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1년 개정 상법이 배당 실무에 미친 영향

        정준혁 한국상사법학회 2018 商事法硏究 Vol.37 No.2

        2011년 개정 상법을 통해 이익배당과 관련하여 새로운 제도들이 대폭 도입되었다. 이 글은 개정 상법 시행 이후 새로운 제도들이 실무에서 얼마나 활용되고 있는지 및 당초 입법 목적을 잘 달성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실제 운영 상 발견된 해석론 상의 문제점도 함께 살펴보았다. ① 상법 개정 전에는 기업회계기준과 다른 상법의 회계처리 기준에 따라 재무제표를 별도로 작성해야 했고 이를 토대로 배당가능이익을 계산하여야 했다. 2011년 개정 상법은 이러한 별도의 회계처리 기준을 대부분 삭제하였고, 따라서 이제는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된 재무상태표를 토대로 배당가능이익을 계산하면 된다. 그 대신 상법은 배당가능이익을 계산할 때 미실현이익을 공제하게 하는 등 배당가능이익 계산 방법을 변경하였는데, 실무에서는 여전히 배당가능이익을 별도로 계산하기보다는 재무상태표 상의 미처분이익잉여금을 배당가능이익으로 보고 배당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미처분이익잉여금은 배당가능이익보다 클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관행을 따르는 경우 위법배당에 해당할 수 있다. ② 개정 상법은 정관에 정한 경우 이사회가 이익배당에 대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활용하면 주주가 주주제안을 통해 새로운 배당안을 제안하는 것을 봉쇄할 수 있다. 상법 시행 이후 상당수의 회사에서 이 제도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③ 현물 배당과 관련하여서는 지급하는 현물을 얼마로 평가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지급하는 현물을 과소평가하는 경우에는 배당액이 배당가능이익을 초과하여 위법배당에 해당할 수 있고, 그 결과 채권자에 손해를 입힐 수 있다. 가분성이 적은 현물의 경우에는 일정 지분율 이상 보유하는 주주들만이 현물을 지급 받을 수 있고 그렇지 않은 주주들은 현금을 지급 받게 된다. 이 경우에도 현물을 과소평가하는 경우 소액주주들이 손해를 입을 수 있다. 이러한 평가의 어려움과 주주간에 현물과 현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현물 배당은 회사가 보유하는 다른 회사 주식을 배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실무에서 아주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④ 개정 상법에서는 자본금의 150%를 초과하는 준비금을 배당가능이익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과도하게 적립된 준비금을 배당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실제로 여러 회사들이 이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무상으로는 직전 사업연도 말 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준비금의 자본금 150% 초과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는지 아니면 준비금 감소 시점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하는지가 명확하지 않다. 아울러 준비금 감소 이후 증가된 배당가능이익을 활용하여 즉시 배당을 할 수 있는지 아니면 그 다음 해 정기주주총회에서 재무제표 승인이 이루어진 이후에야 배당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해석상의 논란이 있다. 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추가적인 개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Amended Korean Commercial Code which took effect in 2012 has adopted various new mechanisms with regards to corporate distributions. This article explores the impacts of the new legislations on Korean corporations and reviews a number of issues and controversies that have arisen in implementing the newly adopted distribution system. ① Before the new legislation, the Korean Commercial Code required corporations to prepare additional financial statements based on its unique accounting provisions that were different from applicable accounting principles such as GAAP or IFRS. Such financial statements were required to be used in calculating distributable profit. Now that such independent accounting provisions are abolished, corporations are required to prepare only one kind of financial statements based on applicable accounting principles and use it in the calculation of distributable profit. However, the Korean Commercial Code also changed the calculation formula of distributable profit in order to prohibit distribution of unrealized income to shareholders. In practice, despite such change, many Korean companies deem the ‘unappropriated retained earnings’ account in the balance sheet as distributable profit, without independently calculating distributable profit based on the new law. Such practice may lead to excessive dividends as unappropriated retained earnings are likely to be overestimated compared to distributable profit. ② Under the new act, the board of directors is entitled to decide corporate distributions without the shareholders meeting’s approval. Many companies now decide their dividend amount by a resolution of the board. This new system may prevent shareholders from making their own proposal on corporate distributions at the shareholders meeting as shareholders’ approval is no longer required. ③ In-kind distribution is now allowed, but the evaluation of distributed assets is an important issue since under-evaluation may disadvantage creditors or minority shareholders. Although the new act allows companies to distribute assets only to shareholders exceeding a certain threshold if other shareholders are paid with equivalent cash per share, in-kind distribution does not seem to be widely used due to the difficulties of evaluation and risks of challenges by minority shareholders who are not provided with such assets. ④ Since the enforcement of the new act, mandatory corporate reserve exceeding 150% of the capital amount may be converted into distributable profit. In practice there are controversies and uncertainties on the timing of calculation of the excess capital and whether distribution of profit is permissible immediately after such conversion under the amended Commercial Code.

