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일염기다형성 검사를 위한 PCR-RFLP법과 Real-Time PCR법의 유용성 비교

        정주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은 인간의 유전자 서열 1000염기에 1개 빈도로 발견되어 인간은 대략 300만개의 유전자 다형성을 가지고 있다. 이 유전자 다형성은 보통 전체 인구의 1% 이상에서 발견되는데 다양한 다형성의 조합결과로 인간의 개체 간 특성들이 결정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러한 다형성들의 조합양상에 따라 특이 질환에 대한 유전자 감수성 또한 달라지게 되므로 최근에는 많은 질환들과 유전자 다형성들과의 상관관계를 보는 연구들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SNP분석은 큰 집단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지므로 적은 비용으로 정확하게 그리고 대용량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romotor상에 위치한 -37과 -524 염기부위에서 유전자 다형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는 RRM1(ribonucleotide reductase M1)유전자를 대상으로 PCR-RFLP(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와 real-time PCR(TaqMan probe assay)을 동시에 시행한 후 각각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유전자 다형성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대상 환자 89명의 genomic DNA를 가지고서 RRM1 유전자의 SNP에 대한 PCR을 수행하고 이 PCR 증폭산물에 제한효소를 처리(PCR-RFLP)하여 유전자 다형성 양상조합을 확인하였다. 그다음 PCR-RFLP방법으로 확인한 동일대상 DNA로 real-time PCR을 시행한 후 유전자 다형성 조합을 확인, PCR-RFLP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결과, 대상 DNA 89례중 -37에서는 2례(2.17%), -524에서는 15례(16.26%)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결과차이를 보인 샘플 17례를 대상으로 직접 염기서열 분석을 시행하여 본 결과, 17례 모두 real-time PCR에서 확인되었던 결과와 일치함(100%)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 샘플 138례를 대상으로 real-time PCR을 2회 연속 실행하여 genotyping을 해 본 결과 98%이상의 높은 일치율을 보였으며, 그중 10례를 무작위로 골라 직접 염기서열 분석을 시행하여 본 결과, 역시 100%일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in-tube assay 방식으로 샘플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었으며 72well based system(Corbett Research)을 이용함으로 1회 유전자 증폭반응을 통해 72개 샘플결과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큰 집단을 대상으로 다량의 SNP를 분석하기 위한 실험 방법으로는 real-time PCR이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

      •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임파워먼트,조직공정성,직무만족을 중심으로

        정주연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복지사는 서비스를 받는 대상과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클라이언트의 질적인 만족을 높게 하기 위해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 경북지역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조직공정성, 직무만족, 이직의도를 알아보기 위해 2013년 5월부터 7월가지 약 3개월동안 직접방문, 우편조사, 이메일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최종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830부로, 인구통계학적 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정 및 ANOVA분석,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 임파워먼트 하위요인 중 자기결정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진다. 둘째, 조직공정성의 하위요인 중 분배공정성,상호공정성이 높을 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진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아진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empowerment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The organization fairn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surveyed 830 people and social workers who are engaged in the Daegu-Gyeongbuk region. By using SPSS 22.0, we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powerment of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justi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is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depeding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empowerment, organizational fairness this was more significant.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age i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everyon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inning the empowerment difference in wag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showed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fairness of the social worker empowerment organization examined how job satisfaction affected the turnover intention. Empowerment is a higher meaning and self-determination of the sub-factors also showed a decrease in turnover. Organizational justice has been shown to have higher mutual fairness and distributive fairness of the sub-factors reduced the degree of separation. Appeared to affect the degree of separation and job satisfaction.

