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형 Covered Bond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진옥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 금융기관은 글로벌 금융환경에 변화에 따라 유동성 부족에 시달렸으며, 특히 1998년 IMF 외환위기 당시에 외화 유동성 부족으로 어려움이 경험한 이후 본격적인 자산유동화 업무가 시작되었으며, MBS를 통한 주택담보대출 관련 자산유동화는 국내금융기관의 유동성 위기 발생과 함께 안정적인 유동성 확보 수단의 필요성 증가와 기초자산 매각을 통하여 금리위험과 시장위험 등을 분산시켜 효용성이 크다고 할 수가 있으며, 우리나라에서의 선진 금융기법 도입‧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효용성 및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금융기관의 전반적인 자산유동화 시장이 점차 축소되고 있으며, 안정적이고 상대적으로 조달 비용이 낮은 Covered Bond에 대하여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고,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외화자금 유동성 확보를 위하여 Covered Bond 법 제도의 도입을 위하여 전국은행연합회를 중심으로 국내 금융권의 대안 제시 노력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의 Covered Bond 발행제도와 현황, 미국의 'Best Practices‘를 통한 Covered Bond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2009년 5월 국민은행이 발행한 구조화 Covered Bond의 문제점을 통한 시사점과 한국형 Covered Bond 발행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Covered Bond 관련 법·규정의 제정은 우리나라 금융기관의 자금조달에 있어서의 단기자금조달의 구조적인 문제점 개선을 위하여 장기적인 자금조달 수단을 다변화하고 국제금융의 글로벌 화된 현 금융상항에서의 입지 강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며, 지난 미국발 서브프라임과 같은 금융기관의 모럴해저드 방지를 위해서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한국형 Covered Bond의 개선을 위하여 전국은행연합회와 관련 은행들은 Covered Bond 발행 활성화 및 법률의 개정‧제정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Covered Bond의 해외 판매는 물론 국내 판매를 위한 발행구조‧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금융위원회를 비롯한 법률 입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이 있는 정부 당국에서는 금융의 글로벌화를 지향하는 국내 금융기관의 위상과 국내 주택금융 활성화를 위하여 Covered Bond의 발행 활성화, 제도 개선, 법률의 제정 등을 위하여 적극적인 자세를 견지하여야 한다. 급격한 시장변화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국내 금융환경에서의 대안으로는 국내 현행 자산유동화법, 주택금융공사법을 준용한 발행구조를 최대한 활용하여야 한다. `True sale` 요건 해석의 완화를 통하여 국내 기관투자가 또는 일반투자자를 상대로 한 판매부터 시작하여 Covered Bond 관련 상품 개발을 진행하면서, 정부당국의 관련법 개정‧완화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 완전한 Covered Bond 발행을 위한 특별법 제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여야 하며 유럽식 정통 Covered Bond 발행을 통하여 주택금융활성화를 위한 유동성확보 및 우리나라 금융기관의 글로벌화를 앞당기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suffered from liquidity crisis due to the changes taking place in the global financial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y experienced difficulty due to the shortage of the foreign currencies during the so called IMF foreign exchange crisis in 1998, which in turn triggered full-fledged asset liquidity related work. Asset liquidation related to the housing mortgage through the MBS can be considered highly effectively since it hedged financial and market risks through the increase in the need for the mediums for securing stable liquidity and through the sell-off of the basic assets along with the outbreak of the liquidity crisis among the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Moreover, this method is playing a core role in introducing advanced financial engineering techniques into Korea. Despite the effectiveness and necessity, however, the overall asset liquidation market for the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market is decreasing, while interest is on the Covered Bond which is stable and that requires relatively low sourcing cost. To secure stable and long-term liquidity of foreign currencies, the Korean financial industry is making continual effort, centered on The Korea Federation of Banks to adopt the Covered Bond law. This research presents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issuance of Korean style Covered Bond and to draw out implications by studying the problems of structured Covered Bond issued by the Kookmin Bank on May 2009. Moreover, this research studies the efforts made to vitalize the Covered Bond by examining the 'Best Practices‘ in the US as well as the snapshot and the system of Covered Bond issuance in the EU. Enactment of the laws and regulations pertaining to the Covered Bond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capital in the long-term and to strengthening of the Korean institutions in the globalized financial industry in the world to improve the structured problems that so mark short-term capital sourcing by the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In addition, related laws are deemed necessary to prevent moral hazard of the financial institutions such as the sub prime crisis that occurred in the US. Going forth, The Korea Federation of Banks and the related banks will present the alternatives for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laws and to vitalize the issuance of Covered Bond to improve the Korean style Covered Bond and should also develop products structured for issuance to ensure sales of the Covered Bond, both in and out of Korea. Moreover, the government authoritie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legislation of the laws such as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should take on an active approach to vitalize the issuance of Covered Bond, improve the related systems and to enact laws to increase the status of the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that are geared towards the globalization of finance and to vitalize the mortgage financing in Korea. As an alternative for the Korean financial environment where drastic market change does not take place easily, it is necessary to leverage the issuance structure that complies with the existing asset liquidation law and house financing corporation law to the fullest. By taking on a more lax interpretation of the requirements for ‘True sale` this research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the accelerated globalization of the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and to the securing of the liquidity for the vitalization of the housing finance while starting from the sales targeting the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investors in Korea and while developing Covered Bond related products. Moreover, this will hopefully induce revision and alleviation of the related laws by the government authorities. In addition, effort to enact special law for the issuance of a more perfect Covered Bond should be continued, through the issuance of traditional European style Covered Bond to secure liquidity and advance globalization of our country’s financial institutions.

