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성격강점이 학교생활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정은정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on the premise to help adolescents get happiness in school life their mainly living territory makes life happier and it brings positive effect and makes adapt to adulthood, analyzed difference between character strength and school happiness and character strength up to adolescents personality to basis positive psychology, through precedent study and theoretical review it make structured measure and analyzed a total of 647 data is distributed to adolescents in Gwangju middle and high schools.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s process to use analysis of frequency,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llowing gender and school class of adolescents the character strength shows no difference between both, but only excellence different up to gender. Second school happiness show difference in gender and school class of adolescents, following psychological stability in self-efficacy, environmental satisfaction, joy of learning activities show difference in gender, but friendship, relationship in teacher, environmental satisfaction in school class. Third the relationship of character strength and school happiness in adolescents show relevant to statically and also match up with theoretical direction. Fourth the adolescents character strength have static effect on school happiness. Therefore, in this study show the adolescents character strength effect on school happiness, for this figure out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haracter strength and school happiness, and has a signification from basic data what is the most important to reinforce school happiness. Prior to this for promotion to adolescents school happiness provision of supportive environment able to character strength and educational action and consulting will be come into action.

      • 양파발효음료의 품질특성 및 기능성 탐색에 관한 연구

        정은정 창원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Vinegar is a versatile product that has been produced worldwide for centuries. It is commonly used as a preservative and condiment due to its strong acidic tastes and a unique flavor. With an increase in health consciousness, various vinegar seasonings as well as demand for products related to vinegar such as fermented vegetable beverages are rising. Domestic onion production in 2007 was reported to be 1.2 million tons and its production was the highest excluding Chinese cabbages. Onion has been for a substantial flavor agency to serve the various tastes such as sharp, spicy, tangy and pungent or mild and sweet, and contributes to the nutritional value. Furthermore its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inflammatory, anticholesterolemic, anticancer, and antioxidant properties have been validated from a long time. The pattern of onion consumption shows that consumers used onions for seasoning (75.7%), raw salad (15.3%) and side dishes (8.5%) such as pickling, but it was estimated that onion produced in 2005, used for only 1.5% for processing food products. Domestic onion farmers, hardly a profit since onion price fluctuated due to increased in production cost and cheaply imported onion. Therefore, it research has been directed towards developing processed onion products in order to create a continuous income of peasant and meet the customer demanding quality standardization and nutraceutical values. In this study, therefore, onion beverages were produced by alcoholic and acetic fermentation processes by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Acetobacter pasteurianus from onion extracts (OE), and the processing was standardized to commercialize and their functional activities such as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fibrinolytic effects were investigated. Intially, sugar contents (13 oBrix) were measured for alcohol fermentation and agitation rate (300 rpm) for fast fermentation method of vinegar. Taste compound analysis of three onion products as OE, onion wine (OW), onion vinegar (OV) produced through acetic acid fermentation, showed that the major ones were acetic acid among organic acids and urea among non-protein nitrogen compounds.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OE, OW and OV were extracted by Mixxor apparatus and analyzed by GC/MS. Components of 49, 69 and 70 were identified in OE, OW and OV respectively. These components included sulfur containing compounds, alcohols, acids, ketones, esters, aromatic compounds, aldehydes and pyrazines. Major flavor classes, sulfur containing compounds (36.7%), acids (31.2%) and aldehydes (13.5%) in OE were changed into alcohols (56.2%) and acids (26.6%) in OV and acids (80.6%) in OV. Remarkably the total contents of sulfur containing compounds especially 2,5-dimethylthiophene including antioxidant activities increased during alcohol and vinegar fermentation. The optimal formulas for fermented onion beverages were calculated using a central composite desig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independent variables obtained from the reaction surface regression analysis for brown sugar (BS), apple extracts (AE) and Citron extract (CE)/Omija extracts (OE). Optimized formulas for Citron-onion vinegar beverage (COV) (OV : water : BS : AE : CE = 6.0 : 77.6 : 4.9 : 9.2 : 2.3 (w/w)) and Omija-onion vinegar beverage (OOV) (OV : water : BS : AE : OE = 10 : 72.3 : 4.4 : 12.2 : 1.1 (w/w)) were determined by RSM. The fermented onion beverages revealed a desirable nutrition values (total phenols: 33.3 mg/100 g in OV, 14.8 mg/100 g in COV and 19.3 mg/100 g in OOV, flavonoids: 3.0 mg/100 g in OV, 2.6 mg/100 g in COV and 3.1 mg/100 g in OOV, quercetin: 2.4 mg/100 g in OV, 1.4 mg/100 g in COV and 1.9 mg/100 g in OOV) and Major classes of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fermented onion beverages (FOV) were terpene derivatives (54.7%) and acids (29.4%) in COV, and acids (37.8%) and furans (29.0%) in OOV. Noticeably, 2,5-dimethylthiophene originated from OV, maintained in FOV. Therefore studies were needed on distribution stability of bioactive compound such as 2,5-dimethylthiophene for commercial application of FOV. FOV showed an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and Enterobacter aerogen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antioxidant effects of COV and OOV were 18.2 and 18.1% in DPPH radical inhibition and 11.5 and 11.1% in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respectively. Fibrinolysis was observed only in OV (1.5 times plasmin) but it indicated that FOV have nutritional values and a good quality as well as potential biological activities for functional beverages.

