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개열 환자 성문 파열음의 음향학적 특징

        정지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Glottal stop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cleft palate speech and is similar to the glottalized stop sound of the Korean language. Glottal stop is defined as a plosive produced when the glottis is completely stopped, exhalation is interrupted, subglottal air pressure is heightened, and vocal folds are abducted. It is sometimes called reinforcing glottal stop. When glottal stop is produced, the laryngeal type is divided into Type 1 and Type 2. Type 1 is a plosive noise produced when the true vocal fold is adducted prior to voice onset (VO) and begins to vibrate and only the ventricular fold is abducted. Type 2 is a plosive produced when the true vocal fold and ventricular fold are adducted prior to voice onset and immediately abducte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glottal stop in individual with cleft palate. 10 individuals with cleft palate and 16 controls participated, and the individuals with cleft palate were divided into those substituted glottal stop and those not substitut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the CSL 4500, Nasometer Ⅱ 6200. The assessment sample included bilabial sound, alveolar sound, velar sound from each lenis sound, aspirated sound, and glottalized stop sound. The assessment sample analyzed included the slope of energy prior to voice onset, VOT, VD, TD, and Hold on the spectrogram and nasalance slope such as closing phase (slope 1), closed phase (slope 2), and opening phase (slope 3) on the nasalance graph. The findings are listed in the following: First, VOT of the group with substituted glottal stop is the shortest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VOT of the group with no substituted glottal stop is lon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s for all the stop sounds, the slope of energy of the group with substituted glottal stop is big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the closing phase, the nasalance slope of the group with substituted glottal stop and the group with no substituted glottal stop is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the group with substituted glottal stop has a higher nasalance slope compared to the group without substituted glottal stop an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veolar sound /t^(h)i/ and velar sound /k^(h)i/. Third, at all phases including the closing phase, closed phase, and opening phase, the group with substituted glottal stop and the one without substituted glottal stop have higher nasala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when the group with substituted glottal stop is compared to the group with no substituted glottal stop, there is statistical significance only at the opening phase of /p^(h)a/ and /t^(h)i/. Finally, when correlation analysis is conducted of the energy slope on the spectrogram and nasalance slope at the closing phase (slope 1),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found to be 0.766, which implies a very strong correlation.

      • 멸종위기동물에 관한 그림책 「나를 지켜주세요」 의 창작연구

        정지혜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the document which shows the creating process of informative picture book about endangered animals, 「Save Me」. There are still indiscriminat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destruction now, for industrial development or people's benefit. Various reasons like poaching, pasturing, global warming, bushmeating, and all that sort of things made many animals endangered or extinct. I wanted to let it be known that those problems were caused by people's selfishness and greed through the medium 'picture book'. Right now, the whole world makes people aware through endangered-animal-related commercials, information pamphlets, movies, documentaries, donations, etc. and especially in foreign, informative picture books in reference to endangered animals also embody formative trials and diverse contents. Those tendency is also tried domestically, but domestic existing informative picture books have not been made various trials because of giving undue value on information delivery and containing educational contents. 「Save Me」 is an informative picture book about endangered animals, which intends to talk about how and why animals became endangered. Also, it is made up with various compositions and new presentations for interest and fun. By this thesis, I wish this informative picture book makes progress as the visual media, which is not for information delivery or educational contents only, but by the way of feeling the same empathy together for broad generations. 본 논문은 멸종위기 동물에 관한 정보 그림책「나를 지켜주세요」창작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기록이다. 산업의 발전을 위해 또는 인간의 이익을 위해 지금 이 순간에도 무분별한 개발과 환경 파괴가 이루어지고 있다. 밀렵, 방목, 지구온난화, 부시미트 등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지구상에 많은 동물들이 멸종위기에 처해있으며 이미 멸종된 동물들도 많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야기한 것이 결국 인간의 이기심과 욕심이라는 것을 깨닫고 이를 그림책이라는 매체를 통해 알리고 싶었다. 현재 국내 외에서는 멸종위기 동물에 관련한 광고, 정보책자, 영화, 다큐멘터리, 기부금 모금 등을 통해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으며 외국에서는 멸종위기 동물에 관련한 정보 그림책도 새로운 조형적인 시도와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같은 경향은 국내에서도 시도되고 있으나 국내의 기존의 정보 그림책은 정보전달과 교육적인 내용을 담는데 치중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림책「나를 지켜주세요」는 멸종위기 동물에 관한 정보 그림책으로 멸종위기 동물들이 처한 상황과 환경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하며, 다양한 구성과 새로운 연출을 통해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정보 그림책이 정보 전달과 교육적인 내용만을 위한 매체가 아닌 넓은 세대가 함께 공감하는 시각매체로써의 발전의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유통판매장 종사직원의 고객만족 교육훈련이 고객만족도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 농협중앙회 유통판매장 사례를 중심으로

