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율적인 열에너지 관리를 위한 온실 형상 및 열 교환 장치 위치 개선에 따른 온실 내부 환경 예측

        정인선,이충건,조라훈,박선용,김석준,김대현,오재헌,Jeong, In Seon,Lee, Chung Geon,Cho, La Hoon,Park, Sun Yong,Kim, Seok Jun,Kim, Dae Hyun,Oh, Jae-Heun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1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단면설계 및 열 교환 장치 위치 변경을 통해 온실의 구조 변경을 진행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을 근간으로 하여 개선 여부에 따른 온실 내부 환경을 예측하였다. 단면형상과 열 교환 장치의 개선 후 유속 변화에 따른 시뮬레이션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 때 온도와 균일도는 각각 평균 0.65℃, 0.75%p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해석대상 온실과 같은 소규모 온실의 경우 방열관의 난방성능 개선보다 FCU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유동이 균일한 환경 조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개선 전·후 온실에 환기시스템 적용 시 공기 유동 특성 분석을 위해 시뮬레이션 분석을 진행하였다. 공기 유동과 공기령은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며, 개선 후 온실의 공기령이 개선 전 온실 대비 18초낮게 나타났다. 개선 전·후 온실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개선된 온실에서의 평균온도 및 온도 균일도 상승, 최대편차 감소 등 내부 환경의 균일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선행연구로 개발된 모델은 형상 변경, 열 교환 장치 위치 변경 등에 따라 변화하는 온실 내부 환경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온실 설계, 온실 내 난방시스템 설계 등의 분야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simulation model developed through previous study, inner environmenct of the modified glass greenhouse was predicted. Also, suggested the optimal shape of the greenhouse and location of the heat exchangers for heat energy management of the greenhouse using the developed model. For efficient heating energy management, the glass greenhouse was modified by changing the cross-section design and the location of the heat exchanger. The optimal cross-section design was selected based on the cross-section design standard of Republic of Korea's glass greenhouse, and the Fan Coil Unit(FCU) and the radiating pipe were re-positioned based on "Standard of greenhouse environment design" to enhance energy saving efficiency. The simu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predict the inner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heat transfer with the modified greenhouse structure using the developed inner environment prediction model. As a result of simulation, the mean temperature and uniformity of the modified greenhouse were 0.65℃, 0.75%p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eenhouse, respectively. Also, the maximum deviation decreased by an average of 0.25℃. And the mean age of air was 18 sec.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eenhouse. It was confirmed that efficient heating energy management was possible in the modified greenhouse, when considered the temperature uniformity and the ventilation performance.

      • KCI등재

        2. 일반논문 : 한일 민족영화와 민주영화의 자주상영 운동 -< 파업전야 >와 < 도레이 공장 >을 중심으로-

        정인선 ( In Sun Chung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6 현대영화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1980년대 민족영화라고 불리던 영화군(群)이 제작되어 배급된사회적 맥락을 탐구한다. 특히 이 연구는 1960년대 일본에서 독립영화들이 민주영화라는 이름으로 널리 불리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한일 양국에서 사회운동 및 학생운동이 어느 시기보다 활발히 이루어졌던 시대에 민족영화와 민주영화가 고안된 사회적 콘텍스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민족영화와 민주영화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라 할 수 있는 < 파업전야 >와 < 도레이공장 >을 예로 들어, 두 영화가 제작되고 배급되게 된 경위와 상영 방식을 살펴보고 두 영화가 유사한 문제의식 속에서 금속노조의 결성과정이라는 유사한 주제를 가진 극영화로 탄생했으나 그 자주 상영 과정에서 매우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일본의 경우 메이저 영화 기업들이 영화 배급망을 독점한 것에 반발하여 자주상영 운동이 일어났기 때문에 대안적인 배급 상영망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면, 한국의 경우 검열과 사전신고제라는 제도적 규제로 인해 이들 민족영화는 불법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자주상영의 길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This paper outlines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that a group of cinemas called ‘National Cinema (Minjok Yonwha)’ was produced and distributed. In order to develop this argument,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a fact that independent cinemas were widely called ‘Democratic Cinema (Minshu Eiga)’ during the 1960s in Japan. The appearances of these new terms were deeply related to ideals that the social movements of the 1960s in Japan and 1980s in Korea had pursued. This paper deals with two notable examples of the aforementioned cinemas, The Night Before Strike(1990) of Korea and Dorei Kojo(1968) of Japan. These two independent movies with similar theme, organization of metal workers union, and similar production background were distributed and screened in different ways. In Japan, because independent screening movements occurred against market domination by a few major film companies, formation of alternative distribution networks was an important objective. In Korea, censorship and regulations, by the state, made these national cinemas illegal and forbidden. For this reason, national cinemas had no choice but to have independent screenings.

