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지웅의 "Chaos for twelve woodwind instruments" 분석

        정지웅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95

        본 논문은 정지웅의 CHAOS for Twelve Woodwind Instruments를 분석한 것이다. 각각 4개씩 이루어진 플륫, 오보에 그리고 클라리넷의 12중주이며, 전체는 악장의 구분 없이 작곡자에 의해 만들어진 중심 화음을 바탕으로 하여 A, B, C, D, E, A', F의 7부분의 단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사용된 중심 화음은 전통적인 단7화음, 감7화음 그리고 속7화음 등이며 이것과 함께 비화성음을 이루는 화음들이 첨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곡의 진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화음이며 각 부분의 선율적인 변화이다. 중심 화음의 연결은 제목 'CHAOS'가 내포하고 있는 혼돈의 개념이 해결되어지는 과정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고, 하나의 선율로부터 8성 유니즌과 12성부 화음에 이르는 선율의 변화들은 이러한 과정과 부합한 의지의 전개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본 논문은 본 곡을 분석함에 있어 이러한 선율 및 화음의 변화들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이로서 혼돈을 해결해 가는 작곡자의 의도를 살펴보았다. This thesis illustrates the musical analysis of "Chaos for Twelve Woodwind Instruments" scored for 4 flutes, 4oboes and 4 clarinets by Jiwoong Chung. The piece is an A, B, C, D, E, A', F form and mainly based on the seventh chords such as minor seventh, diminished seventh and dominant seventh. The intensity of the music is interrupted by non-harmonic tones for dissonance sonority. The work consists of seven sections in one movement and each one clearly articulated by the introduction of different ideas; either harmonic or melodic vocabulary. The texture indicates symbolic process from the confusion to the solution, as the title 'Chaos' is shown. The transformation of the melody from unison to 12 voices drives to its close. This thesis would show not only these changes of chords and melodies but composer's initial intention as well.

      • 환경친화적 복지체제의 탐색 : 복지체제별 환경의식을 중심으로

        정지웅 강남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복지 연구 및 실천에 자연환경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 하에 수행되었다. 환경친화적인 사회복지를 구축하기 위해, 현존하고 있는 복지체제 중 환경친화적인 복지체제는 무엇인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복지체제별로 환경의식은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그러한 차이를 가져오게 된 요인은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지체제별 환경의식이 높은 순서는 ‘사민주의-동아시아-자유주의-조합주의’로 나타났다. 둘째, 사민주의 복지체제는 동아시아 복지체제에 비해 환경의식이 높고, 탈물질주의 또한 높으며, 정치적 이념은 진보적이고, 이타주의도 높은 가운데, 이러한 매개변수들은 환경의식에 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가 갖는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민주의 체제는 인간의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함으로써 탈물질주의 가치관을 높이며, 평등을 중시하는 진보적 정치이념으로 경제지상주의를 극복하게 하고, 중산층 이상의 시민들이 연대의식에 근거한 이타주의의 증진에 기여하여, 궁극적으로 친환경 의식의 형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사회복지는 생태지향주의적 환경담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반생태적이지 않으며, 따라서 그것을 어떻게 활용하여 환경친화적인 이상향을 발전시킬 것인지를 고민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국가복지의 확대는 환경의식의 성장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한국에서 환경친화적 복지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정책의 기본적 방향을 보편적 복지의 확대로 설정하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물론 복지국가 모델은 완벽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생태지향주의 담론의 정신과 가치를 추구하면서, 각 사회의 문화와 역사에 맞게 비판적으로 다른 국가의 경험과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what pro-environmental welfare regime is. To examine such idea,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differences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ccording to welfare regimes, and what the factor are that led to those difference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rder of high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ccording to welfare regime is 'social democracy - East Asia - liberalism - corporatism', second, social democratic welfare regime has higher environmental consciousness, post-materialism, progressive political ideology and altruism in comparison with East Asian welfare regime. And such intermediate variabl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democratic welfare regime enhances post-materialism through protection of basic needs of a human, overcomes economism with progressive political ideology that regards equality as important,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ltruism based on the solidarities of the middle class, which could be ultimately interpreted that these aspects influence pro-environmentalism in social democratic welfare regime. Second, because social welfare dose not have anti-ecological characteristics, concerns about how to develop the pro-environmental utopia by utilizing of social welfare is need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for social welfare policy is that the expansion of state welfare contributes positively to the growth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so to establish pro-environmental welfare regime in South Korea, setting the direc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towards universalism in social welfare policy should be considered.