      •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통한 반응작업 경험에 대한 자문화 기술지

        정주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meaning of experience by reflecting one's role as a therapist through response art on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by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To this end, the response art of the researcher, who has experienced art therapy field training as an assistant therapist and main therapist at an elementary school, was analyzed and described using the autoethnography research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graduate student's response art that has experienced art therapy field training in a school. Based on such findings, this research aims to enhance the field understanding of the trainees preparing for the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Furthermore, through the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response art and self-understanding portrayed in autoethnography, this research will provide basic data to expand the possibilities of auto-ethnography in the field of art therapy.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How is the response art experience to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of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and what are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Based on 10 sessions of field training as an assistant therapist in August 2020 and 10 sessions of field training as a main therapist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1 at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 city, this research describes the response art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nclude field training journal, response art, response art journal, conversation record with school officials, the researcher's diary, reflection memo, and others on the case of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The firs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from July to August 2020. The seco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five months, from July to November 2021. This study was formed through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riting, and validity work, and was described according to value coding and longitudinal coding methods. Based on the above, the conclusions to response art experience on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by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are as follows: First, response art on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provided a process for me to explore and have an integral reflection on my role as an assistant therapist and the main therapist within a clinical setting. Second, I came to recognize myself in various relationships formed in the course of treatment through response art in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Third, response art on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allowed the clien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media that they were into during the session and led the therapist to sensibly sympathize with the clients' experiences. Forth, the effects of response art, conducted in a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setting, on the relationship with art therapy were understood. Fifth, the response art on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allowed the graduate student to safely face the emotions arising at the end of sessions and during parting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provided above is as follows: This research is an autoethnography that explores with a focus on the response art of a graduate student majoring in art therapy on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on the provision of experiences on building self-awareness and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help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school art therapy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on response art by a graduate student who has experienced being an assistant therapist and main therapist at school art therapy field training.