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카메라 연기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정주영 청주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In modern society, with highly sophisticated civilization and technology, people seem to lose their interest in plays or stage art due to widespread media entertainment like movies, TV and video games. In other words, these modern media sources do not only have a great impact on economic industry but also areas in modern arts. In these modern, social and cultural changes, acting has also been constantly changed and even those video game characters are adapting themselves to proper roles according to the acting. These changes may also have affected actors and actresses in their acting as well. Consequently,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in acting in categories of movies and TV where cameras are used because of audience's demand, social atmosphere and technology development. Especially,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moted appearance of mass media like movies and TV, and demand for adaptive stage acting for plays that are no longer typical. So the acting is still changing and developing to the changes of mechanism, not only to the changes of society or styles. Important elements for producing movies or TV drama are visual images, editing, acting, and etc. Above all, acting in front of camera, under the circumstance that movie is a category of play ; it takes a crucial part that shows the performance of actor's role. So, camera acting is considered more crucial than other elements and requires further study about it. 'Camera Acting' means 'all the acting and performance shown in motion images through the camera'. Also, it differs from stage acting before the appearance of camera. This study analyzes the changes in camera acting from the early era of Korean movies to the modern period of film industry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the most sophisticated technology provides entertainment like Motion Capture, Virtual Reality(VR) and Augmented Reality(AR) added to TV programs and movies. This change has developed Korean camera acting in its own particular style under influence of politics, social issue, cultural situation and box office conditions. Korean camera acting was originated from the early era of movies, but it was not originally from actual actor's acting. In the early days, we needed a person to deliver a story of silent film and this promoted the appearance of Byeonsa(silent film's interpreter) and camera acting. This could be an origin of the camera acting because the Byeonsa delivered story of silent film with speech and gesture, although he did not actually performed acting in front of camera, and it helped the audience to understand and feel like the Byeonsa was actually acting. The Byeonsa's role expanded an area of silent film with more expressive and visual elements as we can see in plays. In other words, the Byeonsa's performed a role that vitalizes the silent film and elevates the film to a level of art. A Yeonsegeuk(kino-drama) is a form of play combined with moving pictures. That is, a traditional play added with motion picture to screen for audience. This was the first fusion art between two media. The form of Yeonsegeuk is to show the scene that has limit with time and space on the stage by using motion picture where the outdoor scene is required. In the beginning, it just showed backgrounds of play, but has developed further to the recent form of movies with more theatrical elements in the scenes. In history of acting, the importance of Yeonsegeuk play is that facial expressions of actors, which was only performed on stage, now can be realistically performed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media called 'movie'. That means, it was a great turning point at the appearance of Talkies(talking picture) that includes actor's actual acting. When facial expressions with relaxed muscles took an important part in the period of silent films, actor's voice, more with natural lines took an important part in the period of Talkies. That is, in the period of silent films, people evaluated more visually on actor's facial expressions but now the voice and lines of actors have become a greater issue. This actors' acting training skill was not well structured and at the rampant situation, usage of shinpa-drama(melodrama) actors' appearance and their stage line acting method creates error. In 1945, the time of independence, Korea went through chaotic, violent and ideological period and then suffered from Korean war in 1950 that nearly demolished the whole nation and people. After the war, armistice agreement in 1953, Korean movies faced a new era with great actors (Kim Dong Won, Hwang Jung Soon, Jo Mi Ryung, Choi Moo Ryong, Choi Eun Hee, and etc) who were not only play actors but also influenced camera acting in that time. Those Korean actors struggled to conserve movie production even under the difficult circumstances like period of