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택시운송사업면허 양도시 瑕疵承繼의 可否와 信賴保護 등

        정준현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11 행정판례연구 Vol.16 No.2

        The Value of an owner-driver taxi may keep grow up under the government’s policy to restraint the number of an owner-driver taxi. As a result, many drivers belong to the transport, want to be a self-employed operations, demand constantly to keep in place the proper transferring owner-driver Taxi License market principle and the current laws provide the authorization to meet that. According to the provision, the transferring authorization between transferer and grantee will be given after the competent agency's inquiring and confirming whether there is revocation of their drive license or the ground for revoking their drive license. So, the followings may be suggested in regard to transferring the owner-driver Taxi License, which belongs to a hybrid license composed of personal and material requirements. 1. A grantee do succeed the transferer’s legal status only belong to material grounds as an general successor. But even if the revokable grounds for the license against an transferer belong to personal nature responsibility such as a drunken drive, they can be succeeded to a grantee so far as there are legal clear provisions related to that. 2. Once the competent agency authorize the transfer through his inquiring and confirming if their drive license is revoked or the grounds for revoking their drive license exist, then a grantee put confidence in agency's act that transferer's drive license is not revoked and the grounds for revoking his drive license do not exist too. 3. It can be said that a need for the public interest to keep public order in transportation by an owner-driver taxi is satisfied through the revocation of drive license of a transferer. So, if the power of revocation is exercised over the owner-driver Taxi License for the grantee, it can be estimated as the abuse of discretionary power against his confidence in the inquiring and confirming of the agency and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proportion. 개인택시운송사업제도는 타인에게 고용된 운전자에게 있어서는 안정된 자기사업을 위한 발판으로서 그 가치의 오르내림은 있었지만 여전히 높은 가격에 양도․양수되고 있다. 특히, 개인택시의 증차억제정책을 취하고 있는 상황하에서 그 재산적 가치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고 회사택시 운전자 등 개인택시운송사업을 할 수 있는 인적 요건을 갖춘 자로서는 양도․양수를 통한 물적 요건의 취득을 통해 개인택시운송사업자의 지위를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현행 법령도 이러한 개인택시의 양도․양수행위가 자격이 있는 자간에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관할 행정청으로 하여금 전자정부법상의 행정정보공동이용제를 기반으로 하여 쌍방당사자에게 운전면허취소 내지 운전면허취소의 사유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조회를 거쳐 양도․양수를 인가하게 하고 있다. 혼합허가인 개인택시운송사업면허의 양도․양수에 있어서 양수인이 양도인의 지위를 포괄적으로 승계한다고 하더라도 상태책임과는 달리 일신전속적인 경찰행위책임은 법률이 명시적으로 규정하지 아니하는 한 양수인이 그 지위를 승계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과 경찰상 행위책임으로서 양도인에게 취소사유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인가청의 조회․확인을 거쳐 인가가 행하여지게 되는 결과 인가가 있게 되면 양수인으로서는 양도인에게 취소사유가 존재하지 아니한다는 공적 견해표명이 있은 것으로 받아들이게 된다는 점과 개인택시 운송사업의 질서를 확립하여야 할 공익상의 필요는 양도인에 대한 운전면허취소로서 그 목적을 달성하였다고 할 것이고 더 나아가 양수인의 신뢰가 형성된 이 건 인가를 취소하여 양수인에 대한 개인택시운송사업자의 지위를 박탈하는 것은 헌법상 보장된 비례원칙에도 반한다고 할 것이다는 점 등을 종합할 때 법원이 다음과 같이 판단하였으면 보다 타당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즉, 앞의 대법원의 판단 중 “①”에 있어서는 “양도․양수 당시에는 양도인에 대한 운송사업면허 취소사유가 현실적으로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도 그 원인되는 사실이 이미 존재하였다면, 관할관청으로서는 그 후 발생한 운송사업면허 취소사유에 기하여 양수인의 사업면허를 취소할 수 있는 것이다”는 “양도․양수 당시에 양도인에게 존재하지만 현실화되지 아니한 운전면허취소사유는 일신전속적인 행위책임으로서 승계의 대상이 아니라 인가청에 의한 조화․확인의 대상으로서 인가거부의 사유에 해당할 뿐 이를 이유로 양수인에 대한 사업면허를 취소할 수는 없다”로 그리고 ③에 있어서는 “관할관청이 개인택시 운송사업의 양도․양수 인가를 한 후 그 이전에 있었던 양도인의 음주운전 사실로 운전면허가 취소되자, 양도인의 운전면허 취소가 운송사업면허의 취소사유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양수인의 운송사업면허를 취소하는 처분을 한 사안에서, 개인택시 운송사업자의 면허를 박탈함으로써 개인택시 운송사업의 질서를 확립하여야 할 공익상의 필요가 위 처분으로 양수인이 입게 될 불이익에 비해 가볍다고 볼 수 없어 관계 법령의 기준에 따른 위 처분에 재량을 일탈․남용한 위법이 없다”는 “양도인에 대한 운전면허의 취소사유는 인가거부의 사유가 될 뿐이며, 양도인과 양수인이 통정하여 양도․양수하였다는 사정이 존재하지 아니하는 한, 인가청의 인 ...