      • 가톨릭교회 수도자의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관리자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정진옥 숭실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가톨릭교회 수도자들의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관리자 경험의 본질을 현상학적인 연구방법을 통해 포착하여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가톨릭교회 수도자들이 사회복지조직에서 겪는 관리자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가?”였다. 이 연구문제는 보다 구체적인 두 가지 하위문제들로 세분화시켜 이들에 대한 답을 구함으로써 해결하고자 하였다. “가톨릭교회 수도자들의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관리자 경험의 본질이 형성되고 전개되어 가는 과정은 어떠한가?”와 “이러한 경험의 본질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연구참여자는 사회복지조직에서 관리자로 있는 가톨릭교회 수도자들로서 목적표집과 연쇄표집을 통해 12명이 선정되었다. 이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Hycner(1985)의 분석틀을 가지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에서는 경험의 본질과 그것이 형성되고 전개되는 과정 및 본질을 구성하는 내용을 찾아보았다. 가톨릭교회 수도자들의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관리자 경험의 본질은 “희망을 향해 가는 불안”으로 도출되었다. 희망을 향해 가는 불안이 형성되고 전개되는 과정은 연구참여자들의 “자기비움을 통해 경계를 살아가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순환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조직의 다양한 경계들 안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이 본질을 경험하였다. 이들은 “자기 자신: 전문적인 능력과 영적인 힘의 경계”, “수도공동체: 간섭과 관심의 경계”, “직원: 실망과 기대의 경계”,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를 위한 서비스와 클라이언트에게 좋은 서비스의 경계”, 그리고 “외부이해관계자: 분리됨과 섞임의 경계” 등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가 사회복지조직의 관리자로서 가톨릭교회 수도자들이 그동안 노출시키지 않았던 자신들의 관리자 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놓을 수 있는 장으로서 기여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조직의 관리자인 다른 수도자들과 일반인들은 수도자들의 관리자 경험을 자신들의 이야기와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연구는 수도공동체, 유관기관, 그리고 일반인들이 사회복지조직의 관리자로서 가톨릭교회 수도자들과 그들이 운영하는 사회복지조직들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톨릭교회 수도자들의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관리자와 관련하여 이론적, 방법론적, 정책적, 그리고 실천적 차원의 함의가 제공되었다. This inquiry was to understand about the lived experiences of Catholic religious orders in the manager position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y using phenomenological method. This inquiry investigated their answers about the one major question, "What is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s of Catholic religious orders in the manager position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is question was divided to two more specific sub-questions: "How does the process of forming and developing of the essence?" and "What are the sources for the essence?" Twelve Catholic religious orders in the manager position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ere selected through the purposive sampling and the chain sampling for the inquiry. The data collected by in-depth and open-ended interviews with them were analyzed by using Hycner's(1985) method. In the analysis, 'the process of forming and developing of the essence' and 'the sources for the essence' were investigated. 'Anxiety toward Hope' was extracted as the essence of the lived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from the data. The process of forming and developing their anxieties toward hope was occurred over and over again in their life-styles, 'living on the border through self-surrender'. And the sources of their anxieties toward hope were various borders which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s a manager in their organizations: "identity: the border between professional competence and spiritual force in practicing their authorities", "monastic community life: the border between being controlled and supported", "employees: the border between disappointment and expectation about them", "clients: the border between good service for them and good service to them", and "external stakeholders: the border between separating from them and being together with them". What expected thing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to offer the opportunity to share their experiences as the manager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hich were never expressed, to them. Second, it was to help other Catholic religious orders and people in the manager position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o connect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with theirs. Third, it was to help the monastic congregations, other agencies, and people to understand deeply about Catholic religious orders as the manager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the organizations managed by them. The theoretical, methodological,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Catholic religious orders in the manager position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were proposed in the study.

