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정인홍의 비평정신과 창작의 실제

        정우락 ( Woo Lak Jeo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0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9 No.-

        본 논의는 정인홍 연구가 역사학이나 정치학적 측면에서만 이루어져 왔던 것에 일정한 문제를 제기하면서 출발하였다. 정인홍은 인조반정 이후 역적으로 몰려 처형되었기 때문에, 사후 288년 뒤에 출간된 그의 문집은 많은 한계를 지니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정인홍의 문학비평과 창작의 실제를 따져보는 것은 그의 정치사상 이면에 흐르는 감성의 세계를 찾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이를 통해 우리는 역사 현장에서 드러나는 단선적 의지가 그의 작품에는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것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정인홍은 ‘實’의 문학관과 도덕주의적 비평정신을 지녔다. 이것은 ‘名利-文學-道德’이라는 논리체계 속에서 마련된 것이었고, 문학은 다시 ‘華’와 ‘實’로 나누어, 문식이 화려한 ‘화’를 비판하면서 건실한 내용을 갖춘 ‘실’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인홍은 특히 科文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이것은 명리를 위한 ‘화’의 문학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것의 대척점에 도덕을 위한 ‘실’의 문학이 있음을 주장하면서 因文入道的 자세를 견지하기도 했다.정인홍의 작품 역시 ‘실’과 ‘도덕’의 입장에서 창작되었으며, 孚飮亭을 중심으로 한 自適, 소나무를 중심으로 한 강고한 자의식으로 표출된다. 이것은 修己治人이라는 유가의 근본정신과 밀착되어 있다. 부음정이 수기의 자기수양 공간이라면, 소나무는 단선적 의지를 드러내는 사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정인홍의 문학에는 남명학파의 핵심사상인 경의사상이 문학적 표상으로 드러났다. 부음정에서의 居敬的 수렴의지와 소나무를 통한 강한 절의가 바로 그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 문학(文學) ; 이황과 조식의 문학적 상상력, 그 동이(同異)의 문제

        정우락 ( Woo Lak Jeo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7 韓國思想과 文化 Vol.40 No.-

        본고는 이황의 「野池」와 조식의 「江亭偶吟」을 통해 이들이 지닌 상상력의 핵심과 그 문학적 전개를 살핀 것이다. 그 동안 이황과 조식이 여러 측면에서 비교 연구되었지만 이들의 사상적 핵심을 창으로 하여 문학 전반을 검토한 것은 없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본고에서 중요하게 다룬 「야지」와 「강정우음」은 당대부터 학자들에게 관심의 주요 대상이 되어왔다. 이 두 작품은 ``심``에 기반한 수양론을 시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동질성을 갖는다. 조선조 성리학자들의 제1화두였던 수양론은 인욕을 막고 천리를 보존하여 성인의 경계에 진입하자는 것이었다. 이황과 조식 역시 이 같은 노력을 성실히 하였고, 그 결과가 「야지」와 「강정우음」에 곡진히 드러나고 있었던 것이다. 두 작품에 동질성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 특히 수양의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상당한 이질성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황이 본연의 마음을 의미하는 ``연못`` 주변에서 현실과 ``차단``된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恐``의 태도로 천리를 보존하려고 한 데 비해, 조식은 바다와 연못 사이에 있는 ``강``에서 끊임없는 현실의 ``간섭``을 경험하면서 ``憎``의 태도로 강력히 인욕을 제거하고자 했다. 이것은 각기 미발 상태의 존양과 기발상태의 성찰이라는 상대적 강조가 만들어낸 결과라 하겠다. 이황과 조식의 상이한 문학적 상상력은 사물접근법의 상이를 의미한다. 이황이 사물을 보면서 이치를 살피고자 했다면, 조식은 사물을 보면서 세상을 살피고자 했던 것이다. 이것은 각기 觀物察理와 觀物察世로 요약이 가능하다. This study discussed Lee Hwang`s and Jo Sik`s core imaginations and how the imaginations developed in their literature by examining Lee Hwang`s 「Yaji(野池)」 and Jo Sik`s 「Kangjeongueum(江亭偶吟)」. So far, Lee Hwang and Jo Sik have been compared in various ways in many researches,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ir overall literature on the basis of their core ideology. 「Yaji」 and 「Kangjeongueum」 heavily discussed in this study have attracted lots of attention from scholars since their publication. The two works are similar in that both poetically embodied the theory of cultivation based on mind. The theory of cultivation, the primary subject of conversation among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aimed at encouraging people to block human desires and preserve the principle of Heaven in order to live the life of a sage. Lee Hwang and Jo Sik also made such efforts, which is well manifested in their works, 「Yaji」 and 「Kangjeongueum」. The two works showed differences as well. Especially,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of cultivation, their difference was prominent. Lee Hwang tried to preserve the principle of Heaven with an attitude of reverence while securing some space isolated from the reality around the ``pond`` that signifies the innate mind. On the other hand, Jo Sik tried to strictly restrain human desires with an attitude of abhorrence while experiencing endless interruptions of the reality in the river between the sea and the pond. These differences we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Lee Hwang and Jo Sik put relative emphasis on the cultivation of virtues in pre-development state and introspection in post-development state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holars` literary imagination indicates they took a different approach to things. While Lee Hwang tried to understand the reason of things, Jo Sik pursued to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things. These can be summarized ``Kwanmulchally(觀物察理)`` and ``Kwanmulchalse(觀物察世)`` resp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聱漢 孫起陽의 文學認識과 文學的 形象化 方式

