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암 강세황 가(家) 관련 필첩(筆帖) 자료 탈초·번역 및 해제(1) - 『가서첩(家書帖)』을 중심으로

        정은진 ( Jeoung Eun-jin ) 우리한문학회 2021 漢文學報 Vol.44 No.-

        豹菴 姜世晃의 저작 『표암유고』가 필사본으로 현전하고 있지만, 이곳에 수록되지 못한 시와 산문들이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표암의 자료적 성격을 고려하여, 후손 강구수가 수집한 표암 관련 필첩 『家書帖』을 탈초·번역하고 해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서첩』은 표암의 高孫 강구수가 만든 것으로, 그는 발문에서 표암의 유묵들이 사라지는 것이 안타깝다고 밝히고는 총 14편의 시문을 수록하였다. 그러나 실제 필첩을 살펴본 결과 『가서첩』의 앞부분에 배치된 7편만 강세황의 작품이고 나머지는 7편은 강구수의 부친 對山 姜溍의 작품이었다. 하지만 분량 면에 있어서는 강세황이 작품이 강진의 작품보다 훨씬 많았다. 『가서첩』의 내용을 분석해보면 강세황의 작품은 수서 1편과 간찰 6편이고, 강진의 작품은 간찰 2편, 간찰과 한시 혼합 1편, 한시 4편이었다. 이에 3장에서 강세황과 강진의 작품으로 나누고, 강세황 작품은 다시 수서와 간찰로, 강진의 작품은 한시와 간찰로 나누어 해제를 작성하였다. 강세황의 수서는 1754년 장모의 회갑을 맞이해서 쓴 것으로, 청장년기 강세황의 문학 인식 및 글쓰기 양상, 문학과 회화 양식간의 상호 연관성을 탐색해볼 수 있는 자료였다. 이 외 그의 간찰에는 집안의 負債로 고민하는 모습, 자식을 위해 장을 만들어 보내고자 하는 모습, 자식들의 병마를 염려하며 직접 약을 조제하는 모습, 지인의 부탁으로 장악원 악공을 위해 자리를 주선하는 모습, 벼슬살이로 바쁜 모습 등 생활인 강세황의 모습이 잘 부각되어 있었다. 강진의 한시 자료는 1842년과 1843년 풍양 조씨 인물들과 떠난 금강산 여행 관련 기록과 검서관으로 재직하면서 지은 시로 구분된다. 금강산 여행 관련 한시는 『대산집』에도 수록되어 있고, 검서관으로 재직하면서 지은 5수는 『대산집』에 누락되어 있다. 이 한시에는 강진과 趙萬永·趙寅永·趙秉鉉과의 世交와 知遇, 검서관의 업무와 관련한 강진의 모습은 물론, 청아하면서도 감각적으로 써내려간 강진의 시적 면모가 잘 드러난다. 간찰의 경우는 강진의 중요 산문 작품이다. 검서관으로 출사하기 이전의 일상적 모습과 금강산 여행을 떠날 때의 설렘 등이 표현되고 있어, 한시로만 엮은 『대산집』을 보완해주는 기능을 하고 있다. Currently, Pyoam Yugo, the author of Kang Sehwang(1713-1791), is transcribed as a manuscript, but there are many poems and prose that are not included here. In considera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is Pyo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nge the 草書(the very cursive style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into (the correct form of a character), 正字translate, and give a bibliographical explanation of the pyoam-related album, which was collected by descendant Kang Gusoo. The Gaseocheob was made by Pyoam’s grandson, Kang Gusoo, and he collected a total of 14 poems and prose after saying in the postscript that it was regrettable that the relics of Pyoam were disappeared. However, according to the actual handwriting, only seven of them were produced by Kang Sehwang, and the other seven were by Kang Gusoo’s father, Daeshan Kang Jin. In terms of volume, however, Kang Sehwang had far more works than Kang Jin’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Gaseocheob, Kang Sehwang’s works were 1 Suseo(congratulations on longevity) and 6 Letters, while Gang Jin’s works were 2 letters, 1 poem mixed with letter, and 4 poems. In Chapter 3, Kang Sehwang and Kang Jin’s works were divided into Suseo and letters, and Kang Jin’s works were divided into Chinese poems and letters. Kang Sehwang’s Suseo was written in 1754 for his mother-in-law’s 60th birthday. It was a material to explor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writing patterns, literature and painting styles of Kang Sehwang in the early youth. The letter depicts Kang Sehwang, who was worried about his family’s debt, wanted to make soy sauce for his children, prepared his own medicine for his children’s illness, arranged a seat for a master of music at the request of an acquaintance, and was busy with government posts. The materials of Kang Jin’s poems are divided into records related to the travel with the Pungyang Cho family in 1842 and 1843, and poems written while serving as a book inspector. Poems related to tours to Kumgangsan are also included in Daesanjib, and five poems written while serving as a book inspector are omitted from Daesanjib. In this poem, the exchanges and special relationships with Kang Jin, Cho Man-young, Jo Inyoung, and Cho Byunghyun, the image of Kang Jin as a book inspector, and the poetic aspect of Kang Jin, which is described as clean and sensuous, are well revealed. The letter is an important prose work of Kang Jin. The daily appearance of his career as a book inspector and the excitement of going on a trip to Kumgangsan are expressed, complementing the Daesanjib which is composed only of Chinese poems.