      • 한국 생태공동체의 복지의식에 관한 연구

        정지웅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태주의 및 공동체주의의 가치가 국가라는 거대조직이 추구하는 가치와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이론적 배경 하에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이론적 논의를 검증하기 위해 국가복지에 대한 친화성을 측정하는 복지의식이 생태주의와 공동체주의에 근거한 생태공동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설문조사를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설문조사는 생태공동체 유형을 정주형(定住形)과 기능형(技能形)으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실증분석의 주요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주의적 강도는 정주형 공동체가, 공동체성 강도는 기능형 공동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주형 공동체의 생태주의적 강도가 높은 이유는 정주형 공동체가 농촌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어, 친환경적인 생활형태를 보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 정주형 공동체가 기능형 공동체에 비해 공동체의식이 낮은 이유는 국내 정주형 생태공동체가 초기 발전단계에 머물러 있어, 모든 공동체 구성원들이 생태공동체의 이상(理想)을 공유하고 있는 것은 아닌 반면에, 기능형 공동체인 생활협동조합이나 지역통화공동체는 구성원들 간에 재화와 용역의 교환이라는 명확한 목적이 정립되어 있기 때문인 듯하다. 둘째, 국가복지에 대한 친화성은 기능형 공동체가 정주형 공동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복지의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치이념으로, 진보적 정치 이념을 가질수록 친복지적임이 나타났으며, 생태공동체 유형이 국가복지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은 적어지거나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결국 국내 정주형 공동체가 기능형 공동체보다 생태공동체의 이상에 보다 근접해 있다거나, 정주형 공동체의 국가복지에 대한 의식이 기능형 공동체보다 부정적이라고 단언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이는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생태공동체의 역사가 짧아 생태공동체로서의 온전한 요건이 충족되지 못한 이유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erform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the idea of ecology and communitarianism is different from that of welfare state. To examine such theoretical discuss, this paper analyzed the state-welfare consciousness of eco-community, based on a survey data which is carried out with the two type of community - 'residencial type communities' and 'functional type communities' -.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ecological intensity, the residencial type is relatively high, because the residencial type communities are located in the rural area of which the life style is eco-friendly. In case of the intensity of community, the functional type communities are relatively high, because in Korea the developmental stage of residencial eco-communities is incipient, therefore all community members do not have a communitarian vision, whereas functional type communities - such as living cooperative, LETS - share their apparent object which is exchange of goods and services. second, the functional type communities are more friendly state-welfare than the residencial type communities, but when the multi regression analysis is carried, the political ideology i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state-welfare consciousness(The respondents in progressive political ideology showed friendly state-welfare), and the influence of type is not(or less) significant. In conclusion, in Korea,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residencial type communities are more closer to ideal type of eco-community, and that functional type communities showed friendly state-welfare consciousness. This kind of results seems to appear because of the shot history of Korean eco-communities, and Korean eco-communities do not meet fully the conditions of ideal eco-communities.