      • 항공사 기내식 서비스 품질이 고객감정반응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은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Recently, many airlines have recognized that facility investment reaches the limit because it is difficult to differentiate in-flight physical environment. Meanwhile, price competition becomes more intense as LCC is gradually making a soft landing in the market, and therefore they are looking for the ways to increase customer loyalty. In this business environment, the growing interest in well-being has naturally led to more concern with the quality of cabin meals, and investments in the meals have now become a differentiating strategy for airlines to maintain existing customers, increase their loyalty, and even attract new customers. Therefore, it is fully meaningful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in-flight meals on brand loyalty and its significance on the business strategi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839 Koreans, Chinese, Japanese, and English-speaking people. As a result, the service quality of airline meals was divided into four sub-factors of taste, diversity, appearance, and service. Each factor was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In addition, the four factors of in-flight meal service qua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loyalty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s' emotional responses, and it was confirmed that involvement, which is a moderating variable, has the affec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ste factor of in-flight meal service and brand loyalty.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among nationalities showed that English-speaking, Japanese, and Chinese customers regarded service, taste and diversity as important respectively. The English speaking respondents were more sensitive to cabin 'service', Japanese regarded 'taste' as important, and Chinese regarded the diversity and quantity of the menu as important. The use of involvement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the identification of differences in major nationalities by meal type is considered to be a differentiated outcome of this study, but it is somewhat regretful that we have not secured enough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population. If these limitations are compensated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thought to help airlines to prevent the deviation of existing customers and improve their brand loyalty by efficiently managing an in-flight meal system by each aviation route. 현재 많은 항공사들은 기내 물리적 환경에 두드러진 차별화를 두기 어려우므로 설비투자 부분은 한계에 이르렀다고 보고 있다. 한편 LCC가 점차 시장에 연착륙하면서 가격경쟁이 더욱 치열해지자 고객충성도를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에서 볼 때, 웰빙식에 대한 관심의 증대는 자연스럽게 기내식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고, 기존고객의 유지와 충성도 증대 및 새로운 고객유치를 위한 기내식에 대한 투자는 이제 항공사의 차별화 전략으로서 자리매김 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므로 기내식이 브랜드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경영전략에 어떤 의미를 주는지 살펴보는 것은 충분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인·중국인·일본인 및 영미권 83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항공사 기내식 서비스 품질은 맛․다양성․외관․서비스 4개의 하위차원으로 나뉘었으며, 각각의 요인이 고객 감정 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그리고 기내식 서비스 품질의 4가지 요인은 고객감정반응을 매개로 하여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기내식의 서비스와 맛에 대한 조절변수인 관여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국가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미권은 서비스 요인, 일본은 맛 요인, 중국은 다양성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미권의 경우 기내에서의 ‘서비스’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며, 일본은 ‘맛’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중국은 메뉴의 다양함과 양을 중요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여도를 조절변수로 사용하였고, 기내식에 대한 주요 국적별 차이를 알아 본 것은 본 연구의 차별적 성과로 사료되나, 표본의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을 좀 더 확보하지 못한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향후 연구에서 이러한 문제점이 보완된다면, 항공사들은 노선별로 기내식 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기존 고객의 일탈을 막고 브랜드의 충성도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국가 직무능력 표준 기반 미용사(일반)국가 기술자격증 제도의 현장 활용성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은정 남부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국가직무능력표준기반 미용사(일반)국가기술자격증제도의 현장활용성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은정 지도교수 : 김춘득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현대사회 개인의 미적 욕구가 증대되어 헤어스타일에 관심이 커지고 매체의 발달로 새로운 헤어스타일 및 개성에 맞는 연출을 위한 머리손질이 빈번해지고 있다. 미용 산업은 인간의 기본 욕구 충족과 함께 문화생활의 일부로 인식함으로써 서비스 중심 사회라 불리어질 만큼 서비스 영역이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다. 자격검정제도는 직업교육·훈련과 자격이 서로 밀접하게 관계 되지 않은 상태로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과 서로 동떨어지게 실시되어 현실을 반영하지 못한 채 비효율적으로 운영되어왔다.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던 국가기술자격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 정부는 ‘학벌이 아닌 능력중심사회 만들기’ 국정과제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자격정책을 다양하게 개편하고 있다. 그 중 기존의 검정형 국가기술자격을 NCS를 기반으로 출제기준을 개편하여 2016년 7월부터 NCS 기반 검정형 국가기술자격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격증 검정제도와 관련 현황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아보고, 기존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증 실기시험 출제 기준이 NCS기반으로 개편됨으로써 국가직무능력표준 (NCS)에 의한 자격제도의 현장 활용도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증이 NCS기반 국가기술자격증으로 실기시험 출제 기준이 2016년 7월 개편됨으로써 미용사(일반)국가기술 자격취득 예정자들의 NCS에 대한 인지정도, 기존 교육에 대한 사전 인식도, 자격증 제도의 전반적 만족도를 조사하여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증 취득자가 현장에서 제대로 적용 가능한지를 알아보고 NCS기반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증제도의 현장 활용성 만족도를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기존 교육과정에서 현장 활용가치가 가장 높은 종목을 분석한 결과 ‘퍼머넌트’가 46.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커트’ 42.6%, ‘헤어컬러링’10.9%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퍼머넌트 종목이 현장 활용가치가 가장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기존 교육과정에서 현장 활용가치가 가장 낮은 종목을 분석한 결과 ‘휭거웨이브’가 65.7%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헤어컬러링’18.6%, ‘롤러 컬’ 15.7%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휭거웨이브 종목이 현장 활용가치가 가장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NCS기반 국가기술자격증제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이다. 먼저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²=1838.356(p=0.000)이므로 변수들 사이에 요인을 이룰만한 상관관계가 충분하고, KMO의 표본적합도 점검결과 KMO 값이 0.802로 나타났다. NCS기반 교육과정 수료 후 취업 시 가장 중요한 분야를 분석한 결과이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실무능력’이 40.