      • KCI우수등재

        현행 과태료제도와 「질서위반행위규제법」의 개선방안

        정준현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5

        From a deductive point o view, the following facts can be accepted. First, the court in the guardianship or supervisory position should be involved in a non-litigation case because the administrative agency responsible for law enforcement is not separately premised on the order penalty for violation of civil and litigation laws, which is the start of the fine system. Second, with respect to administrative punishment, the court in the position of the imposition authority had no choice but to be the subject. However, regardless of the deductive background, it is today's fact that the determination of facts by state agencies and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on the confirmed facts, which are not punishments under the Criminal Act, are dispositions that are subject to administrative litigation,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It is a legal achievement. Especially,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 case of the imposition of a fine for negligence for violations of administrative laws, which presupposes the administrative agency responsible for the enforcement of laws by withholding judicial control by the court. For this reason,「Act on The Regulation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as the general law on the imposition of a fine for negligence, ignores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of the imposition, and waiting for an objection of the party to the imposition by the administrative agency, taking such final legislative form as “whether a fine for negligence can be imposed and whether the imposition is justified=the competent court under the Non-Contentious Case Procedure Act” is nothing more than an obsession with the past, and it cannot be said to be a legal system that is consistent with the general public appraisal of the law and the reality of the imposition of fines. In order to rectify this contradiction, legislative reform should be made with the premise that the imposition of a fine for negligence by the administrative agency is an administrative disposition. 과태료제도의 출발이라고 할 민사 및 소송법상의 질서위반행위를 이유로 하는 질서벌에 대하여는 법집행을 책임지는 별도의 행정기관이 전제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후견적 내지 감독적 지위에 있는 법원이 비송사건의 형태로, 그리고 행정형벌에 대하여는 부과권자의 지위에 있는 법원이 각각 부과의 주체가 될 수밖에 없었다는 연혁적 배경은 인정된다. 그러나, 그 연혁적 배경이 어떠하든지 국가기관에 의한 사실의 확정과 확정된 사실에 대해 권한 행정청이 행한 관련 법령의 해석·적용으로서 과태료의 부과는 ’비송의 사건‘이 아니라 행정소송의 대상인 처분으로 된다는 것이 오늘날의 법리적 성과이자 국민이 갖는 법적 상식이다. 특히. 법원에 의한 사법적 통제를 유보로 행정법령위반에 대한 법령집행인 책임행정청에 의한 과태료부과처분의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과태료부과에 관한 일반법인 「질서위반행위규제법」이 과태료처분의 처분성을 외면한 채 행정청이 행한 과태료에 대한 이의제기를 기다려 “과태료 부과여부 및 그 당부 =「비송사건절차법」에 의한 관할법원”이라는 종국적인 입법형식을 취한 것은 과거 집착에 불과한 것으로 국민의 법적 상식이나 과태료부과의 실질에 합치되는 법제라고 할 수 없다. 이러한 모순을 바로 잡기 위해서는 행정청에 의한 과태료부과를 행정처분으로 전제하는 내용으로 법제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미국 지방자치제와 현행 지방분권 논의의 문제점

