를 지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시도를 통해 얻은 결 과를 기초로 노년을 대상으로 하는 질적 연구에 있어 몸의 해석학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자료 수집은 종묘공원 과 그 인근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 민족지적 현장 연구에 적합한 지속적 자료수집과 분석을 통하여 정리되었 다. 연령주의 사회에서 노년의 정체성 유지는 점점 힘들어진다. 종묘공원을 찾는 노인들의 경우에는 공원 자체 가 언론에 의해 "해방구"라는 사회적 낙인을 감당해야 하는 장소가 되었고, 또 이들 노년들의 상대적으로 낮은, 신분적 배경으로 인해 문화적 성원권과 정체성의 위협이 심화된다. '성역화'란 이름으로 정부가 종묘공원을 정 비하기 이전에 만개했던 음주가무를 중심으로 하는 종묘공원 노년 남성들의 몸짓문화는 이런 상황에서 자신들 의 지속적 자아감을 확인할 수 있게 해 주는 매개이며, 노년의 정체감을 위협하는 연령주의에 대한 방어막의, 의미를 지닌다. 노년 연구에 있어 언어를 통해 형상화되는 의미에 대한 연구와 함께 몸과 몸짓의 의미해석을 위한 '몸의 해석학'적 접근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the 'bodily culture' of older men who gather at Jongmyo Park serves to express and solidify their sense of a enduring self.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anthropological methods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at Jongmyo park and its adjacent areas. In later life, the image of a continuous self becomes harder to achieve due to the ageism prevalent in modern societies. The situation is worse at Jongmyo park since the park itself has been stigmatized as "the extraterritorial zone for the old" by the media due to the boisterous atmosphere of the park. It is dubbed as a place for those who have nowhere else to go. The singing and dancing, which used to be the dominant forms of activities at the park among older men until the 'sanctification' project propelled by the government, serves as an antidote against the ageist tendency to subjugate them. The 'bodily culture' embodies these men's image of themselves as a continuous being which has not been tarnished by the passage of time. The approach of 'body hermeneutics' is required to interpret the experiences of the body in later life.

      • KCI등재

        노년 호명의 정치학

        정진웅(Gene-Woong Chung)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3

        본 연구는 노년의 호명과 관련해 한국사회의 다양한 언어적 실천이 노정하고 있는 갈등과 그 정치적 함의를 밝히고, 이러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원인을 문화적 차원에서 조명하려 한다. 근래에 들어 한국사회에서 노년을 어떻게 호명할 것인지가 일상에서 문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호명방식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노년의 주변화를 의미한다. 하지만 새로운 호명방식들도 노년 호명의 문제를 풀어내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한국사회의 연령주의적, 성차별적, 신분주의적 시선이 노년에 대한 다양한 호칭과 지칭의 의미를 주변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노년의 주변화는 문화적 차원에서 노년의 타자화가 심화되면서, 노년이 타자성의 집적지가 되어가는 '주변성의 노년화'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학계와 전문가 집단에서도 노년의 호명과 관련된 다양한 언어적 실천이 지니는 정치적 함의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차별적 언어사용을 넘어서려는 실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flicts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various linguistic practices concerning how to call old age, and to illuminate the reasons for these conflicts in the cultural sphere. Recently, the issue of proper ways of calling old age has become problematized. As a result, new ways of addressing older people are being devised, which signifies the marginalization of old age. These new ways of calling older people, however, are not settling the problems. It is because the ageist, gender-discriminatory, status-conscious culture of Korea marginalizes the meaning of the various ways of calling old age. As the otherization of old age deepens in the cultural realm, old age becomes a site where various features of marginality accumulate. The academy and the professionals need to be aware of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various ways of calling old age, and to strive to surmount discriminatory linguistic practices.

      • KCI등재

        연구논문 : 신자유주의적 호명, 저항, 심층놀이: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의 문화정치적 함의

        정진웅 ( Gene Woong Chu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4 韓國文化人類學 Vol.47 No.2