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성’ 34.3%, ‘자격증’ 25.1% 순으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NCS기반 교육과정 수료 후 취업 시 실무능력을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NCS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활용성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먼저 NCS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활용성 만족도는 ‘그렇다’ 3점, ‘보통이다’ 2점, ‘그렇지 않다’ 1점의 Likert 3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NCS기반 교육과정의 현장 활용성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NCS기반 국가기술자격증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먼저 NCS기반 국가기술자격증의 전반적 만족도는 ‘그렇다’ 3점, ‘보통이다’ 2점, ‘그렇지 않다’ 1점의 Likert 3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NCS기반 국가기술자격증의 전반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인 NCS기반 국가기술자격증의 만족도는 평균 2.46점으로 나타났다. 기존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증 실기종목에서 현장 활용 가치가 가장 낮은 종목인 ‘휭거웨이브’ 가 개편 된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증 실기 종목에서 제외되고 현장 활용성 가치가 가장 높게 나타난 ‘샴푸’가 추가 되면서 NCS기반 미용사 (일반) 국가기술자격 제도의 만족도가 82%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대학, 고등학교 졸업 후 발급되는 면허를 취득 후에 미용산업현장에 근무한 경우 이전의 경우엔 현장실무나 취업을 중단하고 자격증 취득을 위한 재교육을 받은 후 재취업을 하여왔다면 NCS기반 미용사 (일반) 국가기술자격증은 본 연구자의 경험과 설문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현업을 지속하면서 자격증을 취득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개편 전 자격증은 단지 자격증 시험을 위한 기본적인 기술을 익히는 단순 학습이었다면 개편된 NCS기반 자격증은 미용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실무위주로 이루어졌다고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개정된 NCS기반 미용사(일반) 국가기술자격증은 현장 활용성 및 만족도가 높아 자격증 취득자들의 빠른 성장과 직업관, 미용인으로써 책무를 가지고 성장할 것으로 사료되며. 바람직하게 개정된 결과를 보았을때 미용문화의 사회적 발달과 미용산업의 국가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 기대해 본다.

      • 미용실 선택 시 고객 서비스 만족도 결정요인 : 20-40대 남성 고객을 중심으로

        정은정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the material and spiritual room due to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mproves the quality of human life, increases the proportion of service industry, and makes major trans-valuation from product-centered to customer-focused. It is time to inspect the existing services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male customers to improve services for them, because the men are emerged as new major consumers in the beauty industry.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beauty salon use of males between the ages of 20 and 40 as first action and extracting the determinants with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the revisit intention when choosing salons. The samples are 343 males between the ages of 20 and 40 who live in Seoul and Incheon. The statistical methods were composed of a cross-tabulations, Cronbach's α coefficient, t-test and one way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male customers’ general attitude toward the beauty salon, 59.8% of the respondents made their own decision for the salon use. 63.3% visited the beauty salon once a month, 45.2% spent 10,000-20,000 won per a visit. 80.5% replied they usually use hair cut service, 42.6% visit an ordinary beauty shop near their house and 64.1% go just one beauty shop. The purpose of visiting the beauty salon is for a regular hair styling.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using the hair salon is the hairdresser's skill.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e staff‘s friendly services appeared the most important factor. The technical services, the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services, the customer care services were in order. 3. It showed that when the customer care services became better, the revisit intention increased up to 0.262, the staff's friendly services made it rise up to 0.226, and the technical services made it go up to 0.178. Therefore, all the factors affected the revisit intention of beauty salons. Especially the customer care service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With the above investigation, we find out that male customers are sensitive to human services such as the staff's friendly services and the customer care services when choosing salons. In the past, the technical factors were significant determinants when choosing salons. But now, changes in consumer needs and values make customers place value in human services. Thus, the following marketing strategies are required in the beauty services market for men. Firstly, we need to focus on investments in systematic training program for technical improvements and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with improved services. Secondly, although the salon has a growing number of male customers, the average expenditure is not high. It has not only to have a reasonable price system, but also need efforts to maintain the quality of services. Thirdly, the personal care program and the time schedule services should be made also. In conclusion, we have to maintain continuous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and raise their loyalty and revisit of customers in the situation that the competition in the beauty market grew more intense. and customers' expectations and needs are increased more and more. 오늘날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변동으로 인한 물질적, 정신적 여유는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서비스 산업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 제품중심에서 고객중심의 가치로 전환되고 있다. 특히 미용 서비스 산업은 여성 고객층이 미용실의 최대 관심사였던 과거와 달리 남성들이 소구계층으로 부각되면서 남성 고객에 대한 기존 서비스와 마케팅 전략에 대한 점검 및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20-40대 남성들을 대상으로 미용실 이용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고객 서비스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를 통해 미용실 선택시 결정요인을 도출해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인천 지역에 거주하는 20-40대 남성 총 343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하였으며, 교차분석, Cronbach's α계수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 고객의 미용실 이용 현황에 대해 분석한 결과, 미용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에 대한 경우 59.8%가 본인의 결정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용실 이용횟수의 경우 ‘월 1회 정도’(63.3%)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용실 이용 시 지출비용의 경우 ‘1-2만원 미만’(45.2%)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로 이용하는 미용실 서비스의 경우 ‘커트’(80.5%)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용실 형태의 경우 ‘동네 미용실’(42.6%)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용실 이용방법의 경우 ‘한 미용실만 이용한다’(64.1%)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용실 이용 동기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정기적인 헤어 스타일링을 위해서’가 미용실 이용 동기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용실 이용 시 중요 고려사항의 경우 ‘미용사 헤어 기술’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실 선택 시 고객 서비스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를 분석한 결과, ‘직원친절 서비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술 관련 서비스’, ‘시설 및 