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VR 미디어 획득 기술 및 서비스 동향

        정준영,박영수,윤국진,윤정일,정원식,서정일,Jeong, J.,Park, Y.,Yun, K.,Yun, J.,Cheong, W.,Seo, J.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8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3 No.2

        Immersive media, which maximizes the viewer's sense of presence and immersion, has been developed in the form of 3D stereoscopic media and UHD media. Going one step further, VR media, which can provide immersive experiences within an artificially created environment, have recently been considered a type of next-generation media. Within this trend, numerous IT and broadcasting companies around the world are actively investing their time and resources to boost the emerging VR industry.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representative VR media acquisition and broadcasting service technologies that are leading the current VR industry.

      • KCI등재
      • KCI등재

        철학원전 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현대 - 개화기부터 1953년 이전까지 ; 근대 한국 사회에서 서양 중세 철학의 수용과 번역의 문제: 개화기부터 1953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정준영 ( Jeong Jun Yeong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시대와 철학 Vol.14 No.2

        서양 중세 철학은 주제의 성격상 종교적 관심사 속에서 근대 한국에 유입되었으며, 종파별로도 다른 경향을 보인다. 가톨릭은 주로 프랑스인과의 접촉을 통해, 개신교는 대개 미국인과의 접촉을 통해 기독교와 서양 중세 철학을 받아들였다. 그런데 번역의 상황은 서양 철학의 다른 분야에 비하더라도 아주 열악한 것이 사실 이다. 1953년까지는 라틴어 원전 번역은커녕 아우구스티누스의 Confessiones에 대한 중역본 1종만이 있을 뿐이고, 게다가 중세 철학과 관련된 문헌도 드문 편이다. 개신교 쪽의 잡지들에 실린 글들은 일반적인 소갯글에 지나지 않으며, 가톨릭 계통의 잡지 가운데는 덕원신학교의 교지 ≪신우≫가 스콜라 철학을 다루는 몇 편의 중요한 글을 남기고 있다. 번역본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번역어를 추적하기는 쉽지 않은데, 그 중에서 1891년 파리외방전교회가 발간한 ≪羅鮮小辭典≫과 1936년 윤을수 신부가 편찬한 ≪羅鮮字典≫을 보면 흥미로운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전자는 한자 표기를 전혀 하고 있지 않으며 순한글의 표현을 주로 사용하는 데 반해, 후자는 한자어에 대해서는 모두 한문 표기를 하고 있고 순한글 표기가 가능한 낱말에 대해서까지도 한자어를 선호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한자어는 거의 모두가 당시의 일본 문화권의 용어 사용법과 일치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한국이 일제에 편입되면서 주체적 번역의 가능성이 소실되고 말았다는 추정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원전 번역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 그리고 일제의 영향권에 귀속되어 있었다는 것은 서양 중세 철학에 대한 수용 과정이 순탄치 못했음을 보여주는데, 내부적으로는 성경무오설과 같은 개신교의 보수주의적 신학과 가톨릭 쪽의 교제주의(敎制主 義)가 번역에 대한 관심을 약화시켰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리고 서양 철학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주된 역할을 한 당시의 한국 철학도들은 서양 중세 철학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태도를 견지했고, 이 때문에 중세 철학에 대한 번역의 동기가 학계에 자리 잡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translational history of the western medieval philosophy in modern Korea; this paper`s arguments are the followings. 1) The western medieval philosophy was introduced into modern Korean because of their religious concern. The Korean Catholics took in it mainly through French missionaries, while the Korean Protestants through American missionaries. 2) From the enlightened age to 1953 there is no translation of original texts. In 1953, only one book was retranslated from English by JungJune-Kim, of Augustinus` Confessiones. 3) We can rarely find professional articles, if any. Among them Shin-Woo(Deokwon theological seminary`s school magazine) is drawn attention to us. It included in some articles which discussed medieval Scholasticism. 4) Then in relation to translated terms, two Latin-Korean dictionaries is worth noticing: the one is Parvum Vocabularium Latino-Coreanum (Honkong,1891), the other Dictionarium Latino-Coreanum(authored by P. Laurentio Yun,1936). The one inclined to attempt to translate Latin`s terms into pure Korean language(Hangu˘l), while the other having borrowed from modern Japanese translation-languages applied it to Hangu˘l. Perhaps this negative tendency was caused by Japanese imperialist oppression of modern Korea. 5) Therefore, Why was there no translation of original texts in modern Korea may be that modern Korean independent criticism-culture has checked by Japanese imperialism.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modern Korean Christianity`s extreme radicalism and conservatism have weakened sensitivity of translation. Finally, The academic world of those days had no interest in the western medieval philosophy. Due to these, no translation of original Latin-texts carried out in modern Korea.