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관한 반응작업을 통해 치료사로서 자신의 역할을 성찰하는 경험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서 보조치료사와 주 치료사의 역할로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연구자의 반응작업을 자문화 기술지의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경험한 석사과정생의 반응작업이 지닌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토대로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을 준비하는 실습생들에게 실습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석사과정생의 반응작업 경험과 자기 이해에 대한 자문화 기술지를 통해 미술치료 분야에서 자문화 기술지의 활용 가능성을 넓힐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대한 반응작업 경험은 어떠하며,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S시 소재 초등학교에서 2020년 8월에 보조치료사로서 참여한 10회기의 현장실습과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주 치료사로서 진행한 10회기의 현장실습을 중심으로 연구자의 반응작업 경험을 서술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 사례에 대한 현장실습 일지, 반응작업, 반응작업 저널, 학교 관계자와의 대화 자료, 연구자의 일기 및 성찰 메모 자료 등이다. 연구의 1차 자료 수집은 2020년 7월부터 8월까지 2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2차 자료 수집은 2021년 7월부터 11월까지 5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자료 수집, 분석 및 해석, 글쓰기, 타당도 작업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가치코딩과 종단적 코딩의 방법에 따라 서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관한 반응작업 경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의 반응작업은 임상현장 안에서 보조치료사와 주 치료사로서의 나의 역할 경험을 탐색하고 통합적으로 성찰하는 과정이 되었다. 둘째,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의 반응작업을 통해 치료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관계에서 나를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의 반응작업은 내담자들이 회기에서 몰입한 미술 매체의 특성을 이해하고, 내담자들의 경험을 치료사가 감각적으로 공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 안에서 실행한 반응작업이 미술치료 관계에 작용하는 영향을 이해하게 되었다. 다섯째,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의 반응작업은 회기 종결과 이별에 관한 석사과정생의 감정을 안전하게 마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론이 기여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대한 반응작업을 중심으로 탐구하는 자문화 기술지로, 석사과정생의 자기 인식과 성장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학교 미술치료 현장실습에서 보조치료사와 주 치료사의 역할을 경험한 석사과정생의 반응작업에 대한 체험적 자료를 바탕으로 학교 미술치료에 대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들의 이해를 돕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유치환 시 연구 : 아포리즘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주연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치환은 40여년의 기간 동안 많은 시를 저작하면서 활발한 문단 활동을 해 왔다. 이에 따라 선행 연구들이 얻어 낸 성과 또한 다양하였으나, 선행 연구들은 대체로 의지의 시인이라는 관점과 애련의 시인이라는 두 가지 대립적인 관점에서 유치환을 바라보았다. 그러나 이들은 한 시인에 대한 평가라고 하기에는 지나치게 양극적이며, 시인에 대한 평가와 시에 대한 평가를 혼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치환의 시에 대한 연구로는 그 한계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본고는 내용 중심의 평가를 지양하고 형식적인 측면에 더욱 집중하였으며, 이를 통해 유치환 시의 시학을 밝히고 문학사에서의 올바른 자리매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특히 아포리즘과 관련하여 유치환 시의 글쓰기 방식을 유형화하고 시의 생산 방식을 분석하였다. 아포리즘은 의학에서 기원하였기 때문에, 자연과학적인 원리를 지향하고 있으면서도 형식적인 측면에서 간결성과 정형화를 갖추는 과정에서 미학적 원리 또한 지향하게 되었다. 이후 정치·종교·예술 등 물질적·정신적 사유의 영역으로 역사적 변모를 통해 확대되어, 인간과 인간의 정신 등 인류 전반에 관한 통찰을 드러내는 글쓰기의 형식으로 정착되어 왔다. 아포리즘의 통시적 발달과 함께 그 속성은 과학과 예술이라는 이중적인 가치를 함께 지향하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열린 내용open content과 닫힌 형식closed form, 내용의 주관성과 형식의 객관성이라는 상호 모순적인 속성이 드러나며, 이들 상호 모순적인 내용과 형식의 관계에서 유발되는 긴장과 갈등이야말로 아포리즘을 생산하는 動因이며, 독자로 하여금 그 갈등 속에서 작가의 심오한 통찰을 읽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유치환의 시와 아포리즘의 관계는 두 가지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유치환의 시 자체가 가지고 있는 아포리즘적 양상과 시 텍스트의 생산 방식이다. 이를 ①담화 전개와 종결의 아포리즘적 양상의 분석과 ②시 생산에 있어서의 아포리즘의 작용 방식의 분석을 통해 논의하였다. 첫째, 결론지우려는 경향과 논리적 명확성의 정도가 담화 전개와 종결에 있어서 여러 가지 양상으로 드러나며 이들이 아포리즘과의 형식적인 관련의 척도가 된다. 담화 전개 양상은 작가가 세계를 텍스트에 재구하고 있는 양상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즉, 묘사와 진술이라는 방법을 통해 표출된다. 