      • 국내 항공기 소음평가기준 변경이 김포국제공항에 미치는 소음 영향 분석과 이·착륙 운항절차 개선방안 연구

        정지웅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Korea, aircraft noise impact compensations and management plans for aircraft noise complaints and households within the airport noise-regulated areas are based on the act of airport noise impact prevention. Under the act, the noise metrics used in assessing noise-regulated areas use WECPNL in current, and noise impact areas above 75 WECPNL are designated to noise-regulated areas. However, as of January 1st, 2023, the noise metrics will be changed from WECPNL to Lden, and the noise-regulated area assessment standard will also be changed to 61 dB(A). Since the WECPNL currently used is calculated based on the maximum noise level, it couldn’t reflect the continuity of noise, so there is a limit to calculating of actual noise Energy. On the other hand, Lden is calculated based on the equivalent noise level that measures the average of the total noise energy, so it could be possible to calculate the actual noise energy.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calculation principles of these two metrics, changes in the noise-regulated area are expected. As the number of households affected by aircraft noise changes when noise-regulated area changes, side effects such as an increase in the cost of aircraft noise impact compensations and managements and an increase in administrative work due to related complaints are expected. In particular, if noise-regulated area at Gimpo International Airport, which needs more attention to noise management due to extensive residential areas around the airport compared to other airports, changes the number of households within the airport noise-regulated areas is also expected to multiply. Therefore, in this study, changes in noise-regulated areas at Gimpo International Airport result from changing of noise metrics were analyzed using the AEDT(Aviation Environmental Design Tool) which is noise impact prediction tool developed by the 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ake-off and landing operational procedures which is dominant causes of aircraft noise were selected as solutions to noise abatement. As for the improvement methods, the most practical noise abatement methods were studied and proposed to the extent that it did not impede operational safety. And also, the effect of noise abatement was quantitatively verified.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noise countermeasure area at Gimpo International Airport increased by about 93%, and most of the increased areas were New Town of Gimpo-si, Guro-gu and Geumcheon-gu, Seoul. To address this problem, the most effective solutions to reduce the number of households within the airport noise-regulated areas are as follows. For RWY 32 Take-Off, 2000ft thrust cutback NADP(Noise Abatement Departure Procedures) 1 procedure was the most effective in reducing the number of households affected by aircraft noise. And for RWY 14 Take-Off, 1500ft thrust cutback NADP 1 was the most effective. For landing procedures, adjusting glide slope angle to 3.2° was analyzed to be the most effective. The results of the daily noise impact forecast at Gimpo International Airport, which applied improved take-off and landing procedures, confirmed that the 61Lden noise area was reduced by -3.1%, and densely populated areas in Gimpo, Gyeonggi-do and Guro-gu, Seoul were excluded from the noise-regulated are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onfirming the increase in noise-regulated areas at Gimpo International Airport results from changing of noise metrics, from WECPNL to Lden, and proposed take-off and landing operations procedures that can be applied to reduce noise-regulated area. However, due to functional limitations of AEDT and the classification limit of flight statistics data, this study was selected four representative types of aircraft which were B737-800, A321-200, A330-300 and B777-200. So, there may be a slight difference in the noise impact forecasted in this study depending on the fleet composition ratio. Furthermore, the latent impact consideration of increasing thrust cutback altitude on engine fatigue and the environmental consideration of differential thrust cutback altitude by runway direction on the pilot's workload management were left as follow-up study tasks.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onduct a follow-up study that supplements the above limitations. And also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reference for studies of other airports. 국내 항공기 소음 민원 및 소음피해 가구에 대한 피해보상과 관리방안은 ‘공항소음 방지 및 소음대책지역 지원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고 있다. 해당 법률의 소음대책 지역 산정에 사용되는 소음평가기준은 현재 WECPNL을 사용하고 있으며, 75WECPNL 이상의 소음피해 지역을 소음대책 지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그러나, 2023년 1월 1일부로 소음평가기준이 Lden으로 변경되며, 소음대책지역 산정기준 또한 61dB(A)로 변경된다. 현재 사용하는 WECPNL은 최고소음도를 기준으로 산정되기에 소음의 지속성을 반영하지 못하여 실질적인 소음물리량 측정이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반면, Lden은 전체 소음물리량의 평균을 측정하는 등가소음도를 기준으로 산정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소음물리량 측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두 평가기준의 평가원리 차이로 인해 소음대책지역의 변화가 예상된다. 소음대책지역이 변화되면 소음피해 가구수 또한 변동되므로, 소음대책사업 비용 증가 및 관련 민원에 의한 행정업무 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공항 주변 주거지역이 타 공항대비 많아 소음관리에 더욱 관심이 필요한 김포국제공항의 소음대책지역이 변화된다면, 소음피해 가구수 또한 변동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소음평가기준 변경에 따른 김포국제공항 인근 소음대책지역의 변화를 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에서 개발한 소음영향도 예측프로그램인 AEDT(Aviation Environmental Design Tool)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소음영향도가 높은 이·착륙 운항절차를 개선하는 것을 선정하였다. 개선방안은 운항안전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질적인 소음감소 방안을 연구·제시하고 소음영향도 감소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김포국제공항의 소음대책지역은 약 93% 증가하고 증가 지역의 대부분이 김포신도시와 서울특별시 구로구, 금천구 일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김포국제공항 이·착륙 운항절차 개선방안은 RWY 32 이륙 시에는 2000ft 추력감소 고도 적용 NADP(Noise Abatement Departure Procedures)1 절차 및 RWY 14 이륙 시에는 1500ft 추력감소 고도 적용 NADP1 절차가 소음피해 가구수 감소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착륙 시에는 ILS 접근각을 3.2°로 상향하는 절차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착륙 운항절차 개선방안을 적용한 김포국제공항의 일일 소음영향도 예측 결과는 61Lden 소음대책지역 면적이 –3.1% 감소하고, 경기도 김포시 및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인구 밀집 거주지역이 소음대책지역에서 제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WECPNL에서 Lden 단위로 변경 시, 김포국제공항 소음대책지역의 증가를 확인하고 소음대책지역 감소를 위해 적용 가능한 이·착륙 운항절차 개선방안을 연구·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AEDT의 기능적 한계와 운항통계 데이터의 기종 분류 한계로 대표 기종 4종을 선정하여 연구하였기 때문에 기단구성 비율에 따라 본 연구에서 예측한 소음도와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개선방안의 NADP1 추력감소고도 상향이 엔진 피로도에 미치는 영향과 활주로 방향 별로 상이한 추력감소고도가 조종사 업무 환경에 미치는 영향 검토는 후속 연구과제로 남겨두었다. 그러므로, 위 한계점을 보완한 후속 연구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가 향후 타 공항의 소음대책지역 변화 분석 및 대책수립에 대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되길 기대한다.