independence and Korean war and they took a great role to entertain and cheer Korean people who were suffering from those harsh circumstances in play and movies. From 1960's, Korean movies started to develop and faced a challenge as broadcasting media corporations opened business and TV drama flourished. This provoked movie businesses in Korea to widen its variety and style with new expressions. The golden age of Korean movies also provided golden career for actors like Kim Sung Ho, Choi Moo Ryong and Kim Ji mi who had an experience both in play and movies in 1950's. Later in 1960's, when youth movies dominated the movie business with uprising stars like Shin Young Kyun, Shin Sung Il, Um Ang Ran, Moon Jung Suk, Ko Eun Ah, and etc, the main actors grew prosperous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In this time, TV drama also took a great part in dedication of developing camera acting. As Korean broadcasting media corporation (KBS) first aired in 1961, weekend drama became so popular that TV distribution in every household was common and people started to pay attention to drama, as well as movies, actors and their acting. More interestingly, the play actors performed multiple actings from TV to a movie, according to types of acting. In 1960's, the TV drama was on live due to technical difficulty of recording and acting of the actors seemed like performing on stage set when camera recorded as moving. That is to say, this created new camera acting combining both play acting and TV acting. In 1990's, Korean movies and drama were the main resources for 'Korean Wave' and they became very popular in China and later in whole Asia and the world. As we can see, the reason for the success of Korean movies and drama is its high quality. Comparing to Hollywood movies, Korean media offers low price with high quality in categories of production, scenario, filming and art that approached to Asian people with familiar topics and content. Now, as we are living in the ag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to adapt ourselves into new environment. To do so, techniques like Motion Capture,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may guide us to a new challenge. In Motion Capture acting, it is essential to imply actor's internal conflict with specific physical movement and send a clear message to audience. Thus, the actor should analyze target character's lines and acts then synchronize with it internally. So the actor has to react promptly on the other actors and stage properties. To do that, the actor needs ensemble acting (rehearsal) and skill (reaction acting) to react promptly against environment. VR and AR movies are not just the technologies providing virtualization visually, they deliver various experiences for the audience even with senses of smell and tactile feeling by using sophisticated devices. In films, actors are recommended to perform in a long shot because small cuts may interfere them to focus. In ordinary movies, we can edit small cuts with various techniques but it hardly works on AR and VR movies. The technology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allowed us to replace actual characters with imaginary ones, but it is still required for the actors to perform natural acting that includes vivid and active expressions. Although it is certain that we have to adapt ourselves to those fast-paced changes in movie industry and acting, we lack in systemized teaching for acting and need further study indeed.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and development of camera acting that has maintained itself under social chaos and changes, with support from steady actors who searched for new styles in camera acting and dedicated themselves. In conclusion, I hope that we can take a distant view on Korean camera acting and study further about its changes more actively. 오늘날 고도로 성장한 문명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영화나 TV, 영상게임 등과 같은 영상매체에 매료되어 연극이나 무대예술에 대한 흥미를 잃어가고 있다. 다시 말해 이러한 매체들은 산업적 규모는 물론이고 대중문화예술 측면에 있어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사회적·문화예술적 변화 속에서 연기 또한 그 변화가 지속되고 있으며, 영상게임 캐릭터조차 게임 속 역할에 맞는 연기를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배우의 연기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영화나 TV드라마 연기와 같이 카메라를 통하여 보여주는 연기에 있어서도 사회적 정서, 관객의 시대적 요구, 기술의 발달 등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기술의 발달로 인해 영화와 TV 등 다양한 매스미디어가 등장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는 연기에 있어서도 무대연기, 즉 이전의 연극연기에서 벗어나, 보다 자연스러운 매체별 적합한 연기법을 요구하게 되었다. 그로 말미암아 연기는 단순한 사회적 변화나 스타일의 변화가 아닌 메커니즘적 변화와 맞물려 현재에 이르러서도 꾸준히 변모되며 성장하고 있다. 영화나 TV드라마 제작 환경에 있어 필요한 요소들은 영상, 편집, 배우의 카메라 연기 등이다. 이중 카메라 연기는 영화가 극이라는 것을 상기하면, 영화는 ‘배우가 맡은 역할의 행위하는 것’을 보는 것이므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카메라 연기는 영화에 포함되는 그 어느 요소보다도 중요성이 인식되며 그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 ‘카메라 연기’는 미디어, 즉 영화나 TV드라마를 포함하여 ‘배우의 연기를 카메라를 통해 보여주는 모든 영상 속 연기’를 의미한다. 또한 카메라가 등장하기 이전의 연극무대연기와는 다른 형식의 연기이다. 