        鄭羽洛(Jeong Woo-lak) 한국어문학회 2008 語文學 Vol.0 No.10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war and daily life are embodied in his works according to Son Ki-yang(孫起陽)'s recognition of literature, and to consider the achievement and value of his works. Son's recognition of literature can be classified into theory of essence and theory of creation in literature, according to 『Bae-Min-Soe-lok(排悶鎖錄)』, his siwha(詩話). The fact he was interested in siwha indicates that he thought literature was not a mere taste. Son argued that the essence of literature lies in self-cultivation effectiveness. This may be because Son sufficiently recognized the literary theory of Confucianism. As for theory of creation in literature, Son particularly valued experience and self-realization, but he also spoke well of theory of modification, which indicates 'being self' of verses of the ancients and which he applied to his works specifically. This tendency can be verified by the fact that his poetry was cited of verses of Tu Fu(杜甫) and So Sik(蘇軾) and was superior in other aspects. Besides, that his works were full of zeitgeis with their pungent satires should be considered to be significant factor related to theory of contents in his works. Son's works were classified into two aspects: embodiment of war and embodiment of daily life. The former is shown as dreadfulness of war, refuge, specific experience of war, and post-war landscape. The description of war in his works may be achieved through mingling of his literary talent and recognition of reality. Meanwhile, the embodiment of daily life is shown as reading, studying, landscape sightseeing, and remembrance of ancient sages. He continued his reading and studying, describing his own interest in landscape in his works entirely. After the war, he displayed various activities and obatined favorble results for remembrance of ancient sages including Kim Jong-jik(金宗直) in order to promote studying. The achievement and value of Son's works are obtained from the peculiar situation of war and war-related shocks affecting daily life. The war stirred up Son's life in whole, but he faithfully performed the basic life as a man of noble birth including reading and studying. In particular, the significant achievement and value of his works may lie in the facts: that he discovered the homogeneity between mountain sightseeing and literature as Lee Hwang(李滉) and Jung Gu(鄭迷) did, who served as his source of ethics; that he did not abandon hope for the future in the midst of the suffering in real life; that he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in the areas of Nakdong River with acquiring Tu Fu(杜甫)'s poetry actively; that he realized a model of war literature by thorough embodiment of solitude; and that he captured human love revealed in crises and embodied it in his works.