        정지혜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통판매장 종사직원의 고객만족 교육훈련이 고객만족도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농협중앙회 유통판매장 사례를 중심으로- 농협의 유통사업은 1970년 장호원농협의 시작으로 2014년을 기점으로 45주년을 맞이하며 사업초기 좋은 물건 값싸게라는 슬로건으로 국내 소비지 유통시장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면서 유통사업을 선도하여 왔다. 그 후 40여년이 경과하면서 대형마트의 치열해진 경쟁 하에서, 고객만족경영과 서비스 품질이 새로운 경쟁의 화두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농협에서도 조직, 인력, 교육 등 많은 인적, 시간적, 금전적 자원을 투입하여 고객만족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서비스 교육훈련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둘째, 서비스 교육훈련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셋째, 고객만족도가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넷째, 고객만족도가 서비스 교육훈련과 서비스 품질에 매개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가설1 : 서비스 교육훈련은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 서비스 교육훈련은 서비스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 고객만족도는 서비스품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 : 고객만족도는 서비스교육훈련과 서비스품질에 매개할 것이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첫째, 서비스 교육훈련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교육횟수가 고객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횟수가 많을수록 고객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훈련의 강사, 학습자, 교육내용 요인은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교육훈련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서비스 교육훈련은 서비스 품질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비스품질의 교육전이, 신뢰성, 친절성, 확신공감성 요인을 각각 살펴보면, 강사, 학습자, 교육내용, 교육횟수 요인은 교육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학습자 요인은 신뢰성, 친절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강사, 학습자, 교육횟수 요인은 확신공감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만족도가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고객만족도는 서비스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고객만족도 평가항목과 평가실시만으로는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만족도는 서비스교육훈련과 서비스품질에 매개하는지를 검증한 결과 서비스 교육훈련이 고객만족도와 서비스품질에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만, 고객만족도가 서비스품질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고객만족도가 서비스 품질에 매개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카페인 함유 식품에 대한 인식 및 섭취 실태

        정지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urvey of 443 male and female first-year and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ir perceptions about caffeine-containing foods and the status of their consumption of caffeine-containing foods, and the results thereof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BMI, while 58.8% was ‘normal’ and 16.8% was ‘obesity’ among male students, 59.9% was ‘normal’ and 23.5% was ‘underweight’ among female student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As for the cost of purchasing caffeine-containing favorite foods out of weekly allowances, it was found that while 70.4% of the male students spent ‘less than KRW 5,000,’ 50.7% and 32.3% of the female students spent ‘less than KRW 5,000’ and ‘KRW5,000 – less than KRW 10,000,’ respectivel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awareness for caffeine-containing foods, it was found that 25.2% of the students are well aware of them, while 74.8% of the students do not have high awareness for caffeine. It was found that 13.8% of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caffeine ingredient in food a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s for perceptions about the intake of caffeine-containing foods, it was found that generally the students (38.4%) perceived that they ate them moderatel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42.2% of the subjects thought that the intake of caffeine-containing foods did not help them very much in improving concentration or relieving fatigu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le students and the female students. As for the scores of cognizance about whether favorite foods contain caffeine or not, they scored average 6.98 points out of 11, and the female students (7.27 points) showed relatively higher cognizance than the male students (6.69 points) (p<0.01). It was found that the ratios of correct answers about all favorite foods such as ‘coffee, green tea, black tea, and fruit juice’ were higher among the female students than the male students female (p<0.05),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Favorite foods of the lowest ratios of correct answers by gender were ‘black tea’ among the male students and ‘chocolate-flavored confections’ among the female students. It was found that 262 students (59.1%) regarded the intake of caffeine-containing foods as harmful,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le students and the female students. The reason why they regarded it as harmful was found to be mostly ‘insomnia (50.0%).’ As for experiences of side effects, there were differences by gender in ‘Hands and feet shake (p<0.01),’ ‘Get a headache or dizziness (p<0.001),’ ‘Get heartburn (p<0.001),’ and ‘Feel irregular heartbeat (p<0.05)’; it was found that the female students experienced relatively more tremors in hands and feet, headache or dizziness, heartburn, and irregular heartbeat than the male students. The primary location to purchase caffeine-containing foods was ‘convenient store (62.1%).’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purchasing caffeine-containing foods was ‘taste (72.2%),’ and it was found that the male students (77.4%) attached more importance to taste than the female students (66.8%) (p<0.05). As for food labels, it was found tha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71.8%) did not check them properly.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ack coffee and coffeehouse coffee among ‘coffees,’ green tea bag among ‘teas,’ Mountain Dew and black iced tea among ‘beverages,’ Monster Energy among ‘energy drinks,’ coffee milk and chocolate milk among ‘processed milk,’ and chocolate and chocolate bar among ‘confections’ (p<0.05, p<0.01, p<0.001). As for foods consumed once or twice a week by male and female students, respectively; cola in the ‘beverages’ category showed 46.9% and 46.1%; chocolate milk in the ‘processed milk’ 38.9% and 50.2%; chocolate in the ‘confections’ 44.7% and 51.2%; chocolate ice cream in the ‘ice cream’ 41.2% and 49.8%.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chocolate milk (p<0.01) and chocolate (p<0.001).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intakes for beverages, chocolate or chocolate products. As for reasons for consuming caffeine-containing foods,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replied that they consumed them, except ‘energy drinks,’ ‘because they taste good.’ As for ‘coffees’ and ‘beverages,’ the male students showed higher ratios of drinking them ‘because of good taste’ than the female students, while as for ‘teas,’ ‘processed milk,’ ‘confections,’ and ‘ice cream,’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ratios of consuming them ‘because of good taste.’ As for ‘energy drinks,’ it was found that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drank them mostly because they felt ‘sleepy.’ As a result of surveying foods eaten with caffeine-containing foods, it was found that mostly they ate all of the caffeine-containing foods except ‘beverages (cola, Mountain Dew, iced tea, etc.)’ ‘without any other accompanying food.’ As for ‘beverages,’ it was found that mostly they were drunk with fast foo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y gender. From the above findings, it can be seen that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show the low cognizance of and attention to caffeine, and also have a very low level of knowledge considering the low ratios of correct answers to questions about the cognizance of caffeine content in favorite foods. Although a number of students experienced side effects after consuming caffeine and felt that caffeine is harmful, their first consideration in the actual purchase of foods was taste, which shows the possibility for the indiscreet consumption of caffeine without regard for health. Attempts have been made to protect students’ health by prohibiting the sale of highly caffeine-containing foods in schools and outstanding food sales store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such attempts is limited because students buy them mostly at convenience stores outside school. And students' checking food labels on packages is also unsatisfactory. A wide variety of favorite foods often wanted by adolescents contain caffeine. Particularly, adolescents show high preferences for carbonate drinks, chocolate, and processed chocolate products, and so it is presumed that the recommended maximum daily intake of caffeine may be easily exceeded due to the overconsumption of the foods. It is necessary to conduct nutritional education about caffeine at school and home to prevent caffeine dependence caused by excessive caffeine intake, and it is required to make educational efforts to enable students to choose right foods for themselves. In addition, the current standard for marking caffeine levels applies only to liquid foods containing caffeine of 0.15mg/mL or more, and thus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system so that favorite food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uch as chocolate products and confections, should be obligatorily marked with the caffeine content.