        정준현 미국헌법학회 2019 美國憲法硏究 Vol.30 No.2

        While the current government is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e amendment of Constitution with the level of decentralization equal to that of the federal system, some argue that decentralization should be perceived as a decentralization of sovereignty and that legislative and judicial powers should be given to local governments. These arguments can lead to the division of the state far from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as grassroots democracy. This excessive argument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United States legislation defines a local governmental entity as a “local governments”. However, the US local government is not a state authority to the federal government but a decentralization of executive power, not a decentralization of sovereignty between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within the state constitution and laws. In contrast to the claims of domestic scholars asserting decentralization based on federalism, local governmental Entity in the United States with the name of ‘local government’ under the state's statutes do not have legislative, administrative, and jurisdictionary powers, such as federal or state governments. In this respect, the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is to be found in the promotion of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issue of the village unit, not in the strengthening of the authority of the municipalities. The answer to this problem should be found in the legal guarantee of autonomous administration based on the basic local government. Thus, decentralization for local autonomy is not related to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but to the revision of the “Local Autonomy Law”. If an institution that can represent all the residents in North Korea has decided to peacefully unify with the Republic of Korea and publicly publicize it internally and externally as in the case of German reunification, then we need to discuss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at the federal level.   Even if the federal system is to be implemented for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mentioned above, the period of federalism should be limited to the transition period in which the people with different ideals are integrated into one government. In short, the focus of decentralization aimed at the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is gathered in legislative improvement measures to discover new administrative affairs that local residents can autonomously deal with and how to guarantee the autonomous disposition rights of residents It is not in the discussion to expand or strengthen the power of the local government as it is based on the state. In short, the focus of discussion on decentralization aiming at the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should be placed on the followed; How to find a new administrative affairs that local residents can autonomously deal with and how to guarantee the autonomous disposition rights of the residents. Thus, the claim that state authority should be given to local governments should be withdrawn immediately, which could lead to divisions of sovereignty. 현 정부가 들어서면서 연방제에 준하는 수준의 지방분권을 내용으로 하는 개헌논의가 진행되는 중에 일부에서는 ‘행정권’의 분권이 아닌 ‘주권’의 분권으로 보이는 지방정부차원의 입법권(과세권 포함)과 사법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는 등 풀뿌리 민주주의로서의 지방자치의 구현과는 거리가 먼 국론분열의 심각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과도한 주장은 미국법령이 지방자치단체를 “지방정부”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을 배경으로 한 것으로 보인다. 단언하건대, 미국의 지방자치는 연방정부에 대한 주정부의 권한문제가 아니라 주헌법과 주법률 내에서 주정부와 자치단체간에 이루어지는 ‘주권의 분권’이 아닌 ‘행정권의 분권’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연방제에 준하는 지방분권을 주장하는 국내학자의 주장과 달리 미국의 주법(州法)상 지방정부의 명칭을 갖는 지방자치단체는 주권 또는 준주권의 주체인 연방정부나 주정부와 같은 입법・행정・사법권을 보유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점에서, 지방자치의 발전은 광역적인 문제가 아닌 지역적 현안에 대한 지역유권자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해소로서 현행법상의 기초지방자치단체를 기본단위로 하는 행정의 자율집행 차원에서 지방분권이 논의되어야 할 뿐 헌법개정 차원의 지방분권은 아닌 것으로 새겨야 한다. 우리에게 연방제 수준의 개헌논의가 필요하다면, 동독이 그러하였던 바와 같이 북한 내 모든 주민의 의사를 대표할 수 있는 기관이 전 주민을 위해 대한민국과의 평화적 통일을 의결하고 이를 대내외적으로 공론화한 때이다. 언급한 바와 같이 통일을 위한 연방제가 실시되어야 한다고 하더라도, 이념을 달리하였던 민족이 하나의 정부로 통합되기 위한 과도기에 그쳐야 한다. 요컨대, 지방자치의 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지방분권에 관한 논의의 초점은 지역주민이 자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행정사무를 발견하고 그 사무에 대해 주민의 자율처리권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 하는 입법개선방안에 두어야 하고, 지방자치단체에 대해 주에 준하는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은 주권의 분열을 야기할 수 있는 것으로 즉각 철회되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行政法上 脫規制와 腐敗防止에 관한 硏究