      • KCI등재

        글로벌 시대, 문화어문학의 기본 구상과 방법론 재정비

        정우락(Jeong, Woo-Lak)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9 No.-

        본고는 우리 시대의 한국어문학을 새로운 안목으로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어문학에 대한 문화론적 입장에 정초한 문화어문학적 연구방법론을 제기한다. 이는 급변하는 시대를 자각하면서, 어문학이라는 학문장(學問場)을 기반으로 하되 이를 훨씬 뛰어넘고, 하나의 특정 지역에 기반하고 있지만 세계적 시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문화어문학은 분과학문의 전문성을 고려하면서도 간학제적(間學制的)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여 높은 단계의 회통적 질서를 추구하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 있지만 인문정신의 고양을 최종 목표로 삼는다. 현재 우리는 산업 구조의 다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문화자원으로서의 어문학 연구가 절실히 요청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신민족주의에 입각한 극근대(克近代)를 위한 문화어문학은, 바로 이러한 시대를 견인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따라서 전통 어문학 연구를 기반으로 하되 한국어문학을 하나의 문화자원으로 인식하면서, 자연언어 처리 기술의 개발과 함께 한국문학 자원의 아카이브 구축을 통해 글로벌 시대의 지역 문화어문학의 연구역량을 제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로써 한국어문학은 대중 속에 살아 있는 새로운 길을 열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was planned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our times in a new viewpoint. For this purpose, the study proposed a methodology of cultural language and literature based on the cultural theory position for language and literature.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 academic field of language and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covers much more than it. It also secures a global viewpoint based on a certain area. Cultural language and literature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professionalism of an academic discipline and is in pursuit of a higher level of cosmopolitan order by exerting its interdisciplinary competence as much as possible. While making use of digital technologies, it sets a final goal of elevating the humanistic spirit. Today we are living in an era when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literature as a cultural resource to cope with multiple changes to the industrial structure. Cultural language and literature to overcome the modern times based on neo-nationalism has been designed to drive this era forward.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s a cultural resource based on the traditional study of language and literature and improve the research capabilities of local cultural language and literature in the global age by developing a technology to process natural language and building an archive of Korean literary resources. These efforts will help to open a new road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o live and breathe in the public.

      • KCI등재

        학가재 이주의 사상경향과 일상으로서의 문학

        정우락(Jeong, Woo-lak) 대동한문학회 2020 大東漢文學 Vol.65 No.-

        본고는 李𦁖가 남긴 자료적 성격이 어떠한가에서 출발하여, 성학과정과 사상경향, 문학관과 그 작품에 나타난 일상의 형상, 이주 문학의 형식적 특징 등을 두루 살핀 것이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학계에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매우 중요한 작가를 새롭게 발굴하게 되었다. 이주는 장현광과 정구에게 일정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데, 주자학적 우주론은 張顯光을 통해서, 향촌사회의 질서는 鄭逑를 통해서 학습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상적 측면에서는 개방되어 있었다. 즉 이주는 성리학적 우주론을 유지하면서도 도불에 매우 개방적이었으며, 특히 불경을 용사하면서 매우 자유로운 상상력을 구사하였다. 이주의 사상적 개방성은 문학적인 방면에 특별한 기량을 발휘할 수 있게 했다. 이는 그의 문학이 古拙의 미를 추구한다기보다 세련되고 화려한 富贍의 미를 지닐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그가 문예에 매우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도 바로 이러한 문학관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실험정신에 입각한 이주의 문학은 형식적인 측면에서도 뚜렷한 특징을 발휘하였다. 경험한 사실을 사실적으로 나타내고자 한 장시, 정밀하게 사물을 관찰하고 그것을 체계적으로 작품화한 연작시, 다양한 형태의 잡체시가 그것이다. 이주 문학에 나타난 이러한 실험정신은 근체시가 가진 획일성에서 벗어나고 싶은 그 스스로의 욕망에 의한 것이라 하겠다. 이주 문학의 창의성은 바로 여기에 근거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expansive aspects of Lee Ju including his learning process, ideological tendency, viewpoint of literature, daily life in his works,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his literature by making a start with the nature of his materials. This proces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a very important author hardly known in the academic circles. Lee Ju seem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Jang Hyeon-gwang and Jeong Gu to some degree. He studied Neo-Confucian cosmology from Jang Hyeon-gwang and the order of a country society from Jeong Gu. He was open in the ideological aspect. That is, he was very open to Taoism and Buddhism while keeping his orientation toward Neo-Confucian cosmology. He especially quoted from Buddhist scriptures, exercising his considerably free imagination. His ideological openness allowed him to exert his special abilities in the literary aspect, which is why his literature was characterized by sophisticated and splendid beauty of Buseom rather than the aesthetics of Gojol. He invested a lot of effort in literature because of this viewpoint of literature. Based on his experimental spirit, his literature ha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the form aspect, as well. He wrote long poems to deliver his experiential facts realistically, serial poems to turn his precise observations of things into works systematically, and poems in various styles to show various forms. This experimental spirit of his found in his literature was driven by his desire to escape from the uniform nature of classical Chinese poems. The creativity of his literature is rooted in it.