또한 진술의 하위 분류로 논평을 추가하여 논의한다. 논평은 평가를 드러내는 어구들로 표현되는 화자의 판단적 서술 양식으로 선행 혹은 후행 시퀀스sequence의 의미와 가치 등을 설명하여 화자의 의도를 가장 명확하게 드러낸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담화 전개 양상과 함께 시의 종결을 유형화한다. 즉 종결이 드러나는 정도에 따라 생략적 종결 방식과 명시적 종결로 구분하였다. 생략적인 종결의 경우, 독자의 종결에 대한 기대는 충족되지 않고 계속되며, 명시적인 종결의 경우 독자가 더 이상 종결을 기대하지 않게 된다. 독자의 종결에 대한 기대는 텍스트의 단서를 통해 충족되는데, 명확한 종결의 표지가 독자의 기대를 완성하는 경우를 다시 회귀적 종결, 논증적 종결로 구분하였다. 이렇게 본고는 담화 전개와 종결의 양상을 ①묘사와 생략적 종결, ②진술과 회귀적 종결, ③논평과 논증적 종결로 유형화하였다. 이들은 각각 상이한 정도로 아포리즘과 관련을 가진다. 첫번째 유형이 가장 시적이며 세번째 유형이 가장 非詩的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논평적 논증적 텍스트가 가장 아포리즘적 속성이 전경화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작가가 세계에 대한 가치판단을 내리는 논평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과 논리적인 방식에 의해 종결을 구조화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이러한 유형의 텍스트가 아포리즘이 지향하고 있는 결론지움과 논리적 명확성을 추구하고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진술적 회귀적 텍스트는 순환에 의한 의미화 방식으로 해석의 다양성이 제한된다는 점과 작가가 세계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어떤 의미를 이끌어 내고자 한다는 점에 있어서 묘사적 생략적 텍스트 보다 아포리즘의 결정성에 좀더 가깝다. 진술의 방식이 화자가 부각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화자의 권위적인 어조는 한층 더 아포리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묘사적 생략적 텍스트는 불확정성의 원리가 가장 전경화된 경우로, 예술적 충동이 강한 경우로 아포리즘적 속성과는 가장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유치환 시의 생산 방식에서 아포리즘이 작용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아포리즘은 모체로 상정되며, 모체와 시의 각 시퀀스sequence와의 관계에 적용되는 원리에 따라 시 텍스트의 생산 방식을 두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즉, 모체의 ①은유적 확장과 ②환유적 확장이 그것이다. 텍스트 생산의 과정에 있어서 모체와 시의 시퀀스와의 관계가 은유적 또는 환유적이라고 할 때, 유사성에 기반한 선택의 원리가 지배적인가, 인접성에 기반한 결합의 원리가 지배적인가가 그 구별의 근거가 된다. 이렇게 상이한 방식으로 모체가 파생되는 것은 아포리즘과 시의 장르적 속성의 충돌에서 기안한 것이다. ①아포리즘의 은유적 확장은 시 텍스트에 그 모체, 아포리즘을 지시하는 단어 혹은 문장이 존재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 시 텍스트가 그 아포리즘을 등가적으로 반복하거나 상세화하는 경우이다. 결과적으로 시 텍스트에서 추출된 명제적 의미는 바로 그 아포리즘과 같게 된다. 은유적 확장에 의해서 생산된 텍스트는 은유의 원리에 의해 즉 모체인 아포리즘과 유사성에 의해 시의 시퀀스를 생산하였으며, 아포리즘의 의미를 다른 사물이나 개념을 통해 새롭게 인식하도록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은유적 확장에 의해 생산된 텍스트는 아포리즘과는 다른 방식으로 독자에게 소구하게 된다. 이러한 은유적 확장의 경우에는 시의 통일성이 확보됨과 동시에 시 장르의 속성이 전경화된다. 따라서 서정 양식의 궁극적인 목적인 정서적 효과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된다. 이는 시와 아포리즘 장르의 충돌에서 기인한 현상으로, 시의 장르적 속성이 아포리즘의 장르적 속성보다 지배적이기 때문에 서정적 양식의 속성이 두드러지게 된다. ②환유적 확장에 의해서 생산된 텍스트는, 시 텍스트에 그 모체을 지시하는 단어 혹은 문장이 존재하며, 시의 시퀀스가 그 아포리즘과 인과적 혹은 개념적 인접성에 의하여 파생되었을 때를 말한다. 이를 통해 모체인 아포리즘의 의미가 구체성과 타당성을 획득하게 되며, 시 텍스트에서 추출된 명제적 의미는 그 아포리즘을 포함하면서 시 텍스트 전체를 주석적·주제적 특성이 두드러전 것으로 만든다. 앞서 은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두 장르의 충돌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주제적 주석적 양식인 아포리즘의 특징이 더욱 지배적인 경우이다. 그렇기 때문에 독자에게 텍스트의 주제를 이해·설득시키는 데에 의도를 두고 있다. 환유적 확장의 경우, 모체가 논리적 인접성에 의해 확장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 이 사실을 뒷받침한다. 이렇게 아포리즘적 양상과 텍스트 생산 방식의 분석을 통해 아포리즘이 유치환 시의 생산과정에서 핵심적인 動因으로 작용하였으며, 유치환 시 텍스트에 나타난 아포리즘적 양상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유치환 시의 의의를 추출해 보았다. 우선, 유치환의 시의 담화 전개와 종결 양상에 있어서 일상 담화의 종결 관습을 매우 많이 모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그가 시가 '무엇을 하는가'를 더욱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①그의 시는 당대 문단의 여러 유파들과는 달리 시의 기능에 있어서 독자에게 유발할 수 있는 시의 수행적 기능에 충실하였다는 점을 그 의의로 지적할 수 있겠다. 또한 그의 글쓰기 방식이 아포리즘적 양상을 드러내며 아포리즘을 모체로 하여 생산되었다는 점은 이성적이고 철학적인 사색의 결과물인 아포리즘의 깊이 있는 사유를 그의 시 또한 가지고 있을 수 밖에 없다는 점을 드러낸다. 