본 연구는 한국영화 초기부터 최근 ‘4차 산업혁명시대’까지, 배우의 카메라 연기가 중심이 되는 영화와 TV드라마를 포함한 첨단 영상기술 모션캡쳐와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영화 등에 이르기까지 카메라 연기의 변천 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그 결과 한국 카메라 연기는 우리의 특수한 정치․사회, 문화적 상황과 극장상영 조건을 바탕으로 우리 나름의 독특한 양상으로 다음과 같이 전개되었다. 우리나라의 카메라 연기는 초기 영화에서 태동하였지만, 영화 속 배우의 직접적인 연기로 시작한 것은 아니다. 외국에서 유입된 무성영화의 내용을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해 해설자가 필요했는데, 그것이 바로 변사의 출현이며 카메라 연기의 시작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변사가 카메라 앞에 직접 나서서 연기하는 것은 아니지만, 소리가 없는 영화를 보면서 배우 못지않은 말과 행동으로 관객에게 설명하고 보여줌으로써 영화의 이해를 도모했기 때문에 변사의 역할은 배우가 직접 카메라 연기를 구사한 듯한 느낌을 들게 했기 때문이다. 변사의 활동은 시각적 요소와 대사를 중심으로 한 공연적 요소가 결합하여 무성으로 제작된 영화들의 표현영역을 확대시켰다. 다시 말해 무성으로 제작된 영상 매체에 변사의 연기가 더해져 영화로서의 생명력을 불어넣어주며, 예술적 가치를 드러내주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연쇄극은 연극공연 중에 영화장면을 삽입한 공연양식이다. 쉽게 말해 기존 연극의 효과에 영화라는 새로운 매체를 결합하여 연극 상황과 연결되는 장면을 극중에 상영한 것이다. 이는 최초의 매체간의 융합예술인 것이다. 연쇄극 형식은 공간과 시간적 제약이 많은 무대 위에서 표현이 어려운 정경이나 장소의 극적 장면을 촬영해 두었다가, 공연 중에 야외 장면이 필요한 대목에 이르면 조명이 꺼지면서 동시에 스크린이 내려져 연극의 내용이 영상장면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초기에는 단순히 연극의 배경을 보여주는 정도였지만, 영상장면이 극적요소를 더해감으로써 그 비중이 커져 영화적 형태로 변모하였다. 연기사적으로 연쇄극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무대를 배경으로 행해졌던 배우들의 연기가 영화라는 매체와 결합하여 보다 사실적 구현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후 배우들의 연기가 직접 포함되는 발성영화로 이어지는 전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경험이었다. 무성영화시대에 배우들의 연기가 ‘얼굴 근육의 이완적 표정’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었다면, 발성영화시대에는 ‘배우의 소리, 즉 자연스러운 대사’가 중요시 여겨졌다. 다시 말해 ‘자연스러운 표정’을 중요시 여겼던 이전의 무성영화가 시각적으로만 평가 받았다면, 이제는 소리, 즉 배우의 대사와 음성이 중요했다. 이는 배우들의 연기훈련 기술이 체계적이지 못했고, 다급한 상황에서 당시 만연했던 신파 연극 배우들의 출연과 그들의 무대 대사연기 방식을 대안적으로 사용하는 과오를 초래하였다. 우리나라는 1945년 광복을 맞으며 사회적 혼란과 이데올로기적 격동기를 겪게 되고, 이어서 1950년 한국전쟁으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상당히 피폐해졌다. 그러나 1953년 휴전협상 이후 한국영화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 김동원, 황정순, 조미령, 최무룡, 최은희 등 당대 최고의 영화배우들도 대거 등장하게 되는데, 비록 이들이 연극배우 출신들이지만, 각 매체들을 넘나들며 당시 연기에 있어서는 카메라 연기를 대변할 수 있을 정도로 영향력이 컸다. 해방과 한국전쟁이라는 사회적 혼란과 국난 속에서도 우리 영화인들은 고군분투하며, 영화제작의 명맥을 이어왔다. 특히 배우들은 영화와 연극을 넘나들며 혼란과 전쟁으로 말미암아 지치고 상처받은 민중을 달래고 격려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했다. 1960년대 들어 한국영화는 장족의 발전을 한다. 더구나 한국방송이 개국하고 TV드라마가 점점 확산되면서 한국영화는 도전을 받았다. 그 영향으로 한국영화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작품의 경향을 다양화하고 표현에 있어 새로운 것을 추구하였다. 한국영화의 풍요와 황금기는 곧 배우들에게도 전성기이며 활동에 활기를 불어넣는 계기였다. 1950년대에 이미 연극무대와 영화를 오가며 검증을 받은 김승호, 최무룡, 김지미 등이 대표적 배우들이었다. 이어 신영균과 60년대 청춘영화라는 새로운 형식과 함께 등장하여 열기가 급부상하게 했던 신성일, 엄앵란, 문정숙, 고은아 등이 후발주자들로 새로이 합류하면서 한국영화는 이 시기 주연급 배우들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풍성했다. TV드라마도 한국 카메라 연기 발전에 한 몫을 하였다. 1961년 한국방송(KBS)이 개국되면서 주간 연속극 열기를 시작으로, TV의 보급이 보편화 되면서 대중들은 영화와 더불어 TV드라마에도 많은 흥미를 갖게 되었다. 자연스레 배우와 그들의 연기에도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였다. 당시에는 연극배우들이 영화나 TV드라마를 넘나들며, 각 매체에 따른 연기를 구사하였다. 1960년대 TV드라마는 기술적 문제로 녹화가 아닌 생방송으로 송신하였는데, 이때 배우들의 연기는 무대세트 안에서 연기하듯 하고 카메라가 이동하면서 촬영하였다. 다시 말해 연극연기와 TV드라마 연기를 혼용한 새로운 카메라 연기를 탄생시켰다. 1990년대 영화와 한국드라마는 한류의 중심 대중매체로 자리를 잡는다. 한국영화와 드라마는 중국 시장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아시아를 중심으로 그 인기를 누리며 각광 받기 시작한다. 이렇듯 한국영화와 드라마가 비상할 수 있었던 것은 결국 질적 우수성 때문이다. 미국영화 등에 비해 가격은 저렴하면서도 연출, 시나리오, 촬영, 미술 등 전반적인 프로덕션이 질적으로 우수하고, 장르가 다양하며 아시아인들에게 친근감을 주는 주제와 소재를 다루었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열리면서 카메라 연기에 있어서도 새로운 환경으로의 적응에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 중 ‘모션캡쳐’와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술은 카메라 연기에 새로운 방향과 도전을 제시하였다. 모션캡쳐의 연기술은 신체의 모든 움직임을 통해 내적갈등을 더욱 함축하면서도 명료하게 전달할 수 있는 표현 능력이 필수이다. 배우는 캐릭터가 취하는 대사와 행동들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내적 동기화가 필수이다. 모션캡쳐 연기술에 있어 실제 배우나 실제 소품에 대한 반응이 중요하다. 따라서 실사 배우와의 앙상블 연기가 필요하며, 환경에 대한 사실적 반응을 할 수 있는 숙련된 ‘반응 연기술’이 필수이다. VR․AR 영화는 단지 영상을 통한 가상세계를 시각적으로만 느끼게 하는 것이 아니라, 센서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연동 장비를 통해 시각과 청각을 넘어 촉각과 후각까지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 배우는 사용자의 몰입을 방해하는 구분 동작이 많아서는 안 되기 때문에 연극에서처럼 긴 호흡으로 완결된 한 장면을 연기해야만 한다. 기존 영화에서처럼 다양한 영상 기술을 활용해 수많은 컷을 연결하는 방식의 연출은 VR․AR 영화에 적용하기 어렵다.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의 발전은 실사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캐릭터들의 구현은 물론 인간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현실로 만들 정도로 첨단화 되었지만, 실사 영화에서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이 실린 생동감 있는 연기는 여전히 실제 배우의 몫이므로 배우들의 연기는 필수이다. 