      • SCOPUSKCI등재

        감자 절편의 호흡에 미치는 Alantolactone 의 영향

        정인선(In Sun Chung),권영명(Young Myung Kwon) 한국식물학회 1982 Journal of Plant Biology Vol.25 No.2

        The oxygen consumption of fresh and aged slices of potato tuber was 40.6 and 168.0 O_2 ㎕/g fr wt·h, respectively. After initial burst of oxygen consumption within 2 minutes(i.e., 40% for fresh and 12% for aged slices) in the treatment of 50μM alantolactone, gradual decrease of respiration rate was observed during 3 hours of incubation. In case of the aged slices the initial burst of oxygen consumption was not observed by salicylhydroxamic acid (SHAM) or KCN. The combined effect of SHAM and alantolactone showed increase of 12%, while SHAM and KCN combination showed 60% decrease. In addition, the lipophilicity of cell membrane of onion inner epidermis was increased by alantolactone treat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imary effect of alantolactone on the cellular respiration may be associated with an alteration of liophilic phase of cell membrane and a consequent increase of electron flow through the cytochrome system.

      • KCI등재
      • KCI등재

        고구마껍질을 주원료로 한 식물혼합물의 면역증강 및 항암효과

        정인선(In-Seon Jeong),강경순(Kyeong Sun Kang),김은혜(Eun-Hye Kim),박승만(Seung Man Park),정미자(Mi Ja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9 No.12

        도라지, 더덕, 옥수수수염을 포함한 고구마껍질 주원료인 식물혼합물의 RAW264.7 대식세포 및 AGS 인체 위암세포에서 면역 활성 증진 효과 및 항암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제품들은 고구마껍질 주원료인 식물혼합물을 함유한 액상 파우치(M3E-A), 농축액상 스틱 파우치(M3CB) 그리고 티백 침출차(M3T-C)이다. M3A, M3B, M3C는 각각 M3E-A, M3C-B, M3T-C를 추출 및 농축 후 동결건조한 분말이다. M3A, M3B 및 M3C는 RAW264.7 대식세포에서 NO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IL-6) 생산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고, NO 및 사이토카인(TNF-α, IL-1β, IL-6) 수준은 M3A 또는 M3C를 처리한 RAW264.7 대식세포에서 M3B를 처리한 RAW264.7 대식세포보다 높았다. 마우스에 M3C(100 ㎎/㎏, 300 ㎎/㎏)를 구강으로 투여하였다. M3C를 섭취한 마우스는 비장세포증식, NO 수준과 사이토카인(INF-γ, IL-10) 수준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250~2,000 ㎍/mL M3A, M3B 및 M3C를 각각 AGS 세포에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AGS 세포 성장을 억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고구마껍질 주원료인 식물혼합물을 이용하여 개발된 제품들이 건강한 사람과 암 환자의 면역 활성 증진 및 항암효과를 위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mune-enhancing activity and anticancer effects of a sweet potato peel-based plant mixture, including Platycodon grandiflorum, Codonopsis lanceolata and corn silk, on RAW264.7 macrophages or AGS human gastric cancer cells. The product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pouches (M3E-A) made by plant mixture extract, stick pouches (M3C-B) made using M3E-A concentrate and plant mixture tea (M3T-C). The M3A, M3B, and M3C were in the form of freeze-dried powder after the extraction and concentration of M3E-A, M3C-B, and M3T-C, respectively. The M3A, M3B, and M3C dose-dependently increas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nterleukin (IL)-1β and IL-6 in RAW264.7 macrophages. The NO and cytokine (TNF-α, IL-1β, and IL-6) levels in the M3A or M3C-treated RAW264.7 macrophage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M3B-treated RAW264.7 macrophages. Mice treated orally with M3C (100 ㎎/㎏, 300 ㎎/㎏), resulted in significantly increased splenocyte proliferation, NO levels and cytokine (INF-γ, IL-10) levels compared to control mice. The M3A, M3B, and M3C (250 to 2,000 ㎍/mL), respectively, inhibited the growth of AGS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oducts using sweet potato peel-based plant mixture may be used for immuno-enhancing and anticancer effects by healthy people and cancer patients.