환경 서비스’, ‘고객관리 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관리 서비스가 높아지면 재방문 의도는 .262 상승하고, 직원친절 서비스가 높아지면 재방문 의도는 .226 상승하며, 기술관련 서비스가 높아지면 재방문 의도는 .178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실 재방문 의도에 고객관리 서비스, 직원친절 서비스, 기술관련 서비스는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고객관리 서비스는 재방문 의도의 향상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상기의 내용을 통해 미용실 선택에 있어 남성 고객들은 미용실의 고객관리 서비스와 직원친절 서비스 등 인적 서비스에 민감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거에는 기술적 요인이 미용실 선택 시 중요한 결정 요인이었지만 정보화 시대를 겪으며 미용 기술 교육기관이 발전하였으며, 소비자 욕구와 가치의 변화로 기술을 중요시 했던 부분에서 인적 서비스에 가치를 둔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남성 고객을 위한 미용 서비스시장의 다음과 같은 마케팅 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첫째, 기술관련 서비스에 대한 투자와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에 중점을 두고 서비스 개선과 교육을 통한 고객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인적서비스 교육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야 말로 미용기술 품질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인 동시에 미용실의 생존과 번영에 핵심이 되는 충성고객을 만드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시대의 변천에 따라 패션 감각이 뛰어난 젊은이들이 늘어나면서 미용실을 찾는 남성 고객들이 증가하고 있지만 지출 비용은 높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여 신뢰성을 쌓을 수 있는 요금제도가 필요하다. 남성 고객이 미용실 이용에 부담이 되지 않는 가격 선을 조정하고, 서비스의 질을 유지하는 노력 또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정보화 시대에 걸맞도록 개인관리 프로그램과 시간에 쫓기는 남성들의 사회생활의 리듬에 맞춰 시간 예약제도 서비스 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병행해야 한다. 따라서 미용실 간의 경쟁은 심해지고 고객의 기대와 욕구는 높아지는 경향 속에서 고객의 재방문과 충성도를 유지하는데 있어 헤어디자이너는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유지를 통해 단골 고객을 유지하고 평생고객 유치에 힘써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교사의 교수유형이 중학생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은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teachers teaching style in social classes affects students learning attitudes in the social education and to provide new data and materials aimed to teach social lessons more effectively. It mean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students attitude such as student interest, concentrat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learning desire as well as teachers teaching style in social classes, the study focused on presenting an effective social lesson and providing necessary relevant data. For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491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u-Won district. Statistics implemented in this study were frequent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with the exemption of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each low primary factors such as student interest, concentrat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learning desire of soci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o go in deeper, students influenced by the factors of soci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except achievement motivation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01 level. Similarly, this study also showed gender of students differentiated in the soci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exclusive of achievement motivation from p<.01 level, that is, male students were to be superior to female students in soci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The gender of social teachers also influenced on soci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making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p<.01 level, that is, instruction of female teachers resulted in superior consequences than male teachers. It means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did not influence much on student's social education learning attitude from p<.05 level. Second, according to teacher's teaching style, the social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such as student interest, concentrat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learning desi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average of the four teacher's teaching style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over standard deviation group as the one who recognized each teacher's teaching style strongly and under standard deviation group as the one who recognized it weakly and this study investigated social studies learing attitude of each group. Above all, the social studies learning attitude of a group thinking social teacher as a mediation type strong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p<.001 level, compared to the other group. When regarding social teacher as a mediation type, a group was more affirmative in social studies studying attitude, compared to the other group. The results were similar in the case of explanation, motivation and guidance type : a group recognizing social teacher as each type strongly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p>.001 level, compared with the other one. When regarding social teacher as explanation, motivation and guidance type, a group showed more affirmative attitude than vice versa in student interest, concentration, achievement motivation and learning desire of social studies learning attitude. In addition, to investigate which type of a teacher affects students' social studies learning attitude positively among the above mentioned teachers types in social studies learning attitude, a variable analysis and post test concerning a group of recognizing social teacher as each type strongly were administered. As a result, the motivation teacher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p>0.001 level, compared with the other one.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this study, regarding social teacher as motivation type, not the explanation type, was to be more affirmative in achievement motivation element of social studies learning attitude. 본 연구는 민용성이 개발한 「교수유형분석도구」로 분석된 한국교사의 교수유형을 바탕으로, 사회과 교사의 교수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과 수업에 대한 흥미, 주의집중, 학습의욕, 성취동기 등의 학습태도와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성공적인 사회과 수업을 경험하기 위한 최적의 교수유형을 파악하여 사회수업 전개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사회과 교사의 교수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학습태도(흥미도, 주의집중, 학습의욕, 성취동기)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효과적인 사회수업을 전개하는데 도움이 되고 앞으로 사회과 교사는 사회수업에 가장 적절한 교수유형으로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이 사회 학습에 잘 참여하도록 유도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사회과 교사의 교수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사회학습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수원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1, 2, 3학년 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표본 추출을 하였다. 