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Korea’s ODA policy pattern from 1960s to present

        정승은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Being an official member of DAC since 2010, Korea has been required to take responsibility for its ODA growth in quality and quantity and contribut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other words, with economic development, Korea has been asked to assume more role and responsibility as a donor and accept international calls and demand. Most donor countries comply with ODA guidelines recommended by OECD/DAC. On the other hand, ODA from Korea fails to reach the satisfactory level. Still, Korean style ODA has a long way to meet the international ODA norms. As of 2009, Korea had only 0.09% of GNI, one of the lowest in DAC members. Despite the trend of increasing the untied aid ratio, it is painstakingly slow. Besides, Korea’s ODA heavily concentrates on lower and middle-income countries (LMICs), though its priority should have gone to the least developed countries (LDCs). Concerned voices are raised that the Korea’s unique policy which is not in line with the global assistance trend may backfire, by ignoring international norms and recommendations (Kwon, 2006). Simply put, the problem is that Korea focuses on its own economic benefits from ODA, rather than poverty reduction and development of recipient countrie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ODA is the global cooperation based on the international consensus in order to contribute to poverty elimination and social and economic advance of developing nations in the firm belief of common prosperity of human kind. In this regard, Korea’s ODA should rather accept the international demands and assistance norms than arguing for Korean style ODA. It is high time for Korea to adopt a new ODA paradigm for truly international cooperation. This study started off from the fundamental question; “What forces affect the pattern of donor countries’ policy?” This study makes a contribution to the discussion on the determinant factors of changing Korea’s ODA policy pattern as a donor from 1960s to present. More specifically, the assumption is that Korea’s ODA policy has changed according to factors such as different administration,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from home and abroad and demand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is paper argues that each administration in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a variet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to establish ODA policy. I also suggest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ve changed from national interest oriented to accommodative to international demands, going in the direction of adhering to the international ODA norm and regime. In other words, Korea’s ODA policy has been weighed on by not only domestic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but also various factors under the international regime. In this paper, through Korea’s ODA policy analysis, Korea’s shift in ODA policy from self interest oriented to ‘Good Samaritan’ will be identified. ODA policies of each Korean government adapted to changes in geopolitical circumstance of that time organically. Indeed, policies of each government did not fully reflect changes and development in international ODA regime. But, it is true that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arena surely have impacted Korea’s foreign and ODA policies. In other words, the study on ODA policies of each government shows that there are factors influenced and not influenced by international ODA regime along with domestic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Reasons vary. Yet, this study concludes change and duration in the pattern reflects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ctors. From perspectives of time,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factors rather than domestic ones has become large as time goes by. The purpose of aid has been changed from donor-oriented to development of recipient countries. This trend became apparent