      • KCI등재

        CFD를 이용한 유리온실 내부 환경 예측 모델 개발 및 검증

        정인선(In Seon Jeong),이충건(Chung Geon Lee),조라훈(La Hoon Cho),박선용(Sun Yong Park),김민준(Min Jun Kim),김석준(Seok Jun Kim),김대현(Dae Hyun Kim)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0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CFD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유리온실의 내부 환경 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확보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주 · 야간 실험 데이터를 경계조건으로 하는 Case 1, 2, 3의 시뮬레이션 예측값은 실험값 대비 평균 2.62℃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편차와 균일도는 각각 평균 1.12℃, 2.92%p 높게 나타났다. Case 1에서 Case 3으로 외기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조성되는 온실 내부 온도는 평균 0.84℃의 차이를 보였으며, R²는 0.9628로 실험값과 시뮬레이션 예측값 간 유사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시뮬레이션 예측 결과 해석대상 온실 내 불균일한 온도분포를 확인하였다. 해석대상 온실의 효율적인 열에너지 관리를 위해 온실 내 방열관과 FCU의 위치 변경, 온실 구조 변경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추후 현장에서의 적용을 위해 정밀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온실 내부 작물 및 구조물 미고려, 온실을 완전 밀폐로 가정하는 등 모델 정립을 위한 조건들에 의한 열전달 현상을 고려한 모델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Because the inner environment of greenhouse has a direct impact on crop production,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develop technologies for controlling the environment in the greenhouse.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technology developed to all greenhouses because those studies were conducted through empirical experiments in specific greenhouses.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develop the models that can be applicable to all greenhouse in real situation. Therefore studies are underway to solve this problem using computer-based simulation techniques. In this study, a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inner environment of glass greenhouse using CFD simulation method. The developed model was validated using primary and secondary heating experiment and daytime greenhouse inner temperature data.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d and predicted value, the mean temperature and uniformity were 2.62°C and 2.92%p higher in the predicted value, respectively. R² was 0.9628, confirming that the measured and the predicted values showed similar tendency. In the future, the model needs to improve by applying the shape of the greenhouse and the position of the inner heat exchanger for efficient thermal energy management of the greenhouse.

      • KCI등재

        영화적 재배치로서 메타버스 영화

        정인선 ( Jung In Sun ),함충범 ( Ham Chung Beom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2 현대영화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표는 사회적·산업적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영화학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메타버스 영화의 형태와 함의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문적으로 완벽히 정의되지 않은 메타버스 영화의 정의보다 현상적으로 드러난 메타버스 영화의 형태와 요소에 대해 집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의 가상현실, 증강현실 영화로 불리면서 만들어지고 있는 많은 영화들이 결국은 메타버스 영화로 재배치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런 사실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사례로 현재 만들어지고 있는 메타버스 영화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메타버스 영화라는 것이 오늘날 다양한 형태로 불리고 있는 영화의 형태를 융합할 수 있는 좋은 용어로서 제시하고, 다양한 형태의 영화들이 메타버스 영화로 재배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aper study on the form and implications of metaverse cinema, which have not been rarely addressed in film studies despite a lot of social and industrial interests. For this purpose, rather than the definition of metaverse cinemas that are not fully defined academ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metaverse cinema types and classifications that were revealed phenomenally. Based on this research, this paper was confirmed that many of the cinema that are currently being called as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films can eventually be integrated into metaverse cinema. Based on this fact, we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cinemas that are currently being made as concrete example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metaverse movies are a good term that can converge the forms of cinemas that are called various forms today, and it is confirmed that various types of cinema can be relocated as metaverse movies.