      • 대금산조의 자진모리 리듬고찰 : 한범수류와 서용석류를 중심으로

        정지웅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대금산조의 자진모리 리듬고찰]로 한범수류와 서용석류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같은 계보에서 시작된 두 산조를 분석하기 위해, 첫 번째로 한범수류 대금산조 중 자진모리부분의 리듬구조와 리듬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두 번째로 서용석류 대금산조 중 자진모리부분의 리듬구조와 분할된 리듬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세 번째로 두 류의 대금산조 중 자진모리 부분의 리듬형태를 비교 하여 각각의 대금 산조의 리듬의 특징과 어떤 리듬 유형들로 구성되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로 한범수류 대금산조 자진모리의 리듬구조는 3분박과 2분박으로 구성되어있다. 한범수류 대금산조는 292장단에 33가지 리듬형이 나타나며, 3분박이 28가지로 92%, 2분박이 5가지 리듬형으로 8%로, 3분박이 5:1 비율로 리듬형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3분박 중심의 리듬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범수류 자진모리의 리듬형태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총 4가지 리듬형태로 나타나며, 자진모리의 장단인 3분박 4박자 리듬형태가 91.8%로 출현하고 있고, 2분박 6박자 리듬형태가 2%, 혼합박 리듬형태가 5.6%로 출현한다. 이것은 한범수류 대금산조 자진모리는 장단구조와 동일한 리듬형이 많이 출현하여 리듬변화가 많지 않고, 안정된 리듬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겠다. 두 번째로 서용석류 대금산조 자진모리의 리듬구조는 3분박과 2분박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용석류 대금산조는 154장단에 24가지 리듬형이 나타나며, 3분박이 19가지 리듬형으로 77.4%, 2분박이 5가지 리듬형으로 22.6%로, 3분박이 높은 비율로 출현하여 3분박 중심의 리듬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용석류 자진모리의 리듬형태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총 10가지 리듬형태로 나타나며, 자진모리의 장단인 3분박 4박자 리듬형태가 74%로 출현하고 있고, 2분박 6박자 리듬형태가 6.6%, 혼합박 리듬형태가 19.4%로 출현한다. 서용석류 자진모리는 3분박 4박자 리듬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혼합박 리듬형태에서 8가지의 혼합박 리듬형태가 출현하여, 자진모리의 장단구조와 동일한 리듬형태와 혼합박 리듬형태의 리듬변화가 많아 보다 다양한 리듬형태로 구성되어있다 하겠다. 세 번째로 두 산조의 리듬구조와 리듬형태를 유형별로 고찰하여 보면, 한범수류와 서용석류 모두 3분박이 많이 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범수류에서 3분박은 92%, 서용석류에서 3분박은 77.4%로 출현한다. 두 산조 모두 3분박 중심의 리듬형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장단수로는 한범수류가 2배 정도 많은데 비해 서용석류에서 다양한 리듬형이 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범수류와 서용석류 대금산조 자진모리에서 나타나는 리듬형태를 살펴보면, 한범수류가 4가지 리듬형태, 서용석류가 10가지의 리듬형태들이 나타나고 있다. 한범수류에서는 장단구조와 동일한 3분박 4박자 리듬형태가 91.8%로 나타나면서 리듬변화가 적고 안정된 리듬형태로 구성된 것을 알 수 있고, 서용석류에서는 74%, 나머지 2분박 6박자와 혼합박 리듬형태가 26%로 서용석류에서도 3분박 4박자 리듬형태가 많이 출현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안정된 리듬형태를 보이지만, 혼합박 리듬형태에서 한범수류는 2가지의 혼합박 리듬형태, 서용석류에서는 8가지의 혼합박 리듬형태를 보이면서 더욱 다양한 리듬형태의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두 산조 모두 3분박 리듬형 중심의 리듬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리듬형태에서는 한범수류 대금산조는 리듬변화가 적어 안정된 리듬형태로 이루어 진것을 알 수 있으며, 서용석류 대금산조는 전박적으로 안정된 리듬형태 속에서 여러가지 리듬형태가 출현하면서 다양한 리듬변화를 추구 하였다. 이렇게 같은 계보에서 퍼져 나온 한범수류와 서용석류가 연주자의 창의성과 기량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Rhythm of Jajinmori of Daegumsanjo] mainly focused on the Sanjo of Han, Bum Soo and Seo, Young Seok. To analyze the two kinds of Sanjo which were originally from the same Sanjo; First, the beat structure and the rhythm type of Jajinmori of Han, Bum Soo's Daegumsanjo was studied. Second, the beat structure and the rhythm type of Jajinmori of Seo, Young Seok's Daegumsanjo was studied. Third, character and type of each Daegumsanjo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eat structure of Jajinmori of Han, Bum Soo's Daegumsanjo is consisted of 3 Bun beat and 2 Bun beat. It has thirty three rhythm types in two hundred ninety two rhythms and most of the types are 3 Bun beat (92%) and the rest are 2 Bun beat (8%). The rhythm types of Jajinmori of Han, Bum Soo's Daegumsanjo are four. The most of them (91.8%) is 3 Bun beat and 4 time which is a rhythm of Jajinmori, 2% is 2 Bun beat and 6 time and 5.6% is mixed rhythm type. This shows that the Jajinmori of Han, Bum Soo's Daegumsanjo has the same rhythm types of the original Jajinmori and little variation in the rhythm types, which means it has stable rhythm structure. Second, the beat structure of Jajinmori of Seo, Yong Seok's Daegumsanjo is consisted of 3 Bun beat and 2 Bun beat. It has twenty four rhythm types in one hundred fifty four rhythms and the most of the types are 3 Bun beat (77.4%) and 2 Bun beat (22.6%). The rhythm types of Jajinmori of Seo, Yong Seok's Daegumsanjo are ten. The most of them (74%) is 3 Bun beat and 4 time which is a rhythm of Jajinmori, 6.6% is 2 Bun beat and 6 time and 19.4% is mixed rhythm type. The Jajinmori of Seo, Yong Seok's Daegumsanjo has 8 mixed rhythm types, therefore it has more variation in the rhythm types than the Jajinmori of Han, Bum Soo's Daegumsanjo. Third, when the two types of Jajinmori are compared, although the Jajinmori of Han, Bum Soo's Daegumsanjo has twice more 3 Bun beat than that in the Jajinmori of Seo, Yong Seok's Daegumsanjo the main beat is 3 Bun beat in both of them. When the two types of Jajinmori are compared, Han, Bum Soo's Jajinmori has 4 rhythm types and Seo, Young Seok's Jajinmori has 10 rhythm types. Han, Bum Soo's Jajinmori has 91.8% of 3 Bun beat and 4 time and has more stable rhythm types and less variation than Seo, Young Seok's Jajinmori which has 74% of 3 Bun beat and 4 time. Han, Bum Soo's Jajinmori has 2 mixed rhythm types while Seo, Young Seok's Jajinmori has 8 mixed rhythm types which means it has more variable rhythm types than Han, Bum Soo's Jajinmori. The main beat of the two kinds of Sanjo is 3 Bun beat. Han, Bum Soo's Jajinmori has less variation in rhythms and more stable rhythm types than Seo, Young Seok's Jajinmori which has overall stable rhythm types but more variation in rhythms with 8 mixed rhythm typ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wo kinds of Sanjo have different character and rhythm types according to the musicians' creativity and ability even though they are from the same Sanjo.