      • KCI등재

        표암 강세황의 연행체험과 문예활동

        정은진 ( Eun Jin Jeoung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5 No.-

        본 연구는 18세기 문예계의 거장 豹菴 姜世晃의 연행체험과 문예활동을 조명한 것이다. 표암은 1784년 10월 건륭황제가 주최한 千수宴에 참석하기 위해, 부사의 자격으로 正使 李徽之·書狀官 李泰永과 중국 연경에 갔다가 1785년 3월에 돌아왔다. 총 5개월의 기간으로 그의 나이 72세에서 73세의 일이었다. 서화에 조예가 깊었던 인물의 연행은 조선시대 매우 드물었기 때문에, 표암의 연행을 재구성하고 그의 구체적 문예활동과 그 특징을 해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표암유고』와 기타 연행 관련 자료를 수합하였고, 부차적으로 표암을 수행했던 好古齋 金洛瑞의 「北征錄」의 내용을 참고하였다. 호고재는 정사 이휘지를 수행하여 표암과 함께 연행에 참여했던 인물이다. 그는 당시의 일정을 일기 형식으로 일목조연하게 남기고 있어, 분명하지 않았던 표암의 연행 일정과 시문 및 그림을 밝혀주는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표암의 삶이 ``詩書畵``라는 코드로 설명되듯이 연행에서의 문예활동 역시 ``시서화``의 코드가 작용한다. 이를 다시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수행원과의 시문 수창과 서화취미 발현``이다. 표암은 정사나 서장관들과 시문 수창은 물론이거니와 서화취미를 발현한 「壽域恩波帖」·「燕臺弄毫帖」·「金臺弄翰帖」 등 시서첩을 수행원들에게 제공하기도 하고, 자신의 우울한 심사를 펼쳐내기도 하였다. 두 번째로는 ``중국인사와의 교류와 예술품평``이다. 중국측 인사들과의 교류는 연행을 경험한 사람들이라면 공통적으로 경험하는 것이지만, 표암의 경우는 예술을 매개로 한층 깊이 중국측 인사들과 교류하였다. 표암은 압록강을 건너 중국 땅에 발을 들여놓기 시작하면서부터 謝降魚·謝廷楠과 같은 인물과 필담을 나누며 벼루 등을 품평하였고, 북경에 도착해서는 翁方綱·劉鏞·博明·和琳·金簡 등 중국측 인사와 시문을 주고받으며 인간적 유대는 물론 서화의 재현과 공유, 예술 품평을 주로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승경의 관람과 사진 작업``을 들 수 있다. 표암은 압록강을 건너 북경으로 여정을 떠나고 돌아오기까지 중국에서 보았던 승경을 거의 빠짐없이 서화로 표출해냈다. 표암은 자신이 목도한 승경을 회화로 발현하였는데, 현전하는 「瀛臺奇觀帖」·「차路三奇帖」이 그 대표적이다. 비록 여타 작가들처럼 연행록과 같은 기록은 남기지 않았지만 그보다 더 강렬한 방법인 회화를 남김으로써, 공공연히 18세기 문예계의 총수라는 직함에 어울리게 연행의 면모와 문예활동의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Pyeoam Kang Seihwang`s travel experience to Beijing and arts. Pyeoam traveled to Beijing, China in October, 1784 at his age of 72 with Lee Hwiji and Lee Taeyeoung for attending celebration of Qianlong Emperor. Although there were many people traveling to Beijing, the people well versed in art and literature like Pyeoam were very rare in the Joseon Dynasty. On this account his traveling to Beijing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cultural history. So I reconstructed Pyeoam`s traveling to Beijing and tried to find out his concrete literary activity and characteristic. For this I initially collected research materials related to traveling to Beijing including Pyeoamyugo, secondarily rebuilt Pyeoam`s unclear Beijing travel schedule with reference to Hogojae Kim Nakseo`s Bukjeongrok who traveled with Pyeoam. Hogojae also traveled to Beijing with Jeongsa Lee Hwiji. He documented the diary styled detail travel schedule, this could play influential roles in finding out Pyeoam`s unclear Beijing travel schedule, Poetry and Paintings. As Pyeoam`s life can be explained in the code of Poetry- calligraphy-Painting, these codes are also found in literary activity in Beijing traveling. So I summarized his literary activity into three categories. First one is the revelation of poetry recitation and interest in painting and writings. Pyeoam wanted to make the book containing the poetry shared with his suite like Jungsa or Seojungkwan, for celebrating. And he gave it to his suite as a gift, expressing his depressed mood. Second one is relationship with Chinese writer and art criticism. Pyeoam exchanged poetry and prose with Chinese Sagangeo, Sajeongnam, Pakmyung, Hwalim and Kimgan. And also he paid attention to Chinese science movement, sanctuary, and western painting. Third one is the watching and drawing of Chinese beautiful scenery. Whenever Pyeoam saw the beautiful scenery, he drew a landscape painting. He drew plants in his own style like peony, orchid, daffodil, sweetbrier, and forsythia as well as beautiful scenery like Gyemunyeonsoo, Seosan, Gojooksung, and Yeongdaebinghi. He drew a picture in detail like a photoand wrote poetry by implication. Although he didn`t leave a record of traveling to Beijing, he left a painting which is stronger than it, so we can find out his aspect of traveling to Beijing and literary activity.