      •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정진옥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회복지 현장에서 제공되는 거의 모든 서비스는 궁극적으로 서비스 대상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런데 개인의 삶의 질은 개인이 자기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가에 의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 자기개념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경험과 함께 지속적으로 변하고 발달하는 역동적인 실체이다. 자기개념은 사회적 상호작용(반성과 지각), 사회적 정보(다른 사람들로부터 받는 구어 피드백), 사회적 비교(가족, 또래, 문화), 자기지각(자신의 생각과 행동을 관찰함으로서 갖게 되는 앎), 그리고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 대한 의지 정도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발달해 간다. 자기개념이 개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에도, 지적장애 성인들의 자기개념을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그 이유는 인지적 차원에서 도전을 받는 지적장애인들이 자기 자신에 대해 생각할 인지 능력이나 자기 자신에 대해 신빙성 있게 말할 진술능력을 갖고 있을지와 관련된 비장애인들의 편견과 우려 때문일 수 있다. 그러나 지적장애인들도 비장애인들처럼 자신들의 경험 속에서 자기 자신이 누구인지에 대한 생각을 나름대로 발전시켜 나간다. 이러한 점에 고려할 때, 비장애인과 다른 환경에서 생활해 온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들이 어떤 자기개념을 갖고 있는지에 대해 아는 것은 사회복지사나 정책결정자로 하여금 경도지적장애인들을 위한 적절한 서비스를 계획하여 제공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보호작업장을 이용하는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 사례연구로 실시되었다. 서울의 한 보호작업장을 이용하는 경도지적장애 성인 3명이 연구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반구조화된 개별면접을 통한 심층면접과 참여 관찰 및 비참여 관찰을 실시하였다. 좀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어머니들, 동료들 그리고 작업장과 그룹홈 종사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기록물을 고찰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0년 12월 중순부터 2011년 4월 초순까지 약 4개월 간에 걸쳐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take(2000)의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로 드러난 것은 자기개념의 4가지 범주인 “개인적 자기개념”, “직업적 자기개념”, “사회적 자기개념”, 그리고 “전반적 자기개념”과 이것들로부터 도출된 추상화시킨 유형들이다. “사례 내 분석”에 따라, A 사례의 개인적 자기개념은 “장애와 결부된 외모에 대한 불만족 그리고 부러움”, 직업적 자기개념은 “돈 벌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일”, 사회적 자기개념은 “가족에 대한 미안함과 가족 내 비교에서 오는 자괴감”, “동료들의 무시로 인한 열등감과 소외감”, “종사자의 수용과 인정에 대한 갈구”, 그리고 전반적 자기개념은 “이상적인 자기에 대한 갈망에서 오는 현재의 무능력한 자기 거부” 등이다. B 사례의 개인적 자기개념은 “외모에 대한 자신감과 극복될 수 있는 장애”, 직업적 자기개념은 “능력 발휘를 통한 인정 획득의 수단으로서의 일”, 사회적 자기개념은 “가족의 돌봄에 대한 의존성과 자율성 추구 간의 갈등”, “동료에 대한 배려 뒤에 숨겨진 우월감”, “자기고집 이면에 있는 무능력에 대한 두려움과 자존심”, 그리고 전반적 자기개념은 “지나친 자기인정에 따른 현실의 자기 회피” 등이다. C 사례의 개인적 자기개념은 “외모에 대한 자신감과 장애 수용”, 직업적 자기개념은 “일을 통한 능력의 발견과 금전적 소득”, 사회적 자기개념은 “가족의 양가적 시각: 무시와 인정”, “동료들의 무시와 거부에 대한 자기암시적 수용과 초연함”, “종사자들의 기대와 인정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과 부담감”, 그리고 전반적 자기개념은 “과거와 비교한 현재의 유능한 자기인식에서 오는 당당함과 만족감” 등이다. “사례 간 분석”에 따라 3 사례들로부터 도출해 낸 공통 유형들은, 개인적 범주에서는 “매력적인 외모에 대한 관심”, 직업적 범주에서는 “자기과시의 기회”, 사회적 범주에서는 “인격적인 대화적 관계의 갈망”, 그리고 전반적 범주에서는 “더 나은 나를 꿈꾸며” 등이다. 자료 분석과 해석을 통해 도출된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자기개념이 사회복지에 주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드러나지 않았던 자기개념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달해 간다는 것을 드러냈다. 그리고 보호작업장 경도지적장애 성인의 긍정적인 자기개념이 개인의 만족스러운 삶과 긴밀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발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복지서비스가 사람들의 자기개념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환경을 제공해 준다면 그들의 삶의 질 또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질적 사례연구로서 본 연구가 지닌 사회복지적 가치는 바로 이러한 점을 드러내고자 하는데 있다. The goal of social welfare services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ients' lives. Self-concept is founde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lf-concept is defined as one's view of oneself which is bounded to be associated with the person's transactions with significant others in his or her environment. Self-concept is continuously constructed from social experiences in the family, at school, and in the community.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lso develop their own self-concepts in their environments. And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xperience different bringing-up styles, educational and vocational environments from normal peoples'.