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정보 안내시스템(DID)의 관리 인터페이스(MI) 아이콘 선호도 조사를 통한 적합도 연구

        정유경(Chung Yookyung),정유경(Chung Yooky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4

        공공안내정보시스템(DID) 관리자를 위한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요소 중 아이콘은 중요한 정보전달요소로 사용자에게 정보인지의 편의성과 조작행위를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현 공공정보안내시스템(DID)의 관리 인터페이스의 아이콘에 대한 선호도조사를 통하여 향후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아이콘의 스타일 구분은 DID 관리아이콘 윈도우형 아이콘 픽토그램형 아이콘 사실적/입체적 아이콘 평면적/단색(Black)아이콘을 제시하여 그 중 가장 선호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설문대상은 디자이너 개발자 운영·관리자 영업 및 기타로 총 112명이 참여하여 온라인으로 실시되었다. 조사결과 DID 개발자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아이콘의 이해도와 적합도를 체크리스트 하는 방식으로 실시한 인터뷰는 부적합한 결과로 도출되었다. 온라인 선호도 분석결과 ① 메뉴아이콘에서는 윈도우 스타일과 입체적/사실적 스타일에 높은 빈도 율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아이콘의 의미전달 목적에 따라 적절한 시각적 표현스타일에 대한 아이콘디자인 개발의 필요성으로 도출되었다. ② 액션버튼아이콘 분석결과 픽토그램 스타일과 평면적/단색스타일 그리고 윈도우스타일 입체적/사실적 스타일에 고른 빈도수를 나타내어 아이콘의 지시 형태에 따라 선호 스타일경향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③ 콘텐츠관리자 아이콘 분석결과 윈도우스타일과 픽토그램 스타일에 높은 빈도수를 나타내고 있으나'없다'도 높은 빈도수를 나타내어 전체적으로 제시아이콘에 대한 선호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관리 인터페이스 디자인스타일 가이드라인 제안의 토대로 활용 될 것이다. Icons design elements of interface of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manager should play the role in improving efficiency of business by inducing users to convenience of information recognition and operation act naturally as the element to deliver important information. Therefore this researcher tried to lay the foundation for next design guideline through preferences about icons of management interface of the current DID. Interview carried out by the method to check and list of understanding and goodness of fit for DID developers and managers was drawn as the unsuitable result. The analytical result of online preferences has found as follow: ① There were high frequency factors in the window and 3D and realistic styles and they were drawn as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icon design about the style to express vision suitably according to the purpose to deliver the meaning of icons. ② The analytical result of action button icons showed the even frequency numbers in the pictogram flat and single color window and 3D and realistic styles and there was difference in preference style tendency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types of icons. ③ The analytical result of content manager icons shows the high frequency numbers in the window and pictogram styles but there was the high frequency numbers in'no.'. So it could be found that there was in general low preferences about the presentation icons.

