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분비백혈구단백분해효소억제제(SLPI) 결손 생쥐에서상처회복의 형태학적차이

        정제오,정순정,박주철,김흥중,Wahl SM,정문진 대한체질인류학회 2005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8 No.3

        Secretory leukocyte protease inhibitor (SLPI) is a serine protease inhibitor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found in mucosal fluids. At the tissue level, the ability of this 12kDa protein is to counteract the excessive degradation of functional and structural proteins such as collagen and fibronectin. Impaired healing states are characterized by excessive proteolysis and often bacterial infection, leading to the hypothesis that SLPI may have a role in this proces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LPI in skin how it contributes to tissue repair, we have generated mice null for the gene encoding SLPI (Slpi), which show impaired cutaneous wound healing with increased inflamm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we have performed wound experiment in skin tissue with morphometrical analyses, immunohistochemistry, and Rnase protection assay. From these analyses, the results were that delayed healing in KO mice wounds compared to that of WT, prolonged inflammatory phase and increased TGF-β1 in KO wounds, and lower mechanical properties in KO wounds. Taken together, SLPI may play a cruical role in cutaneous wounds healing especially in matrix reorganization that suggests the development as a clinical drug for wound healing. 간추림 : 분비백혈구단백분해효소억제제(secretory leukocyte protease inhibitor, SLPI)는 세린계열의 단백분해 억제제로 점액에서 주로 발견되며 항미생물 작용을 지니고 있다. SLPI는 약 12kD의 분자량을 지니며 아교질과fibronectin과 같은 구조 단백질의 과도한 분해를 억제한다. 손상된 조직의 치유는 과도한 단백질의 분해와 박테리아의 감염을 특징적으로 지니고 있으므로 상처의 치유가 느리게 진행된다. 이에 Slpi 유전자가 결손된 생쥐를 이용하여 피부에 상처를 유도한 후 1, 3, 5, 7일째에 조직을 적출하여 다양한 조직화학적 염색법과 면역조직화학적 방법 및 RNase protection 방법 등을 이용하여 상처치유과정을 분석하였다. 조직학적인 분석결과 상처 유도 후, Slpi 결손 생쥐의 적출된 모든 피부조직에서 회복과정이 대조군의 생쥐에 비해 느렸으며, 다수의 염증반응세포들이 장기간 상처부위에 남아 있었다. 또한, Slpi 결손 생쥐에서 아교질의 침착이 느리게 진행되었으며 조직 장력 역시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RNase protection 결과로 발현되는 사이토카인 중 TGF-β1의 발현이 Slpi 결손 생쥐에서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SLPI는 피부의 상처회복에서 상피세포의 이동, 염증반응세포의 유입조절 등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입원한 품행장애아의 뇌파 소견에 관한 연구

        정제,장경준,이영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품행장애아들의 뇌파의 이상 여부를 알아보고자 저자들은 1989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국립서울정신병원 소아 청소년 병동에 입원한 54명의 품행장애 환자와 첫번째 대조군으로서 같은 기간내 입원한 정신분열병 또는 기분장애 환자 41명과 두번째 대조군으로서 같은 기간내 입원한 10명의 경련성장애 환자와 1993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외래를 대상으로 병록지와 뇌파 기록지를 중심으로 뇌파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품행장애군은 정신증군과 경련성장애군 보다 정신과 동반 장애가 유의하게 높았다. 2) 품행장애군은 정신증군보다 질환 이환의 과거력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경련성장애군보다 낮았다. 3) 품행장애군은 일반인보다 뇌파 이상이 높다고 알려진 정신증 환자보다 뇌파 이상이 높았으며 경련성장애군보다는 뇌파 이상은 낮았다. 4) 품행장애군과 정신증군간에 뇌파 유형 차이가 없었다. 품행장애군과 경련성장애군간에 뇌파는 경련성장애군에 간질양이상뇌파가 많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경련성장애군 뇌파가 품행장애군보다 더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 과호흡에 의한 증강 정도는 품행장애군과 정신증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품행장애군과 경련성 장애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경련성장애군이 과호흡에 의하여 더 많은 증강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품행장애와 이상 뇌파는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겠으며 이는 품행장애의 원인으로 환경적 요인 이외에 생물학적 요인인 정신생리학적 원인이 관여하리라 결론을 내릴 수 있다.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conduct disorder has EEG abnormalities. We studied on the abnormal EEG findings in hospitalized conduct disorder and compared them to those in psychosis(schizophrenia or mood disorder) and convulsive disorder. Method : We selected 54 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s who were studied with EEG(16channel Nihon-Koden) at the child-adolescent inpatient ward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 1989 through December 31, 1994. The first control group consisted of 41 pateints with psychosis admitted to the child-adolescent inpatient ward during that period. The second control group consisted of 10 inpatients with convulsive disorders during that period and 31 outpatients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 1993 through December 31, 1994. EEG recordings were reviewed and analyzed according to degrees of EEG abnormality(Hojin Myung, 1973) along with chart review. The diagnosis was made on DSM Ⅲ-R criteria by two psychiatrists and one psychiatric resident. We analyzed data with one way ANOVA and chi-square test. Result : 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 showed abnormal EEG findings more frequently than patients with psychosis who are known to show more abnormal EEG findings than normal population, but less frequently than patients with convulsive disorder, EEG pattern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 and psychosis EEG patterns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conduct disorder and convulsive disorder in terms of highly epileptiform discharge in convulsive disorder. Conclusion : The authors suggest that one of etiologic factor of conduct disorder may be related to psychophysiologic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