      • KCI등재

        박태원의 내면에 담긴 주체성

        정준영(Jeong, Jun Young) 구보학회 2008 구보학보 Vol.3 No.-

        1930년 한국 근대문학기의 소설가 박태원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계속되어져 왔다. 왜냐하면 그는 한국전쟁이 발발되기 전에는 남한에서 획기적인 모더니즘의 소설을 발표하여 주목받았고, 한국전쟁 당시 월북하여 북한에서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소설들을 써서 그곳에서도 큰 주목을 받았기 때문이다. 그의 정체성에 관한 문제는 여전히 논의할 가치가 있다. 그의 소설을 시대적 혼란상에 휩쓸린 비주체적인 것인가 혹은 시대의 혼란상을 직시하고 탄력적으로 살아남아 자신의 작품을 계속적으로 이어나간 것인가는 그와 그의 작품을 해석하는 시각의 차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의 급변하는 시대에 우리나라는 사회 전반적으로 자체의 발전원리를 가질 수 없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그가 외부로부터 수용한 것이 문제해결로서의 모색과 실천이었고 작품의 경향이 바뀌더라도 개인의 내면에 지닌 고유한 성품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생각해보는 것은 중요하다. 즉, 본고는 지금껏 다소 간과되었던 박태원 고유의 주체적 내면성은 무엇이었는지를 이해하는 입장의 글이다. 작가의 고유한 내면성은 외부의 세력에 완전히 침범당하지 못한 주체성의 핵심이다. 그의 소설에 나타난 모더니즘의 수용적 측면은 단순 적용이나 변용이 아닌 작가의 고심으로 생산된 것이다. 예를 들어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의 컴마문장이나 방란장 주인의 한문장 소설은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시도이다. 중요한 것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난 ‘불안’의 성격적 규명에 있다. 일반적으로 구보는 무능력하고 무기력한 존재로 부유하는 모습으로 읽혀질 수 있지만 구보가 느끼는 불안은 물론 병증은 아니고 피동형 인간이 느끼는 불안도 아니다. 그것은 주체를 가진 인텔리의 ‘자기 소외적 불안’이라는 것이다. 또한 그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소설 조국의 깃발은 이념의 문제가 핵심이 아니라 그 근본은 어디까지나 인간에 대한 연민의 정에 있다. 수필은 그의 감성이 매우 섬세하고 여린 것을 보여준다. 인간에 대한 연민과 동정의 시선이 그의 작품 전반에 내재되어 작가의 동일한 내면을 비추고 있다는 점을 기억하는 일은 중요하다. 연민의 정이란 사랑보다 좀 더 복합적인 정한인데 힘겨운 생을 살아가는 인간들에 대한 애처로운 마음이 연민의 정이라고 할 때, 이것은 측은지심과 통한다. 박태원의 작품에서 동일하게 보여지는 작가의 내면적 성품을 이해하는 것이 그의 작품의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하나의 해석적 틀이 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Period of 1930 korea literature a short story writer and novelist, park- tae weoun has been the subject to controversy and has been discussed about his identity. Because he was published under South Korea novel of modernism, 「One day, novelist gubo’s 」etc. and he received attention. Also he crossing over into North Korea, he received attention novel of socialism. Identity of him a short stories and novels is still a matter of debate. It is A or B; He is nothing but an opportunist or He was established his subjecthood is according to the critic’s point of view. But that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Korean War, that was a chaotic age in the history of Korea. Give your careful consideration for Korean society was not independence. And Park-tae weoun make a constant effort. It is important that internality is not change.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his characteristic internality and identity that has been passed over. Because a internality is core of identity that is not violated the outside world in the end. The modernistic method of His short stories and novels are producted by writer’s pains, not simply trying imitation others. In example, sentence of comma 「One day, novelist gubo’s」, only one sentence end 「The honor of Bangnangang」are the first trying. Point is that lighting on the meaning of ‘anxiety’ in 「One day, novelist gubo’s. Generally, Gubo is the person, he is an incompetence and a person of inertia. But he is an intellectual that experience self-alienation. Also 「A flag of mother country」that classified short story of socialism is based on charity forward human not an idea. Essay he write, we feel his emotion is very delicate and soft. It is important that the think of charity for human generalize his every works and have common think. Charity for human is emotion of pathetic for people of poverty same the word compassion. This study presentation that taking his works one frame by the same emotion in his internality.

