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질막 정맥동 혈전증의 산전 진단

        정인국 ( In Kook Jung ),설유리 ( Yu Li Sol ),주종길 ( Jong Kil Joo ),이동형 ( Dong Hyung Lee ),김승철 ( Seung Chul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11 Perinatology Vol.22 No.4

        Thrombosis of the dural sinus in the fetal period is an extremely rare congenital cerebrovascular condition. The exact etiologies and prognosis of dural sinus thrombosis in the fetal period are still unknown due to the extremely limited clinical information available. Therefore, we present a case of dural sinus thrombosis diagnosed by prenatal ultrasound and fet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that spontaneously regressed, with a brief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KCI등재

        자궁근종 환자의 수술 전후 혈중 렙틴의 농도 변화

        정인국 ( In Kook Jung ),김기형 ( Ki Hyung Kim ),나용진 ( Yong Jin Na ),이규섭 ( Kyu Sup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9 No.8

        목적: 자궁근종을 가진 여성과 정상 여성에서 혈중 렙틴의 농도를 비교하고, 자궁근종을 가진 여성에서 자궁적출술 전후의 혈중 렙틴 농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자궁근종과 혈중 렙틴 농도사이에 어떤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자궁근종을 가진 32명의 여성에서 각각 수술 전날과 수술 후 5일째 혈중 렙틴 농도를 측정하고, 정상 여성에서는 본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날에 혈중 렙틴 농도를 측정하였다. 자궁근종을 가진 여성과 정상 여성의 혈중 렙틴 농도를 비교하고, 자궁근종을 가진 여성에서는 수술 전후 혈중 렙틴 농도의 변화를 비교하였고, 이러한 변화가 자궁근종의 절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적출된 자궁 무게와 렙틴의 변화간에 피어슨 상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자궁근종을 가진 여성은 정상 여성과 비교하여 혈중 렙틴 농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자궁근종을 가진 여성에서 수술후 혈중 렙틴의 농도는 수술 전 혈중 렙틴 농도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수술 전후 혈중 렙틴의 농도비 (수술 전/수술 후 렙틴)와 적출 자궁 무게간에 피어슨 상관 분석을 시행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자궁근종 환자에서 혈중 렙틴은 정상 여성보다 낮게 측정되었고, 자궁적출술 후에 혈중 렙틴의 농도는 더욱 감소하였다. 수술 후 혈중 렙틴의 농도는 술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수술 전후 혈중 렙틴의 농도비와 적출 자궁무게 간에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혈중 렙틴의 변화는 자궁근종과 관련한 변화가 아니고 수술 후의 스트레스 및 신경내분비학적인 반응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혈중 렙틴의 농도를 자궁근종의 보존적 치료 후의 혈청 표지자로서 임상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o investigat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uterine leiomyoma and serum leptin levels, we compared serum leptin levels between women with uterine leiomyoma and women without leiomyoma, and then investigate the effects of hysterectomy on serum leptin levels. Methods: Serum leptin levels were measured before (day-1) and after (day+5) surgery for 32 women with uterine leiomyoma and were measured when they visit our health promotion center for 32 normal women. We compared serum leptin levels between two groups, and then we analyzed perioperative changes of serum leptin levels in women with uterine leiomyoma. Pearson correlation test was performed between pre-/postoperative leptin ratio and resected uterine weight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anges of serum leptin levels are directly related with resection of leiomyoma. Results: In women with uterine leiomyoma, serum leptin levels were lower compared with normal group (7.41±4.31ng/㎖ vs. 17.56±8.65ng/㎖) (P<0.05). Postoperative serum leptin levels were decresed than preoperative serum leptin levels (6.07±2.98ng/㎖ vs. 7.41±4.31ng/㎖) (P<0.05).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re-/postoperative leptin ratio and resected uterine weight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Serum leptin levels were lower in women with uterine leiomyoma. And serum leptin levels were more decreased after hysterectomy. There were significant postoperative decrease in serum leptin levels but the result between pre-/postoperative leptin ratio and resected uterine weight revealed no direct correlation. It seems that lower serum leptin levels maybe due to postoperative stress and neuroendocrinological response rather than myoma itself. In conclusion, further investigation is needed for clinical use of serum leptin levels as a serum marker after conservative treatment of uterine leiomyoma.

      • KCI등재

        자간전증 임부에서 임신 제 3삼분기 혈장 안드로겐과 에스트로겐의 농도

        최경화 ( Gyung Hwa Choi ),정인국 ( In Kook Jung ),장성규 ( Sung Kyoo Jang ),이동형 ( Dong Hyung Lee ),김기형 ( Ki Hyung Kim ),나용진 ( Yong Jin Na ),이규섭 ( Kyu Sup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06 Perinatology Vol.17 No.1