조사대상의 추출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학교와 수원시 중산층 지역에 위치하는 학교로 선정하였고, 각 학교별로 250명씩 총 500명을 추출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응답내용의 일부가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한 491명의 설문지만이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조사도구는 사회교사의 교수유형을 묻는 설문지와 사회학습태도에 관한 설문지로 구성되었다. 교수유형을 묻는 설문은 민용성(2004)의 「교수유형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분류한 한국교사의 9가지 교수유형을 바탕으로 실시된 문경상(2007)의 고등학교 교사의 교수유형 연구에서 특히 사회과에 주로 나타난 4가지 교수유형인 설명형, 중재형, 안내형, 동기유발형을 설문의 내용으로 구성했으며, 민용성이 사용한 설문지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의 내용과 관련된 설문조항을 발췌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ㆍ보안하여 재구성하였다. 학생의 사회학습태도에 관한 설문은 한국교육개발원(1992)에서 제작한 학습태도 검사문항을 본 연구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였다. 각 설문지에 대한 신뢰도는 교수유형 Cronbach's α=. 881, 사회학습태도 Cronbach's α= .915로 높게 나타났다.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에 대해서는 Scheffe' test를 사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력을 제외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사회학습태도의 하위요인인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년에 따른 사회학습태도 중 성취동기를 제외한 다른 요인인 흥미도, 주의집중, 학습의욕에서 모두 p<.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생의 성별에 따른 사회학습태도는 성취동기를 제외한 하위요인에서 p<.01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남학생의 학습태도가 여학생의 학습태도 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사회교사의 성별에 따른 학습태도는 모든 하위요소에서 p< .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여교사의 경우 남교사일 때보다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모의 학력에서는 학생의 사회학습태도가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사회교사의 교수유형 정도에 따른 학생의 사회학습태도(흥미도, 주의집중, 학습의욕, 성취동기)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4가지 교수유형의 평균을 중심으로 표준편차 이상의 집단을 각 교수유형을 강하게 인식하는 집단으로, 표준편차 이하의 집단을 각 유형을 약하게 인식하는 집단으로서 두 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 간에 따른 사회학습태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사회교사를 중재형으로 강하게 생각하는 집단에 따른 학습태도는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p< .001수준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사회교사를 중재형교사로 인식할 때 그렇지 않을 때보다 사회학습태도에 긍정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마찬가지로, 설명형, 동기유발형, 안내형의 경우에서도 사회교사를 각 유형으로 강하게 인식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p< .001수준에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교사를 설명형, 동기유발형, 안내형으로 인식할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회학습태도인 흥미도, 주의집중, 학습의욕, 성취동기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사회학습태도에 있어서 각 유형 중에서 어떤 유형이 사회학습태도에 가장 긍정적인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각 유형을 강하게 인식하는 집단, 즉 각 유형을 대표하는 집단간에 일원변량분석과 사후 검증을 한 결과 동기유발형의 교사일 경우에 설명형의 교사일 경우보다 P<.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사회교사가 동기유발형이라고 생각하는 경우에 설명형으로 생각하는 경우보다 사회학습태도 중 성취동기 요소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정은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Anderson(2002)이 개념화한 실행기능(executive function)의 4가지 하위 영역(주의 통제, 정보처리과정, 인지적 융통성, 목표설정)에 대해 개별 실행기능 검사를 실시하고 정상 아동을 비교 집단으로 대조하여 실행기능 결함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치료적 개입 및 프로그램 계획에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실행기능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영역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첫째, 주의 통제 영역에는 시각적 및 청각적 주의력과 억제력, 둘째, 정보처리과정 영역에는 인지적 유창성과 반응속도, 셋째, 인지적 융통성 영역에는 인지도식의 전환 능력과 작업기억력, 넷째, 목표설정 영역에는 개념형성 능력과 계획력이 실행기능으로 포함되었다. 또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의 실행기능 행동평가 검사(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와 평가 상황에서 아동의 행동관찰을 함께 적용하여 질적 측면에서 실행기능의 결함 양상과 검사별 수행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부모보고형 검사의 신뢰성을 검증해 보았다. 지능검사(KEDI-WISC), Conners 부모용 평가척도와 한국아동인성검사(KPI-C)를 사용한 기초평가를 실시하여 병원에 내원한 6∼12세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남자 아동 18명과 유치원 및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8명의 정상 남자 아동 총 3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아동을 대상으로 전산화된 검사와 지필검사로 구성된 실행기능 평가를 실시하여 자료가 수집되었고, 부모를 대상으로는 아동의 실행기능에 대한 질문지를 시행하였으며, 질적인 면에서의 실행기능 평가를 위해 연구자가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여 평정하였다. 아동 대상의 실행기능 평가도구로 주의 통제 영역은 시각 및 청각 연속수행 검사와 스트룹 검사, 정보처리과정 영역은 범주 및 단어, 도안 유창성 검사와 각 실행검사에서의 반응시간, 인지적 융통성 영역은 선로잇기 검사와 작업기억 검사, 목표설정 영역은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와 레이 실행-복합도형 검사가 사용되었다. 부모 대상의 평가로는 실행기능 행동평가 검사(BRIEF)가 시행되었고, 아동의 행동관찰은 연구자가 만든 행동관찰 척도를 통해 평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대상의 실행기능 평가 결과를 보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집단이 정상아동의 비교 집단에 비해 주의 통제 영역에서는 인지적, 행동적 충동성에 따른 주의력의 결함이 나타났고, 인지적 융통성 영역에서는 작업기억력이, 목표설정 영역에서는 개념형성 능력과 인지적 유연성이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억제력, 인지적 유창성, 반응속도, 인지도식의 전환 능력, 계획력 등의 실행기능 영역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집단과 비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부모를 대상으로 한 아동의 실행기능 평가 결과(BRIEF)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행동조절과 상위인지 기능의 문제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아동 및 부모보고형 실행기능 검사간의 일치도에서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집단의 경우, 부모가 행동조절의 문제가 있다고 평가한 것은 아동 대상 실행기능 검사에서 부주의와 충동성, 반응속도의 민첩성, 인지도식의 전환 능력, 개념형성 능력 같은 실행기능의 결함과 상관이 있었고, 부모보고에 의해 상위인지 기능에 문제가 있다고 평가된 것은 아동 대상 실행기능 검사의 부주의와 충동성, 언어적 과제에 대한 인지적 유창성, 반응속도의 민첩성, 인지도식의 전환 능력, 개념형성 능력 등의 결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 집단의 경우, 부모의 행동조절에 대한 평가는 아동의 시각 및 청각 주의력, 억제력과는 관련이 낮은 반면, 아동의 작업기억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부모의 상위인지 기능에 대한 평가는 아동의 청각 주의력과 억제력, 인지도식의 전환 능력, 개념형성 능력 등과 관련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실행기능에 대한 아동용 검사와 부모용 검사 결과간의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부모 응답의 객관성이 뒷받침되었다. 셋째, 아동 대상의 실행기능 검사 상황에서 연구자의 아동에 대한 행동관찰 결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집단은 과제에 대한 접근시 조직화, 체계화를 하고 일의 우선 순위에 따라 신중하게 행동하는 면이 부족하고, 과제에 주의를 집중하고 불필요한 자극에 주의가 분산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연령수준에 비해 활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개인적?정서적?