이렇듯 시대가 변하면서 연기의 형식도 변화하기 마련인데, 현재 우리나라는 배우 연기에 관한 연구가 부족할 뿐 아니라, 급변하는 사회와 기술에 발맞춘 연기교육 시스템 구축이 미미하여 그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는 시대적 혼란과 부침 그리고 사회적 변화 속에서도 배우들의 연기는 멈추지 않고 활동함은 물론, 메커니즘 발전과 같은 시대적 변화에 발맞춰 적응하며 그때마다 새로운 카메라 연기를 모색한 과정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이 본문을 통해 한국 카메라 연기의 변천 과정을 조망하고, 각 시대별 연기의 변천에 관한 학술적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초등학교 중도입국학생 대상 한국어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정주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Migrant students came from a foreign country as their parents remarried or found a job in Korea without regard to their own will. Since they learn Korean due to other person’s decision, the migrant students lack motivation unlike other group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lso, since they have to survive in a completely different place from where they used to live environmentally or socially, they are experiencing many difficulties culturally. This reveals that the situation and the purpose of the migrant students in learning Korean are quite different from other Korean language learners. If this fact is neglected or ignored in teaching Korean language, there is a good likelihood that the migrant students may not succeed in adapting to their new life in Korea. The migrant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a radical transition in their life are the ones who need most desperately the suppor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ecause they are likely to be isolated and unable to adapt to the unfamiliar Korean education system linguistically and culturally. Hence, there is a need to support their adaptation not only with regular educational curriculum but also with various educational support programs both on institutional level and national level outside of school. Accordingly, for this research, we have observed an instructional example of Korean language classroom that is being operated as part of a specialization project in S city of Gyeonggi province and had an in-depth interview with a Korean language instructor in charge. Through this, we made an effort to find out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migrant students is being carried out, whether there is any problem in operating Korean language curriculum targeted for elementary school migrant students, how the contents of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re constru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lass targeted for elementary school migrant students before attempting to analyze what the problems are. To identify this kind of research topics and to analyze instructional exam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argeted for migrant students, we have performed a three-stage research procedure that consists of exploration of theoretical background, survey and analysis of class examples, and presentation of an improvement plan. In the first stage, to explore theoretical background for migrant students, we have analyzed the literature and conducted a review of preceding studies. In the process, we justified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set up specific research topics. In the second stag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t hand, we have observed class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examined the operation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migrant students,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operation method of Korean language clas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divided our findings into three categories for analysis. In the third stage, we have derived problems related to oper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migrant students and problems related to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lans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collected data. And on the basis of this, we came up with three essential elements that should be provided for desirabl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he migrant students, including reconstruction of classes for migrant students, development of text book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ir distribution for migrant students, and introduction of a curriculum for fostering new 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of the migrant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This research has certain limitations. First, as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of Korean language classes operated as part of a specialization project in S city of Gyeonggi provinc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our findings to the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ulticultural background students. Second, as most of the migrant students who are the target of this research are from China, there i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our findings to the general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ll migrant students. Third, a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thesis is qualitativ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class for migrant tudents, to derive complete implications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for migrant students, complementation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is required. 중도입국학생은 부모님의 재혼 또는 취업의 이유로 자신의 의지는 고려되지 않은 채로 타국에서 왔다. 타인의 결정으로 한국어를 배워야 하는 처지에 놓인 중도입국학생은 따라서 한국어 학습에 대한 동기가 매우 부족하다. 