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만금 방조제 외해역의 저서생물 군집 변화

        정지연,권효근,장정렬,최강원,Jung, Ji-Yeon,Kwon, Hyo-Keun,Jang, Jeong-Ryeol,Choi, Kang-Won 한국관개배수위원회 2010 한국관개배수논문집 Vol.17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ing of benthic macrobenthos community in Saemangeum subtidal area. The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is important to assume the benthic environment in study area. Macrobenthic community was investigated three times in 2007 (March, June and September) in the Saemangeum subtidal area. The mean density of macrobenthos was $345{\sim}838ind./m^2$ and the most dominant taxa was benthic polychaete. Opportunistic species such as E.cordatum, T.fragilis, H.filiformis, and Tharyx sp. were shown high appearance rate in study area. The dominance of these opportunistic species suggest that the benthic environment of study area was unstable due to environmental disturbance. But, there are only few point that these species were recorded high densities, and also equilibrium species was dominant, too. It means disturbance and un stability of benthic environment in Seamangeum was not serious yet. so the dynamics and trends of these opportunistic species should be concerned.

      • KCI등재

        가시오가피와 두충 추출 혼합물 첨가에 의한 생면의 저장성 및 품질 증진 효과

        정지연(Ji-Yeon Jung),송유진(Eu-Jin Song),이소영(So-Young Lee),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이소정(So-Jeong Lee),윤소영(So-Young Yoon),이청조(Chung-Jo Lee),박나비(Na-Bi Park),곽지희(Ji-Hee Kwak),이호동(Ho-Dong Lee),최호덕(Ho-Duk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6

        1.5% 농도의 가시오가피와 두충 추출 혼합물 첨가가 생면의 저장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가시오가피와 두충 추출 혼합물을 첨가한 생면을 4℃에서 21일간 저장하며 일반 세균수와 곰팡이수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서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미생물의 생육이 억제되었다. 산화도의 경우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낮은 값을 보여 추출물에 의해 생면의 산화가 지연됨을 알 수 있었다. pH의 변화에 있어서는 저장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실험구간의 pH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수분함량은 9일까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5일과 21일에는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다소 높은 수분함량을 보였다. 색도의 경우에는 처리구의 명도와 황색도가 무처리구보다 다소 낮은 값을 나타냈다. 물성에서는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처리구와 무처리구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에서 맛은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낮은 기호도를 보였지만,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처리구와 무처리구가 유사한 기호도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시오가피와 두충 추출 혼합물을 1.5% 첨가할 경우 생면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저장성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helf-lif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et noodle added with the Acanthopanax senticosus and Eucommia ulmoides extract (AEE). The wet noodle with AEE reduced total microbial counts and TBARS value compared with the control during storage at 4℃ for 21 days. Moisture content of the wet noodle with AEE and control was not different during the early storage period, but after 9 days of storage, that of the control was decreased about 7%, while that of the noodle with AEE was decreased slightly. Lightness of the wet noodle with AEE showed low value in uncooked and cooked noodles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decreased during storage. The pH and texture of the wet noodle with AEE and control did not change during storage at 4℃ for 21 days. In sensory evaluation, texture, soup smell and springiness of the wet noodle with AEE were preferred than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EE can keep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increase the shelf-life in the wet noodle.

      • KCI등재

        논문(論文) : 나주 및 남원지역 협저불상의 제작기법에 관한 고찰

        정지연 ( Ji Yeon Jeong ) 대구사학회 2014 대구사학 Vol.114 No.-

        This thesis examines features of production technique shown in six Dried-lacquer Buddha statues produced in the 14th-16th century, which have been inherited from Namwon and Naju province in Jeolla-do. The common features are found in the findings: ① that the complete from was made in the clay forming stage to apply the lacquer with baste fiber fabric; ② for a sedentary statue, not the dried-lacquer layer of trunk but the only head part is incised to eliminate soil and ash tree of the prototype; ③ the head-incised part is not stitched but boned with a glue; ④ the similarities include that the interior of the statue being vacant because the clay and the wood core were not replaced after being removed from the prototype; ⑤ that the modeling stage was omitted; ⑥ the hand is mode of wood; ⑦ bead is added to the black pupil of the eye. The features above, revealed through the thesis, are not only those of production technique shown in the current Korean Dried-lacquer Buddha statue, but also dissimilarities from those of the existing Japanese Datsukatsu Dried-lacquer Buddha statues production technique, which have been knows as established theory. This result is thought to mean that inheritances of the Dried-lacquer Buddha statue or acceptances of production techniques were implemented at different times in Korea and Japan, and suggest a possibility that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materials used in it might have been adapted and changed along with historical trend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Research Institute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 namas3@hanmail.net)