since Korea joined DAC after the Rho and Lee government. It is positive and outstanding achievement for Korea to adopted recommendations from DAC and made meaningful change in its ODA policies since 2006. Nonetheless, still more commitment is needed. For example, it was just recent that KOICA and EDCF reflected international consensus such as MDGs in their programs. But there are many positive signs. The past and present ODA policy patterns of Korea have showed that Korea has continued to respect and accept international ODA regime though at a gradual speed. It becomes a responsible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never turning blind eye to global causes and calls. Korea needs to take stock of its achievement and future policies to serve as exemplary role to acceptors. Therefore, this paper is designed to analyze Korea’s ODA policy based on OECD/DAC guidelines. This paper aims to clearly set the basic direction and purpose of ODA policy and guide Korea’s policy toward international norm in an efficient way. 2010년 24번째 회원국이 된 한국의 OECD/DAC가입은 우리에게뿐만 아니라 많은 개발도상국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2010년부터 DAC의 정식 회원국이 되면서 한국은 ODA의 양적 그리고 질적 성장을 통해 국제사회에 기여해야 하는 분명한 책임을 안게 되었다. 하지만 DAC Peer Review에서 지적했듯이 한국 ODA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있다. 대부분의 공여국이 OECD/DAC이 권고하는 ODA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는 반면 한국 ODA는 아직 국제사회의 가이드라인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원조현실은 2009년을 기준으로 GNI대비 0.09%, ODA공여국 중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고, 비구속성 원조의 비율도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여전히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빈국에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ODA가 하위중소득국에 몰려있고 지역적으로도 아시아에 편중되어 있다. ODA가 인류 공존공영을 토대로 개도국의 빈곤퇴치와 사회·경제적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국제합의를 거친 협력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원조를 통한 개도국의 빈곤퇴치와 경제발전보다 오히려 공여에 따른 한국의 경제 파급효과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의 ODA는 한국의 독자적인 한국형ODA를 주장하기보다는 국제사회의 요구와 국제사회 규범(norm)을 수용하면서 선진원조의 방향과 조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은 개발도상국에게 모범이 될 수 있도록 그 동안 잘한 것과 앞으로 잘해나갈 것에 대한 반성과 고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국의 ODA정책을 분석해서 이것을 OECD/DAC의 방향성과 비교하는 것이 의미가 있으며, 이러한 반성을 통해 한국ODA가 근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를 밝히고자 한다. 아울러 원조정책의 기본방침과 정책목표를 명확히 정립하고 앞으로 국제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원조방향으로 유도하고자 하는 기대도 있다. 본 논문은 ODA정책결정의 이면에는 다양한 원조목적이 있을 수 있음을 전제하며, 공여국이 원조를 통해 정치, 경제적 이익을 얻는 목적 그리고 수원국의 발전을 위한 수원국 중심의 인도적 목적 등이 있음을 문헌연구를 통해 뒷받침한다. 또한 정부의 원조정책은 다양한 원조의 목적과 국내외 여건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본 논문은 국제사회의 변화와 국내의 경제, 정치적인 여건에 따라 ‘정권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ODA정책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ODA 정책분석을 통해 정권별 ODA정책이 이전에는 국익을 위한 경제협력을 목적으로 하는 원조에서, 점차 국제사회의 규범(norm)과 ODA regime을 수용하는 연습을 통해 수원국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 선한 의도로서의 원조로 변화하고 있는 과정임을 밝힌다. 결과적으로 한국 ODA정책은 국내외의 정치, 경제적 요인들에 영향을 받으며, 또한 경제적 위상이 높아지면서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부담해야 할 책임감을 무시하기 어렵기 때문에 점차 국제사회요구(international ODA regime)를 반영하여 원조정책을 세워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의 한국 ODA정책분석을 통해서, 점차적으로 한국이 International ODA Regime을 존중하고 수용하기 위해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 변화는 한국의 단독행동이 아니라 개도국 빈곤퇴치를 위해 국제사회와의 조화를 통해 한 목소리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으며, 앞으로 전 지구적 문제를 함께 해결해나갈 국제사회의 중요한 파트너로서 한국의 모습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탈북청소년 자립지원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승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focuses on the new social problems of social maladaptation and economic poverty of North Korean defectors, despite the laws and social adaptation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various settlement support systems. Recently, more than 80% of North Korean defectors entering South Korea are women, and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their children is also increasing. The trauma and emotional instability experienced by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process of North Korean defectors causes confusion of identities and difficulty in career paths and employment even after domestic settlement, hindering stable social settlement. Therefore, he sought to study the support policies necessary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 important asset of the country as a generation of a unified future, to become independent as members of a healthy society, and to propose improvements. 