      • KCI등재

        조선후기 지식인의 暹羅[泰國]에 대한 관심과 문학적 형상화

        丁殷鎭(Jeoung eun jin) 대동한문학회 2016 大東漢文學 Vol.46 No.-

        근대 이전 아시아 국가들은 중국 중심의 朝貢 질서 속에, 중국을 드나들며 유교문화권이었던 中國・安南・琉球를 넘어 불교문화권이었던 暹羅・緬甸 등의 사신을 직・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었다. 때문에 조선 사신이 남긴 연행록에는 중국뿐 아니라 섬라 및 면전 등 비한자문화권에 관한 기록이 전한 다. 섬라나 면전을 다룬 기록들은 비한자문화권 및 이역을 접하는 조선 지 식인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에 속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泰國의 전신인 ‘暹羅’에 초점을 맞추어, 조선 지식인들의 관심과 문학적 형상화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양상을 살펴보면 세 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다. 첫번째는 섬라인들과 만나 시문을 수창하거나 직접 교류를 맺은 경우가 있다. 바로 李睟光(1563~1628)과 金堉(1580~1658)이다. 이들은 17세기 초반연행을 하며, 단순한 관찰자의 입장이 아니라 섬라의 사신과 직접 접촉하여 증언을 남겼다. 특히 이수광은 섬라의 지형, 사회계층, 사신들의 규모・의복・음식 문화 등 섬라 전반에 관한 구체적 기록을 남겼고, 특히 사신과 필담을 나누는 등 인간적 교감을 이루고 그것을 한시로 형상화했다. 흥미롭게도 17세기 중반 明・靑 교체 이후에도 조선에서의 연행은 지속되었지만, 조선인과 섬라인의 직접적 교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두 번째는 같은 사신의 행렬에 있으면서 관찰자의 입장에서 섬라인을 기록하는 경우이다. 이 기록은 연행록에서 종종 보이는데, 특히 姜世晃(1713~1791)과 金洛瑞(1757~1825)는 1784년 섬라 사신의 구성원・의복・치아등 외모에 관해 섬세하게 표현했다. 무엇보다도 섬라 사신들이 올린 金葉表文을 접하고 이를 한글과 비교하고, 심지어 국왕 정조에게까지 보고하기도 하였다. 세 번째로는 연행 이후 이역에 관한 중국의 地理書나 백과사전류, 竹枝詞類의 저작을 접함으로써 섬라를 주목한 경우이다. 조선후기 지식인들이 섬라를 비롯한 중국 주변국에 관한 정보를 大明一統志 ・ 大淸一統志 ・ 明史」・ 職方外紀 ・ 方輿勝略 ・ 皇淸職工圖 등 지리지나 역사서, 지도 등을 통해 얻었다. 이에 趙秀三(1762~1849)은 명나라의 方輿勝略 을 토대로 <外夷竹枝詞>를 창작하며 섬라의 지리・복식은 물론 성문화 전반을 표현했고, 李裕元(1814~1888)은 청나라의 皇淸職工圖 를 근거로 섬라의 인재 선발의 특징까지 <異域竹枝詞>에서 남겼다. 이러한 일련의 竹枝詞 類는 조선시대 지식인들이 중국 체험, 독서경험을 통해 세계관의 확대를 겪고 異域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어 나타난 문학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섬라 관련 한시 등 문학작품에는 중국 중심적 華夷論적 세계관은 벗어나지 못해, 섬라의 문화를 부정적으로 표현한다거나 객관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한계도 드러나고 있다. Before the modern times, under the circumstance of tribute to China, Asian nations met Seomra(Thailand) and Myenjeon(Myanmar) ambassadors directly or indirectly which were in a Buddhism cultural area, beyond China, Annam(Vietnam) and Yeugu which were in a Confucianism cultural area. Because of this, the records on Seomra as well as China remained in Beijing travel notes written by Joseon's ambassador. Specially the records on Seomra and Myenjeon are important materials by which we could understand the