      • KCI등재

        일감몰아주기 법제에 대한 입법 평가

        정준혁 한국경제법학회 2020 경제법연구 Vol.19 No.3

        일감몰아주기란 지배주주가 지배하는 회사들이 지배주주나 그 가족이 대부분의 지분을보유하는 회사에 일감을 몰아주고 이를 통해 지배주주나 그 가족이 경제적 이익을 얻는 일련의 거래를 일컫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배주주 자녀들이 일감몰아주기를 통해 부를 단기간 내에 증식시켜 경영권 승계에 필요한 자금이나 지분을 확보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글로비스 사건을 계기로, 정치권과 시민단체 등에서는 새로운 형태의 사익편취 행위인일감몰아주기를 규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기존 법제 하에서는 일감몰아주기 거래를 적절하게 규율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 하에 2010년대 들어 상법 상 회사기회 유용 금지 규정, 공정거래법 상 사익편취 금지 규정, 상증세법 상 일감몰아주기 및 떼어주기에 대한의제증여 규정이 도입되었다. 그런데 일감몰아주기라는 하나의 행위에 대해 입법 목적이 서로 다른 상법, 공정거래법, 세법 등 여러 법률들이 중첩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① 어느 한 법률을 집행하는 과정에서 다른 법률의 입법 목적이 침해되고(법률 간 충돌), ② 각 법령이 요구하는 요건의 차이로 인하여 수범자가 법령을 준수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거나(규정 간 충돌), ③ 규제 범위와 집행력 차이로 인한 과잉규제 및 과소규제 문제(규제 차익)가 발생한다. 기업들은 일감몰아주기규제를 피하기 위하여 개인주주의 지분율을 낮추거나 내부거래가 적은 다른 계열회사와의합병이나 영업양수를 통해 수혜법인의 특수관계법인에 대한 매출액 비중을 낮추는 등의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는데, 이는 자칫 또 다른 사익편취의 가능성을 불러일으킨다. 향후 새로운 형태의 사익편취 행위가 등장할 때마다 일감몰아주기 법제와 같이 새로운 규제를 만들지에 대해서도 고민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이러한 개별적 통제 방식보다는, 법원이 상법 상 이사 및 업무집행지시자의 충실의무나 선관주의의무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해석을 함으로써 법률에 구체적으로 규정되지 않은 각종 사익추구 행위에 대해서도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하도록 하고, 주주대표소송이 활성화될 수 있는 제도 설계를 설계함으로써 상법의 억지력을 강화하는 포괄적인 접근 방식이 바람직하다. In Korea, controlling families of corporate groups have abused intra-group transactions to extract wealth from group companies, by having affiliate companies transact with their privately owned companies. Various regulations under Korean corporate law, anti-trust law and tax law are designed to scrutinize and deter such transactions. This paper argues that while such redundant and complicated regulations may discourage private benefit extractions, they may also cause unintentional adverse effects upon minority shareholders who are already hurt by such transactions. Korean anti-trust law imposes penalties on companies that enter large scale transactions with companies privately owned by controlling families. While such schemes may have ex ante deterrence effects, they undermine minority shareholders of those companies as they are damaged not only by the private benefit extractions but also by the penalty levied on the company. Valuation standards used by the tax authorities in transfer pricing cases and those used by the courts in breach of fiduciary duty cases sometimes differentiate, causing irreconcilable situations. As certain anti-trust law regulations are triggered when the controlling family’s shareholding amounts to 30 percent, some shareholders limit their holding to 29.9 percent to avoid regulation while still securing control. Such divergence of control rights and cash flow rights aggravates agency problems as discussed in corporate law. This paper argues that instead of addressing this issue by accumulating multiple regulations, Korean courts should actively recognize personal liabilities of controlling shareholders and board members in breach of fiduciary duty cases. Providing adequate incentives for derivative suits is essential for efficient control of private benefit extractions.