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self-concepts of people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sheltered workshop, which has been limited in physical and social conditions. Three people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ive and non-participative observations. The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guidelines were conducted. The participants' mothers, their colleagues, and social workers in the workshop and the grouphomes were interviewed to get more information.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 developed by Stake(2000) was adop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within-case analysis” and “cross-case analysis”. Th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the middle of December, 2010 to the early of April, 2011. Four categories of the self-concepts - “the personal self-concept”, “the vocational self-concept”, “the social self-concept”, and “the general self-concept” - were derived from the data. And then the conceptual patterns were elicited from those categor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within-case analysis”, case A was shown to the personal self-concept with the result of “unsatisfaction about her appearance connected with her physical handicap and envy at the person who has a good-looking face and an able body”, the vocational self-concept with the result of “work for making money”, the social self-concept with the result of “feeling guilty of her disability toward her family members and being conflicted with her healthy sibling”, “feeling with inferiority and isolation in the relationship with her colleagues”, and “wish for being accepted by the social workers”, and the general self-concept with the result of “self-rejection of her being incompetent because of longing for her ideal-self” Case B was shown to the personal self-concept with the result of “self-confidence in his appearance and considering his disability as overcoming it”, the vocational self-concept with the result of “work for being acknowledged with his ability”, the social self-concept with the result of “feeling conflicted between his dependence and independence on his family”, “feeling of his superiority toward his colleagues by doing something for them”, and “being afraid of his incompetence in his stubbornness”, and the general self-concept with the result of “avoiding of his incompetent self because of his excessive self-esteem” Case C was shown to the personal self-concept with the result of “self-confidence in his appearance and accepting of his disability”, the vocational self-concept with the result of “discovering his ability and making money through working”, the social self-concept with the result of “his families' ambivalence: disregarding or acknowledging of his ability”, “his ignoring his colleagues' disregards and rejections”, and “making efforts to respond his significant other's expectations and being felt burden with them at the same time”, and the general self-concept with the result of “more self-assurance and satisfaction about himself than before”. According to “the cross-case analysis”, the common patterns elicited from the three cases based on the four categories of are as follows: “being interested in an attractive appearance” in the personal self-concept, “taking the opportunity for showing off her/his ability” in the vocational self-concept, “wishing for personal relationships with her/his people” in the social self-concept, and “longing for her or his better future” in the general self-concept. The self-concept of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appreciat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ceptualized patterns of the self-concepts. And the implication of the self-concept of the adults in the context of social welfare was suggested in the study. The value of the study is to be shown that the self-concept of the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ill be changed positively and the quality of their lives will be improved when social workers make the positive interpersonal conditions for them and become their companions.