      • 전기동력학적 불소오염토양의 정화를 위한 전원형태 및 전극배열 평가

        정지웅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전기동력학적 기술을 이용한 효율적 불소오염토양 정화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1차원 전극배열방식과 2차원 전극배열방식간의 비교를 통한 최적의 전극배열방식 선정, 전파공급방식과 반파공급방식을 이용한 최적의 전원공급방식 선정 그리고 응용실험을 통해 경제성 및 효율을 고려한 최적의 공정을 찾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토양은 불소농도 514mg/kg로 1지역 우려기준인 400mg/kg을 상회하는 오염토양이며, pH 8.43, 공극률 36.43%의 염기성 양질사토이다. 전극배열방식과 전원공급방식을 달리하여 각 실험을 20일의 공정기간 동안 수행하였으며, 공정시간의 경과에 따른 제거효율과 전력소모량 등을 파악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및 샘플링 하였다. 또한 토양 내 불소의 농도변화를 보기 위해 공정시험법, 왕수분해법, 연속추출법을 이용하였으며,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으로 분석하였다. 1차원 전극배열방식은 각 4개의 양극전극과 음극전극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사각형 형태이며, 2차원 전극배열방식의 장치는 음극전극 6개를 육각형모양으로 배치하고 그 가운데에 1개의 양극전극을 배치하는 육각형 형태 그리고 육각형 형태의 전극배열방식에서 음극전극을 3개로 줄여 일정공정기간 경과 후 나머지 3개로 변환하는 삼각형 형태이다. 삼각형 형태는 6일째(6R) 또는 12일째(12R)에 전극의 위치를 변환하여 변환시기에 따른 효율을 비교하였다. 전원공급방식은 각각의 전극배열방식에 전파(FW, full wave) 또는 반파(HW, half wave)를 단일공급하거나 전파와 반파를 일정공정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혼합공급방식을 적용하였다. 총 공정기간 20일 동안 1V/cm에 해당하는 9V의 정전압을 공급하였으며, 일정시간 간격으로 전압, 전류, 전해질의 pH, EC, 수위변화 등을 관찰하였다. 양극과 음극의 전해질은 각각 0.01M, 0.001M의 NaOH용액을 사용하였고, pH를 10 이상으로 유지하여 전기분해에 의해 양극에서 발생하는 수소이온을 중화시켜 주었으며, 토양 내 존재하는 불소의 용출에 용이한 환경을 조성해 주었다. 다양한 측정 및 분석 자료의 해석을 통해 공정의 효율성을 판단하여 각 실험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전극배열에 따른 단일공정 중 이차원 배열방식이 일차원 배열방식에 비해 더 효율적이며, 각 전극배열방식에 반파를 공급하는 것 보다 전파를 공급하는 것이 더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일차원 전극배열방식에 전파를 공급한 경우보다 이차원 전극배열방식에 반파를 공급했을 때의 효율이 낮은 것으로 보아 전극배열방식보다는 전원공급방식이 토양 내 불소제거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라고 판단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속추출법을 통해 전파를 공급할 경우 불소의 이동이 활발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으며, 반파를 공급할 경우 불소의 용출이 활발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전원공급방식에 따른 불소의 거동특성을 이용하여 수행한 전파반파(FH) 또는 반파전파(HF) 공급방식 실험결과 반파전파 공급방식이 더 효율적이었으나, 20일의 짧은 공정기간 동안에는 전파 단일공급방식과 반파전파 혼합공급방식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차원 전극배열방식 중 육각 배열방식이 삼각 배열변환방식에 비해 효율이 약간 좋지만 삼각 배열방식 공정에서 사용된 전극의 개수가 더 적어 운영비를 고려할 경우 더 경제적일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공정기간의 약 1/2 시점에서 전극의 위치를 변환해 줄 경우 모든 영역에 전원공급이 고르게 되어 최종적으로 육각 배열방식과 유사한 활성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공정기간의 약 1/2이 경과한 시점이 최적의 변환시점이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동전기 기술을 이용한 불소오염토양 정화 시 삼각형 변환배열방식에 전파를 공급해주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공정이라 판단하였다.