recognition of Joseon’s intellectual on non-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In this study, I developed the argument focused on the Seomra(Thailand). The aspects of Joseon intellectual’s viewpoint on Seomra are divided into three cases. First case was that they met Seomra people directly and exchanged the poetry and prose such as Lee, sukwang(1563~1628) and Kim yuk(1580~1658). They were not just as observer and left the records, traveling to Beijing and meeting the Seomra ambassador in the early 17th century. Especially Lee, sukwang left the specific records on overall Seomra such as Seomra’s a geography, social class, food and the scale, dress of ambassador. Also he exchanged conversations by writing with Seomra ambassador and embodied the feeling by Chinese poetry. Interestingly, there were no traces of direct cultural exchanges after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although the traveling to Beijing had been continued in Joseon. Second case was that they wrote down about Seomra people as a observer in the middle of the ambassador group. These records were frequently found in the Beijing travel notes. Kang, sehwang(1713~1791) and Kim, nakseo(1757~1825) described the members, dress and teeth of Seomra ambassador in detail. Above all, they read the 金葉表文(Report to king), compared it with Hangul, and reported to King Jeongjo. Third case was that they paid attention to Seomra by reading the Chinese books such as encyclopedia or a geography about foreign counties. The intellectual of late Joseon got information about Chinese neighbors including Seomra through the geography books and history books like 大明一統志 ・ 大淸一統志 ・ 明史」・ 職方外紀 ・ 方輿勝略 ・ 皇淸職工圖 . Jo, susam(1762~1849) wrote the 「外夷竹枝詞」 based on 方輿勝略 of the Ming Dynasty and described the geography, dress and sexual culture of Seomra. Lee, yuowon(1814~1888) left the talent scout characteristic of Seomra based on the 皇淸職工圖 of the Qing Dynasty. These series of 竹枝詞類 could be told the literary phenomenon appearing after Joseon’s intellectual contacted with China, expanded the perspective of the world and enlarged the interest about the foreign country. But because they could not escape from the Sinocentrism, they described the Seomra culture negatively and proved their own limitations of not objective recognition.

