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돈오 김과 재호 한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한 양상 : 『내 이름은 티안』을 중심으로

        정은경(Jung, Eunkyo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4

        본고는 재호 한인작가 돈오 김의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내 이름은 티안』을 통해 살펴보았다. 호주에서 문명을 떨친 돈오 김의 주요 소설에는 한국인 대신 베트남 소년, 일본인, 일본 유학 중국인 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이러한 ‘아시아인’의 형상화와 ‘목소리’는 돈오 김에 대한 호주의 호명에 대한 응답을 의미한다. 특히 『차이나맨』에서 ‘일본인 대학원생’을 통해 아시아 유색인종 차별에 대해 강력하게 항의하는 것은 호주에서의 ‘돈오 김’의 정체성을 암시한다. 『내 이름은 티안』은 ‘티안’이라는 베트남 소년을 중심으로 월남전을 그리고 있으나, 여기에는 돈오 김의 민족적 정체성과 호주라는 이주지역의 특수성이 각인되어 있다. 『내 이름은 티안』에는 북에서 누이와 단신으로 내려와 한국전쟁과 분단 속에서 ‘실향민’이자 ‘정신적 고아’로 살아가야 했던 어린 돈오 김의 체험과 기억이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한국에서의 원형적 체험이 베트남에 투사되고 ‘영어’에 의해 매개됨으로써 이 작품은 보편적인 ‘제3세계 비극’으로 승화된다. 한편 베트남과 한국이라는 혼종성과 디아스포라 정체성은 티안을 월남의 이방인이자 타자로 만든다. 이방인으로서 ‘티안’의 의식을 통해 비춰지는 베트남 전쟁은 베트남의 역사적 특수성을 핍진하게 담아내지 못한다. 공산주의, 민족주의의 이념에 대한 회의와 집단과 공동체에 대한 불신은 베트남의 복잡한 현실적 맥락을 탐색하는 대신, 대립 전선과 투쟁을 ‘다르지 않은 이념’으로. ‘다르지 않은 폭력’으로 그리고 있다. 티안의 성장소설이기도 한 이 작품은 티안의 정체성 탐색의 여정을 그리고 있다. 그러나 제3세계의 현실에서 공동체에 대한 끊임없는 부정과 배제로 이루어지는 개인의 정체성 탐색과 자유의 비전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 ‘피아’의 소신공양이 상징하듯, 티안의 정체성의 기원인 고향은 사라진다. 『내 이름은 티안』은 ‘휴머니즘’을 내세운 반전소설이다. 그러나 이 작품이 주장하는 ‘사랑’과 ‘정의’ ‘관용’의 휴머니즘은 피지배와 차별 속에 있는 제3세계의 휴머니즘이 될 수는 없다. 이 작품은 미국과 외교·군사적 동맹관계에 있는 호주라는 제1세계에 호소하는 재호 디아스포라 돈오 김의 작은 외침인 것이다. This article studied on Korean writer Don o Kim s diaspora identity through My name is Tian. Don o Kim s major novels in Australia are composed of Vietnamese boys, Japanese, and Chinese instead of Koreans. This Asians and voice means the response to Australia s call to Don o Kim. In particular, strong protests against racism in Chinaman suggest the identity of Don o Kim in Australia. My name is Tian represented Vietnam war. This work shows Don o Kim s national identity and the uniqueness of Australia. Don o Kim was born in Pyoungyang and came South Korea. He experienced the Korean War and division and became mental orphan. As this prototype experience in Korea is projected to Vietnam and mediated by English, the work is sublimated into universal Third World Tragedy . However, the hybridity and diaspora identity of Vietnam and Korea make Tian a stranger in Vietnam. The Vietnam War, seen through Tian, does not capture Vietnam s historical specificity. The skepticism of communist and nationalist ideologies, and distrust of groups and communities turn the opposition ideologies and struggle into an same ideology and same violence . This work is also Tian s growth novel. However, his efforts failed. As Pia s self-immolate symbolizes, the hometown of Tian s identity disappears. My name is Tian is anti-war novel with humanism . However, the humanism of love , justice and tolerance claimed by this work cannot be the humanism of the third world in the domination and discrimination. This work is a small cry from Diaspora Don o Kim, who appeals to Australia and United States as the First World.