      • KCI등재

        라이프로깅(Life-Logging) 시대의 자아 변화에 관한 소고

        정지연(Jeong Ji Yeon),김문조(Kim Mun Cho)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2

        이 연구는 개인과 사회의 접점에 놓여있는 자아에 대한 라이프로깅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 배경과 논문 내용을 소개하는 서론에 이어 (1) 라이프로깅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파장을 웨어러블 기술과 사물인터넷을 중심으로 개관하고, (2) 라이프로깅으로 인한 자아의 변화상을 다양한 각도에서 진단한 후, (3) 그로부터 라이프로깅 시대의 자아에 관한 총체적 동향과 특성을 추론하고, (4) 라이프로깅의 확산으로 변모하는 자아로부터 예상되는 문제점과 대응책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라이프로깅 시대의 자아는 다양한 수치로 정량화되고, 모든 일상이 상세히 기록되며, 많은 사람이나 사물들과 접속되고, 투명성을 더해가는 데이터 환경에서 감시받으며, 흘러넘치는 정보로 과잉 상태를 견지하며, 끊임없이 견주어 평가되면서, 연결 상태에서 고립되어가는 정량적・기록적・연결적・감시적・초과적・평가적・격리적 속성을 띠어간다. 일차적으로 이격화(離隔化) 및 외연화(外延化)라는 양대 논제, 최종적으로는 외부화(外部化)라는 단일 테제로 축약할 수 있는 자아의 성격 변화를 외재화-객관화-내면화라는 변증법적 순환과정을 거쳐 생활세계가 구성된다는 P. 버거와 T. 루크만의 사회구성론적 도식에 의거해 총괄적으로 규정한다면, 라이프로깅 시대의 자아는 ‘객체화(客體化)’ 되어간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다음 세 가지 문제가 심각한 도전과제로 대두할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는 주체적 자아가 객체화의 힘을 감내해내지 못해 개인 주체성이 소실되는 인간성 상실 문제요, 둘째는 신체적 행위가 기술과 접합되어 기능으로 변모하면서 외적 자극이나 신호에 기계적으로 반응하게 되는 물상화 문제이며, 셋째는 투명성을 강조하는 후기-프라이버시(post-privacy) 단계에서 파생하는 새로운 형태의 사생활 침해 문제이다.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은 라이프로깅이라는 블랙박스의 외곽에서 맴도는 방관적 자세를 지양해 기술에 대한 존재론적 우위를 확보하는데 진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nging nature of self caused by the diffusion of electronic life-logging and explore the socio-cultural issues rising from the very process. Self in the life-logging are characterized as being quantified, recorded, connected, monitored, oversaturated, evaluated and segregated. In light of the dialectical model concerning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ality suggested by Peter Berger and Thomas Luckmann, those characteristics would be generalized into the theme of objectification. Given the considerations, three issues will be identified as serious social problems; loss of individual subjectivity, reification of human body and privacy invasion in a high transparency society. In order to cope with such problematics, we need to actively step into black-box and try to capture the ontological initiative that enable us to manage the growing social-cultural impact of life-logging.