      • KCI등재

        순수위빠사나의 정학실천 비교연구

        정준영(Jeong, Jun-You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3

        오늘날 진행하는 대부분의 위빠사나는 순수위빠사나 수행이다. 본고는 최근 국내에서 가장 많이 진행하고 있는 마하시와 쉐우민의 순수위빠사나 수행법을 정학(定學)의 범주로 구분하여 비교한다. 이들은 194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사이 미얀마에서 만들어진 위빠사나 수행법이다. 초기경전을 기준으로 정학을 실천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수행법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마하시 위빠사나의 노력은 열심히 인내하고 정진하는 것이다. 하지만 쉐우민 위빠사나의 노력은 긴장 없는 편안한 마음을 강조한다. 이들은 힘을 주는 노력과 힘을 빼는 노력으로 구분된다. 둘째, 마하시의 사띠는 신수관과 수수관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수행자는 사띠를 감각이라는 대상에 밀착하고자 노력했다. 쉐우민의 사띠는 심수관과 법수관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수행자는 마음이라는 다양한 대상에 거리를 두어 알아차리는 방법을 사용한다. 사띠는 밀착과 거리두기를 통해 감각과 마음이라는 서로 다른 대상에 적용된다. 셋째, 마하시는 찰나집중을 활용하여 오장애를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위빠사나 선정도 발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쉐우민의 집중은 본래의 의미를 벗어나 이완이나 안정된 상태를 의미한다. 그밖에도 수행의 발전과정이나 목표에 있어서도 이들의 차이점은 분명하다. 순수위빠사나라는 동일한 이름이 수행의 방법까지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마하시는 『위숫디막가』를 기준으로 상좌부불교의 수행전통을 고수하고자 노력한다. 분리와 분석이라는 전통적 사고를 활용하여 몸과 마음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상대적으로 후대에 개발된 쉐우민은 마하시의 어려움을 보완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위빠사나를 다루는 수행전통의 흐름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해석과 실천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비교를 통해 수행법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가능해지길 기대한다. 동시에 오랜 경험으로 축적된 전통적 수행법이 새로운 해석에 희석될까 염려된다. Contemporary Vipassanā meditation is mostly performed in the style labeled ‘dry-visioned’ or ‘suddha-vipassanā’. This study compares the two different suddha-vipassanā techniques of Mahasi and Shweoomin in terms of concentration training. Both of these vipassanā meditations were developed in Myanmar in the late 1950s and are commonly taught to cultivate concentration training using the scriptures of Early Buddhism (Pāli-Nikāya). However, they diverged in practice methods. First, Mahasi vipassanā urged practitioners to be patient in the face of difficulty and to practice diligently, while proponents of Shweoomin vipassanā place importance on calming the mind to eliminate tension. Thus, the difference is “effort with strain vs. effort without strain.” Second, in Mahasi vipassanā, sati was practiced through the contemplation of body and contemplation of feeling. Practitioners try to remain aware of their senses, that is, the objects of meditation. In Shweoomin vipassanā, sati is practiced through the contemplation of mind and contemplation of Dhamma. Practitioners keep various perceptions at a distance in their minds to sustain clear awareness. Thus, the techniques differed in that, in the first, sati was applied to senses or objects of the mind by focusing on them, and in the second, they were kept at a distance. Third, Mahasi vipassanā seeks to eradicate the five hindrances by using momentary concentration and developing vipassanā absorption (when needed). Conversely, concentration in Shweoomin vipassanā strays from the original meaning of concentration and, rather, seeks to attain relaxation or a stable state.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methods are clear in term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ractice and goals of meditation. Although both of them share a common name, suddha-vipassanā, they differ in terms of method of practice. Mahasi attempts to retain the Theravāda Buddhist tradition by following the standard of The Path of Purification (Visuddhimagga). By making the most of the traditional processes of division and analysis, Mahasi vipassanā attempts to understand the human body and mind. Shweoomin vipassanā, which developed later than the Mahasi vipassanā, appears to attempt to overcome or eliminate this complexity of Mahasi. However, Shweoomin strays from mainstream traditional vipassanā practice and attempts a renewed interpretation and practice. By comparing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bjective assessment of various meditation techniques. However, some concerns remain about the possible dilution of traditional practice methods that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centuries of practical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