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팩트체크 저널리즘의 특징

        정은령(EunRyung Cho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4

        이 연구는 최근 한국 언론계에 새로운 흐름으로 대두된 팩트체크 저널리즘의 성격을 팩트체크를 수행하는 언론인들의 사실 인식과 사실 검증 과정에 대한 탐색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팩트체크 저널리즘을 1년 이상 수행한 기자 10명을 심층 인터뷰했다. 연구결과, 팩트체크 언론인들은 팩트체크 저널리즘이 추구하는 사실이 기존의 발표기사, 발생기사가 다루는 사실과는 다른 층위의 사실이며 현재의 뉴스 생산 환경에서는 이중 층위의 사실이 뉴스룸 안에서의 역할분담을 통해 동시에 추구될 수밖에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팩트체크 언론인들은 객관성을 추구하지만, 검증대상을 선정할 때 소속사나 기자 개인이 갖고 있는 편향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진술했다. 팩트체크 기사의 서술양식으로는 기존의 역피라미드 구조와는 달리 기승전결의 맥락을 가진 해설형 기사가 채택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팩트체크 언론인들은 팩트체크 저널리즘이 언론 상호간의 교차검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긍정적인 상호 견제 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팩트체크 저널리즘이 한국 언론의 관행에 제기하는 함의를 검토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ature of fact check journalism, a rising trend in the Korean news industry, with a focus on investigating fact check journalists’ perception of facts and the processes they use to verify facts. Th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journalists who have experienced fact-checking for at least one year. This study found that fact check journalists perceive the “facts” that fact-checking journalism aspires to obtain as belonging to a different level from the facts that conventional event centered reporting provides. The fact check journalists insisted that in the current news production environment, journalists ought to simultaneously provide both levels of facts by distributing roles within the newsroom. While fact check journalists aimed to maintain objectivity, they stated that, when selecting items that they will fact check against, they are not free from their personal biases or their company’s policies. With regard to the form of fact-checking articles, many fact check journalists chose the interpretive style that provides the conclusion at the en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inverted pyramid style. Lastly, fact check journalists predicted that fact check journalism will create a positive effect of checks-and-balances among news outlets by enabling cross verifications of news article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fact check journalism against the conventions of the Korean news industry were discussed.

      • KCI등재

        뉴스 수용자의 뉴스에 대한 심리적 근접감

        정은령(EunRyung Chong) SBS 2015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3 No.4

        뉴스 수용자들은 뉴스를 목격함으로써 해당 사건에 심리적으로 개입하게 된다. 이때 뉴스 수용자들이 갖게 되는 근접감은 사건 현장과의 물리적 거리감이 아니라 심리적 근접감이다. 이 연구에서는 심리적 근접감을 반영하는 변인으로서 동감과 공감이라는 정서를 제시한 뒤 이들 변인과 심리적 근접감의 관계를 실험연구를 통해 탐색했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제한용량모델이 제시하는 접근과 회피 체계를 원용해서 긍정적인 사건에는 동감, 부정적인 사건에는 공감이 클 것이라는 가설을 제기하여 지지되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동감과 공감의 형성에 뉴스 플랫폼과 뉴스 이미지 유인가 사이의 상호작용이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제기했지만 지지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뉴스에 대한 심리적 근접감이 뉴스 수용자의 사회 참여와 뉴스 제작방향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했다. News audiences are psychologically involved in news events by witnessing it through the media. In that, the proximity which audiences of the news feel is a form of psychological proximity rather than a form of physical proximity. In this study, empathy and compassion are proposed as indicators of the extent of such psychological proximity. Based on the limited capacity model and the construal level theory, two experimental studies were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e first experimental study (N=23) showed that with positive news images the measured empathy is greater than compassion, whereas with negative news images the measured compassion is greater than empathy. In the second experimental study(N=83),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news platforms and news images affects the creation of empathy and compassion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teraction was not found.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 of psychological proximity on social engagement of news audiences and news production has been discussed.