또한 자신이 살아온 주변 환경과 사회가 전혀 다른 곳에 와서 생존해야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문화적으로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도입국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는 이처럼 기존의 학습자들과 다른 목적과 상황에 처해있다. 이 사실이 간과된 채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중도입국학생의 한국 생활 적응은 실패로 귀결될 우려가 높다. 이주로 인한 생애 전환을 경험하게 된 중도입국학생들은 언어적, 문화적으로 낯선 한국의 교육 체계에 적응하지 못하고 고립되어 지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한국어 교육 지원이 가장 절실한 수요자들이기도 하다. 학교 안에서의 정규 교과과정뿐만 아니라 학교 밖 기관과 국가 차원에서의 다양한 교육지원 프로그램을 만들어 이들의 적응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 S시 특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국어교실의 수업 사례를 관찰하고 한국어교실을 운영하는 한국어강사와의 심층면담을 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초등학교 중도입국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초등학교 중도입국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수업에 있어서 구체적 교수-학습안의 내용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분석해보았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도입국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수업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 탐색, 수업 사례 조사․분석 및 개선방안 제시의 3단계 연구 절차를 수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중도입국학생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기 위하여 문헌을 분석하고 선행연구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을 정당화하고 연구문제를 구체화하였다. 2단계에서는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초등학교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수업 현장을 관찰하고 한국어강사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중도입국학생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운영 현황과 구체적인 교수학습방안, 한국어수업 운영방식 등에 주목해 살펴보았다. 3단계에서는 수집한 자료를 분석·해석하여 초등학교 중도입국학생 한국어교육 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점과 구체적인 교수-학습방안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바람직한 한국어교육을 위해 갖추어야 할 요소를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바람직한 한국어교육을 위해 갖추어야 할 요소를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학급의 재구성,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교재와 교수-학습법 개발 및 보급, 중도입국학생과 일반학생의 문화의식 및 태도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필요 등이 그것이다. 그 밖에도 중도입국학생이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학교와 가정이 활발히 교류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중도입국학생이 겪는 정서적인 문제와 또래관계 문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담 또는 멘토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제 2언어 교육은 언어와 학문적 측면뿐 아니라 인지 발달 차원과 사회문화적 차원 등의 요소가 다차원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경기도 S시 특성화사업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한국어교실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이기 때문에 이를 다문화 배경 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현황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 또한 연구 대상이 되는 한국어교실에 참가하는 중도입국학생들은 중국출신이 대부분으로 다양한 출신의 중도입국학생 대상 한국어교육 현황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중도입국학생을 위한 보다 바람직한 한국어 교육과정에 필요한 요소들을 찾기 위해서는 양적연구를 통한 보안이 후속적으로 진행되길 제안한다.

      • 관측기를 이용한 유도전동기 극 저속 제어에 관한 연구

        정주영 세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 effects capabe of being obtained the electric braking technology through the miniaturized traction system using the 1C1M-mode. For the present paper, a miniature traction system using a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PMSM) was used to design and fabricate a device with inertia load. A motor was controlled using an individual 1C1M method in an ultra-low speed region to induce electric braking of an electric train to stoppage. A resolver interface circuit was designed for control of a motor in an ultra-low speed region in the miniature traction system used for the experiment, and a speed observer was designed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rotor for an accurate measurement of speed in an ultra-low speed range. An AC grid-connected converter was used to absorb regenerated power and maintain a constant voltage. As a controller of a power converter, DSP microcontroller developed exclusively for control of a motor was used, and an integrated power converter was developed to control both a converter and an inverter with a single controller. Through repeated experiment on the miniature model, the present study was able to identify what benefits could be gained from the application of an electric braking technology. 요약 본 논문에서는 1C1M방식을 적용한 축소모형 견인시스템에 대한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전기제동기술의 적용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위해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를 사용한 축소모형 견인시스템을 관성부하를 갖는 장치로 설계 제작하여 구축하였고, 전동차의 정차까지 전기제동을 위한 극 저속 운전에서 개별 제어법인 1C1M 방식을 적용하여 전동기를 제어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축소모형 견인시스템의 극 저속 운전에서 전동기 제어를 위해 레졸바 인터페이스 회로를 설계하고, 검출된 회전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속도관측기를 설계하여 극 저속에서 정밀한 속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회생전력을 흡수하고 정전압을 유지하기 위해 교류계통 연계형 컨버터를 사용하였다. 전력변환기를 구동하는 제어기는 전동기 제어전용으로 개발되어진 DSP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사용하였으며, 일체형의 전력변환기를 개발하여 1개의 제어기로 컨버터 및 인버터를 제어하였다. 축소모형에 대한 반복적인 실험으로 전기제동기술의 적용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시하였다.