      • KCI등재

        정헌(貞軒) 李家煥의 물명(物名)에 관한 관심과 그 실천 -『정헌쇄록(貞軒鎖錄)』과 「잡설(雜說)」을 중심으로-

        정은진 ( Eun Jin Jeou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3 No.-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한자를 유입하여 표기 문자로 사용하였지만, 중국과 달리 표기문자와 음성 언어를 달리하는 이원적 구도를 지니고 있었다. 조선시대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한자가 표기문자의 대표적 수단이었기 때문에, 지식인들은 한자나 한자어로 된 물명을 어떠한 우리말로 대체시킬 것인지 고민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조선후기 실학자들은 소중화의식의 확장·고증학의 발달 등의 영향으로 철학적 담론이나 경세적 주제 외에도, 자학·물명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과정에 물명을 우리말로 풀이한 다양한 저서 『物譜』『才物譜』 등이 출현하였다. 그런데 과연 18세기 조선사회에서 통행되고 있던 한자나 한자어로 된 물명이 과연 우리말과 일치했던 것일까? 아울러 당시 통용되었던 물명류의 저작이 과연 철저한 고증을 거치고 오류를 시정한 다음 저술된 것일까? 라는 의문은 여전히 남아 있다. 본고는 이점에 유의하여 李家煥(1742~1801, 자 廷藻, 호 貞軒·錦帶)을 주목하고자 한다. 이가환은 茶山 丁若鏞(1762~1836)과 함께 18세기 조선의 대표적 실학자이다. 하지만 1801년 辛酉邪獄에 연루되어 죽음을 맞이했던 비운의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문학이나 천문·수학 방면에서 두각을 드러내면서 正祖(1752~1800)에게 깊은 신뢰를 받았다. 이 외에도 그는 한자교육과도 관련 있는 자학이나 물명에도 관심이 깊었다. 이에 필자는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이가환의 저작 『貞軒쇄錄』과 「雜說」을 중심으로, 李家煥의 物名에 관한 관심과 그 실천적 면모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헌쇄록』은 일본 동양문고 『東稗洛誦續』에 전하고 있고, 「잡설」은 국내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된 『詩文艸』에 수록된 것으로 두 저작은 상호 관련된 작품이다. 『貞軒쇄錄』과 「雜說」은 물명류의 저서 형태를 띤 것도 아니고 물명을 우리말로 직접 풀이한 것도 아니다. 『정헌쇄록』은 이가환의 독서 잡기류로, 그 안에는 의복·음식·제도·가옥에 관한 기록 외에도 우리말과 물명의 어원을 고증한 부분이 있다. 이에 반해 「잡설」은 한자나 한자어로 된 물명 등에 대한 정확한 재해석과 오류 시정이 핵심을 이룬다. 곧 이가환은 이 두 저작에서 물명의 원뜻은 무엇이고 우리말은 무엇인가를 철저히 고증하면서, 18세기 時俗에서 잘못 사용하고 있는 오류를 지적하고 보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 두 저작에는 학문 제영역과 일상에서의 이가환의 철저한 탐구심과 고증적 학문태도가 돋보인다. 아울러 당대 이루어지고 있는 物名에 관한 문제점과 방향도 읽을 수 있다. 이가환은 철저한 고증을 토대로 물명을 비롯하여 기타 영역에서도 原義를 철저히 궁구하는 학적 자세가 필요하며, 절대 오류를 답습하거나 견강부회를 하는 식의 학습태도를 지양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왜냐하면 물명이나 기타 한자어 연구는 단순 물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생활을 영위하는 예절과 교양이면서 국가의 경영 곧 백성들의 목숨을 좌우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가환이 제기했던 이 같은 문제의식과 방향은 비단 物名 분야에 국한된 문제일 뿐 아니라, 학문 제반 영역에서 궁구해야할 자세로 생각된다. 이 외에도 『정헌쇄록』과 「잡설」은 1795년경에 작성된 것으로, 丁若鏞의 『竹欄物名考』(19C).李學逵의 『物名類解』(19C).柳僖의 『物名攷』(1824年) 등의 저작에도 영향을 주었다. 곧 이가환은 1801년 삶을 마감했지만, 그의 정신과 학문은 그의 조카 이학규·후배 정약용 등에 이어져 조선후기 실학의 또 다른 지류를 마련하였던 것이다. The Joseon Dynasty had dualism of written letters and vocal language since inception of Chinese character. Scholars had concern on how to translate the Chinese-charactered name of things into Korean because it is common to use the Chinese character even after Korean character was invented. Especially the Sillhak schola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studying not only the philosophical discourse but also the graphonomy and the name of a thing and they were influenced by the growth of little Sinocentrism perception and a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During this process, they produced many kinds of books in which Korean name was translated into from Chinese name. For example, the books of 「Mulbo(物譜)」 and 「Jaemulbo(才物譜)」 were written. But there is still some questions. First, "Is the name of a thing in Chinese