      • 응급실 간호사의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지혜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응급실 간호사들의 노인학대에 대한 관심증가와 간호중재적 개입 방안에 대한 교육과 실무를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3월2일부터 4월24일까지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및 수도권에 있는 13개의 2, 3차 상급병원에 근무하는 연구참여를 수락한 205명의 응급실 간호사이다. 본 연구의 도구는 노인학대 인식 16문항, 법적·제도적 지식 7문항, 노인학대 개입에 대한 태도 14문항, 노인학대 개입에 대한 주관적 규범 9문항, 노인학대 개입에 대한 자기효능감 8문항, 노인학대 개입의도 16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est, F-test, S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1) 응급실 간호사의 노인학대 인식정도는 평점 4점 만점에 평균(표준편차) 2.61(±0.44)점이고, 유형별로 살펴보면 성적학대가 3.08(±0.73)으로 가장 높은 인식도를 보였으며, 방임은 2.14(±0.59)로 인식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노인학대에 대한 법적, 제도적 지식을 측정하는 7개 문항을 제시하고 전체 응답 가운데 정답에만 점수를 주어 노인학대에 대한 법적·제도적지식 정도를 측정하였고 4.03±2.01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노인학대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은 각각 평균 평점은 2.69±0.32, 2.65±0.54, 2.59±0.47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제 변인간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노인학대 인식은 성별(t=3.034, p<.01), 연령(t=3.059, p<.05)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법적·제도적 지식은 연령(F=2.846, p<.05), 최종학력(F=5.386 p<.01), 응급실 형태(F=6.192, p<.01), 병원근무경력(F=4.219, p<.01), 노인학대 교육경험 (t=3.014, p<.01)에 따라 차이를 나타났다. 노인학대 개입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연령(F=3.079, p<.05)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노인학대 개입의도는 성별(t=2.946, p<01)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3) 대상자의 노인학대 개입의도와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분석 결과에서 독립변수인 노인학대 인식, 제도적, 법적 지식, 개입 태도, 주관적 규범, 자기효능감이 종속변수인 노인학대 개입 의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제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중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난 성별을 통제변수로 회귀 모형안에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노인학대 인식의 베타 값이 0.705로 종속변수인 노인학대 개입의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주관적 규범이 .170, 태도가 .116, 법적·제도적 지식이 .086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변인들이 개입의도 총 변량의 68.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본 연구결과, 응급실 간호사의 노인학대 개입의도는 노인학대 인식이 높을수록, 노인학대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이 높을수록, 법적·제도적 지식이 높을수록 개입의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에 대한 노인학대 대상자의 개입과 중재를 위해서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는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향상시키는 교육이 필요하며 병원조직 차원의 학대개입과 중재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계획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n intention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such as nurses’ awareness of elder abuse and attitude towards, subjective norm of, and self-efficacy of intervening in elder abuse. Method: This study is a correlational descriptive study and data collection period is from March 2, 2017 to April 24, 2017.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16 items of perceptions of elder abuse, 7 ite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knowledge, 14 items of attitude of elder abuse intervention, 9 items of subjective norm of intervention of elder abuse, 8 items of self-efficacy of elder abuse intervention, 16 items of intervention intentions on elder abu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regression, the Standard and the Standard Deviation, the t Test, the coefficient Test, the Sheffe Test, the Pearson correlation,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1) Mean value of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by emergency room nurses was 2.61 (± 0.44) out of 4 points, and the mean value of sexual abuse was 3.08 (± 0.73) which shows the highest recognition rate. The mean value of negligence was 2.14 (± 0.59) which shows the lowest recognition rate.2)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uch as gender, ag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working hospital, type of emergency room, hospital work experience, career experience in emergency room, educational experience, perception of elder abuse according to educational location, intervention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t = 3.034, p <.01) and the intervention intention (t = 2.946, p <.01) by the gender. Perception (T = 3.059, p <.05), legal and institutional knowledge (F = 2.846, p <.05) and subjective norm (F = 3.079, p <.0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Legal and institutional knowledge (F = 5.386 p <.0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inal education level.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knowledge (F = 6.192, p <.01)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ing emergency roo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knowledge depending on the career experience (F = 4.219, p <.01)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 (t = 3.014, p <.01). 3)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lder abuse awareness, institutional, legal nowledge, intervention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self - 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elder abuse intervention intention. 4)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egree to which the variables influence the intention to intervene in elder abus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gender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tion of elder abuse was included in the regression model as the control variable As a result, the beta value of the elder abuse awareness was 0.705, which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intention to intervene in elder abuse, with a subjective norm of .170, attitude of .116, and legal and institutional knowledge of .086 (F = 73.447, p <.001).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68.2% of the total variance of intervention inten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the higher the attitude toward elder abuse, the higher the subjective norm, the higher the legal and institutional knowledge, the higher the intention of intervention. Therefore, in order to help emergency room nurse intervene and mediate the elder abuse,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emergency room nurse to improve the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elder abuse, and concrete plan for the intervention and mediation of the hospital organization should be planned.