      • 식민지시기 이혼소송의 법 적용 실태 : 고등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정주영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식민지시기에 조선민사령의 제정으로 협의이혼과 재판상 이혼이라는 제도가 조선에 정착되었다. 조선민사령 제정과 함께 1920년, 30년대에 전통과 근대가 서로 경합하는 속에서 이혼의 증가라는 사회적인 문제가 야기되었다. 이러한 식민지시기의 이혼에 대해 이혼소송의 실제 판례를 중심으로 일본은 어떠한 입장에서 어떤 법을 적용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조선민사령은 ‘한일병합’ 후 조선총독부가 만든 법령으로 당시 일본 민법에 바탕을 두고 있다. 1912년 3월 공포 · 시행된 조선민사령의 제11조에는 ‘조선인의 능력, 친족 및 상속에 관한 법률은 관습에 의한다’라고 규정되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 조선의 친족 · 상속 문제에 관습법 대신 일본 민법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혼에 대해서도 조선민사령 제11조에 의해 관습법의 적용을 받아야 했지만, 일본은 실제 이혼소송관련 판결에서 상당수 판결에 관습법 대신 일본 민법을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1922년 조선민사령 2차 개정을 통해 이혼관련 법 규정 모든 면에 일본 민법이 적용되었다. 다시 말해 일본은 법원의 판례를, 통해 일본 민법의 내용을 조선 관습의 외피를 씌워 판결한 후 다시 최종적으로 일본 민법을 직접 적용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조선의 관습은 일본이 유도하는 방향으로 조절되고 통제되며 만들어졌다. 일본의 이러한 태도는 고등법원 판례에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이혼 관련 판례들을 통해 일본이 조선에 대해 어떠한 법 적용 태도를 취하였는지 알 수 있다. 1910년대에 남편의 학대로 인해 부인이 제기한 이혼소송에 대해서, 법원이 부인이 제기한 이유를 인정하여 이혼 판결을 내린 경우가 있다. 그러나 관습법 상 이것은 인정될 수 없었다. 조선민사령 제정 시 이혼에 대한 법 규정이 따로 마련되지 않았고, 민사령 제11조를 통해 조선의 관습에 따르게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이혼 문제에 대해서 조선의 관습에 따라 판결을 내려야 하지만, 일본은 이러한 방침과는 달리 일본민법에 의해 판결을 내리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조선민사령 개정 후에는 일본 민법의 적용을 받게 되어 일본 민법에 의해 판결을 내려야 하지만, 축첩문제에서는 일본 민법을 적용하지 않는 이중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혼소송을 제기하는 측이 여성이 남성보다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조선시대까지는 이혼이 남성이나 국가에 의해서만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혼의 제도적 허용으로 인해 여성에게도 이혼청구권이 주어지게 되고, 여성이 이혼청구권을 활용함으로 식민지시기에 이혼의 증가라는 결과가 초래된 것이다. 이것은 이혼소송의 경우 여성의 이혼소송 건수가 남성의 이혼소송 건수보다 많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렇게 조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일본이 통치의 수월성을 위해서 조선민사령을 제정한 것이지만, 여성의 근대적 지위향상에 큰 역할을 한 것은 사실이다. Agreement and judgment divorce systems were established by Choseon Civil General Act in colony era. Herewith, social problem like divorce rate was increased in 1920s, 30s with struggle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s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ased on the real precedents how Japan manage and deal with divorce in colony era. Choseon Civil General Act was enacted by the Choseon government-general on the basis of the Japanese Civil Law on March 1912. In the provision of article 11, it is prescribed in the rules of the association that the law in relation to Korean people’ capability, relatives and inheritance depend on Korean custom. However, the Choseon government-general started to apply Japanese Civil Law to Korean relatives and inheritance problem instead of Korean custom. Therefore, in case of divorce suits, Japan made almost all judicial decisions based on not Korean custom but Japanese Civil Law. Furthermore, Japanese Civil Law had been applied to all aspect of Korean divorce suits by the second revision of Choseon Civil General Act in 1922. It means that Japanese Civil Law was trickily used by the crafty application of real precedents. In other words, Korean custom was perfectly controlled and rebuilt by the Choseon government-general. It was found and checked in a lot of precedent in high court of justice that how the Choseon government-general applied law to Korean people. For instance, a high court judge gave divorce decision to wife’s lawsuit due to abuse of husband in 1910’s. Nonetheless, this could not accept in terms of Korean custom. As it was already mentioned above, there were no specific clauses for divorce in Choseon Civil General Act. Therefore, a divorce lawsuit had to be followed by Korean custom on the ground of article 11 in Choseon Civil General Ac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Choseon government-general made a divorce judgment by not Korean custom but Japan Civil Law. On the contrary, they did not make a judicial decision for concubinage on the basis of Japan Civil Law after the second revision of Choseon Civil General Act in 1922. Likewise, the Choseon government-general had hypocritical attitude for law application of the divorce lawsuit. And, it was found that women tended to institute a lawsuit more than men in colony era. It was because that divorce was made by men or nation former times. However, women started to get a right for divorce, and they often used in colony era. As a result, the number of divorce lawsuit for women was more than that for men, and gradually increased. In conclusion, Choseon Civil General Act was made on purpose to easily control Korean people. But it was found that it made a huge contribution to improvement of social status for Korean women.