      • 수소화물-유도결합플라즈마 질량분석법을 이용하여 쌀 시료 중 셀레늄의 감도측정 및 정량

        정진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에서는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에 수소화물 발생 장치를 연결하여 쌀 시료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량의 셀레늄을 분석하였다. 시료 전처리법으로는 산분해법과 마이크로파 분해법을 적용하였고 각 방법에 대한 회수율을 비교한 결과 산분해법이 더 높았다.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기에 사용한 수소화물 발생 장치의 최적 조건은 4 M HCl과 3% NaBH₄였고, 감도는 수소화물 발생 장치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10배 가량 증가하였다. 분광학적 동중 간섭을 제거하기 위해 H2 mode 를 사용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80BrH+, 82BrH+매트릭스가 생성되었다. m/z 74, 76, 77, 78에서는 우수한 직선성과 높은 상관계수(0.9996)를 얻었지만, 80과 82에서는 좋지 않았다. 백미 시료를 비커법으로 분해한 후, HG-ICPMS를 이용해서 정량 한 결과, 0.15 ± 0.03 ppm를 얻었으며, RSD는 1.65%이었다. 동일한 분석 조건에서 NISR SRM 1575와 1577의 Se 정량을 분석한 결과 각각 0.094 ± 0.008과 0.71 ± 0.01로, 제시된 인증값과 유사한 결과치를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ation the quantity of selenium in rice flour by hydride generation with octapole reaction cell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The sample was digested in teflon vessel containing nitric acid and hydrogen peroxide mixture. The optimum conditions of HG are 4M for HCl, 3% for NaBH₄. sensitivity increase more than 10 times. Selenium isotopes interferences removal by ORC. but, H2 gas mode did not remove Selenium isotope interferences (80BrH+, 82BrH+). The method showed a good accuracy and precision. And so it was highly suitable for determination of small quantity of selenium in rice flour.

      • DDA 지적재산권 분야의 쟁점 및 협상동향에 관한 연구 : WTO 체제 및 TRIPS 협정에의 합치성을 중심으로

        정진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DDA의 지적재산권분야의 쟁점 및 협상동향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이 논문에서는 이의 WTO체제 및 TRIPS협정에의 합치성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논문의 주요 내용은 DDA의 지적재산권 분야에 있어서 현재 이슈화 되고 있는 주제에 대해 국제경제법적 분석을 통해 향후 DDA 관련 협상 방향 및 우리나라의 정책과 입법적 제안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쟁점이 되고 있는 주요 다섯 가지 의제로는 첫째, TRIPS협정 제23조 4항의 해석과 관련된 지리적표시의 통보와 등록의 다자간 시스템에 관한 논의, 둘째, TRIPS협정 제22조 내지 24조와 관련된 지리적표시 보호품목의 확대에 관한 논의, 셋째, TRIPS협정 제31조와 관련 선언문 및 이행 결정문에 관한 공중보건이슈문제, 넷째, TRIPS 제27조 3항 (b)의 해석의 문제와 CBD 및 전통지식의 TRIPS 와의 관련 문제와 관련된 공중보건 이슈에 관한 논의, 다섯째, DSU 제26조 및 TRIPS협정 제64조와 2004년 8월 WTO일반이사회의 결정문에 관련된 비위반제소의 문제가 있으며, 이는 각국의 이해관계에 따라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반적으로 DDA의 지재권 분야는 개도국과 선진국간의 대립양상을 보이며, 특히 지리적 표시와 관련해서는 미국과 EU와의 대립양상을, 비위반제소는 미국과 다른 국가와의 대립구도를 보이고 있다. 물론 협상의 관정에서 각국가들은 국제경제법적 분석이 아닌 자신들의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를 관철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현재 이슈화 되고 있는 지재권에 관한 객관적인 법적 분석을 간과할 수 있음을 명심하고, 미시적으로는 한국의 무역의 이익을 위해서 또한 거시적으로는 세계무역질서의 회복을 위해서 DDA는 TRIPS와 같은 WTO협정과 지적재산권의 기술적 특성, 법적관점에서 평가되고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국제법적 분석을 위해서 거시적인 틀로는 WTO법체계의 목적이라 할 수 있는 자유무역주의와 공정무역주의의 적용 및 법 조항들간의 조화로운 해석을 시도하였고, 미시적인 틀로는 WTO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제 원칙들(내국민대우원칙, 최혜국대우의 원칙, 투명성의 원칙, 최소보장의 원칙 등)과 해당 법조항의 축조해석을 원칙으로 이슈화 되고 있는 지재권의 문제들을 분석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국제경제법적 분석을 한 후 지적재산권과 관련된 관계당국, 민간영역, 학계는 DDA의 각각의 의제와 관련된 지적재산권에 관한 경쟁력을 강화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힘써야 할 것이고 TRIPS협정 및 DDA 협상의 결론과 같은 국제적 합의와 일치되도록 입법적 시스템을 정비해 나가야 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s and negotiatory tendency of intellectual property in DDA. In particular, I concentrate more on the study of accordance with TRIPS agreement and WTO system than any other subject in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 hereafter trade directions , korean's policy and legal proposal in connected with DDA through international trade law's analysis about five subjects , hot issues,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 of DDA The main five agenda are sharp conflicts of opinion on interpretation of TRIPS Agreement in the interests of each nation . And theses are as follows 1. Discussion on the multilateral system of notification and registration of geographical indications connected with TRIPS Agreement Article 23. 