      • 박재삼 시의 '서정'의 특성 연구

        정지웅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50년대의 전쟁이라는 극한의 체험으로 인한 인식의 단절과 파편화, 1960년대와 70년대의 고도 산업화 과정을 거쳐 80년대의 정치 문화적 억압에 이르기까지, 박재삼이 활발하게 시작 활동을 했던 시기는 이처럼 급격한 사회 변동으로 인한 혼돈의 시기였다. 고도의 산업화는 물신적 세계관의 팽배를 야기하였고 교환가치의 극대화, 인간의 도구화로 이어졌다. 박재삼은 이러한 시기의 대표적 전통서정 시인으로 평가받아 왔는데 여기에는 박재삼 시의 역사성 부재, 현실 도피라는 비판이 수반될 수밖에 없었다. 전언한 바와 같이 그가 활동했던 시기는 사회의 부조리와 모순에 대한 대응으로 인식의 전환과 저항을 통한 변혁이 요구되던 시기였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박재삼이 그의 시에서 끝까지 견지해 온 전통 서정성이, 역사의 대척점에 위치하거나 현실 도피의 방식으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과의 면밀한 상호 관계 속에서 파편화된 현실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비판으로 기능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그의 시에서 ‘서정’이 현실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의미를 포지하고 있는지 살펴봄에 있어서 정명교 교수의 ‘서정’의 개념, 즉 ‘W(-I)’라는 자아와 세계의 관계를 기준으로 삼았다. ‘W(-I)’란 주체와 세계의 불화를 의미하는 도식으로, 주체가 세계 안에 포함되지 않고 따로 놓여 있음, 주체가 세계부정의 방식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먼저 박재삼의 시에서 자아의 반세계성, 즉 ‘반세계적’ - ‘자아’의 관계를 드러내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서정성이 세계와의 근본적인 단절을 통해 성립한다고 할 때 박재삼의 경우 세계와의 단절은 생래적 고향의 부재에서 연원하는 결핍감과 상실의식에 기인하고 있다. 이 보편적 고향의 부재는 일제강점과 그로인한 핍진함과 깊이 관련된 것으로, 주목할 점은 모두 시대성과의 관련에서 현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보편적 고향의 부재는 일제의 탄압과 수탈로 삶의 터전을 떠나 식민지 본국인 일본으로 이주하였지만 거기서도 살지 못하고 다시 돌아온 시인 가족의 이력에서 발생한다. 박재삼은 이러한 여정 중에 일본에서 출생하게 되는데 그의 시에서 등장하고 있는 그리움과 추억의 대상인 고향과, 그의 생래적 고향과의 불일치는 결핍감과 상실의식으로 시인의 내면에 자리하게 된다. 또한 시인 자신의 실제적 고향이 그로부터 보편적인 정서로서의 고향을 앗아간 일본이었다는 점이 시인의 자의식에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그의 시에서 유난히 고향을 그린 작품이 많다는 것은 고향에 대한 내면의식이 그만큼 깊다는 의미일 수 있다. 이러한 보편적 고향의 부재에 연원하는 상실의식이 근본적으로 세계와 자아와의 단절을 상정하게 되는데 이는 고난의 현실 속에 존재하는 여성인물들과 그들의 한의 양태로, 그리고 근대적 페르조나와의 갈등의 양상으로 드러나고 있다. 박재삼의 시에서는 춘향을 화자로 차용(借用)하거나 남평 문씨 부인, 누님, 이모 등과 같은 특정 여성인물이 등장하는 특징을 보이는데 이들은 모두 한의 정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기왕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박재삼 시의 한의 정조와 여성성의 발현을 시인 개인의 기질적 측면, 또는 한국 전통적 정서의 측면에서만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여성적 자아와 남성적 자아의 차이가 현실에 대한 인식과 그에 대한 대응의 차이, 혹은 그 시인이 처하고 있는 시대와 사회적 국면의 차이 등에서 기인할 수 있다고 할 때 본고에서는 박재삼 시의 여성적 정조와 한의 발현을 자아와 세계의 단절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또 다른 한편으로 여성적 정조를 아니마의 발현으로 볼 때 박재삼의 시에서는 아니마의 강조로 내적 자아와 외부세계, 내적 자아와 외부세계에서 요구되는 페르조나와의 갈등이 상정되는 양상을 보인다. 박재삼 시의 자아와 세계와의 관계는 춘향을 소재로 한 서정주 시와 비교했을 때 보다 명징하게 드러낼 수 있었다. 서정주의 시에서는 자아와 세계와의 관계에 영원히 소멸하지 않는 영혼이 매개가 되고 있어 세계와의 단절성이 상정되어 있지 않은 것에 비해 박재삼의 춘향에 관한 시에서는 시적 자아와 세계와의 단절이 이승과 저승 간의 거리, 임의 부재와 죽음에 관련된 한의 정서로 발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박재삼 시에서 여성성의 강조는 근대사회에서의 자아의 분열, 내적 자아와 외적 자아의 거리화라는 자기 동일성의 파괴를 내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의 시에서 내적 자아와 근대적 사회에서 요구하는 페르조나와의 갈등은 합리적 규율과 자본주의적 경제라는 두 층위의 근대성과의 관계에서 드러난다. 