그러나 모체의 변용을 통해 서정시의 본질을 잃지 않는 시들을 생산하고 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즉, 서정시의 아름다움을 놓치지 않으면서 사물에 대한 깊은 통찰과 반성을 잘 드러내고 있는 시편들이 많다는 점을 통해, 그의 시가 ②시를 통해 시적 사유의 영역과 철학적 사유의 영역 간의 융합을 이루려고 시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discusses Yoo Chee-Hwan's poetry in the relation of aphorism. His aphorisms have simply been ignored, especially in the relation of his poetry, through the history of Yoo-Chee-Hwan-criticism, and treated as his private writings like his diaries, letters, and miscellanies. But paid attention to the style of his poetry chronologically, his poetry might be treated importantly with his aphorisms. Chronologically, his poetry has two distinctive stages and styles, i. e. the first(1931~1951) and the second stage(~1964), the poetic and the non-poetic style. The latter, the non-poetic is his very unique style and it has relationship with aphorism. This thesis discusses the relation of his poetry and aphorism on the two levels, intratextual and intertextual. On the intratextual level, I discuss the relation of them through analysis of the modes of discourse development and poetic closure, and on the intertextual level, through the process of text production I analyze the way of the functioning aphorisms as matrix of poems. In Chap. Ⅱ, the general points about aphorism are explained, the history, the traits, the forms, and the contents of aphorism. We can find the origin of aphorism in the natural science of Ancient Greece. Later on, the contents have included politics, morals, human spirit, and so forth as well as natural science, but the forms are very brief and clear for the mnemonic-didatic function and the rhetoric power. It has open contents and closed forms, because It shows the conclusion without premise. So aphorism has dualistic and self-contradictory nature, and it is produced from the conflict of the open contents and closed forms, science and art, the logical and the aesthetic principle, and rationality and mythicism. The firsts of the pairs come from the desires of conclusiveness and logical clarity, and the latters, aesthetic obscurity and indefinity. In short aphorism oscillates these two poles. In Chap. Ⅲ, on the intratextual level, I discuss the relationship of Yoo's poetry and aphorism through analysis of the modes of discourse development and poetic closure. Firstly, The modes of the discourse development can be divided two distinctive features, description and speech, and they show the Yoo's attitude toward the poetic object and the world. Through the description, he represents and imitate the object,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speech, he present the reinterpretation about the object. These two ways of author's reconstructing the world on the text are related to the conclusiveness of the works, and the conclusiveness is a cue of the relation of aphorism. So the speech is closer to aphorism than the description in the attitude toward the poetic object. Secondly, however, because the modes of discourse development is insufficient to reveal the relations between the poetry and the aphorism, I analyze the modes of the poetic closure in poetry. There are three modes of it in the Yoo's poetry, i. e. the contractive, the recursive, and the argumentative closure. The modes of closure are desires of conclusiveness and logical clarity and such desires are aphoristic. They are related to the two modes of discourse development and then Yoo's poetry can be classified three modes of discourse development and poetic closure, that is, the poems composed of the description and contractive closure, the speech and recursive, and the comment and argumentative. The third of them is most closely related to aphorism for it has logical clarity and conclusiveness, on the other hand the first is most distantly related to aphorism for it has aesthetic obscurity and indefinity. In Chap. Ⅳ, the process of Yoo's poetry text production, which explains the aspects of the modes mentioned above,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relation between the matrix and the sequence of the poem, there are two ways of text production, the metaphorical and the metonymical extension of the matrix(aphorism). Firstly, in the text produced by the metaphorical extension, the matrix, aphorism is extended by the principle of similarity. Through this process, the theme of aphorism is actualized in the poem as