4 2. Discussion on the extent of protection item of geographical indications connected with TRIPS Agreement Article22-24 3. Discussion on the public health issues connected with TRIPS Agreement Article31 and additional matters 4. Discussion on the agenda in relation to biological technology connected with TRIPS Agreement Article 27.3 etc. 5. Discussion on the agenda in relation to non-violation complaints connected with TRIPS Agreement Article 64 and DSU Article 26 Overall, DDA shows opposing aspects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In particular, there are opposing opinions concerned issues of geographical indication between US. and EU. Also, in procedure of negotiations, countries concerned strive to have their own political, economic interests appling international economic law illogically. Therefore, for the Korean trade profit microscopically and the recovery of world trade order macroscopically, DDA must be assessed and proceeded in viewpoint of legal, technical trait of IPR and world trade law like TRIPS. Finally, We(Koran authority-concerned, private sector, professor of IPR etc.)shall make effort to establish policies of IPR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about IPR in connection with each DDA agenda and amend the legislative systems of IPR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agreement something like TRIPS and outcome of DDA .

      • 지적장애 성인이 이성교제에서 경험하는 성과 사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정진옥 단국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지적장애 성인들은 자신들의 성과 이성 간의 사랑을 교류할 수 있는 독립된 주체로서 인정을 받고 있지 못하였다. 왜냐하면 이들은 성적인 문제에 대한 자발적인 인식이 전혀 없는 무성적 존재이거나, 이와는 반대로 성적으로 과도한 집착을 보이는 존재이거나, 아니면 성적인 발달과 이해 수준이 아주 낮은 어린아이들과 같은 존재라는, 사회적으로 형성된 편견으로 인하여 사람들에게 잘못 각인되었기 때문이다. 성인기 삶에서 인간의 성과 긴밀한 관련이 있는 이성 간의 사랑은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이와 관련된 편견으로 인하여 지적장애 성인의 성과 사랑에 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활발하지 못하였고, 특히 이들을 주제로 한 질적 연구는 더욱 그러하였다. 따라서 지적장애 성인들도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이성교제에서 저들 나름대로의 성과 사랑에 대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현상학적으로 규명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다음의 4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지적장애 성인은 이성교제 과정에서 성과 사랑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는가? 연구 문제 2. 지적장애 성인은 이성교제 과정에서 성과 사랑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연구 문제 3. 이성교제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성과 사랑은 지적장애 성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문제 4. 지적장애 성인이 이성교제 과정에서 경험하는 성과 사랑의 교육적 함의는 무엇인가? 이 연구는 서울 동부지역에 있는 한 직업재활시설의 30대~40대의 지적장애 성인 4쌍으로서, 이들의 장애 정도는 2급~3급 정도이다. 이들은 가족과 함께 생활하거나 주중에 그룹홈에서 생활하는 거주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연구를 시작할 당시, 이들이 이성과의 교제를 시작한 기간은 1개월~3개월 정도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와 관련된 보조 정보제공자로서, 연구참여자의 어머니 3명, 보호자 1명, 동료 장애인 3명, 그리고 시설 종사자 3명을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7년 7월에서 2008년 4월까지 총 10개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자료수집 방법으로는 참여관찰, 심층면접, 문서검토, 현장일지 등이었다. 특히 참여관찰은 2007년 7월~12월까지 총 70회 실시하였고, 이 기간 중 비디오녹화는 2007년 9월~12월까지 하였으며, 녹화는 중식 후 휴식 시간 중 30분간 작업장 내에 설치한 캠코더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총 녹화일수는 69일이고, 총 녹화시간은 32시간이다. 연구참여자에 대한 심층면접 방법은 개별면접과 커플면접, 그리고 커플집단면접으로 이루어졌다. 면접은 사전에 마련된 면접 지침서에 따라 하는 반구조화된 면접으로 실시하였다. 면접 횟수는 연구참여자 개인당 3회~5회였고, 1회 면접 시간은 약 30분~1시간 정도였다. 커플면접은 1회, 커플집단면접은 2회 실시하였다. 모든 면접 내용은 녹취한 후 전사되었다. 보조 정보제공자와의 개별면접도 이루어졌다. 관찰 자료는 개방 코딩(open coding) 방식으로 분석하였는데, 이를 통하여 총 11개의 주제가 종합되어 나왔다. 연구참여자와 보조 정보제공자에 대한 면접 자료는 Colaizzi(1978)의 분석방법으로, 정리한 결과 각각 13개의 주제와 15개의 주제로 종합되었다. 종합된 각각의 주제들을 종합적으로 비교·검토한 결과, 지적장애 성인들이 이성교제 과정에서 경험하는 성과 사랑의 본질은 아래와 같은 14개의 주제 영역으로 종합할 수 있었다. 1. 정서적 친밀감 2. 갈망과 저항의 두 마음 3. 정상성과 개방성의 획득 4. 성(sex)과 사랑의 경계 짓기 5. 선택의 기준 6. 물리적인 가까움 7. 말씨, 눈빛, 낯빛, 몸짓 8. 돌봄과 나눔 9. 강요됨 없는 성숙 10. 외로움에서 행복과 불안으로 11. 은밀함과 금지된 것의 추구 12. 