합리적 규율과 규범이라는 근대성의 층위에서 시적 자아는 페르조나와의 갈등을 상정하며 인간 본연의 정서인 사랑과 근원적인 것에 대한 동경을 드러낸다. 또 한편, 자본주의적 근대라는 측면에서 시적 자아는, 존재론적 영역이라 할 수 있는 자연과 인간까지도 교환가치로 환원되는 외부세계에 동화되지 못하며 자아와 외부세계를 매개하여줄 근대적 페르조나를 구축하지 못하는 양상을 보인다. 또한, 현실적 가난으로 인한 상실의식은 자아의 차원에서 공동체적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때 공동체적 상실의식은 시에서 권력의 핵심에 대한 원망, 비판과 함께 발현된다. 세계와의 근본적인 단절을 통해 성립하는 서정성은 결국 세계 안에 서정적 자아가 놓일 자리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때 서정적 주체는 자아의 실존 근거를 마련해야 하는데 표면적으로 드러난 현실은 서정적 자아와 ‘관계’할 수 없으므로 자아는 ‘다른 현실’을 발견해야 한다. 박재삼이 발견한 이 ‘다른 현실’은 바로 ‘근원’이다. 그의 시에서 ‘근원’의 시공간은 설화적 세계로 등장하기도 하고 원초적 유대가 존재하는 ‘물’의 공간과 ‘고향’으로 표상되기도 한다. 설화적 세계는 자연 순환적 시간의식과 관계된 것으로 자연의 순환론적 질서와 이러한 순환이 단절되지 않고 끊임없이 반복되어 오고 있는 무변적, 무시간적 순환의 양상으로 드러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우주적 질서 내에서 인간의 삶과 죽음과 같은 존재론적 순환으로, 합리적 이성과 상응되는 감성과 가상의 세계인 설화적 세계로의 회귀 내지 재현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근대적 시간의식이 선조적, 미래지향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면 박재삼 시의 자연 순환적 시간의식은 과거 지향적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과거는 정체라는 의미영역에서의 과거가 아니라 순환적 세계에 의한 과거라는 점과, 현실의 분절적 시간의식에 대한 대안적 측면에서의 과거지향이라는 점에서 미래를 담보하고 있는 과거, 보편적 근원이라 할 수 있다. 또 한편 근원적 공간은 물의 공간과 고향의 공간으로 대표되는데 물의 공간은 존재의 탄생과 소멸이 이루어지는 곳, 죽음과 삶이 동일화되는 곳, 근대의 과학으로 설명되지 않는 시작과 끝이 공존하는 공간, 시작과 끝이 분리되지 않은 공간이다. 고향은 또 다른 시적 자아의 근원적 공간으로, 자연과 인간이 유기적으로 통합된 시적 공간이며 근대 이성과 합리성에 의해 지배받기 이전의 유년의 공간이기도 하다. 근대의 과학으로 증명할 수 없는 근원적 공간에 대한 동경과 태초의 공간으로의 회귀는 파편화된 현실 세계에 대한 저항이라 할 수 있으며, 잃어버린 것을 찾아 그와 동일화되려는 시인의 인식은 현실의 억압과 불안을 해방시키고자 하는 강한 의지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박재삼의 시에서 ‘근원’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거나 개발과는 무관한 것으로 간주된 현실’인 ‘자연’으로 드러난다. 근대 이후 자연은 인간에서 멀어졌고, 문명이 발달할수록 그와 비례하여 문명의 기술적 지배에 의해 자연과 인간의 관계는 파편화되어 갔다. 박재삼 시의 자연에 대한 지향성은 이러한 문명의 폭력에 대한 위기의식에서 발로된 것으로 자연과의 동일화에 대한 염원은 대상을 객체화하는 근대인의 합리적인 행동방식과는 상충되는 원리인 것이다. 현실이 타락하고 불모지일수록 서정적 주체는 더욱더 강한 유토피아 지향성을 갖게 되는데 박재삼의 시에서도 자아와 세계를 빠른 속도로 분열시키고 해체시키는 근대 모순에 대한 응전으로, 원초적 유대가 존재하는 근원에 대한 염원을 드러내고 있다. 지금까지 자아와 세계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재삼 시의 ‘서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그간 현실과 동떨어진, 현실 도피적 차원에서만 파악되었던 박재삼 시의 서정성이 오히려 철저히 현실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표출되는 시의식이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소외와 상실, 단절을 배태하고 있는 근대의 자아와 세계와의 관계에서, 끊임없이 동일성을 회복하려는 한 지평에 박재삼의 시가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 GAPD based PET을 위한 고밀도 위치판별회로 개발