      • 해외명품화장품 소비자의 구매행동 및 구매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정지혜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에서 화장품은 중요한 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았다. 특히 해외명품화장품의 경우 단순한 화장품이기보다는 하나의 패션명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세분화되고 있는 화장품 시장에서 소비자들을 만족시키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령과 사회계층에 따른 백화점 해외명품화장품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과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구매행동 변인으로는 연령과, 결혼여부, 학력, 직업, 소득이 사용되었고, 구매결정요인으로는 가격, 외장과 디자인, 상표이미지, DM, 사은품, 광고매체가 사용되었다. 연구는 명품화장품 구매행동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연구로 이루어졌으며, 백화점에서 명품화장품을 구매한 적이 있는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여성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 설문지 400부를 배부하여 372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살펴보면 응답자의 연령은 40세 이상이 가장 많았고 결혼 여부에서는 기혼자가 대부분이었으며 학력은 대학졸업자가 가장 많았다. 직업은 주부가 가장 많았으며 회사원, 서비스직, 전문직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은 400만원 이상 ~ 600만원 미만이 가장 많았으나 각 소득계층이 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자들의 해외명품화장품 구매행동을 분석한 결과 화장품을 구입 시에 영향을 받는 사람으로 본인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한 달 평균 기초화장품 구입비로는 대부분의 여성이 10만원 미만이라고 응답하였으나 미혼의 30대여성들은 한 달에 20만원 미만이라고 응답하여 기초 화장품 지출액이 2배정도 차이가 있었다. 색조 화장품 구입비는 연령, 결혼 여부, 학력, 직업, 소득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기초 화장품 구입비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빈도는 연령, 결혼 여부, 직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해외명품화장품 구매결정 요인에 대해 조사한 결과 연령이 높을수록 상표 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9세 여성에게는 사은품이 중요한 요인이었으나 30대 이후에는 중요한 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 있어서는 미혼여성의 경우 가격과 디자인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기혼여성은 상표이미지와 DM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서는 가격, 광고매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전문대학이나 대학 졸업자의 경우 다른 학력의 소비자에 비해 구매결정시 가격과 광고매체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항목에서 학생은 해외명품화장품을 구매 할 때 가격, 사은품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다른 직업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소득에 따른 구매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소득이 낮은 소비자 집단은 가격과 외장 디자인을, 소득이 높은 소비자 집단은 상표 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해외명품화장품을 소비자들의 구매행동과 구매결정요인은 연령과 사회계층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contemporary society, the cosmetics has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necessary goods. Especially, foreign luxury cosmetics are considered as a luxury fashion item, not simply as cosmetic goods, and they have satisfied consumers, so having continually grown in Korea cosmetics market. Aiming to identify foreign luxury cosmetics-consumers’ purchase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department stores depending on age and social classes,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sumers’ purchas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tials on their purchase behaviors. As the purchase behavioral variables, the age, the marital statue, the highest educational level, the job type and the income level were used. And as the purchase determinants, the goods’ price, its appearance and design, its brand image, its DM, free gift, and ad media were used. This study was composed of a theoretical study and an empirical study through a survey about consumers’ luxury cosmetics-purchasing behaviors, and targeted some women living in downtown of Seoul. For this purpose, 400 copies of questionnaire from April 1st to April 20th, 2015 were distributed and 372 copies were used as the data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vestigating the targets’ demographic features, the age class of most respondents was over 40 years old, and most respondents were married and completed the college/university course. Concerning the job type, the most respondents were wives, and followed the office employees, service employees and professionals in order. For the income levels, the most respondents were fallen into the level of over 4 millions to less 600 millions won, but all levels of incomes were flatly distributed. Second, a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targets’ foreign luxury cosmetics-purchasing behavior, the highest rate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it was the purchaser herself who was influenced at the time of purchasing cosmetics. Being asked how much money was spent on purchasing basic skin cosmetics by month in average, most female respondents that they spent less 100 thousand won for purchasing basic skin cosmetics. However for unmarried female respondents in their 30s, they responded that they spent less 200 thousand won a month, so showing twice difference from other age classes in terms of expenditures for basic skin cosmetics. Concerning the purchases cost for makeup cosmetics,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ppeared in all variables of age, marital statue, highest educational level, job type, income levels, and its cost was lower than the cost for purchasing basic skin cosmetics. For the cosmetics purchase frequency,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ge, martial statue and job type. Third, from the investigation about the factors making the respondents determine to purchase foreign luxury-cosmetics, it was found that as the purchaser’s age is older, she/he considers a brand’s image importantly. 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free gift was an important factor for women in their 20s, but the variable was not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fo women in their 30s and over. Concerning the marital statue, it was appeared that the unmarried women thought a cosmetic goods’ price and design importantly, but married women considered the brand’s image and its DM more importantly. Concerning the highest educational level,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price and ad media. For the women graduating a college or a university, they were more influenced by a goods’ price and its ad media at determining to purchase the goods than other consumers who had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In the variable of job type, it was appeared that a student was much influenced by a goods’ price and its free gift at purchasing a foreign luxury cosmetic, but there were not foun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job-types respondents. A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purchase determinants depending on income levels, it was found that the lower-income level of consumer group considered a goods’ price and its appearance and design importantly, but the higher-income level of consumer group considered the brand’s image importantly.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identified that consumers show differences in their purchasing behaviors and the purchase determinants depending on age and social classes.