      • KCI등재

        완전 영화 재사유하기 -바쟁과 바르자벨의 개념을 통하여-

        정인선 ( Jung In Sun ),정태수 ( Chung Tae Soo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9 현대영화연구 Vol.15 No.2

        바쟁이 ‘완전 영화’를 완전하며 총체적인 현실을 재현하는 영화로 정의한 이후 영화학에서 본격적으로 ‘완전 영화’라는 용어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후 그의 ‘완전 영화’에 대한 개념은 다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언급되었다. 이 논문은 통시적 관점에서 바쟁 이전의 완전 영화라는 개념에 초점을 맞추면서 완전 영화의 개념을 재사유하고 있다. 바쟁의 ‘완전 영화’는 관념적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영화 기술적 특성 또한 포괄하는 개념으로 규정되었다. 르네 바르자벨은 바쟁이 완전 영화를 처음 언급하기 2년 전 이미 완전 영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책으로 펴냈다. 그가 상상한 완전 영화는 7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여전히 유의미하다. 또 1929년 조세 제르멩이 바르자벨보다 앞서 완전 영화를 이미 사용하였다. 이러한 통시적 고찰을 통해 완전 영화 개념을 재사유함으로써, 이 연구는 영화의 기술적 요소들과 관념적 요소들을 결합하여 다가올 새로운 형태의 영화들을 상상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실마리를 찾고자하였다. 결국 이 논문은 고유명사처럼 되어버린 바쟁의 ‘완전 영화’에서 보통명사 완전 영화로의 사용을 주장한다. Since the Bazin ‘total cinema’ is defined as a film that reproduces a complete and total reality, the term ‘total cinema’ has often appeared in cinema study. However, after the Bazin, there were a series of studies that only dealt with his ‘total cinema’ concept. This paper studied the concept of the total cinema before the Bazin in the diachronic point of view and rethinked the concept of the total cinema. Bazin’s ‘total cinema’ has an ideological characteristic and has become a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lm. Rene Barjavel published a book concerning the total cinema two years before the bazin first mentioned it. His imagined total cinema is still significant at this moment 70 years later. And the concept of total cinema was already used by Jose Germain in 1929. Through rethinking the total cinema, this study have combined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cinema with the ideological elements to lay the groundwork for imagining new forms of cinema to come. This study argue for a total cinema change in the usual noun in the ‘total cinema’ that has become the proper noun of Bazin.

      •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을 이용한 목재펠릿보일러의 유입공기 온ㆍ습도 제어에 관한 연구

        정인선 ( In Seon Jeong ),김민준 ( Min Jun Kim ),조라훈 ( La Hoon Cho ),박선용 ( Sun Yong Park ),김석준 ( Seok Jun Kim ),이충건 ( Chung Geon Lee ),김대현 ( Dae Hyu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지속적인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로 인해 신재생 에너지의 개발 및 확대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 중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온실가스 감축 의무에 대응 가능한 연료로써 주목받고 있으며, 주로 목재 펠릿의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목재 펠릿은 높은 함수율, 연소 조건 등으로 인해 연소 시 타르(Tar), 재(Ash), 클링커(Clinker) 등 연소 방해 물질이 생성된다. 연소 방해 물질은 보일러 내의 축적되어 열효율 저하, 오염가스 배출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보일러 구조 또는 연료의 개선, 유입 공기 조건 변화에 따른 연소특성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리튬브로마이드(LiBr)의 흡습성질 및 반응열을 이용한 목재펠릿 보일러 유입공기 온ㆍ습도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 부착에 따른 열효율 향상 효과 규명을 위해 원형보일러와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스템 적용 시 원형 보일러 대비 열효율은 약 8.5%p 증가하였으며, 배기가스 분석결과 CO의 농도는 약 0.09%p, NO<sub>x</sub>의 농도는 약 0.001%p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스템을 통한 유입공기의 건조 및 예열이 보일러 내 연소 조건을 개선하여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