사회적 측면에서 저항적이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며, 과제 수행시 불안수준이 높고 좌절에 대한 인내심이 부족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최근의 정교화되고 포괄적인 실행기능의 개념적 모델(Anderson, 2002)에 근거하여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다양한 실행기능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또한 부모보고형 검사에 의해 아동의 실행기능을 평가하여 비교함으로써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을 검증하였으며 부모용 검사의 신뢰성을 제시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로 볼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복합형의 하위유형에서 보이는 실행기능의 결함에 대한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치료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시 운동-충동성 및 인지적 재훈련으로 구성할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앞으로 후속연구를 통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하위유형간의 실행기능 결함의 차이, 다른 임상집단과의 실행기능에 대한 비교연구, 지능수준에 따른 실행기능의 특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실행기능의 질적 측면에 대한 평가가 보완되어야 함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four domains of executive function conceptualized by Anderson(2002) in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attentional control, information processing, cognitive flexibility and goal setting. Individual executive function tests were administered to both a group of children with ADHD and a normal children group,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characteristics of executive dysfunction which appeared prominent in the children with ADHD and comparing performance of the ADHD children with that of the normal children. Through these tes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the planning of a treatment program for children with ADHD. Among various constituents of executive function, this study includes following aspects. First, the attentional control domain includes attention to specific visual and auditory stimuli and also inhibition. Second, information processing refers to cognitive fluency and response speed. Third, cognitive flexibility refers to the ability to shift between response sets and working memory. Fourth, the goal setting domain involves the ability to develop new concepts and the capacity to plan. In addition,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BRIEF) was reported by mothers of the two groups of children, and behavioral observation scale was rated by a researcher while the executive function tests were administered to the children. Through these two methods, executive function deficits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lso, it was investigated how the results of the executive function tests of the children and mothers' reports were correlated. In screening tests, KEDI-WISC, Conners Parent Rating Scale, and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KPI-C) were administered to 36 children between age 6 and 12: eighteen boys with ADHD and another eighteen normal boys. Individual executive function tests to children, composed computerized tests and paper-pencil type tests, were utilized to evaluate specific deficits and then data were collected. To assess qualitative aspects of executive function, parent-completed BRIEF and researcher-rated behavior scale on children observation were used. Various executive function tests were used for the assessment of children, including a visual and auditory continuous performance test, a stroop test, a category, letter, and design fluency test, speed of processing, trail making test-part A and B, a self-ordered pointing test, Wisconsin Card Sorting Test, and Rey executive-complex figure test. BRIEF was reported by the parents to evaluate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their behavior observation rating scale was completed by a resear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executive function tests of the children selected for this study, the ones with ADHD showed attentional control deficits caused by cognitive and behavioral impulsivity, working memory deficits in cognitive flexibility domain, and conceptual formation and cognitive flexibility deficits in goal setting domai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DHD group and the normal group, regarding inhibition, cognitive fluency, speed of processing, mental set shifting, planning in execu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BRIEF results reported by the parents, the ADHD group showed significant problems of behavior regulation and metacognition,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Second,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of the children in the tests and their parents' reports on executive fun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ADHD group, the children thought to have a behavior regulation problem by their parents had executive function deficits such as inattention, impulsivity, and also deficits in speed of processing, mental set shifting, and conceptual formation, which resulted from assessing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tests. On the other hand, the children reported to have lack of metacognition were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 deficits of inattention, impulsivity, and deficits in cognitive fluency of verbal task, speed of processing, mental set shifting, and conceptual formation. In the comparison group of the normal childre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ehavioral regulation problem reported by the parents had low correlation with the children's visual and auditory attention, and inhibition while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their working memory. The parents' evaluation on their children's metacognition was related to executive dysfunction in the children's auditory attention, inhibition, mental set shifting, and conceptual formation. This study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s of testing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reports, which proved that the parents' responses were reliabl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researcher's observation on the children's behavior in testing situation, and rated behavior scale, the ADHD group showed low level of organization and systematic approaches, carelessness, inattention to task, difficulty in inhibiting themselves to distractive stimuli, and more activeness than the normal children. Also, they were observed to be resistant and have low self confidence, high anxiety and low tolerance to a frustrating situation in personal, emotional, and social aspects. Based on the recent elaborative and comprehensive model of executive function(Anderson, 2002), this study completed various tests on executive function of children with ADHD, and also compared the test results to the parents' reports, which proved to be reliable. In particular, this study helpe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 children with ADHD-combined type and suggested that motor-impulsivity and cognitive retraining were necessary in developing an ADHD treatment program. As a succeeding study, the analysis of executive function by the differences between sub-types, comparison study of other clinical groups, and study on executive func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ntelligence level would improve more specific understanding of ADHD children. Furthermore, it is proposed that evaluation of qualitative aspects of executive function should improve.