      • KCI등재

        과학사를 활용한 자유탐구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가설설정 및 변인통제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지연(Ji Yeon Jeong),노석구(Suk Goo N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의 사고과정이 드러나는 과학사를 활용하여 자유탐구를 지도하여 초등학생의 가설설정 및 변인통제 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D초등학교 5학년 학생 5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게는 과학사를 활용한 자유탐구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은 교과서와 지도서대로 일반 자유탐구 교수·학습을 적용한 뒤 두 집단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과학사를 활용한 자유탐구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TSPS검사에서 실험집단의 가설설정 능력 향상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 <.05). 이것은 프로그램에서 과학자의 탐구 과정을 이야기로 들려주어 간접경험을 하게하여 가설설정 능력이 개념적 탐구로 향상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유탐구 보고서에서 나타난 탐구 주제와 탐구 순서를 심층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탐구 주제에서 가설설정과정이 더 분명하게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통해 과학사를 활용한 자유탐구 프로그램 적용이 가설설정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재확인 하였다. 또한 TSPS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변인통제 능력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유탐구 보고서의 탐구 순서에서 나타난 변인통제 과정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더 잘 나타나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과학사를 활용한 자유탐구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통합 탐구 능력 중 가설설정 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이며 변인통제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에게도 적절한 자유탐구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적용한다면 통합 탐구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whether variable controlling abilities and hypothesis generat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be developed by open inquiry education program that uses science history. The program that uses science history was applied to experimental group which consisted of 26 students in fifth grade in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while conventional open inquiry program in textbook was applied to 26 students in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open inquiry education program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the hypothesis generating abilities in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p <.05) by using TSPS. The program helped students in understanding how scientists used their sience integrated process skills and performed experiments. This indirect experience through story about science had the hypothesis generating abilities develop into a conceptual investigation. Second, the process that establishes hypotheses was better organized in open inquiry report by experimental group than that by control group. This outcome proved again open inquiry education program can enhance student s hypothesis generating abilities. Meanwhile, in TSPS examination, experimental group s variable controlling abilities were not improved. However, in open inquiry report, experimental group showed better process that controls variables than did control group. In conclusion, open inquiry education program that was conducted in this study not only was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student s hypothesis generating abilities bu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variable controlling abilities. Therefore, sience integrated process skil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be improved if a relevant open inquiry education program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m.