      • KCI등재

        입재 정종로 문학의 공간 감성과 그 구성 방식

        정우락 ( Jeong¸ Woo-la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8

        본 연구는 입재 정종로의 시 가운데 등장하는 공간을 포착하여, 그가 이들 공간을 어떻게 작품화하고 있으며, 나아가 이들 공간에 대한 감성과 구성 방식이 어떻게 織造되어 있는가 하는 문제를 다룬 것이다. 어떤 작가가 공간을 넘나들며 문학을 창작한다고 볼 때, 공간 상상력은 문학탐구의 본령에 해당한다. 정종로는 주로 자신이 거주하는 愚山을 중심으로 한 상주 지역을 주로 작품화하는데, 본 논의는 이것을 대상으로 한다. 정종로의 공간 감성은 도학, 낭만, 생활, 사회 감성이 작동하면서 매우 다채로운 형상화 과정을 거친다. 이 네 가지 유형의 감성 가운데 낭만 감성에 의한 작품이 현저하게 많고, 사회 감성에 의한 작품은 드물게 나타난다. 이것은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에 그가 보인 일정한 한계이기도 하지만, 정종로가 성리학자 혹은 작가로서의 존재감을 가장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방식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정종로 문학에서 공간을 주목하고, 이에 대한 감성과 구성 방식을 따져 보면, 陰陽論과 道統論이 깊게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낭만 감성과 생활 감성을 중심으로, 靜과 動이 맞물리고, 點과 線이 어울리면서 문학공간은 직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정종로가 도학뿐만 아니라 문학을 특별히 강조한 결과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음양론이 문학에, 도통론이 도학에 맞닿아 있다는 사실 역시 그가 도학과 문학을 일률로 보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ways that Ipjae Jeong Jong-ro used spaces in his poems and wove the sensibility and composition methods of these spaces. Authors create literary works by moving from a space to another, which means that their space imagination is a main province of their literary inquiries. Jeong usually used the Sangju area around Woosan where he lived in his works, and the study mainly discussed it. Jeong's sensibility of spaces underwent a very colorful embodiment process with moral, romance, living, and social sensibility in action. Of these four types of sensibility, romance holds overwhelming presence in his works with social sensibility found rarely in them. It reflects his certain limitations with 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reality. It is also one of the ways that he revealed his presence as Neo-Confucian scholar or author most actively. The study examined the sensibility and composition methods of spaces with a focus on spaces in his literature and found that the yin-yang theory and the Dotong theory had profound actions in it. In his works, literary spaces were woven with static and dynamic interlocking each other and with dots and lines mixing together with a focus on romance and living sensibility. It is an outcome of his special emphasis on literature as well as moral. The yin-yang theory meets literature and the Dotong theory meets moral in his works, which was possible because he had a uniform idea of moral and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