      • KCI등재

        의무공개매수 제도의 기능과 도입 가능성에 대한 검토

        정준혁 한국증권법학회 2019 증권법연구 Vol.20 No.2

        Most takeovers in Korea are structured as control transactions where the controlling shareholder sells its controlling stake to a third party at a premium through a private arrangement. Minority shareholders are neither offered the premium nor invited to sell their shares to the acquirer. Minority shareholders’ share value is heavily affected by the management and monitoring capabilities of the controlling shareholder and its exploitation of private benefits of control. Given the impact on minority shareholders that are triggered by the change of the controller, major jurisdictions regulate control transactions within the boundary of corporate law. In the US, while a controlling shareholder may freely dispose its controlling block stake at a premium, it remains liable if the stakes are sold to a looter. In the UK and EU, the acquirer of control is required to make a general offer to other shareholders at the same price per share that was offered in acquiring the controlling stakes, entitling minority shareholders an exit right at a premium. In Korea, however, corporate law does not provide any such protection devices. The mandatory takeover bid rule, first adopted in the UK in 1974 is now accepted by most major jurisdictions except for the US and Korea. The mandatory takeover bid rule discourages value decreasing inefficient transactions and prevents distorted choices by shareholders by relieving pressure to tender. By contrast, it may over-protect minority shareholders, discourage certain value-increasing efficient transactions and have negative impacts on the activity of control transactions as the amount of total purchase price necessary to acquire control of a company increases. Such disadvantages of the mandatory takeover bid rule are aggravated in concentrated ownerships. I suggest that minority shareholders shall be provided with an opportunity to sell their shares to the acquirer at market value. Unlike in the UK and EU style mandatory takeover bid rule, the acquirer shall not be required to pay a control premium to the minority shareholders who tendered their shares. The new proposal efficiently eliminates inefficient transactions without hindering value-increasing efficient transactions and provides minority shareholders with an exit right to sell their shares at market value, in case it is considered that acquirer may decrease the value of non-controlling shares. 우리나라 M&A 거래의 대부분은 지배주주가 자신이 보유하는 지배지분을 매각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지배주주는 경영권 프리미엄을 받고 시가보다 높은 가격에 지배지분을 매각할 수 있지만, 소액주주들은 보유 주식을 함께 매각할 기회를 갖지 못하고 회사에 잔존하게 된다. 소액주주의 주식가치는 지배주주 및 지배주주가 선임한 경영진이 어떻게 회사를 운영하는지, 지배주주가 회사로부터 사적 이익을 얼마나 편취하는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M&A 거래로 지배주주가 교체되면 회사에 잔존하는 소액주주는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에 따라 각국의 회사법은 소액주주 보호를 위해 경영권 거래에 개입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지배주주가 자유롭게 지배지분을 제3자에게 매각할 수 있게 하되, 회사를 약탈할 의도를 가지는 자(looters)에게 매각할 경우 지배주주가 책임을 지도록 한다. 영국과 EU에서는 새로운 지배주주가 되는 인수인이 소액주주에게 지배주주와 동일한 가격에 지분을 매각할 기회를 제안하게 하는 이른바 의무공개매수 제도(mandatory takeover bid rule)를 통해 소액주주를 보호한다. 반면 우리나라는 미국이나 영국 및 EU와 달리 아무런 보호수단도 제공하고 있지 않다. M&A 거래 수단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배지분 매각 방식에 대해 회사법이 아무런 보호수단도 제공하지 않고 있는 셈이다. 의무공개매수 제도는 우리나라와 미국을 제외한 거의 모든 주요 국가들에서 채택하고 있다. 대상회사에 지배주주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의무공개매수 제도는 (1) 소액주주들에게 매각기회를 부여하고(exit right), (2) 지배주주가 누리는 경영권 프리미엄을 소액주주도 누릴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의무공개매수 제도는 가치감소형 거래를 저지하고, 주주들의 매각압박을 해소하며, 소액주주를 충분히 보호하지만, 지배주주가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가치증가형 거래를 일부 좌절시키고, 소액주주를 과잉보호하며, 인수인의 인수대금을 증가시킴으로써 M&A 거래의 성사를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점은 의무공개매수 제도 하에서 인수인이 경영권 프리미엄을 소액주주에게도 지급해야 한다는 것에서 대부분 기인한다. 이 글에서는 대안으로, 지배지분 주식양수도를 통해 지배주주가 변경되면 소액주주들이 새로운 지배주주에게 시장가격에 보유 주식을 매각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잔존 소액주주들에게 인수인이 시장가격에 소액주주의 주식을 매수할 것을 청구하는 권리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이를 매수청구권(sell-out right) 제도라 부른다. 매수청구권 제도는 앞서 살펴 본 의무공개매수 제도의 장점을 대부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가치증가형 거래를 적게 저지하고 소액주주를 적절한 수준에서 보호하여 의무공개매수 제도의 단점을 최소화한다. 현행 제도와 비교하더라도 약탈자(looters)가 회사를 인수하는 것이나, 경영능력이 부족한 새로운 지배주주의 등장으로 인하여 소액주주가 불측의 손해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KCI등재

