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ON THE TWISTED WEAK q-EULER NUMBERS AND POLYNOMIALS WITH WEIGHT 0

        정주희,진정희,박진우,임석훈 장전수학회 2013 Proceedings of the Jangjeon mathematical society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ive some identities relatedthe twisted weak q-Euler numbers and polynomials with weight 0

      • KCI등재

        중년층 맞벌이 여성의 HMR 선택속성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 신뢰에 대한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정주희 (사)한국조리학회 2019 한국조리학회지 Vol.25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MR selective attributes on loyalty and to examine whether corporate trust plays a role between HMR selective attributes and loyalty among middle-aged working women consum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2, 2019 to April 27, 2019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he final 236 copies were used as useful dat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ality among the HMR selective attributes of middle-aged working women show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loyalty, and the material safety had a negative effect on loyalty. Second, corporate trust plays an mediating role between practicality and loyalty among HMR selective attributes of middle-aged working women.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 to provide useful data for securing loyal customers by grasping the middle-aged women's selective attributes for HMR products. In addition, present study has helped to build a positive corporate image through corporate trust.

      • KCI등재후보

        호안 미로 회화를 응용한 니트웨어 디자인 연구 - 핸드 니들 펀칭 기법을 중심으로 -

        정주희,박선희 한국니트디자인학회 2011 패션과 니트 Vol.9 No.1

        Contemporary society has broken away from the past industrial society to make drastic changes, and even the high-tech informatized society, the design industry for return to nature, value of art, human sensitive marketing and others as more and more important aspects. Joan Miro, a Spanish painter who represents abstract art and surrealism fantasy has brought great accomplishment throughout arts in fauvisme, cubism, factualism and surrealism, illustration, collage, sculpture, ceramic and the like. However, after the unyielding efforts, it established unique, marked and symbolic new painting space only for Joan Miro. By contemplat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Joan Miro's works to connect to the contemporary fashion design, it would discover the possibility of artistic and independent beauty.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her art works of Joan Miro and produce the works on the basis of its result. For the expression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and seek for fashion design as using the hand needle punching technique that is used to make the unique material expression and decorative effect.