      • 대구지역 일부 중학생의 체중변화 요구도에 따른 생활습관과 식습관 조사

        정주영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구지역 중학생 중 정상체중군에 해당하는 남학생 168명, 여학생 163명을 대상으로 본인의 체중 인지와 체중변화 요구도 및 생활습관과 식습관에 관하여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인의 체중에 대한 인지는 정상체중군의 42.4%가 정상체중임에도 본인이 정상이 아니라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체중변화 요구에서도 남학생 34.2%, 여학생 77.9%가 체중감소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식습관에서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감소를 희망하는 학생이 많음에도 생활습관 중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비율이 남학생이 27.4%, 여학생이 63.8%나 되어 학생들의 신체활동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식습관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에서는 남 · 여학생 모두 매우 좋다, 좋다, 보통이다 이상이 72.2%로 나타나 긍정적인 평가를 보였다. 음료 섭취 조사에서는 여학생의 체중증가희망군이 체중감소희망군과 체중유지희망군보다 선호도도 높고 자주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 선호도 조사에서는 전체 학생 모두에게서 어육류군의 고기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1회 섭취량 또한 1회 섭취 기준량인 40g의 2배 정도를 섭취하여 다른 식품군의 1회 섭취 기준량보다 많은 양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정상체중군에 속하는 학생들은 현재보다 체중감소를 희망하면서도 올바르지 않은 식습관과 부족한 신체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한 체형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정확한 인식을 통해 올바른 생활습관과 식생활의 실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aimed to the perception of weight, needs of weight change, lifestyle and dietary habit for 168 male and 163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of a normal weight group in Daegu. The survey shows 42.4% of students perceived that their weight was not normal, although they were in the group. Also 34.2% of male students and 77.9% of female students hoped to lose weigh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ir dietary habit. This research indicated the lack of physical activities of students since 27.4% of male and 63.8% of female students did not exercise at all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even though most of them wanted to lose weight. Most of students answered in the affirmative on the self dietary habit evaluation, which was over 72.2% of them saying their eating habit was very good, good or average. Beverage intake research presented that a group of female students who wanted to gain weight liked beverage more and drank more often compared to groups of female students who wanted to lose weight and who wanted to keep the weight. In the food preference, meat preference rate was the highest among all the students and the amount of meat intake per meal was almost double of a standard amount, which was around 80g.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students in the normal weight group desired losing weight, however they maintained incorrect diet and insufficient physical activities. Hence it is necessary for them to change their perception to a healthy body type and to practice the right lifestyle and dietary habit.