      • 인체의 이미지를 응용한 자아표현 연구

        정지혜 국민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Ego is the perception about oneself and surroundings in the place that it is associated in. The concept of the ego has been discussed in the fields of psychology, philosophy, sociology and pedagogy to pursue the answer of the question, ‘what is the essence of the human being’. Being born and expressing in the world are to tie the knot with someone in the world. From the birth, men grow up making various kinds of relationship. It can not be denied that our daily lives are continuity of meeting with others, because according to Aristoteles, man is a social animal. The ego is redefined through the process of various human relations. A lot of philosophers and artists have defined the ego by their own ways and they tried to figure out the existence of themselves through the relations with others and feelings formed in the relations. The researcher of this paper tried to represent various kinds of human relations and the ego that is continuously changed through them by extension of forms that are made through the combination of images of partial body and soil pieces crossed repeatedly. Another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make new ways of one’s life by knowing oneself more exactly through the research of one’s and others’ spirits. At an introduction, purpose, research method and range of the research are considered and the symbolism of the body among general considerations about the body, arts of the body and works of arts using the image of the body are studied as the main subject. The images of the ego that are differently described by many artists are considered based on the works of them. In the conclusion, the prospect that the research which is to figurate the ego in various relations with others will be helpful for the works of expressing concrete forms of ideal subjects is represented. Through the research, the researcher of this paper also experienced the process that finds out another ego and values of me. I want audience of my works also to have the chance to think about the ego that is passed over and hidden behind their insides. 자아란 한 개인이 그가 처해있는 생활의 장에서 자기 자신 및 그의 주위 환경을 어떻게 느끼는가에 대한 지각을 말한다. ‘인간의 본질이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심리학, 철학, 사회학, 교육학 등의 학문 분야에서 다양하게 자아의 개념이 논의되어 왔다. 우리가 태어나는 것, 세계 속에 드러나게 된다는 것은 이미 누군가와 함께 인연을 맺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여러 종류의 인간관계를 맺으며 성장하게 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 인간이 ‘사회적 동물’인 이상 우리의 일상적인 삶이 다른 사람들과의 끊임없는 만남의 연속이라는 점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한 개인의 자아는 세상을 살아가는 동안 형성되는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재정립되고 성장한다. 수많은 철학가와 예술가들은 그들만의 표현방식으로 자아에 대한 표현을 하였고 본인 또한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여러 가지의 감정을 느끼고 삶 속에서 나의 존재를 확인하려 하였다. 본 연구자는 부분적인 인체의 이미지와 반복적으로 교차하는 흙 조각을 결합시켜 여러 형태로 확장함으로써 여러 종류의 인간관계와 이를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아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또한 나의 정신과 타인의 정신에 대한 탐구를 통해 내가 모르던 나 자신에 대해 좀 더 알게 됨으로써 자신의 삶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계기를 마련해 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론에서는 이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 및 범위를 기술하였으며, 본론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인체의 일반적 고찰 중 인체의 상징성과, 인체와 예술, 인체를 이용한 예술작품에 대해 살펴보고 자아의 의미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또한 다른 작가들이 자아를 표현한 작품 사례를 살펴보며 작가들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는 자아의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자신과 타인과의 관계성에서 느끼는 자아를 인체를 통해 형상화 하고자 한 이 연구가 관념적 대상을 구체적 형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작업에 일조할 수 있기를 바라며 결론을 맺었다. 본인은 이번 연구를 통해 나와 주변을 돌아보면서 또 다른 나를 발견하고 인정함으로써 자신의 가치를 발견해 나아가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본인의 작품을 감상하는 이들에게도 이제껏 간과되었던 내면에 숨겨진 자아에 대해 생각해보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유휴 산업시설의 건축물 재생 계획요소 도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문화공간을 중심으로