        본 연구는 근년 한국 사회에 확산되어 있는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들의 문화정치적 함의를 종합적으로 점검한다. 특히 이 프로그램들이 신자유주의적 경쟁 구도와 문화적 규범을 정당화하는 담론적 실천으로 기능하는 측면에 주목하는 기존 연구들에서 적절히 다루어지지 못한 주제들을 구체적 근거나 사례의 제시와 함께 논의한다. 이 프로그램들은 열정의 주체와 상품으로 출연자들을 호명하지만 열정에 대한 강조는 배제를 위한 알리바이의 성격을 지닌다. 심사위원들은 지속적으로 출연자들에게 시장에서의 상품성를 요구하지만, 출연자들의 상품성은 실제로는 프로그램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기획된 캐릭터 설정에 기초한 일종의 ‘서시화’된 상품성이다.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을 신자유주의적 주체화의 장치로서 규정하는 기존 논의는 수용자들을 기존의 지배담론에 복속되어 아무런 의미상의 균열을 일으키지 못하는 존재로 봄으로써 행위성을 무화시킨다. 하지만 수용자들은 신자유주의적 질서를 지연화하는 이 프로그램들의 담론에 다양한 방식의 의미화를 통해 저항하고 균열을 가한다. 이 프로그램들의 문화정치적 함의를 면밀히 살피기 위해서는 이들을 도전·경쟁·열정·모욕·견딤·절실함·성공·실패 등, 한국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를 경험·발견·재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텍스트, 즉 일종의 ‘심층놀이’로 보는 관점이 요구된다. This article examines, from a comprehensive viewpoint, the cultural politics of survival audition programs abundantly found on Korean TV in recent years. In particular, it will examine, with detailed examples, a series of themes not properly dealt with by previous studies which view these programs as discursive practices reinforcing and legitimizing the neoliberal order of competition. While these survival audition programs, to borrow from Althusser, hail the participant as a subject through the discourse of passion, the emphasis on passion is simply an alibi for exclusion. The conunodity value of the competitor is sort of ``narrated`` commodity value built on the competitor``s characteristic devised to elevate the commodity value of the programs themselves. The perspective which deems these programs as a device for neoliberal subjectivization disregards the agency of the viewers. There are occasions in which the viewers resist, and create cracks in, the discursive practices of these programs which naturalize the neoliberal order of things. To view these survival audition programs as a (jeep play`` onto which important themes of Korean social life are played out, themes such as challenge, competition, passion, insult, perseverance, eagemess, success, failure, etc., is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politics of inter-pretation on the part of the viewers.

      • KCI등재

        반연령주의적 문화 실천으로서의 노년 연구: 고령화시대의 노년 연구에 관한 제언

        정진웅 ( Chung Gene Wo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3

        이 논문은 고령화 시대에 요구되는 노년 연구의 화두로 맥락화와 경청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노년을 행위와 서사의 주체로 세우는 반연령주의적 노년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한국사회의 연령주의적 지배문화와 미디어는 노년을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부정적 타자로 간주하며, 노년연구의 지배적 흐름도 이런 경향성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노년의 문제, 노년기 적응, 혹은 만족도에 집중하는 노년 연구의 경향성은 현실에서 타자화되어 있는 노년이라는 범주의 부정적 이미지를 복제하고 강화시킬 위험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반연령주의적 문화 실천으로서의 노년 연구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노년의 삶의 구체적 맥락에 작동하는 다양한 이데올로기와 구조적 힘들이 어떻게 노년의 위치성을 구성하고 노년의 경험을 채색하는지를 살피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노년 스스로는 행위와 서사의 주체로서 그런 현실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살피고 또 어떠한 서사를 구성하는지를 경청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역설적으로 노년 연구의 궁극적 책무는 연령주의 이데올로기에 맞서 나이란 그 자체로는 거의 무의미한 변인이라는 사실을 드러냄으로써 문화적으로 타자화된 노년이라는 범주와 노년학의 학문적 경계 자체를 완화시키는 것이다. 반연령주의적 문화 실천으로서의 노년 연구는 연구자의 시선 자체가 한국사회의 연령주의적 담론을 무의식적으로 답습하고 있지는 않은지 부단히 성찰할 필요가 있다. Introducing the notion of contextualization and of attentive listening, this article proposes that anti-ageist gerontological research in the ageing era needs to endorse old people as the subjects of action and narrative. The dominant ageist culture and media of Korean society regard old people as culturally alien and negative other, and the mainstream gerontological research is not free from this tendency. The current trend of gerontological research to focus on the problems, adjustment, and life-satisfaction of old people risks the danger of reinforcing the already negative image of old people. Gerontological research as anti-ageist cultural practice is required in these circumstances. In order to achieve that goal, what needs to be examined is how multiple ideologies and structural forces forge old people`s positionality in concrete contexts of everyday life, and how old people respond to the given situation as the subjects of action and narrative. Ironically, the ultimate task of gerontological studies is to loosen the culturally otherized boundary of old age and the gerontology`s academic boundary itself by exposing the barrenness of old age by itself as a variable. Research on old age as anti-ageist cultural practice needs to examine constantly if the perspective of research itself is unconsciously reproducing the ageist discourse of Korean society.