      • KCI등재

        심훈 문학의 연구현황과 과제

        정은경(Jung, Eunkyoung)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7 No.-

        본고는 2000년대 이후 부각된 심훈 연구의 새로운 논의의 흐름을 살펴보고, 그 성과와 의미, 남겨진 과제를 검토하였다. 2000년대 이후 심훈 연구의 새로운 논의와 성과는 ‘심훈 관련 텍스트의 집대성, 영화 및 다매체, 여성상, 서사양식, 사상성’으로 모아진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 및 서지’에서는 심훈의 복역기간, 중국체류 시기, 『탈춤』 연재 시기, 카프 탈퇴 시기, 『상록수』의 영화화 실패 원인, 심훈 자료를 집대성한 심훈 전집 출간(글누림, 2016), 신체시와 노동가 발굴, 「황공의 최후」의 서지 사항 논란 등이다. ‘시 연구 및 중국체험’의 측면에서는 심훈 시 전체에 대한 실증적인 고찰이 이루어졌으나 ‘심훈 시조의 미학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와 전체 편수 논란의 문제가 여전히 남는다. 또한 ‘중국 체류기의 의미를 어떻게 볼 것인가’는 심훈 시 해석에 중요한 관건으로 작동했다. ‘영화 및 다매체’는 2000년대 이후 심훈 연구사에서 가장 새롭고 풍부한 논의가 이루어진 분야이다. 영화인 심훈에 주목하여 그가 남긴 영화, 영화소설, 영화비평을 본격적으로 탐색하고 있는 연구들은 소설로 이어져 ‘상호텍스트성, 대중성, 예술성, 전문성, 계몽성’ 등의 논의를 이끌어내었다. ‘여성상 & 서사양식’에서는 심훈 소설에서의 젠더문제를 ‘구여성, 신여성, 동지적 사랑’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하고 있으며, ‘통속소설’을 과거 신파소설을 이어받은, 새로운 근대 서사체 모델로 의미매김하기도 했다. ‘기독교 및 사상적 원류’에서는 심훈의 『상록수』의 희생정신과 계몽성을 기독교, 혹은 무로후세 사상과 관련하여 논의한 측면이 주목된다. ‘작중인물 및 실제 모델’은 심훈이 실제인물로 추정되는 인물을 작품에서 자주 호명하고 있고, 창작에서도 주변 모델을 참조한다고 고백한 바 있으므로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시 뿐 아니라 『동방의 애인』의 인물과 실제모델에 대해서는 좀 더 통합적 시각과 세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심훈 연구에서 ‘아동문학, 번역소설’은 앞으로 새롭게 진행되어야 할 연구과제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trend of the new discussion of the Simhun research that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2000s. The new discussions and achievements of the Simhun study are gathered into the culmination of the texts related to Simhun, film and multimedia, feminine, narrative form, and ideology. The following is summarized. In the "Biography and the Bibliography", researcher discussed about the period of stay in China, the discovery of new works, and the controversy over the bibliography of ‘the last of the emperor’. In the aspect of "poetry research & experience in China",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entire poem has been made, but the issue of "how to view the aesthetics of Simhun Sijo" and the issue of the total number remains. In addition, "How to look at the meaning of stay in China played an important point in interpreting Simhoun’s poem. "Cinema and Multimedia" is the newest and most abundant field of discussion since the 2000s. Research focusing on the ‘filmmaker’ Simhun and his exploring movies, movie novels, and criticism of the film led to discussions such as "mutual textuality, popularity, artistry, professionalism, and enlightenment." In "Women"s Prize & Narrative Style", the gender issue in the novel Siminhun is newly illuminated from the viewpoint of "old woman, modern girl, comradeship love", and the modern novel model. In ‘Christianity and ideological origin’, it is noted that the sacrificial spirit and the enlightenment of Simhun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Christianity or the Murohusen’s thought. It is an important field of study because he confessed that Simhun often refers to a person who is presumed to be a real person in his work and refers to the surrounding model in his creation. A more integrated view and detailed analysis are needed for the characters and actual models of the novels as well as poetry. In the Simhun study, Children"s literature and translation novel seems to be a new research task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 KCI등재

        사랑의 실패들

        정은경(Jung, Eunkyoung)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8 No.-

        본고는 한무숙의 단편 소설에 나타나는 ‘사랑의 불가능성’이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무숙 단편 소설의 인물은 대체로 초자아의 기율에 강박된 인물로, 사랑을 성욕으로 죄악시하는 전통적 인습을 따르고 있다. 이들의 강고한 도덕의식은 사랑을 욕망하고 꿈꾸는 인물들을 히스테리적 광기와 환상에 사로잡힌 이들로 형상화함으로써 기존 제도와 상징계적 질서를 공고히 하는데 이바지한다. 즉 기존의 남성중심의 가부장제 질서에 대한 순응이면서 동시에 더불어 기존 계급체제에 대한 승인이다. 사랑의 불가능성은 곧 자유의 불가능성과 연관된다. 한무숙 인물들의 사랑의 실패는 한편 계급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이기도 하다. 대체로 지배계급에 속하는 한무숙의 강박적 인물은 혁명이념에 대한 동조나 해방의지에 의해서가 아니라 피지배계급에 대한 죄의식에 의해 변혁에 동참한다. 한무숙 단편소설은 인물의 욕망과 갈등, 균열 등을 보여주지만 결국 이를 전통적인 유교질서나 기존체제를 옹호하는 것으로 봉합하고 만다. 그러나 이는 한무숙 개인의 의식이나 한계라기보다는 당시 ‘여류작가’라는 명명 속에 담긴 시대의 한계이다. 한무숙은 비록 실패이긴 하나 끊임없이 기존질서와 상징계에 도전하는 정념을 그려보임으로써 역설적으로 지배이념을 심문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impossibility of love’ in Han Mu-suk"s short story works in the private and public spheres. The characters of the Han Mu-suk’s short story are generally compelled by the superego, following the traditional sexual morality. Their strong sense of morality contributes to the consolidation of existing order by embodying the desires and dreams of love as those caught in hysteria of insanity and fantasy. In other words, it is a conformity to patriarchy, and at the same time, approval of the existing class system. The impossibility of love is related to the impossibility of freedom. The failure of Han Mu-suk’s characters’s love also failed because of class differences. The obsessive character of Han Mu-suk, who belongs to the ruling class, participates in the revolution by guilt, not by consent or will to revolution. Han Mu-suk short stories show people’s desires, conflicts, and cracks, but they endure this by advocating traditional order and the existing system. However, this is not the consciousness or limit of the individual, but rather the limit of the era in the name of ‘woman writer’ at that time. Han Mu-suk paradoxically examines the ideology of domination by drawing the loves that constantly challenge the existing order and symbolism, though it is a fail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