무지와 무경험으로 인한 두려움 넘어 13. 성과 사랑을 통한 삶에 대한 의식화 14. 올바른 성 도덕과 성 가치의 구축 이들 주제 영역을 현상학적 사고에 따라 연구 문제별로 묶음화한 결과, 연구 문제 1은 1~4 주제묶음으로, 연구 문제 2는 5~8 주제묶음으로, 연구 문제 3은 9~11 주제묶음으로, 그리고 연구 문제 4는 12~14 주제묶음들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지적장애 성인들이 이성교제 과정에서 경험하는 성과 사랑의 본질로 규정한 14개의 주제묶음들은, 이 연구에서 제시한 두 가지의 논의 주제인 ‘지적장애 성인에 대한 이해’와 ‘지적장애 성인의 교육’에 따라 다시 재범주화 되었다. 이 연구 결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지적장애 성인이 이성교제에서 경험하는 성과 사랑의 본질을 밝힘으로서, 특수교육적 지식 확장에 기여하였다. 또한 지적장애 성인은 물론 다른 유형의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성과 사랑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성인의 삶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성과 사랑을 자신들의 생활 세계 속에서 이성교제를 통해 경험하는 지적장애 성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지적장애 성인이 지녀온 성과 사랑에 대한 궁금증을 심층면접이라는 방식을 통해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지적장애 성인에게 일방적인 강의식 교육이나, 간헐적이고 파편적인 성교육 방식보다, 면접 방식으로 성교육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이들에게 어릴 때부터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이고, 지속적이며, 생활 연령에 적절한 내용과 방식으로 성교육의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는 점을 부각시켰다. 또한 부모 및 가족, 그리고 교사에게도 지적장애인의 성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구에 대한 타당화 작업은 삼각검증법(triangulation), 참여자에 의한 연구결과 평가 작업(member check), 반성적 주관성(reflective subjectivity), 카타르시스 타당도(catalytic validity), 동료연구자에 의한 조언과 지적(peer briefing), 그리고 참고자료의 사용(referential material) 등으로 이루어졌다.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have not been well understood and recognized as independent subjects in their sexuality and love. Because they have been considered as asexual ones who have no voluntarily awareness about sexual matters or overly sexual ones. They have been sexually infantilized even though they were adults, because of the myths around them. Heterosexual love relevanted to sexuality is a very essential factor in the life of adults. However, researches on sexuality and love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generally scarce. Qualitatively researches on this kind of topic are not easily founded in domestic. Therefore, a phenomenological study is needed to prove the fact that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experiences of their own about sexuality and lov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ollowing 4 questions were constructed. Question 1: What do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erceive on sexuality and love in their heterosexual relationships? Question 2: How do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xpress their sexuality and love in their heterosexual relationships? Question 3: What have sexuality and love experienced by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ir heterosexual relationships influences on them? Question 4: What ar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sexuality and love experienced by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ir heterosexual relationships ?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a workshop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ast of Seoul. The participants were 4 couples in their 30s to 40s and had been ranged in IQ scored from 67 to 78. Some of them lived with their family and others lived in group-homes during week days. The couples had been going steady for 1 month to 3 months at the start point of the study. The assistant information providers were consisted of 3 types of people: 3 mothers and a sister in-law, 3 peers with disabilities, and 1 staff in the workshop and 2 staff in the group-homes.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July of 2007 to April of 2008 by using participant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individual files, and field-notes.