      • 내용 스키마를 활용한 듣기 활동이 듣기 능력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주영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언어의 4가지 기능 중 우리 생활에서 가장 빈번하게 쓰이고, 또한 언어 습득 시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듣기를 지도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을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하는 듣기 활동을 했을 때 나타나는 학습자의 듣기 성취도와 인식 및 정의적 측면의 변화를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하는 듣기 활동을 통한 듣기 성취도 변화 외에, 학습자 스스로 기록한 자기 평가 일지를 활용하여 듣기 활동에 대한 인식 및 정의적 반응을 탐구한다는 것이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실험 후 나타나는 변화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영어 듣기 지도 및 평가 방안을 탐색해 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하는 듣기 활동을 한 실험 학급 학습자들의 듣기 성취도는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 둘째,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하는 듣기 활동에 대한 인식 및 정의적 반응에 변화가 있는가? 또한, 있다면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노원구 소재 S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의 아동 50명을 대상으로 듣기 평가를 시행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을 선정하였다. 실험 집단에서는 주 1회 정규 영어 수업 시간에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하는 두 가지 듣기 활동인 대화문 예측하기와 의미지도 그리기를 번갈아 실시하였다. 학습 성취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 검사 및 형성 평가를 하였고, 듣기 인식과 정의적 측면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 평가 일지를 쓰게 하였다. 본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나타난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하는 학습자 중심 듣기 전 활동을 실시한 결과 실험 집단에서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므로 내용 스키마 중심 듣기 활동은 학습자의 영어 듣기 성취도 향상에 도움을 준다. 둘째, 자기 평가 일지에 나타난 학습자 중심 듣기에 대한 인식 및 정의적 반응으로는 집중력 향상, 맥락 파악, 배경 지식 확장, 말하기․쓰기로의 전이, 자신감 및 흥미도 향상이 있었고, 80% 이상의 학습자가 듣기 학습 과정에 효과적이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내용 스키마 중심 듣기 활동은 듣기 능력의 향상뿐 아니라 학습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개선에도 긍정적 효과가 있다. 셋째, 자기 평가 일지 쓰기를 통해 학습자 개개인의 발전 정도와 듣기에 대한 인식 및 학습 태도 등을 면밀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교사는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방법, 선호도 등을 알 수 있으므로 학습자 중심 수업 구안에 큰 도움을 얻을 수 있고, 학습자는 지식의 획득 과정에 대해 지각하게 되므로 반성적이고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초등학생의 영어 듣기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는 내용 스키마를 활성화하는 학습자 중심 듣기 활동이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내용 스키마 중심 듣기 전 활동을 다양하게 포함하는 영어 듣기 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객관적 검증을 목적으로 하는 기존의 지필 평가 방법에서 벗어나 학습자 개개인의 반응과 학습 과정 등을 알 수 있는 자기 평가가 새로운 평가 방안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넷째, 학습자 중심 듣기 전 활동과 자기 평가의 현실적 적용을 위해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수가 개발, 시행되어야 한다.

      • 오피스 매매가격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정주영 漢城大學校 不動産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e the IMF crisis in 1997, the office market has been internalized, and advanced, also being in flux.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atistically the price-making factors influencing on the sales price of an office. The preceding analysis on an office mostly put the rent of office into a dependent variable, however, I have put the office sales prices into a dependent variable. I have also classified independent variables into inherent characteristics of real property including the rent and economic factors. In addition, I have tried to apply the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detailed other variables classified by district (central district, Gangnam district, Yeouido·Mapo district, Seoul other districts), ownership type (direct investment by a domestic owner, direct investment by a foreign owner, and indirect investment by a domestic or foreign owner), and type of building (general building, partitioned building) I have restricted the extent of location into central district (CBD), Gangnam district (KBD), Yeouido·Mapo district (YBD), and Seoul other district. For samples, I have selected offices over GFA 16,529 sq m which have been transacted within these four districts and being and used as the highest and best use. Also, the extent of time has been restricted by sales comparables transacted between year 2003 and the third quarter of 2009. For this study, I have merely chosen 82 cases available to be adop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out of more than 200 cases provided by DTZ Korea for this study. As a result, influential price-making factors are FAR (Floor area ratio), GALP (Government Announced Land Price) of the year of transaction, the converted Jeonsei price, KOSPI, and the growth rate of economy, but the number of building's storey is not a factor influencing on price. This study has been particularly to analyze interrelation of the r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sale price, and to adopt general buildings and partitioned building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wo; insufficient data and long time-interval. Provided that these two limitations are solved, this office model can be generalized and systematized.

      • 분말야금에서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혼합 및 압축 연구

        정주영 한밭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분말야금은 비교적 공정이 간단하고, 손쉽게 합금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많은 부품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조기술 중 하나이다. 또한 분말야금은 분말의 제조, 혼합, 성형, 소결, 가공 등의 공정을 거쳐서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기술을 말한다. 이러한 분말야금은 아주 높은 내구성을 가진 제품을 가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내구성 문제는 분말야금을 통해 제조된 제품의 사용범위를 제한하게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분말야금 제품의 내구성 문제는 주로 분말의 혼합과 압축 과정에서 그 원인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분말의 혼합과 압축 공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말의 압축 공정을 해석하기 위하여 finite element method(FEM)와 discrete element method(DEM) 해석을 비교하였고 DEM 해석을 통해 나온 그래프가 실험 그래프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분말 압축 해석에는 DEM이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말의 압축 공정에서 분말의 형상과 크기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분말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서 분말 재배열의 정도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압축력의 분포와 상대밀도가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말의 혼합 공정에서 혼합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 중 블렌더의 회전각, 회전속도, 분말의 초기 충전 상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블렌더의 회전각이 감소할수록, 회전속도가 느릴수록, 분말의 초기 충전 상태가 상하 충전 상태일수록 혼합 성능이 더 우수하게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블렌더의 회전반경과 연관이 있으나 분말이 블렌더의 벽에 잔류하는 경우에는 혼합 성능이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