character matched exactly with the spoken Korean in 18th century", Second,"Is this book of the name of a thing written after thorough historical research and revising errors". I will give an attention to Mr. Lee, Gahwan(1742 ~1801) based on this point. Lee, Gahwan is a representative Silhak(實學) scholar with Jeong yakyong(1762~1836) of the 18th century. But he is a misfortune man killed in the involvement of Sinyuoksa(1801). He made his mark in the literature, astronomy and mathematics, and was trusted very much from King Jeongjo. Above this, he was interested in the graphonomy and the name of a thing related much with Chinese education. So I have an intention to study Lee Gahwan`s interest of the name of a thing, focusing on 「Jeongheonswaerok(貞軒쇄錄)」 and 「Jabseul(雜說)」 which did not receive attention. 「Jeongheonswaerok(貞軒쇄錄)」 is remained in Dongyangmungo of Japan and 「Jabseul(雜說)」 is handed down only in Simuncho of Korea national library, and these two books are inter-related closely. 「Jeongheonswaerok」 and 「Jabseul」 have no structure of the name of a thing and don`t explain the name of a thing in Korean language. 「Jeogheonswaerok」 and 「Jabseul」 is not the book like books showed above which explain the meaning in Korean language. 「Jeongheonswaerok」 is a kind of short book report and in this book there is the part which explains the apparel, food, system, hosing, and the etymology of Korean and Chinese-charactered names. 「Jabseul」 focused on the exact reinterpretation and correction about the Chinese- charactered names. He verified what i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name of a thing and what is translated into in Korean language. He want to rectify the misuse of the name of things. This is the prestep for writing a book about the name of things. Lee, Gahwan`s work, 「Je ongheonswaerok」 is handed down in Dongyangmungo of Japan, and this book is related with 「Jabseul」. The subject material of 「Jeongheonswaerok」 is contained partially in Jabseul. These two works show Lee, Gahwan`s spirit of inquiry and historical research. In addition, the problem and direction on the name of a thing could be found in these two works. He thought the academic attitude of seeking the original meaning of the name of a thing was needed and the study attitude of sophistry or following the same bad methods should be rejected, because the study of the name of a thing do not merely stay in the name of a thing but it could be the etiquette and the base which might determine the life of people. From this view point, the theme and direction proposed by Mr. Lee, Gahwan are considered not only in what attitude we should educate the Chinese character and writing but also the attitude we should keep in all areas of study. Except for this one, Jeongheonswaerok and Jabseul were written in about 1795 and these two books influenced 「Juklanmulmyunggo(竹欄物名考)」 of Jeong, yakyong and 「Mulmyungryuhae(物名類解)」 of Lee, hakgyu. Even though Lee, Gahwan passed away in 1801, his spirit was handed down to his nephew, Lee hakgyu, his junior, Jeong, yakyong, and established the basis for a different kind of Silhak(實學) in late 18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