      • KCI등재

        리서치기반의 디자인 교육의 효과성 검증

        정유경(Chung Yooky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2

        교수자로서 학습에 진행할 프로젝트를 결정하고 학생들에게 해결해야할 디자인 문제를 제시하여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디자인수업에 디자인 리서치 교육을 실행한 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디자인 리서치 교육에 대한 만족도와 가설을 검증하였다. 설문대상은 커뮤니케이션디자인 수강생 총25명으로 진행되었다. 여대라는 특성으로 남학생의 의견은 없었으나 전공과 비전공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학년은 2학년부터 4학년까지 자유롭게 수강하였다. 설문조사는 통계분석과 서술형 문답의 분류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리서치기반의 디자인교육은 창의적 아이디어전개과정에 유익하며 디자인문제 도출과 적절한 해결방안을 얻는데 유익하고 완성도 높은 디자인결과물을 얻는데 유익하다는 가설을 입증하였다. 이중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난 디자인 문제도출과 해결방안은 리서치디자인교육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프로젝트 진행에 있어 팀워크에 대한 부분은 공동수행에 있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남학생 참여를 통한 비교분석 전공별 디자인리서치 교육의 가능성 등 이번연구의 한계점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서로 협력하는 과정에서 디자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풀어가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디자인 리서치교육에 대한 방법론을 시각디자인 수업에 실행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것에 본연구의 의의가 있겠다. As a teacher I would like to suggest a few ways to determine projects which might be applied to learning and present design problems which students should solve in order for those students to solve them in an easy manner. A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for learners after the design research education had been done in the design class under these methods and then the satisfaction and hypotheses for the design research education were verified. Total 25 learners in the communication design were included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Although there was no opinion from male studen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for the women's university the classification could be done into those majoring students and non-majoring students. In addition those students from second graders to fourth graders could freely take part in the class.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es and analytical results from the classified analyses with the descriptive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questionnaire survey hypotheses were proven to be true in that the design education based on research is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ideas derivation of design issues and acquisition for the appropriate solutions and acquisition of design outcomes in high perfection. The derivation of design issues and solutions with the highest ratio among them represents the importance of research design education. However the teamwork in carrying out projects appears to have no influence on the joint implementation. The task for the future research is to study limitations in this research including the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possibility of design research education in each major etc. This study effectively demonstrates the course to solve solutions for design issues in the cooperative course with each other among learners.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significant in implementing the methodology for design research education in the visual design class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 디지털 공공정보 안내시스템(DID) 관리 인터페이스의 디자인요소 분석

        정유경(Chung, Yooky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19 No.-

        디지털공공정보 안내시스템(DID)은 제공하는 정보나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인터페이스가 중요한데 현재 관리자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관리자를 위한 관리 인터페이스의 표준디자인가이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1차 선행연구를 토대로 첫째, DID의 관리인터페이스에 대한 용어와 개념을 정리하고, 관리 구조와 사용자 구성관계를 정립하였다. 둘째, 5개사의 DID의 공통관리항목요소로 선정된 스케줄관리, 레이아웃 관리, 콘텐츠관리, 모니터링, 콘텐츠관리자 인터페이스의 조작유형과 시각정보디자인요소를 분석하였다. 셋째, 시각 정보디자인요소는 아이콘과 텍스트 그리고 색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현 DID관리 인터페이스는 메뉴에 의해 작동되는 계층적 구조로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텍스트아이콘 지향적 특성을 보인다. 텍스트는 굴림체로 10point를 사용하고 있으며, 아이콘은 일관성 없이 같은 의미를 다른 정보에 사용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으며, 색채의 사용은 미미하다. 관리 인터페이스의 시각정보는 조작, 정보전달, 구조, 배경요소와 세부시각정보요소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아이콘의 사용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아이콘의 형태는 텍스트형, 이미지형, 이미지와 텍스트혼합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관리자의 업무 효율성을 위한 디자인가이드의 필요성으로 도출되었다. Interfaces to manage efficient operations on the providing information or contents are important in this DID, but studies on MI(management interfaces) are lacking in consideration of administrators. First, terms and concepts for DID MI were summarized primarily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study, and the management structure and user configuration relationships were established. Second,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the contents administrator interfaces, and VI(visual information) design elements, which were selected as the common management item elements in DID. Third, VI design element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icons, texts and colors. As a result of analyses, current DID MI are characterized by the direction for text icons in a hypertext type under the hierarchical structure driven by menus. 10 point Gulim font was used in texts, errors were committed with icons without consistency to use the same meaning for different information, and few colors were used. VI on MI could be divided into the operation, information delivery, structure, background element and VI element. These patterns of icons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text type, image type, and mixed type of image and text, and the need for design guide was derived for the administrator’s work efficiency.