      • KCI등재

        『논어(論語)』의 신(信)에 대한 연구 - 주희(朱熹)와 진순(陳淳)의 관점을 중심으로

        정지연 ( Jeong Ji-yeon ) 우리한문학회 2017 漢文學報 Vol.36 No.-

        본고는 주자학파를 대표하는 朱熹와 陳淳을 중심으로 『論語』의 信 개념을 고찰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였다. 주희와 진순은 信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이해하였다. 인간의 性이 仁義禮智信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때, 仁義禮智信(五常)의 하나로서의 信이 첫 번째 류의 信이다. 이 信을 ‘五常의 信’이라 할 수 있는데, ‘五常의 信’은 仁義禮智 따위를 실제로 존재하게 하는 ‘실제적인 이치’를 뜻한다. 두 번째 류의 信은 ‘五常의 信’이 인간의 말이나 행동을 통해 겉으로 드러났을 때의 信으로서, 이 경우의 信을 ‘忠信의 信’이라 할 수 있다. 주자학파는 ‘五常의 信’을 ‘忠信의 信’으로 발현시키는 것을 중시한다. 즉, 내면의 실제적 이치(‘五常의 信’)를 근본으로 하여 외부의 믿음직한 언행(‘忠信의 信’)을 수행할 것을 중시한 것으로, 주자학파는 1차적으로 내면의 실제적 이치가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 과정에서 忠은 體가 되고, 信(忠信의 信)은 用이 됨으로써, 忠과 信은 매우 밀접한 개념이 된다. 단, 주희와 진순이 信에 관한 이해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진순은 信을 ‘말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忠과 信을 분리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 것이다. 『논어』 경문에 대한 주석을 보면, 주희는 ‘忠信’을 함께 묶어 설명하는 반면에 진순은 忠과 信을 분리하여 설명하는 방식을 택한다. 진순의 이러한 해석은 주자학파 사이에서 독특한 것으로, 忠과 信을 비교적 분명하게 분리하는 경향이 있는 조선의 실학파나 일본의 고학파와 오히려 유사하기에 주목되는 부분이다. 주희와 진순 등을 포함한 주자학파의 信에 대한 이해는 조선과 일본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선 전기 주자학파 중 林泳, 權得己, 李震相 등은 주희와 마찬가지로 忠과 信을 體用관계로 여겨 ‘忠信’을 하나로 간주한다. 반면, 조선 후기 실학파에게서는 忠과 信이 비교적 분리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고, 忠과 信이 남과의 관계 속에서 정의됨으로써, 주자학에서의 ‘忠信’에 대한 체용관계적 이해가 와해되기 시작한다. 일본 고학파 오규 소라 이에 이르면, 忠과 信은 완전하게 분리되어 忠과 信이 각각 공자 문하의 독립된 과목으로 이해된다. 특히 일본 고학파의 이러한 관점은 진순의 『北溪字義』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 실학파나 일본 고학파의 信에 대한 관점이, 주자학을 회의하는 과정에서 독자적으로 정립된 것인지, 혹은 중국 등 어딘가에서 영향을 받은 것인지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논어』의 信을, 인간 내면의 실제적 이치까지 담지한 개념으로 파악할 것인가, 아니면 말에 대한 실천성을 일컫는 개념, 즉 언행일치적 개념으로 파악할 것인가의 문제도 정리될 필요가 있다. 두 갈래 입장 중 어느 입장을 택하는가에 따라 『논어』의 信에 대한 독해법이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Xin (信, faithfulness) in the Analects, focusing on the views of Zhu Xi (朱熹, 1130-1200) and Chen Chun (陳淳, 1483-1544). The notion was divided by them into two categories: faithfulness as part of five constant virtues (wuchang 五常) and faithfulness as the outer manifestation of words or behavior. While the former refers to the ‘substantial principle’ that makes humanity (ren 仁), righteousness (yi 義), propriety (li 禮), and wisdom (zhi 智) as basic human virtues manifest, the latter means the manifestation of the former in words or behavior as in case of loyalty and faithfulness (zhongxin 忠信). Chu Xi and his followers emphasized the transformation of the former into the latter. In this context, loyalty was viewed as essence (ti 體) and faithfulness as its function (yung 用). However, according to their commentaries to the Analects, Zhu Xi and Chen Chun were different in their understanding of faithfulness. While Zhu Xi explained it combining loyalty and faithfulness, Chen Chun defined it as materializing one’s words into action, leaving room for the separation of the two concepts, which is special in the School of Zhu Xi. Their ideas had influenced scholars of Joseon (朝鮮) Korea (1392-1910) and Edo (江戶) Japan (1603-1868). Confucian scholars of Korea in the early Joseon period, including Yim Yeong (林泳, 1649-1696), Gwon Deukki (權得己, 1570-1622), and Yi Jinsang (李震相, 1818-1886), viewed loyalty as essence and faithfulness as its function, considering loyalty and faithfulness as one, following Zhu Xi’s idea. In contrast, Korean scholars of Silhak (實學 Practical Learning) in late Joseon and Literati-Physicians [古學派] in Edo Japan separated loyalty and faithfulness, criticizing Zhu Xi’s idea and supporting Chen Chun’s. Following issues remain for further research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aithfulness in the Analects: whether was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developed independently against Zhu Xi’s idea or was it a result of external influence?; and does the notion of faithfulness embrace internal sincerity or does it need to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coincidence of word and action?

      • KCI등재

        몰입형 가상현실 영어 회화 학습이 언어불안감과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정지연(Ji-Yeon Jeong),정혜선(Heisawn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을 사용한 영어 회화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몰입형 가상현실과 모바일 기기 조건에서 비교하였다. 학습자는 가상 캐릭터와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회화 패턴을 9 개의 에피소드에 걸쳐 학습하였다. 학습을 시작하기 전(사전)과 모든 학습을 마친 뒤(사후)의 언어불안감을 비교한 결과, 언어불안감은 몰입형 가상현실과 모바일 조건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특히 몰입형 가상현실 조건에서 언어불안감이 더욱 크게 감소하였다. 학습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해 각 에피소드에서 회화 패턴을 학습하기 이전의 반응(1단계)과 가상 캐릭터와의 회화 학습이 일어난 후의 문장(4단계)을 문장 길이, 적절성 및 정확성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조건 모두 1단계보다 4단계에서 문장 길이, 적절성, 정확성이 향상되었다. 그 중 문장 길이는 몰입형 가상현실 조건에서 더욱 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몰입형 가상현실이 학습자가 영어 회화 학습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언어불안감 감소 및 회화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developed an English conversation learning program using virtual reality(VR) and mobile devices. Participants learned and practiced English conversational patterns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and mobile conditions. In the program, participants learned and practiced nine conversational patterns with virtual characters in four steps. Language anxiety and conversational fluency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Language anxiet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language anxiety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learning in both conditions, and the reduction waa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immersive condition. Conversational fluency was assessed based on the changes in the length, appropriateness, and accuracy of the responses before and after participants learned and practiced conversational episod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ngth, appropriateness, and accuracy of the responses were improved in both conditions after learning. The response length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immersive VR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mersive VR can be an effective tool to enhance English conversational abilities.