      • KCI등재후보

        적응'을 넘어서: 탈북 청소년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정진웅(Chung Gene-wo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4 열린교육연구 Vol.12 No.2

        점차 증가하고 있는 남한 입국 탈북 청소년들은 초기의 정착과정에서 중층적인 어려움과 혼란에 직면한다. 이들의 남한 사회 정착을 돕기 위해 민간단체들이 운영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은 남한사회로의 성공적 적응과 이에 필요한 학력증진 교육에 최우선적인 관심을 보인다. 하지만 성공 에 필요한 사회 문화적 차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탈북 청소년들의 대부분은 경쟁적인 남한 사회에서 급속히 주변화되면서 꿈과 현실의 격차에 좌절하고 방황한다. 이에 현재 탈북 청소년 대상 교육기관들이 행하고 있는 교육적 실천의 성격과 한계를 점검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현재 행해지고 있는 탈북 청소년 대상의 교육적 실천은 탈북 청소년들의 시각과 경험에 입각해 이들을 주변화시키는 남한의 문화를 상대화하는 계기를 마련하지 못하고 이들에게 남한의 사회문화체계에의 일방적 적응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에게 자신들의 경험과 처지를 토대로 남한의 지배문화를 상대화하고 스스로의 정체성과 문화를 형성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적 실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교육적 실천은 또한 통일이 단순히 남북 간의 동질성을 확대시키고 이질성을 극복하는 과정이 아니라 오히려 그 과정에서 남북한 사회를 새롭게 발견하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남북 간의 장기적 사회문화 통합 과정이 있어서의 과제와 맞닿아 있다. An increasing number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are coming to South Korea, and they are being plagued by multiple hardships and confusion to wrestle with. A variety of educational programs run by non-profit organizations are designed to help them settle down in the South Korean society, and these programs are bent on fortifying the adaptive capabilities of these adolescent refugees. But, these adolescent refugees are being rapidly marginalized since they are very much short-handed in social and cultural resources necessary for social success. As a result, most of them suffer much from the discrepancy between their dream for success and the hard reality they face. So, it has become necessary to examine the nature of the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geared toward expanding the adaptive capabilities of the young North Korean refugees. The current educational efforts have failed to provide th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objectify and reflect on dominant culture of the South Korean society. Now a different kind of educational effort should be introduced which will help the adolescents build their own identity and culture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and positionalitie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The objectification of the dominant culture of the South Korean society is a key step in helping the refugees develop their own subculture. The educational effort of this nature is also in line with the long-term socio-cultural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 KCI등재

        한국 사회의 중심- 주변의 구도와 역학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정진웅 ( Gene Woong Chu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07 韓國文化人類學 Vol.40 No.1

        Despite the various processes of democratizaton in Korea since the late 1980s, discrimination against minorities has widened and deepened in scope and degree in many areas of social life. More negative attributes have been projected on the already marginalized social categories of ``provincial person`` and ``elderly person``. Especially notable is the emphasis on the idea that these persons are “fixated on the past,” since this reveals the cultural fear of “rusticity” shared by the general public. Fear of rusticity is also indicative of the nature of cultural politics, as this fear is intertwined in the processes of marginalization. The marginalization of the periphery in Korea occurs at an accelerated pace due to the centripetal force of the dominant culture whose hegemonic status is hardly challenged. After the foreign currency crisis of the 1997, the structure of center-periphery was established by the marginalizaton of various kinds of Others. However, the structure has begun to show signs of change: some new centers are now gaining power while some old ones are being diminished. It is important and urgent to carry out research on the changing center-periphery structure and its dynamics in this situation, in order to pave a road toward a less discriminatory society in which differences are not so much vertically hierarchicalized.

      • KCI등재

        노년의 정체성 지속을 위한 한 은퇴촌 주민들의 노력

        정진웅 한국문화인류학회 2000 韓國文化人類學 Vol.33 No.2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residents of a retirement town, Sun village, which presents distinct dilemmas are able to creatively recapture their sense of a continuous self. While self-continuity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later life, a range of distinctive features of Sun village acts to curb the ways in which the residents can renew their sense of continuity. Certain mirrors, such as significant others or a familiar environment, through which we ordinarily maintain our enduring sense of self, become scarce. Also, due to the residents' concern with equality, alluding to one's past becomes a sensitive matter since it often suggests status distinctions of the pre-retirement years. As a result, opportunities to move back and forth in time when rejuvenating the meaning of self are restricted. In response, the residents of Sun village have developed a wide range of measures which compensate for their limited opportunities. Writing autobiography and reclaiming the familiar rhythm of life are part of these measures. A wide range of club and volunteer activities, not specifically geared toward the achievement of self-continuity, also enable the residents to repeatedly engage themselves in biographically meaningful activities and social environments. A sense of a perduring self thus sustained and renewed, buttresses the residents in their struggle against the discourse of old age dominant in the U.S. which underscores decline in old age and negates older people's individ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