        정지혜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dle industrial facilities appear due to the economic recession and the industrial structure changes, and are recognized as a factor causing urban decline. However, idle industrial facilities play an important role both economically and socially in the age of industrialization, and have infinite potential for future use as valuable resources.  Recent increase of interest in culture has led to the revital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to cultural spaces. With the growing awareness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Korea, it is time to study how to regenerate the buildings for effective 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plan requirements for the revitaliz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to cultural spaces and to analyze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the plan requirements through two domestic cases.  First, by reviewing seven literature on building revitalization plans, the ‘revitalization plan requirements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o be presented to experts was derived. In the advisory stage, items of similarity, redundancy, and abstractness were removed or supplemented after discussion through expert advisors consisting of four members including architects and practitioners. In addition, 2 major categories, 6 medium categories, and 23 small categories were confirmed, including opinions from the researcher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  Second,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plan requirements was analyzed in two domestic building cases that are to be regenerated into cultural space amo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cases were limited to pre-construction buildings that were won at the 2018 competition. Therefore, the building that regenerates Gunpo reservoir as Gunpo Picture Book Museum Park and the building that regenerates Seoul Thermal Power Plant as Dangin-ri Cultural Space were selec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by applying two domestic building cases to the derived revitalization plan requirements. The architectural revitalization plan requirements of the Gunpo Picture Book Museum Park were 10 reflected, 5 partially reflected, and 8 not reflected. The cultural revitalization plan requirements of the Dangin-ri Cultural Space are 10 reflected, 6 partially reflected, and 7 not reflected. (See Chapter 4, Conclusion)    This study will help to reorient the revitalization plan requirements of buildings that want to regenerate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the future. In the case of buildings that have already been regenerated or are expected to be regenerated, it is expected that the objective data will increase as the number of cases increases by understanding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the revitalization plan requirements. 유휴산업시설은 경제 불황에 의해 산업구조가 변화하게 되면서 발생되었다. 이 시설은 도시 쇠퇴를 유발하는 요소로 인식되었다. 산업화시대에 유휴산업시설은 경제적, 사회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앞으로도 가치가 있는 자원으로 활용할 수 가능성이 무한하다. 최근 문화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휴산업시설 건축물을 문화공간으로 재생하는 사례가 생겨나고 있다. 국내에서도 유휴산업시설의 문제의식이 고조되었으며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건축물 재생 방안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휴산업시설의 건축물이 문화공간으로 재생되었을 때 사용되는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2개의 국내 사례를 통해 계획요소들이 적용된 정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첫째, 유휴산업시설 건축물의 재생 계획요소를 도출하기 위하여 건축물 재생 계획에 관한 문헌고찰 7개를 토대로 전문가들에게 제시될 ‘유휴산업시설의 건축물의 재생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자문 단계에서는 건축사, 실무자 등 총 4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자문을 통해 유사성, 중복성, 추상성에 대한 항목은 논의 후 제거 혹은 보완하고, 실무 경험으로 바탕으로 본 연구자의 일부 의견을 포함하여 대분류 2개, 중분류 6개, 소분류 23개 항목으로 확정하였다. 둘째, 유휴산업시설 중 문화공간으로 재생 예정인 2개의 국내 건축물을 사례로 선정하여 계획요소들의 도출된 정도를 분석하였다. 사례는 2018년 공모전을 통해 당선되었으며 착공 전 건축물로 한정하였다. 그리하여, 군포 배수지를 군포그림책박물관공원으로 재생하는 건물과 당인리발전소 4·5호기를 당인리 문화공간으로 재생하는 건축물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2개의 국내 건축물 사례를 도출된 재생 계획요소에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군포그림책박물관공원’의 건축물 재생 계획요소는 반영10개, 부분반영5개, 미반영8개로 나타났으며, ‘당인리 문화공간’의 건축물 재생 계획요소는 반영 10개, 부분반영 6개, 미반영 7개이다. (제4장 결론 참조) 향후 본 연구가 유휴산업시설을 재생하고자하는 건축물에 재생계획요소로 방향을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또한 이미 재생되었거나 재생예정인 건축물의 경우는 재생계획요소를 대입 후 적용된 정도를 파악하여, 사례의 수를 늘려 객관화 된 데이터가 증가하기를 바란다.