      • KCI등재

        Distribution of Aquaporins (Water Channels) in the Rat Salivary Glands

        정지연(Ji-Yeon Jung),한창룡(Chang-Ryoung Han),정연진(Yeon-Jin Jeong),오원만(Won-Mann Oh),김미원(Mi-Won Kim1),김선헌(Sun-Hun Kim),김옥준(Ok-Joon Kim),김현진(Huyn-Jin Kim),고정태(Jeong-Tae Koh),최홍란(Hong-Ran Choi),김원재(Won-Jae Kim)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3

        침샘은 하루 1.5 l의 침을 분비하며, 일반적으로 침샘에서 수분이동은 능동적 염분 이동에 따른 삼투현상에 의해 일어난다. 따라서 침샘에서 높은 수분투과성으로 인해 수분통로 단백인 aquaporin (AQP)들이 풍부하게 존재할 수 있다. 지금까지침샘에 4가지 형태의 AQP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침샘에서 정확한 위치와 수분 이동에 대한 각 AQP들의 역할은 아직 확실치 않다. 본 연구는 300 g 정도의 흰쥐를 pentobarbital sodium (50 mg/kg, IP) 마취하에서 carbarchol (10 μg/kg)을 복강 내 투여한 후 AQP들의 역할과 분포를 면역조직화학방법으로 조사하였다. AQP1은 침샘의 미세혈관의 내피세포와 샘세포와 샘관 주위에 존재하는 근육상피세포에 존재하였다. AQP4는 침샘관의 마지막 부위인 배출관에 존재하였다. AQP5는 주로 장액세포의 바닥가쪽과 세포사이 분비소관을 포함한 세포꼭대기쪽막 에 존재하였으며 콜린성 분비 자극으로 세포꼭대기쪽막으로 이동되어 밀집되었다. AQP5는 모든 침샘의 사이관과 줄무늬 관에도 존재하였으며 점액세포는 약하게 존재하였다. AQP8은 AQP5처럼 장액세포의 바닥쪽막과 세포사이 분비소관을 포함한 세포꼭대기쪽막에 존재하였으며 콜린성 침분비 자극으로 세포꼭대기쪽막쪽으로 이동되어 밀집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AQP5와 AQP8이 장액세포에서 일차 침 형성시 일어나는 수분이동의 주된 통로임을 시사하였다. The salivary glands produce 1.5 l of fluid per day. As in other organs, the general paradigm in the salivary glands is that water movement occurs secondary to osmotic driving forces created by active salt transport. Therefore, high water permeability in salivary glands is expected to need a variety of aquaporin (AQP), a water channel. Although four AQPs have been known to reside in salivary glands, the precise location and roles of AQPs have been not well examined.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AQPs in 3 major salivary glands and their changes after cholinergic stimulation using immunohistochemical study in Sprague Dawley rats weighing 300 g under pentobarbital sodium anesthesia. AQP1 was localized in the endothelial cells of all salivary capillary vessels and the myoepithelial cells. AQP4 was demonstrated in the epithelium of the excretory ductal cells of all salivary glands. AQP5 and 8 were abundantly present in the basolateral membrane and apical membranes of the serous acini including intercellular secretory canaliculi, whereas AQP5 was weakly present in mucous acini. In addition, AQP5 was found in the epithelium of the intercalated and striated ducts. Upon stimulation of carbachol (10 μg/kg, I.P). AQP5 and 8 tended to translocate from basolateral membrane to the apical membrane, appearing as clusters of do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QP5 and 8 are the candidate molecules responsible for the water movement in salivary acinar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