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carried out from July to December of 2007 and were totaled up to number of 70th. Videotapes as a part of 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done from September to December of 2007. The participants were taped for 30 minutes after their lunch time in the workshop in which a camcorder had been installed. The participants were taped for 69 days. The tape hours were 32. The in-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in 3 types: individual interview, couple interview, and couple group interview. The interviews were semi-structured ones with a guideline. The numbers of interviews were 3 to 5 per participant. Each interview was taken for an half hour to one hour. The couple interview was carried out once, and the couple group interviews were twice. Every interview was recorded with a voice-pen with the full approval of them, and then was transcribed. The assistant information providers were interviewed and what they described were written. Observation data were analyzed by using open coding. Eventually the 11 clusters of the themes were derived from them. Interview data from participants and from assistant information providers were analyzed by using Colaizzi'(1978) method of phenomenology. From them, the 13 clusters of the themes and the 15 clusters of the themes were derived respectively. After cross-checking them, the 14 clusters of the themes which were the nature of sexuality and love experienced by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ir heterosexual relationships were eventually integrated like the followings. 1. Emotional intimacy 2. Double-mindness of desire and resistance 3. Acquisition to a normality and a self-disclosure 4. Making boundary between sex and love 5. Criteria for making choice of partner 6. Physical closeness 7. Spoken language, gaze, facial expression, and gesture 8. Caring and sharing 9. Spontaneous maturity without being forced 10. Out of loneness into happiness and anxiousness 11. Pursuiting of privacy and of what is forbidden 12. Ovecoming ignorance and inexperience 13. Consciousness of one's life by experiencing sexuality and love 14. Building proper morality and values of sexuality After categorizing the 14 clusters of the themes into the 4 questions according to phenomenological reflection, the 1 ~ 4 clusters of the themes were belonged to question 1, the 5~8 clusters of the themes were belonged to question 2, the 9~11 clusters of the themes were belonged to question 3, and the 12~14 clusters of the themes were belonged to question 4. The 14 clusters of the themes as nature of sexuality and love experienced by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ir heterosexual relationships were re-categorized into two topics for discussion: 'understandi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ducation for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contributed to extend the body of knowledge for special education by reveling the nature of sexuality and love experienced by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domestic sociocultural and their environmental context. And basic data for developing a theory to understand sexuality and love experienced by people with other types of disability were provided. Second, the results help us to understand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xperienced sexuality and love exerting powerful influences on adults life in their heterosexual relationships. Last,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helped to solve their curiosity about sexuality and love during their in-depth interviews. It means that sexuality education in a type of interview is more effective than an one-way lecture, and an intermittent and partial sexuality education. And Sexuality education with system, consistence, and matching to one's chronological age is needed from childhood to adulthood. Education for parents, family members, teachers and staff is needed to understand sexuality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Validity of the study was acquired by using triangulation, member check, reflective subjectivity, catalytic validity, peer briefing, and referential 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