      • 30대 초반 대기업 정규직 미혼 여성의 결혼 의향 분석 : 규범과 선택 사이

        정지혜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여성의 경제적 능력이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베커(Becker, 1973)의 성별 역할 전문화 모형(gender role specialization theory) 및 오펜하이머(1988;1997)의 경력 진입 모형(career entry model) 등 이론적 논쟁이 존재한다. 베커의 이론에 의하면 여성의 경제적 능력이 높아지면 남성에 대한 경제적 의존 필요성을 감소시켜 결혼 의향이 낮아지게 된다. 반면, 오펜하이머의 이론에 따르면 여성의 경제적 능력이 높을수록 결혼 시장에서 보다 우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므로 결혼 이행 가능성은 높아진다. 유교적 문화가 뿌리 깊은 한국사회에서 결혼은 예로부터 성인이 되기 위한 중요한 인생 과업으로 여겨졌으며, 규범의 형태로 존재하였다. 그러나 최근 결혼이 점차 개인 선택의 영역에 있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특히 경제적 능력이 있는 여성이라면 스스로 생계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비혼을 선택하거나 결혼 시기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렇다면 과연 경제적 능력이 있는 여성들이 결혼 이행과 관련한 규범적 요인으로부터 자유로울 것인가? 한국사회에서 여성의 경제적 능력이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들을 보면 베커나 오펜하이머 중 어느 한 편의 주장이 더 타당하다고 보기 어렵다. 다른 한편, 우리 사회에 자리 잡고 있는 결혼 이행과 관련된 규범의 작용으로 경제력의 영향이 제한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여성의 경제적 능력이 결혼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범적 요인의 작용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기업 정규직으로 근무하는 30대 초·중반 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결혼 의향, 결혼 동기, 배우자상, 희망하는 결혼 생활 등을 살펴보았다. 경제력과 규범적 요인이 결혼 기대 변수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위 변수들이 결혼 의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봤으며, 심층면접의 방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경제력이 있는 여성들의 대다수가 결혼 의향에 있어 규범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국의 가족주의적 문화의 맥락 속에서 부모의 압력, 사회적 기대와 같은 규범적 요인이 결혼의 동기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는 개인의 결혼 의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베커의 이론과 달리 규범적 요인이 여성의 경제력이 결혼 의향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결혼의 주요 동기로서 규범적 요인 외에 개인적인 요인으로 경제적 필요성보다 정서적 이유를 들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성관계의 유지 필요성, 기존 인간관계에서의 정서적 결핍 등이 결혼의 주요 동기로 언급된다. 그런데, 이들이 말하는 정서적 안정에 대한 욕구 역시 그 이면을 살펴보면 상당 부분 한국사회 제도나 규범에서 동떨어진 것은 아니다. 한편, 연구 참여자들은 본인의 욕구, 가치관에 따라 결혼 후 삶의 대한 구체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대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배우자상을 설정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들의 결혼 후 성별 분업에 대한 태도, 배우자 상은 각자 결혼을 수용하는 조건으로 작용하며 결혼 의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들이 설정하고 있는 결혼 수용조건이 충족될 경우 결혼 의향은 높아지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결혼 이행 가능성은 다소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오펜하이머의 이론과 달리 자신의 결혼 기회를 판단함에 있어서 자신의 경제력을 결혼에 유리한 자원으로 인식하지 않는다. 오히려 자신의 연령에 의해 결혼 가능성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연구 참여자들의 높은 결혼 수용 조건은 결혼 시장에서 배우자 후보군을 제한하는 한편, 이들의 배우자 후보군들은 연구 참여자들보다 낮은 연령대의 여성을 선호한다고 생각하여 결혼 이행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 결혼 시장에서 미혼 여성들은 결혼 기회를 판단할 때 경제력 외 연령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한국사회에서 연령 규범이 결혼 이행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미혼 여성의 결혼 의향은 경제력 외에도 개인의 결혼 기대와 규범적 압력이 교차하면서 복잡하고 다양한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으며, 결혼 의향은 복잡한 층위를 나타내는 변수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tention for marriage among unmarried women in their 30’s permanently employed at large company in Korea. Generally, women with economic power were expected to be free to choose marriage, but normative factors have a great influence on marriage intentions in this study. Specifically, the motive of marriage is not only the economic and emotional factors of the individual but also the normative factors such as social expectation and pressure from parents as the motive of marriage. In other words, normative motivation increases the intention for marriage. The conditions to accept marriage and the marriage expectation of women with economic competent vary from person to person, but their conditions to accept marriage act as a condition to limit the marriageable candidates in the marriage market and finally to lower the marriage opportunity. Their intention for marriag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possibility of meeting with the desired male. In one side, research participants do not perceive their economic ability as an attractive resource in the marriage market, but rather are influenced by age norms. They expect that marriage opportunities will gradually decrease as they get older. The intention for marriage is influenced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marriage expectations, normative forces, and the participant’s economic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