matrix by metaphorical extension, but the poem and aphorism are differ in the effect of the text. Such poems appeal their readers by the emotional effect, but aphorisms do by their theme. Secondly, in the text produced by metonymical extension, the matrix, aphorism is extended by the principle of contiguity. Through this process, the theme of aphorism is actualized in the poem as matrix by metonymical extension, and the effect of the poem is similar to that of aphorism. Such poems, especially the poems extended by logical contiguity, appeal their reader by the logical validity and the purpose of these text are not the evocation of the emotion like other poems but the persuading the readers and their understanding the theme like aphorisms. Such different ways of text production and the effects of the text are caused by the conflict of the two genre, poem and aphorism. When the poetic properties dominate the poem, the text is produced by the metaphorical extention and the effects are evocation of readers emo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aphoristic properties dominate the poem, the text is produced by the metonynical extention and the effects are the persuading their readers and their understanding the theme. In Chap. Ⅴ, finally, we can find out literary significances of Yoo' poetry though the anlysis above. At first, the fact his poetry imitates everyday discourse in the modes of discourse development and poetic closure means his attitude toward literature. In other words, 'What does a poem' is more important than 'what is like a poem' for him. And according to the fact his poems have aphoristic properties and they are produced by aphorism as matrix, his poetry may be put a high value on by the harmony of the poems and the philosophical speculation.

      • 폐광산 주변 오염토양 및 토양수의 지구 화학적 특성과 중금속 이동과정

        정주연 가톨릭대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폐광산 주변 토양에서 추출한 토양수의 지구 화학적 특성을 통하여 광미로부터 용출되는 중금속의 이동과정과 주변 오염 영향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인 덕음광산은 1935년부터 1960년까지 금과 은을 생산하였으며, 1973년부터 간헐적으로 소규모로 채광되다가 현재는 휴광 상태이며, 약 20만톤의 광미가 야적되어 있으며 하부는 논과 인접되고 있다. 폐광산 주변 논을 중심으로 토양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실험실에서 원심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토양수를 추출하고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 또한 단계별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토양내 원소의 존재형태를 알아보았다. 광미 야적장 주변 토양과 토양수의 pH는 약산성의 띄었으며, 광미 야적장에 가까울수록 pH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광미 야적장 주변 지역이 광미 침출수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실제로 토양과 토양수내 중금속 농도를 Dutch standard와 EPA 음용수 기준 및 국내 음용수 기준과 비교시 평균 농도가 적게는 3배에서 높게는 24배까지 초과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원소들에서 자연농도 이상의 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사지역의 토양과 토양수내 대부분의 중금속은 오염원인 광미 야적장에서 멀어질수록 농도가 감소함을 보이는데 이는 pH 변화와 유사한 결과로 광산배수의 인입과 확산에 따른 경향으로 생각할 수 있다. 같은 지점에서 깊이에 따른 변화는 원소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며 이는 시료의 최대 심도 50cm도 농경을 포함한 인간활동의 영향으로 인해 교란 받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토양수의 중금속 농도는 pH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pH 의존 경향은 토양수내 중금속 농도를 제어하는 과정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연속추출 결과에 따른 토양내 중금속 존재형태와 지구화학 모델링 결과를 토대로 용출/침전보다는 흡/탈착이 더 우세한 과정으로 생각된다. 연속추출 결과, 오염원에서 멀어질수록 교환가능 형태에 비하여 환원 형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이 지역에서 Fe/Mn oxide의 흡착물질로서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덕음 광산 주변 논 토양수의 Al 농도는 Al(OH)3 또는 gibbsite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토양수내 존재하는 중금속은 광미에서 1차적으로 용출되어 토양계에 인입된 후, 토양입자 표면에 흡착, 탈착되거나 일부 원소의 경우 침전, 재용출을 거쳐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Aluminosilicate mineral의 용출, 침전도 토양내 원소 거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Closure of mining activities leaves tailings in the site, subsequently releasing the metals, often with acidic drainage. Potential leaching of metals from the residual tailing and consequent contamination of soil and groundwater are of our primary concern. Metals released from the source area migrate through the soils and then finally sink as pollutants. Understanding of soil solution chemistry is instrumental i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the migration of pollutants in relation to abandoned mine. The Dukum mine was chosen for the study. The mine has been closed since 1973 and there still remain mine tailing, approximate 200,000m3, around the mine and the adjacent paddy.