        목적 : 중증 자간전증 임부에서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총 테스토스테론, DHEAS, 안드로스테네디온, 에스트라디올의 혈장 농도를 측정하여 정상 임부와 비교하고, 또한 이들 간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4명의 중증 자간전증 임부를 연구군으로 하였고, 임신 전 체질량지수, 나이와 재태연령이 비슷하며 정상 혈압을 가진 28의 임부를 대조군으로 하여, 28~32주 사이에 혈액을 채취하였고, 총 테스토스테론, 안드로스테네디온, 에스트라디올과 DHEAS를 측정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고, p<0.05일 때를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 자간전증과 건강한 임부 양 군간에 임부의 나이, 임신 주수, 임신 전 체질량지수, 임신 후 체질량지수, 출산력, 헤마토크릿, 혈소판 수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 분만 시임신주수, 출생 체중, 크레아티닌, 요산, 요소 농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총 테스토스테론과 안드로스테네디온 농도는 임신 제 3분기에 건강한 임부에 비하여 자간전증 임부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하지만 DHEAS와 E2 농도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총 테스토스테론은 수축기 혈압, 확장기 혈압 및 요산과 양의 상관관계를, 출생 체중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크레아티닌, 요소와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증가된 테스토스테론이 자간전증의 병태생리에 기여하는 중요한 기전중의 하나라고 사료된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maternal plasma androgens and estrogen levels and to assess the role of these hormones in the pathogenesis of preeclampsia. Methods : The groups consisted of 28 healthy pregnant women as well as 24 pregnant women with severe preeclampsia. Plasma total testosterone (T), estradiol (E2),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 and androstenedione (ADD) levels were measured. Statistical analysis was achieved with Student`s t-test by using SPSS for Windows and the Pearson`s coefficient of correlation was calculated. Results :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age, gestational age, body mass index, parity, hematocrit and platelet, wherea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regarding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gestational weeks at delivery, birth weight, serum creatinine, uric acid and urea. In preeclampsia group, serum total testosterone and ADD levels were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sma levels of DHEAS and E2 among the two groups (p>0.05). Serum testosterone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ystolic and diastolic pressure and uric acid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birth weight.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levated plasma levels of testosterone could contribute to the pathogenesis of preeclampsia.

      • KCI등재

        자궁내막증 여성에서 수술 후 GnRH agonist 치료 중 호르몬 보충요법 유무에 따른 삶의 질 변화

        주종길 ( Jong Kil Joo ),정인국 ( In Kook Jung ),김기형 ( Ki Hyung Kim ),이규섭 ( Kyu Sup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6

        목적 수술 후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효능제(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를 투여받는 자궁내막증 여성에서 호르몬 보 충요법의 유무에 따른 삶의 질의 변화를 조사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9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복강경수술을 통해 난소낭종절제술을 시행받고 III/IV기의 자궁내막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3회의 GnRH agonist 투여 시부터 호르몬 보충요법을 함께 시행받은 군과 GnRH agonist만 단독으로 투여받은 군으로 나누어 수술 전과 6번째 GnRH agonist 투여시기 및 GnRH agonist 투여가 끝난 6개월 후에 각각 short form health survey (SF-36)과 골반통, 생리통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두 군 간에 연령, 체질량지수, 병기, revised American Fertility Society score 등은 차이가 없었으며, 호르몬 보충요법을 시행하는 이유는 대부분 폐경 증상의 발생에 의한 것이었다. 골반통과 생리통은 각각의 조사시기에 두 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 기능(physical function)은 호르몬 보충요법군에서 수술 전에 비해 GnRH agonist 6회 투여 시에 오히려 향상된 결과를 보였고, 비보충요법군에서는 수술 전이 GnRH agonist 6회 투여 시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GnRH agonist 6회 투여 시에 보충요법군에서 비보충요법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수술 후 GnRH agonist를 투여받는 자궁내막증 환자에서 호르몬 보충요법을 함께 시행한 경우 통증의 감소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었으며 신체 기능이 더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르몬 보충요법이 이러한 환자군에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back therapy on quality of life during postoperative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gonist therapy for endometriosis. Methods Fifty-on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tage III/IV endometriosis after laparoscopic ovarian cystectomy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10 were divided into GnRH agonist with add-back therapy group and GnRH agonist only group. Add-back therapy was started before third injection of GnRH agonist. Short form health survey (SF-36) instrument was checked preoperatively, at the time of 6th GnRH agonist therapy and 6 months after GnRH agonist therapy.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the mean age, body mass index and revised American Fertility Society score. In most cases, add-back therapy was added because of menopausal symptoms. Pelvic pain and dysmenorrhea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each survey period. At the time of 6th GnRH agonist therapy, physical function in add-back therapy group was improved signifi cantly compared with preoperative period (85.7±8.8 vs. 91.0±10.4, P =0.011). In GnRH only group, physical function at preoperative period was rather higher than at the time of 6th GnRH agonist therapy. Conclusion Add-back therapy during postoperative GnRH agonist therapy showed no negative effect on pelvic pain and dysmenorrhea. Physical function was improved in add back group. Add-back therapy might have an infl uence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receiving postoperative GnRH agonist therapy for endometriosi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 타목시펜 사용 후 발견된 거대 자궁내막용종

        문수현 ( Soo Hyeon Moon ),이성의 ( Seong Eui Lee ),정인국 ( In Kook Jung ),정주은 ( Ju Eun Jeong ),박원영 ( Won Young Park ),이우희 ( Woo Hee Yi ),서동수 ( Dong Soo Suh ),윤만수 ( Man Soo Yoon ),김기형 ( Ki Hyung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2

        Tamoxifen is a synthetic non-steroid anti-estrogen that has been used effectively for several years in the adjuvant treatment of breast cancer. But, the drug has been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endometrial poylp, hyperplasia and adenocarcinoma possibly mediated through its agonistic estrogen properties during the menopausal period in which estrogens are at a low level. Endometrial polyp has been described as the most common endometrial pathology in association with postmenopausal tamoxifen treatment. We present the case of woman with a giant endometrial polyp of uncommon dimension who was receiving adjuvant tamoxifen for 5 years after breast cancer surg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