      • KCI등재

        코로나19 팩트체크 기사와 해설 기사의 차이에 대한 탐색적 연구: 맥락성과 투명성을 중심으로

        정은령(EunRyung Chong),최지수(Ji Soo Choi),박유진(Yujin Park)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7 No.3

        가짜뉴스의 허위성을 폭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팩트체크 기사가 동일한 주제를 다룬 해설 기사에 비해 수용자에게 더 많은 맥락 정보와 투명성을 제공하는지를 내용분석을 통해 고찰했다. 코로나19를 주제로 한 기사 184건이 분석대상이었다. 해석적 저널리즘과 팩트체크 저널리즘의 규범들을 이론적 근거로 허위정보가 일상적으로 소비되는 시대에 수용자의 오지각을 줄이기 위해서 맥락성과 투명성 있는 뉴스가 필요한 이유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팩트체크 기사는 해설 기사에 비해 배경정보 제시, 상충되는 입장의 반영, 기자의 평가가 두드러지며, 역피라미드 서술양식을 지양하고 기사의 길이가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근거자료 링크 제시 등 취재과정의 투명성은 팩트체크 기사가 일반 해설기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낫지만, 익명 취재원을 인용했을 경우 이유를 밝히지 않았고, 기사의 수정 사유를 밝힌 정도도 미미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뢰도 높은 팩트체크 기사가 갖추어야할 요소에 대해 제언했다. The research investigated whether fact-checking news, aimed at exposing fake news, provides more contextual and transparent information to the public than general explanatory news. The concept and norms of interpretive journalism and fact-checking journalism were adopted as the theoretical basis of why contextual and transparent news is important in reducing audience’s misperception at a time where false information is easily consumed. Content analysis on 184 COVID-19 related articles was conducted. The study revealed that fact-checking news provides more background information, opposing opinions and journalists’ evaluation than explanatory news. The results also demonstrated that fact-checking news are longer in length and avoid writing in the inverted pyramid style. Although fact-checking news were relatively better in providing the links for supporting data than explanatory news, they lacked in providing reasons for using anonymous sources and making corrections. The factors that a reliable fact-checking news should follow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가짜뉴스와 팩트체크 뉴스 노출 집단의 미디어 이용과 뉴스 인식, 그리고 리터러시 관계

        김형지(Hyoung-Jee Kim),정은령(EunRyung Chong),김은미(Eun-mee Kim),양소은(Soeun Yang),이재우(Jae Woo Lee),강민지(Minji Ka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1 No.-

        다중의 미디어 환경에서 수용자는 가짜뉴스와 팩트체크를 시간의 연속선상에 두고 엄격히 분리해 순차적으로 노출하지는 않는다. 또, 뉴스를 명백히 가짜로, 명백히 사실로 구분하지도 않는다. 다만 뉴스 플랫폼에 따라 뉴스와 가짜뉴스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거나, 주된 미디어 이용경로를 통해 뉴스에 노출될 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동시적 · 비동시적으로 노출되는 가짜뉴스와 팩트체크의 집합적 패턴을 고려하고 뉴스 노출 집합 간의 차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 수집은 한국사회과학조사(KAMOS)를 통해 지난 2019년 5월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14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들의 성별, 연령, 학력, 정치성향은 가짜뉴스와 팩트체크 뉴스 노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개인적 속성이었다. 둘째, 가짜뉴스와 팩트체크 뉴스의 노출은 주된 미디어 이용패턴과 관련 있었다. 셋째, 가짜뉴스와 팩트체크 뉴스 노출에 따라 뉴스신뢰와 가짜뉴스의 심각성, 팩트체크의 유용성에 대한 인식 정도가 달랐다. 넷째, 뉴스 리터리시가 높을수록 가짜뉴스와 팩트체크 뉴스 노출은 증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중의 채널로 동시적으로 노출되는 가짜뉴스와 팩트체크의 수용이 어떠한 인식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봄으로써 비판적인 뉴스 이용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전략과 함께 저널리즘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ke news and fact-checking in terms of news use and acceptance as a difference between use experience and news awareness. In particular,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fake news and fact checks are unlikely to occur due to time continuity or strict separation of use, and are based on a collective use environment called fake news and fact check. Data collection for analysis was made through KAMOS in May 2019.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eople’s gender, age, education and political orientation were still major personal attributes affecting the use of fake news and fact-check news. Second, the use of fake news and fact-check news was related to major media usage patterns. Third, depending on the degree of use of fake news and fact-check news,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news trusts, the seriousness of fake news and the usefulness of fact-checking differed. Fourth, the higher the news literacy, the greater the use of fake news and fact-check n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of reliable media development and literacy education strategies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where fake news is explod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