        Fe-Si-Al-Graphite 분말 혼합체의 압축 특성 연구

        정준혁,최진일,Jeong, Jun Hyeok,Choi, Jinnil 한국분말야금학회 2020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7 No.4

        In this paper, a durability study is presented to enhanc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an Fe-Si-Al powder-based magnetic core, through the addition of graphite. The compressive properties of Fe-Si-Al-graphite powder mixtures are explored using discrete element method (DEM), and a powder compaction experiment is performed under identical condition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DEM analysis. Important parameters for powder compaction of Fe-Si-Al-graphite powder mixtures are identified. The compressibility of the powders is observed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graphite mixture increases and as the size of the graphite powders decreases. In addition, the compaction properties of the Fe-Si-Al-graphite powder mixtures are further explored by analyzing the transmissibility of stress between the top and bottom punches as well as the distribution of the compressive force. The application of graphite powders is confirmed to result in improved stress transmission and compressive force distribution, by 24% and 51%, respectively.

      • KCI등재

        이산요소법을 이용한 Graphite 분말 압축 특성 연구

        정준혁,최진일 한국분말야금학회 2021 한국분말재료학회지 (KPMI) Vol.28 No.1

        Accurate and effective powder compaction analyses are performed for brittle materials such as graphite, utilized as a solid lubricant, by using the discrete element method (DEM). The reliability of the DEM analysis is confirm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graphite powder compaction analyses using the DEM particle bonding contact model and particle non-bonding contact model with those from the powder compaction experim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the parameters influencing the compaction properties of the metal-graphite mixtures are explored. The compressibility increases as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graphite powder increases, where the shape of the graphite particles is uniform. The improved compaction characteristics of the metal-graphite (bonding model) mixtures are further verified by the stress transmission and compressive force distribution between the top and bottom punches. It i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graphite (bonding model) powders resulted in improved stress transmission and compressive force distribution of 24% and 85%,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