        정준현 한국공법학회 1998 공법연구 Vol.26 No.3

        政府規制가 있는 곳에는 규제공무원을 포함한 정치권과 재벌간의 밀월관계가 형성되어 부정부패가 발생하게 되고 경제의 흐름은 경제논리가 아닌 정치논리에 좌우되어 예측성있는 경제활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정부의 규제와 간섭이 많은 사회에서는 정치적 영향력을 동원하여 경쟁을 제한하고 독점적 이익을 밀실에서 나누어 먹게 되는 '렌트추구 (Rent-Seeking)사회'가 형성되는 반면, 시장원리에 의한 건전한 국가경제와 소비자의 권익은 상실되는 것이다. 이러한 밀실의 울타리를 헐어 행정의 투명성을 담보함으로써 시장의 자유로운 경쟁을 통한 부의 조화로운 분배를 꾀하고 부패방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탈규제화정책'내지'시장원리에 의한 완전경쟁정책'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하에서는 탈규제를 중심으로 한 부패방지의 문제를 주요 각국의 예와 현행법상의 규제수단의 정당성 여부를 통하여 검토하기로 한다.

      • 전통마을 주거환경 및 주거공간의 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정준현,백영흠 대구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1999 科學技術硏究 Vol.5 No.5

        This study aims primarily that the chara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traditional village, and the regional type of the traditional residence(Min Ga) is surveyed and analyzed to be objected on the Mun-Keyng, Bugok Ma-ul. By The first visit for the site on July, 1997 to be established the surveying plan, the main surveying is duing 20∼25 on August,1997, and the additional surveying is duing during May and June, 1998.

      • 個人情報保護와 情報通信網利用促進에 관한 法律의 問題點 檢討

        정준현 선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2000 사회과학논집 Vol.3 No.-

        문제는 개인정보소유자는 일반적으로 자기에 관한 정보를 人格的 要素로 파악하게 되나, 민간부문의 정보서비스사업자는 개인정보를 財産的 要素로 인식하게 된다는 차이점에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인이 갖고 있는 자기 정보에 대한 가치를 훨씬 넘어서는 활용가치를 알고 이를 상업화하려는 정보사업자로부터, 때로는 정책적으로 이용하려는 국가기관으로부터 On-line상에서 인격권으로서 개인의 정보자기결정권을 여하히 보호할 것인가에 문제의 핵심이 놓이게 된다^4). 이것은 헌법 제10조에 의하면, 국민의 인격권으로서 정보의 자기결정권을 확인하고 보장해야 할 국가의 책무에 다름 아닌 것이다^5). 따라서, 현재 논의 중에 있는 정보통신망이용촉진등에관한법률개정(안)에 있어서도 정보통신망의 이용촉진을 위한 法制改善 못지 않게 그에 상응하는 개인의 情報自已決定權에 대한 배려 또한 무시되어서는 아니된다^6). 이하에서는 국가가 보호해야 할 인격권으로서의 개인의 정보자기결정귄과 관련하여 현행 안의 문제점을 검토해보기로 한다.

      • KCI등재

        아파트 주거환경의 감성적 반응과 주거만족도의 상관성 연구

        정준현,이윤정 한국주거학회 2004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ffective responses and residents' satisfaction in apartment housing estat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identify the effect of physical contents of apartment buildings on the affective response and satisfaction of residents. The area for evaluation was limited to four apartment buildings in Daegu, and the subjects for evaluation were also limited to a group of residents living at the four apartment building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elements of each apartment and the affective factors was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most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is result also suggests that the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elements may vary depending on the affective attitude. SPSSWIN, a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