        정지웅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Use of channel reduction techniques that reduce the number of signals transmitted to a data acquisition (DAQ) module can lead to more efficient use of the DAQ module for PET with numerous readout chann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igh-density position decoder circuit (PDC), which can identify the interacted channel with a coincidence event among numerous outputs transferred from several PET detectors and then output a channel address and analog pulse corresponding to the valid channel. A PDC that reduced the number of readout channels by a factor of 256 designed two-stage (eight 32:1 PDCs, and one 8:1 PDC) and fabricated. Each detector block was composed of 4 × 4 matrix of detector module, each of which consisted of a LYSO scintillator coupled to a 4 × 4 array GAPD. The scintillator was composed of a 4 × 4 array of 3 mm × 3 mm × 20 mm crystals which were mechanically polished on all sides. Two PET detector blocks were constr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PDC. Channel address and analog pulse output signals were generated after 34 ns and 98 ns compared with input signal, respectively. Averaged relative photopeak positions and the ratio of highest and lowest photopeak positions were improved 23% and 67% using the gain correction implemented in the PDC, respectively. Energy resolutions were 18.5% and 17.5% in the PET detector with and without PDC, respectively. Timing resolutions were 2.9 ns and 2.8 ns with and without PDC, respectively. Hot-rod and 3D Hoffman brain phantom image were successfully acquired using full PET system with the developed PDC. This result demonstrated that the PDC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easible to provide high-quality PET image. 수많은 판독 채널을 가진 PET에서 전송되는 신호 수를 감소하는 채널감소기술은 데이터 획득모듈을 좀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몇몇 PET 검출기들로부터 전송된 수많은 출력 중에서 coincidence event를 획득한 채널을 확인하고 그 때 해당채널의 아날로그신호와 디지털주소를 출력할 수 있는 고밀도 위치판별회로를 개발 하는 것이다. 총 256개 채널에서 한 개의 유효한 채널을 식별할 수 있는 위치판별회로는 두 단계 (8개의 32:1 위치판별회로, 1개의 8:1 위치판별회로)로 설계하였고 제작하였다. 각 검출기 블록은 검출기 모듈을 4 × 4 행렬로 구성하였고, 검출기 모듈은 LYSO 섬광결정과 4 × 4 배열의 GAPD와 결합하여 총 256개의 출력신호를 갖도록 구성하였다. LYSO 섬광결정은 사방이 윤이 나는 3 mm × 3 mm × 20 mm 픽셀이 4 × 4 배열로 구성되어있다. 개발한 위치판별회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두 개의 PET 검출기 블록을 구성하였다. 출력신호의 디지털주소와 아날로그신호는 입력신호와 비교했을 때 각각 34 ns 와 98 ns 에 발생되었다. 위치판별회로에 구현된 이득조정회로를 적용했을 때 photopeak 위치의 평균과 최고 및 최저의 비율은 각각 23%와 67%만큼 개선되었다. 측정된 에너지와 시간 분해능은 각각 위치판별회로를 적용 시 18.5%/2.9 ns 이고 위치판별회로를 적용 하지 않을 때는 17.5%/2.8 ns로 측정되었다. Hot-rod 와 3D Hoffman 뇌 모형 영상은 개발된 위치판별회로로 전체 PET 시스템을 구성하여 성공적으로 획득되었다.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위치판별회로가 고품질 PET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실현 가능성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