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addy, vacant land and mountain. Soil solution from paddy soil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o understand current chemical changes. Metal concentrations including Cd, Cu, Ni, Pb and Zn generally decrease with distance from the source area and pH of soil solution increase with distance from the source area, from 3.5 to 7.2. Concentrations of the metals in the soil solution generally increase as pH lowers. Maximum values of Cd, Ni, Pb and Zn substantially exceed domestic standard for drinking water, implying input of metals from the mine area. Sequential extraction of the soil revealed exchangeable forms are predominant in the samples near the source whereas reducible forms are higher in the soil samples in the distant. Elemental concentrations in the mine tailing soil solution are a function of geochemical equilibrium, in association with various solubility controlling solid phases. However, pH-dependency and the speciation of soil sample support that sorption/desorption processes can be important in controlling bioavailability and mobility of the metals in the soil solutions, as well as equilibrium.

      • 영상 단말기 사용자의 인지와 신체능력 향상을 위한 작업 환경 개발 연구

        정주연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영상 단말기(VDT: visual display terminal) 사용자들에게서 나타나는 거북목 자세는 목, 어깨 근육들의 통증과 기능장애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주변 혈관의 혈류 장애를 비롯한 스트레스와 기억력 저하 등 다양한 신체적, 생리적, 심리적 그리고 인지적 문제들과 연관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VDT 사용자들의 근골격계 건강과 인지 기능 향상을 동시에 고려한 작업 환경에 대한 연구가 부족해 VDT 자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이 부족한 실정이며, VDT 자세가 사용자들의 작업 기억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DT 사용자들의 작업 자세가 신체적, 혈역학적, 심리적 그리고 인지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머리 무게 보조 중재 환경을 개발하여 인지 및 신체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며(제 1편). 또한, 목견인 상체 직립 보조 중재 환경을 개발하여 VDT 사용자의 근골격계 건강과 작업 기억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를 확인하고자한다(제 2편). 연구 대상자는 하루 평균 4시간 이상 컴퓨터를 사용하는 VDT 사용자를 모집하였으며, 총 37명의 근골격계 및 신경계 질환과 정신과적 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목견인기를 설치한 VDT 작업 환경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제 1편의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VDT 작업 환경(VDT_C: conventional VDT work station), 머리 무게를 보조하는 VDT 작업 환경(VDT_S: head support VDT work station), 의식적으로 직립을 유지한 VDT 작업 환경(VDT_U: upright VDT work station)을 무작위 순서로 중재하였다. VDT_C는 일반적인 작업 환경과 같이 팔이 앞에 위치하고 화면에 집중하면서 거북목 자세가 자연스럽게 나타나도록 했다. 그리고 VDT_S에서는 VDT_C의 거북목 자세에서 견인기를 통해 머리 무게만 보조하였고 VDT_U에서는 견인 벨트로 피드백 자극을 주어 상체 직립 자세를 유지하도록 했다. 측정은 머리-목 각도(CVA: cranio-vertebral angle)로 정렬을 평가했고, 근육긴장측정계를 사용해 양쪽 어깨올림근(LS: levator scapulae), 뒤통수밑근육(SM: suboccipital muscles), 상부등세모근(US: upper trapezius) 그리고 목빗근(SCM: sternocleidomastoid)의 긴장도와 경직도를 측정하였으며, 도플러 초음파를 통해 경동맥의 혈류속도를 측정하고, 시각불편함척도(VADS: visual analogue discomfort scale)를 사용해 불편함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2-back 작업 기억의 오답률과 반응시간을 측정하여 중재에 따른 신체적, 혈역학적, 심리적 그리고 인지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제 2편의 연구에서는 스스로 직립을 유지한 VDT_U, 상체 직립 자세에서 머리 무게를 지지한 VDT 작업 환경(VDT_US: upright support VDT work station) 그리고 상체 직립 자세에서 견인력을 중재한 VDT 작업 환경(VDT_T: traction VDT work station)을 무작위 순서로 중재하였고, 뇌활성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제 1편의 측정 방법에서 QEEG-32Fx를 사용해 델타, 세타, 알파, 베타, 베타 2, 베타 3, 감마파를 측정했으며, 환자감시 장치를 사용해 맥박수와 혈중산소포화도를 추가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제 1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VDT_C에서는 LS과 SM 그리고 SCM의 높은 긴장도와 경직도가 관찰됨과 동시에 작업 기억 과제에 대한 반응시간 또한 증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VDT_S에서는 SM의 긴장도와 경직도가 감소하였고 불편함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P = 0.015). 