      • 상업용부동산의 공간구성요소와 장소체감 연구 : 스타벅스 일반매장 사례를 중심으로

        정은정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the placeability component of Starbucks general stores on visitors' consumption behavior as commercial real estate. As a target site for the case, it was conducted mainly at general stores in Gangnam-gu among Seoul, which has the highest store location density in the country.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recent cycle of commercial real estate and the development trend of retail real estate were reviewed, and the theory of the loca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of commercial facilities was considered. Case studies such as visits and interviews on the composition of objective stores for Starbucks general stores in Gangnam-gu, Seoul, where the case target site is located, were conducted.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placeability components of commercial attractions on the consumption behavior of visitors, the placeability components were derived based on the contents of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addition, in order to learn the sense of reality of this case target site and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case, the unique variables of this case target site were secured through interviews with consumers. Based on the secured variables, the hierarchy of variables was adjusted through the target group interview method (F, G, I) composed of experts in related fields, and the final variable was derive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wo preliminary surveys and this survey. Through two preliminary surveys, there was a process of discussing and adjusting the components of variables and constituent factors, and this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 of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This survey was conducted only for those who had experience using Starbucks stores in Gangnam-gu, Seoul within three months. A total of 320 surveys were conducted, and 320 samples were empirically analyzed without missing values. Empirical analysis went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is study, 'psychology/behavior', 'art/interior', 'aesthetic/hardware', 'pandemic', and 'symbolism' were derived as independent variable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were composed of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factors as dependent variables.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at each factor would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Based on this,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search hypothesi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all hypotheses, namely, 'psychology/behavior', 'art/interior', 'taste/hardware', 'pandemic', and 'prefer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respectively. A comparison of the estimated standardization coefficients to determine the relative magnitude of the effect of each factor on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the 'psychological/behavior' factor, followed by the factor 'Aesthetic/Hardware' and the factor 'Symbolism'. The lowest influential factors were the factor 'pandemic' and 'art interior' factors. The "psychological/behavior" factors were the most comprehensive, and detailed factors such as psychological pride and privacy, appropriate tension, suitable atmosphere for five senses, and artistic objects, as well as high sense of place and satisfaction. The "art/indoor" factor bes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indoor space amo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Starbucks, and is analyzed to have high satisfaction and a sense of place for culture and art through a high openness and comfortable atmosphere. The factors of "Aesthetic/Hardware" were analyzed to have the location advantages of Starbucks, an open sense of space such as glass, and design objects such as colors and signboards with high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to revisit. "Popular/Event" and "symbolism" also show the flexible place response strategies of Starbucks stores, and parking convenience shows high satisfaction not only for pedestrians but also for car owners. In the end, Starbucks consumers are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visiting behavior that they conveniently approach by walking and public transportation to feel the third place, just like one of the neighborhood public facilities in the residential area behind the neighborhood unit. These characteristics show a similar pattern to the consumption behavior in which visits to commercial districts at the living area unit increased even in the COVID-19 pandemic. In other words, the pattern of comfortably using the place by walking at the neighborhood unit was confirmed. In the past, cultural and artistic and behavioral specialized stores such as Ewha Womans University Starbucks and Myeong-dong Starbucks were leisure and remote visits different from the unit of living area, but Starbucks' recent position as a third place to communicate closely with the living area can be interpreted.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Starbucks' general store has now changed into a daily destination centered on the living area rather than an unusual destination for trend setters. 본 연구는 상업용부동산으로서 스타벅스 일반매장의 장소성 구성요소가 방문자의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사례대상지로는 전국에서 가장 매장 입지 밀도가 높은 서울시 중에 강남구 일반매장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최근 상업용부동산의 순환주기와 리테일부동산의 발전 동향에 관한 이론을 정립하고, 상업시설의 장소성과 소비행태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사례대상지가 위치 해 있는 서울시 강남구 스타벅스 일반매장에 대한 객관적 매장구성에 대한 방문 및 인터뷰 등 사례연구를 하였다. 상업명소의 장소성 구성요소가 방문자의 소비행태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기 위해 선행연구 및 이론 고찰의 내용을 바탕으로 장소성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본 사례대상지의 현장감을 익히고, 사례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스타벅스 매장을 직접 방문하여 소비자와의 인터뷰를 통하여 본 사례대상지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변수를 확보하였다. 확보된 변수를 바탕으로 관련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표적 집단 면접법(F·G·I)을 통하여 변수의 위계를 조정 하였으며, 최종변수를 도출하였다. 설문조사는 두 번의 사전 조사와 본 설문조사로 실시하였다. 두 번의 사전 조사를 통해 변수 및 구성된 요인의 구성성분에 대한 논의와 조절과정이 있었으며,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쳐 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조사는 서울시 강남구 내 스타벅스 매장 이용 경험이 3개월 이내에 있는 사람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총 320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측값 없이 320부의 표본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의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에서는 스타벅스의 장소성 요인으로 독립변수로서 ‘심리/행태’, ‘예술/실내’, ‘심미/하드웨어’, ‘유행성’, ‘기호성’이 도출되었으며, 종속변수로서 만족도와 재방문 의사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각각의 요인이 소비자의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모든 가설 즉, ‘심리/행태’, ‘예술/실내’, ‘심미/하드웨어’, ‘유행/이벤트’, ‘기호/상징’ 요인이 각각 소비자의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 각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의 상대적인 크기를 알아보기 위해 추정된 표준화 계수를 비교한 결과,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은 ‘심리/행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요인 ‘심미/하드웨어’ 요인 ‘기호/상징’ 순으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영향력인 낮은 요인은 요인 ‘유행/이벤트’ 요인과 ‘예술/실내’ 요인으로 나타났다. ‘심리/행태’ 요인은 세부구성요소가 가장 포괄적이며, 심리적 자부심과 프라이버시, 적절한 긴장감, 오감에 적합한 분위기, 예술적 오브제 등 소비자가 느낄 수 있는 제3의 장소감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세부요인과 장소적 체감 및 만족도가 높았음을 분석할 수 있었다. ‘예술/실내’ 요인은 스타벅스가 가지고 있는 공간적 특성 중 실내공간의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으며, 높은 개방감과 편안한 분위기를 통해 문화예술적인 장소감에 높은 만족감과 장소적 체감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심미/하드웨어’ 요인은 스타벅스가 가지고 있는 입지적 장점과 통유리와 같은 개방적 공간감, 색채와 간판과 같은 디자인 오브제가 높은 만족도와 재방문 의사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행/이벤트’과 ‘기호/상징’도 스타벅스 매장이 가지고 있는 유연한 장소대응전략을 보여주는 특성을 나타내며, 주차 편의성은 보행뿐만 아니라 자동차 보유자에게도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다. 