      • KCI등재

        누가 대승(mahāyāna) 경전을 창작하였는가? — 대중부(大衆部) 그리고 방등(方等, vaitulya) 경전 —

        정주희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4 불교학 리뷰 Vol.16 No.-

        본고에서 나는 소위 ‘대승경’의 초기 창작자가 그들의 문헌을 ‘vevulla / vaitulya / vaipulya (Pāli vedalla)’로 이름했고, 그런 이후에야 이러한 경 명이 대승경전(mahāyānasūtra)으로 변화했다는 것을 논증했다. 초기 한역 뿐만 아니라 중국 불교 경전목록집 역시 조사함으로써, ‘vevulla’(2세기)에 서 ‘vaitulya’(3세기∼616년), 그 후에 ‘vaipulya’(5세기 이후), 그리고 마 침내 ‘mahāyānasūtra’(5세기 이후)로의 이행을 논증했다. 나는 이러한 다양한 형태들의 원형이 ‘*vedulla’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vedulla는 vaitulya (> vetulla > *vedulla)에 해당하는 중세 인도형으로, ‘같은 종류’가 ’아닌’(vi), 즉 ‘비정상적인, 특이한’을 의미했을 것이다. 이 ‘*vedulla (Pāli vedalla)’라는 명칭은 인드라신과 부처님, 혹은 제자들 사 이처럼 아랫사람과 윗사람 사이의 반복되는 문답으로 구성된 ‘비정상적인’ 경전을 지칭하는데 사용되었다. 아마도, 새로운 경전을 창작한 자들은 그들이 전통적인 경전에서 발견할 수 없는 내용과 형태를 가진 독특한 문헌을 창작하 고 있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문헌을 ‘필적할데 없는, 비할데 없 는’을 의미하는 ‘*vevulla, vaitulya’로 명명했을 것이다. 586년에 편찬된 『대방등대집경』은 ‘vaitulya-겸-mahāyāna’ 경전들의 모음집처럼 보이는데, 이 모음집에 다양한 불교 학파들을 기술한 구절이 있다. 그들 중 대중부와 관련한 기술은 다른 학파가 부정적으로 기술된 것과 달 리 긍정적인 방식으로 표현되고 있다. 우리는 이 ‘vaitulya-경전’의 창작자가 대중부에 속했다고 추측할 수 있을 것이다. 대중부와 『팔천송반야』, 『법화경』, 『삼매왕경』, 『대승대반열반경』, 『십지경』과 같은 경전들의 긴밀한 관계는 이미 지적되었다. 대중부와 파탈리푸트 라의 대승 사이의 긴밀한 관계 또한 기록되었다. 또한 자신들의 논에서 대승 경전을 인용한 나가르주나, 찬드라키르티, 샨티데바, 그리고 아티샤는 대중부 의 승려였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바수반두는 설일체유부의 승려였으며 설일 체유부 교리의 개요서인 『아비달마구사론』을 썼으나 이후에 몇몇 대승경의 주석들 역시 저작했다. 이러한 그는 ‘설일체유부로부터 낙오’한 자로서 설일 체유부의 『아비달마디파』에서 비난되고 있다. 나는 또한 대승경 중 어떠한 것 도 인도 설일체유부에 의해 작성된 전체 아비달마 문헌에서 언급된 적이 없다 는 것을 지적했다. 따라서 설일체유부논사들은 처음에는 대승불교에 대립적 이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나는 대중부의 누군가가 새로운 경전을 창작했다고 추정한다. 그것들은 종종 문답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불교 교리에 대해 보수적인 사상을 비난하고, 이러한 새롭게 작성된 문헌들을 불교 경전으로서 그것들이 ‘비정상 적’이라는 의미에서 그러나 ‘필적할 데 없고, 비할 데 없다’는 의미에서 ‘vedulla / vaitulya’라고 불렀다. 이후에, 그들은 더 긍정적인 방식으로 ‘vaipulya’, 즉 ‘완전한 발전, 충만, 풍부함, 가득참’으로 불렸다. 훨씬 이후 에, 그들은 대승경전으로도 불려지게 되었다. 이처럼 새로운 경전들을 창작하 고, 필사하고, 읽고, 암송하고, 공표한 자들은 그들 스스로를 처음에는 ‘대승’ 이라고 부르지 않았다. 그들은 결국 대중부의 일원들이었고 따라서 대승이라 는 이름이 초기 인도 비석들에서 나타나지 않은 것은 꽤 자연스러웠다. 훨씬 이후에, 대승 경전들과 교의들이 훨씬 더 대중적이 되었을 때, 다른 학파에서 도 그들을 인정하고 또한 그들을 흡수했다. In this paper, I demonstrated that the earlier composers of the so-called Mahāyāna sūtras had named their texts vevulla / vaitulya / vaipulya (cf. Pāli vedalla), and only later were these titles changed to mahāyānasūtra. By investigating the earlier Chinese translations as well as the Chinese Buddhist catalogues, I also demonstrated the transition from vevulla (2nd century C.E.) to vaitulya (3rd century∼616 C.E.), and then to vaipulya (5th century onwards) and finally to mahāyānasūtra (5th century onwards). I assume that the original form of these variants could have been *vedulla, a Middle Indic form corresponding to vaitulya (> vetulla > *vedulla), which might mean ‘not’ (vi) ‘of the same kind’, i.e. ‘unusual, irregular’. This name *vedulla (Pā. vedalla) was used to designate ‘unusual’ scriptures consisting of repeated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an inferior and a superior person, such as between Indra and the Buddha or between disciples. Probably, those who had composed the new scriptures, thought that they were composing unique texts, whose contents and forms were not found in orthodox scriptures, named these texts as *vevulla, vaitulya, meaning as ‘incomparable, peerless’. The 大方等大集經(*Mahāvaitulya-Mahāsannipāta), which was compiled in 586 C.E, is apparently a collection of the vaitulya-cummahāyāna- scriptures. In this collection, there is passages which describe the various Buddhist schools, among which the description concerning the Mahāsāṃghikas is expressed in a positive way, while other schools are described negatively. We may assume that the composer of this vaitulya-scripture belonged to the school of the Mahāsāṃghika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Mahāsāṃghikas and the Aṣṭ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Saddharmapuṇḍarīkasūtra, Samādhirājasūtra, Mahāparinirvāṇa mahāsūtra and Daśabhūmikasūtra have been already pointed out.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Mahāsāṃghikas and Mahāyāna in Pāṭaliputra is also recorded. Also, Nāgārjuna, Candrakīrti, Śāntideva and Dīpaṃkaraśrījñāna, who quoted Mahāyāna scriptures in their texts, are assumed to have been monks of the Mahāsāṃghikas. Vasubandhu, who was a monk of the Sarvāstivāda school and wrote the Abhidharmakośa, a compendium of its doctrines, but later also wrote commentaries on some Mahāyāna scriptures, was criticised as ‘a dropout from the Sarvāstivāda school’ in the Abhidharmadīpa of the same school. I also pointed out none of Mahāyāna scriptures are referred to in the whole Abhidharma texts, which were composed by the Indian Sarvāstivādins. Thus, the Sarvāstivādins were originally antagonistic to Mahāyāna Buddhism. In conclusion, I assume that members of the Mahāsāṃghikas composed new scriptures, often consisting of questions and answers, thus condemning the conservative thoughts on Buddhist doctrines, and called these newly-composed texts as vedulla / vaitulya, in the meaning of their being ‘irregular’ as Buddha’s scripture but ‘incomparable, peerless’. Later, they came to be called in a more positive way as vaipulya ‘full development, abundance, plenty, fullness’. Much later still, they came to be called mahāyāna-sūtra as well. Those who composed, copied, read, recited, proclaimed these ‘new scriptures’, did not call themselves ‘mahāyanists’ at the beginning. They were after all members of the Mahāsāṃghikas and therefore, it is quite natural that the name mahāyāna does not occur in early Indian inscriptions. Much later on, when the Mahāyāna scriptures and doctrine became much more popular, members of other schools acknowledged them and absorbed them as well.

      • 고령화사회 등장에 따른 실버관광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

        정주희,정봉현 한국지역개발학회 2018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6

        우리나라는 유래없는 속도로 초고령화사회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고령인구의 증가는 사회의 경제력 악화, 노인부양부담 가중, 복지비용 증가 및 여러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여 해결해야할 문제로 인식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에서 고령인구를 소비자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현재 고령인구로 편입 될 베이비붐 세대의 경우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의 중심에서 사회적 변화를 몸소 겪은 세대이며, 학력, 경제력, 문화적 수준이 현재 전통적 고령인구와 다르다. 이들은 여가생활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은퇴 후에도 높아진 문화적 욕구를 해결하고자 적극적으로 활동할 것으로 예상되는 세대이다. 따라서, 베이비붐 세대의 소비자로서의 전향은 앞으로 실버관광산업의 중요성의 증대와 겹쳐지게 될 것으로 생각된다. 실질적으로 국민여행 실태조사를 통해 바라본 결과, 현재 전통적인 고령층과 50대의 여행실태가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관광전략을 수립할 때, 고령층의 수요를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