그리고 VDT_U에서는 LS, SCM의 긴장도와 경직도가 감소했고 경동맥의 혈류속도가 증가했으며(p = 0.012) 작업 반응시간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 = 0.007). 제 2편의 연구결과에서는 VDT_U, VDT_US, VDT_T 모두 CVA 향상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VDT_U와 VDT_T는 작업 기억 과제 수행 능력을 방해하는 뇌활성 결과가 나타났다. VDT_U에서는 의식적인 상체 직립 자세 조절로 인해 과제 시 베타 2 활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 < 0.05), 불편함과 오답률은 VDT_US보다 증가하였다(VADS, p = 0.040; False rate, p =0.024). 그리고 VDT_T에서는 과도한 목견인 중재로 인한 SM의 긴장도와 SCM의 긴장도 및 경직도가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맥박수(PR: pulse rate)가 감소되며 감소된 델타파와 증가된 알파파 그리고 베타 2의 활성이 나타났다(p < 0.05). 반면 VDT_US에서는 자세 조절 없이 상체 직립 정렬이 유지되었고 불편함은 감소하였으며 중재에 의한 근골격계와 생체신호의 유의한 변화 없이 안정적인 작업 기억 과제의 수행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VDT_US는 직립 정렬 뿐 만 아니라 작업 기억 능력과 편안함 향상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VDT 작업에서의 거북목 자세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작업 환경에서 업무 능률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추후에는 본 연구 결과를 확장하여 실제 사무실과 같은 작업 환경에 적용하기 위한 최적의 프로토콜을 개발이 필요하며 업무 효율에 미치는 실질적인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

      • 한중 FTA 체결이 우리나라 농산물 수입에 미친 영향

        정주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trade is increasing worldwide, and accordingly, Korea has signed 17 FTAs in 57 countries, starting with the Korea-Chile FTA in 2004. Among them, the conclusion of the Korea-China FTA allows Korean companies to enter China and secure future growth engines, but China, which has cheap labor in a similar climate,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agricultural products over Korea.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impact of the Korea-China FTA on the im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and find ways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n this study, it was analyzed using a panel data model. It was analyzed using a fixed effect estimation method and a random effect estimation method, and an appropriate estimation method was selected through the HAUSMAN test result. The main explanatory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Korea's import tariff rate to China, and in addition, concession dummy variables and year dummy variable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tariff rates and concessions on Korea's imports of agricultural products to China, it shows that the lower the tariff rate, the higher the import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when concessions are made. The results showing the impact of tariff rates and years show that the value increases from 2015 to 2019, which further affects the increase in imports over time after the signing of the Korea-China Free Trade Agreement.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ariff rate, concession status, and the impact of the year, it can be seen that imports increase as concessions are allowed in the Korea-China FTA. Although the Korea-China FTA protected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at a higher level than other FTAs, it can be seen that the conclusion of the FTA contributed to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imports of agricultural products from China.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national efforts such as implementing policies to protect products with weak competitiveness, fostering young farmers, increasing opportunities for farmers to use FTAs through FTA education, and increasing the market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