결국, 종합하면 스타벅스 방문소비자들은 근린단위의 배후주거지에서 마치 근린공공시설의 하나처럼, 제3의 장소성을 느끼기 위해 도보 및 대중교통으로 편리하게 접근해 오는 방문 행태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특성은 코로나 팬데믹에서도 생활권 단위 상권에 대한 방문은 증가했던 소비행태와 유사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즉, 편안하게 근린단위에서 보행에 의한 접근으로 편안하게 장소를 이용하는 패턴이 확인된 것이다. 과거 이화여대 스타벅스나 명동 스타벅스처럼 도심권에 위치한 문화예술성과 행태 심리적 특화매장의 경우에는 생활권 단위의 일 단위 패턴과는 다른 여가적이고 원격화된 방문이었다면, 최근의 스타벅스 매장은 생활권과 친밀하게 소통하는 제3의 장소로서의 포지셔닝이 강화되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즉, 이제는 스타벅스 일반매장은 트렌드세터들의 비일상적 방문지라기보다는 생활권 중심의 일상적 방문지로 변화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취약계층 아동의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효과 검증 : 일반아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은정 성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취약계층 아동과 일반아동의 비교를 통해 아동의 가정폭력 피해경험과 학교부적응간 관계에 있어서 학습된 무기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적 함의와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의 연구문제는 첫째,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습된 무기력이 매개효과가 있는가? 셋째,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취약계층 아동과 일반아동에 차이가 있는 가? 넷째,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효과가 취약계층 아동과 일반아동에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기서남부지역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1학년까지의 아동을 중심으로 취약계층 아동과 일반아동 473부의 설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t-test, ANOVA, 중다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여 본 논문의 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학교부적응에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습된 무기력은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취약계층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습된 무기력의 매개효과는 취약계층 아동에게서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아동과 일반아동 모두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높을수록 학교부적응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취약계층 아동의 가정폭력 피해경험과 학교부적응의 관계에서 학습된 무기력이 증가할수록 학교부적응도 증가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학교부적응에 있어서 학습된 무기력이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심각한 가정폭력의 감소를 위해 지속적인 부부교육 및 부모교육을 진행하며, 아동이 일상생활 및 학교생활에서 긍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개별상담과 자존감향상 프로그램 및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등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 유치원 미술활동에서 드러난 유아미술표현의 의미 탐색 : 현대미술표현의 관점에서

        정은정 대구가톨릭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ntire process of young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as shown in art activities for large groups in kindergarten and bring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young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related to their everyday life through an in-depth analysis. With a view to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art activities for large groups in kindergarten, a study proceed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formal interviews in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D” city from September 2011 through February 2013. Participants of the study included 30 5-year-olds and a teacher of “A” Kindergarten, 28 5-year-olds and two teachers of “B” Kindergarten, and 32 3 to 5-year-olds and a teacher of “C” Kindergarten. Also, the researcher and a research assistant were present, collecting data through video and audio recording. The procedure of the study included 1) participatory observation: performing as a fellow leaner, 2) transcription: focusing on young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3) coding: discovering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and 4) discovery of theme: revealing young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For each piece of collect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in a circular fashion. To improve the reliability and feasibility of the study, the researcher, the research assistant, and the faculty supervisor worked together to check analysis data for agreement. The study shows the significance of young children’s artistic expression program as demonstrated in kindergarten art activities for large groups. First, young children begin in their earlier experiences and engage in ever freer expressions by granting new meanings to them. Second, young children engage in expression as creation of meaning through search of materials, which reveals their unique modes through exploring materials. Third, young children engage in expression that shows their knowledge by presenting in art expression the knowledge that they have acquired through everyday experiences or learning. Fourth, young children’s expression does not limit itself to artistic expression, but engages in more active expression in various ways such as narrative, private speech and body. Fifth, young children engage in expression through mutual relationships by sharing their ideas related to their immediate environment and themes for artistic activities and developing a bond of sympathy. Sixth, as communication breaks down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when teachers directly engage in children’s expression, young children end up with expression that gets away from mutual relationships. Seventh, young children engage in expression that keeps interest in modes of expression and materials that they have learned through art activities. With a view to exploring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are overlooked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for young children, the study performs the following discussions. First, young children need to be understood as agents of active expression, who attempt expression to create new meanings with various methods and approaches. Second, we see that young children show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in infanthood by copying what is learned or presenting artistic expression with soliloquy or body. Therefore, we should regard not only products of artistic expression by young children but also the process of their expression as meaningful processes. Third, with regard to young children’s art education, we need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situation and context in which interaction takes place through understanding teachers, peers, and other subjects under influence from the environment. Fourth, teachers should try to minimize control and instructions by upholding the educational value of art activities an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 of expression as much as its product. Fifth, young children’s art activities have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they serve to enable children to make expanded expression actively and spontaneously in joy. Sixth, the results of the study, which show that for young children’s expression come in multiple different modes instead of only one, suggest that a new understanding is possible not as a discovery of absolute meaning but through a postmodern discourse that emphasizes creation of diverse meanings through differentiation. In conclus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with spontaneous selfhood, the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need to make continued efforts to lay great store on art activities by young children as active agents of expression, change their perception of young children’s expression, and understand the educational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