      • KCI등재후보

        도시특성화를 위한 가로경관디자인 사례분석연구 : 인천광역시 부평구 3개 상업가로를 대상으로

        정유경(Chung Yooky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3

        도시의 가로 이미지는 시각에 의해 이루어진다. 시각계획(visual plan)을 통해 가로의 창조나 개조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도시가로의 경관디자인 계획의 최종목표는 물리적 형태가 아니라 마음속에 그려진 이미지의 질에 있다. 이러한 물리적 형태와 심리적 이미지는 서로 영향을 주고 순환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디자인에 대한 개념도입에 적극적인 우리나라의 가로경관디자인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심리적 영향에 대한 가로경관과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가로의 기능과 시각적 요소들을 알아보았다. 이후 가로경관의 시각적 분석을 위해 인천광역시 부평구 3개 상업가로를 중심으로 각 가로에 경관분석을 통한 기능적인 면과 시각적인 면을 분석하였다. 즉 감각적으로 연속하여 지각되는 요소들인 가로의 시설물 건축물 사인물을 중심으로 대상지 가로의 현황을 알아보고 향후 도시의 이미지형성에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는 부평구의 가로경관디자인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시환경 개선을 넘어 지역주민 뿐 아니라 방문자에게도 기억되는 곳으로 도시의 역사와 문화가 보존된 장소로서 주변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자연 재료와 색채의 사용이 필요함을 알았다. 또한 가로의 시각요소들을 통일하는 일 그러나 획일적이지 않도록 하여 특성을 부여하는 일 이것이 도시의 가로 이미지의 골격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금도 계속되는 국내 지자체들의 가로경관디자인사업에도 기초적인 자료로써 이바지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street image of a city is formed in visuals. The creation or retrofit of streets is done through visual plans. However the final goals at the landscape designing plan of urban streets lie not in the physical shapes but in the quality of images remaining in the heart of psychology. These physical shapes and psychological images are affecting each other and cycling in repeti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in the street landscape designing industry in our country which is aggressive in introducing the concept of urban designs. It also attempted to identify the functions and visual elements based on the street landscape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on the psychological impacts. After completing such background studies the researcher has analyzed the functional and visual aspects through the landscape analyses on each street in order to have the visual analyses while focusing on three commercial streets in Bupyeong District Incheon In other words the author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streets for study around the facilities buildings and signage of streets as elements continuously perceived through our senses and thus suggested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street landscape designing projects in Bupyeong District as important elements in forming the images of the city in the future. Moreover the researcher found out that the frameworks of street images in the city could include vesting characteristics in a way not to be uniformed despite the unification of visual elements for streets. The author expects this study to contribute to the basic materials even in the street landscape designing projects for municipalities in our country which continue their progress as of now.

      • 멀티 디스플레이 사례분석과 관리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정유경(Chung, Yookyung)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1 디자인지식저널 Vol.18 No.-

        오늘날 미디어와 인터넷을 활용한 디스플레이는 인간의 생활에 스며들어 정보서비스와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며 일상의 변화를 주는 역할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공공장소는 물론 상업공간, 옥외공간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생활 밀착형 매체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생활전반에 확대되고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고 현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중심으로 관리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관리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모드는 텍스트 위주로 되어있으며 사용성에 따라 메뉴의 수와 종류가 서로 다른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정보의 카테고리 구조의 차이로 볼 수 있다. 개발자에 의해 디자인된 이미지, 텍스트, 버튼 같은 조형요소도 업체마다 다른 형태로 사용되고, 이러한 요소로 구성된 인터페이스는 업무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관리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정보처리의 우선순위가 보이지 않고, 텍스트 위주의 각기 다른 메뉴구조를 가지고 있어 디자인 표준화가 필요하다하겠다. As display which utilizes media and internet pervades human life today, it has developed as the role that provides information service and various contents for you and changes your daily life. Therefore, this study felt the necessity about the studies on multi display interface which is expanded in all areas of your life and analyzed management user interface focusing on the display system which are being operated in Korea now. Management user interface use mode consists of text and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menu and kinds according to use. This can be the differences in category structure of information. Image designed by developers, text and the formative elements such as button, etc. are used by the different types by company and interface which consists of these elements reduces efficiency and accessibility of business. As a result, standardization of design is required because display management user interface does not show order of priority of information process and has the different structures of menu focusing the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