이 연구는 북한 이탈주민을 위한 법률과 사회적응 교육, 다양한 정착지원제도에도 불구하고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부적응과 경제적 빈곤이라는 새로운 사회 문제가 발생하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남한에 입국하는 북한 이탈주민 중 80% 이상이 여성이며, 그 자녀들인 탈북청소년의 숫자도 증가하고 있다. 탈북청소년이 탈북 과정에서 겪는 트라우마와 정서적 불안정은 국내 정착 이후에도 정체성 혼란과 진로·취업의 어려움을 초래하여 안정적인 사회정착을 방해하고 있다. 따라서 통일미래 세대로서 국가의 중요 자산인 탈북청소년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자립하는데 필요한 지원정책을 연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미혼여성의 건강위험행위 예측모형

        정승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미혼여성의 건강위험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를 설명, 예측하기 위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문헌고찰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성하였다. 외생변수로는 내적 건강통제위, 타인의존 건강통제위, 성역할 정체성의 남성성, 여성성과 인지된 생활스트레스가 있으며 내생변수로는 자아존중감, 건강관련 자기효능, 친구영향과 건강위험행위로 구성하였고 총 25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자료수집은 2000년 10월 9일에서 2000년 10월 28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서울과 수도권, 충청지역의 직장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하였으며 총 375개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모형검증에 이용된 총 7개 연구도구의 Cronbach' Alpha 값의 범위는 0.64에서 0.95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연구변수의 특성은 SPSS 9.02 Win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가설적 모형과 수정모형의 검증은 LISREL 8.12 Win Program을 이용하여 공변량 구조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형의 부합도 분석결과 1) 가설적 모형의 전반적인 부합지수는 높게 나타나 모형과 실제자료가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x^2/df=1.46(p=.10), GFI=.98, AGFI=.94, RMR=.01, NNFI=.98, NFI=.98, CN=505). 2) 모형의 간명함과 부합도를 높이기 위해 세부지수를 이용하여 3개의 경로를 제거하여 수정모형을 확정하였다. 수정모형의 부합지수는 가설적 모형의 부합지수보다 조금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x^2/df=1.28(p=.18), GFI=.98, AGFI=.94, RMR=.01, NNFI=.99, NFI= .98, CN=549). 2. 가설검증의 결과 1) 자아존중감은 내적 건강통제위가 높을수록(γ11=0.29, t=6.57), 성역할 정체성의 남성성(γ13=0.23, t=7.40)과 여성성(γ14=0.12, t=4.08)이 높을수록, 그리고 인지된 생활스트레스가 낮을수록(γ15=-0.17, t=-3.08) 높게 나타났다. 2) 건강관련 자기효능은 내적 건강통제위(γ21=0.12, t=2.44)와 타인의존 건강통제위가 높을수록(γ22=0.16, t=3.22), 성역할 정체성의 여성성이 높을수록(γ24=0.08, t=2.46),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β2l=0.25, t=4.54) 높게 나타났다. 성역할 정체성의 남성성은 직접효과(γ23=0.04, t=1.22)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간접효과(효과계수=0.06, t=3.85)가 유의하게 나타나 총효과(효과계수=0.10, t=2.8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인지된 생활스트레스는 직접효과는 없으나 간접효과(효과계수=-0.04, t=-2.68)가 추가되어 유의하게 나타나 건강관련 자기효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친구영향은 인지된 생활스트레스가 높을수록(γ35=0.22, t=3.95), 건강관련 자기효능이 낮을수록(β32=-0.23, t=-4.41)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 건강통제위와는 직접효과(γ31=-0.05, t=-1.38)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간접효과(효과계수=-0.04, t=-2.97)가 추가되어 총효과(효과계수=-0.09, t=-2.61)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성역할 정체성의 남성성과 여성성은 친구영향에 대한 직접효과는 없으나 간접효과(남성성; 효과계수=-0.03, t=-2.34, 여성성; 효과계수=-0.03, t=-2.58)가 유의하게 나타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건강위험행위는 성역할 정체성의 남성성이 높을수록(γ43=0.06, t=2.75, 여성성이 낮을수록(γ44=-0.05, t=-2.11), 건강관련 자기효능이 높을수록(β42=-0.21, t=-4.37), 그리고 친구영향이 많을수록(β43=0.21, t=3.80) 높게 나타났다. 건강위험행위에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간접효과가 추가되어 총효과가 유의하게 나온 경로는 내적 건강통제위(효과계수=-0.10, t=-2.614), 인지된 생활스트레스(효과계수=0.11, t=2.39)와 자아존중감(효과계수=-0.07, t=-2.12)이다. 건강위험행위에 가장 총효과가 큰 경로는 건강관련 자기효능에서 건강위험행위로 가는 경로였다(효과계수=-0.26, t=-4.68). 이상의 모형검증의 결과 본 연구에서 구축한 미혼여성의 건강위험행위 예측모형은 실제자료와 잘 부합하여 미혼여성의 건강위험행위를 적절하게 예측하는 모형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모형검증 결과 미혼여성의 건강위험행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는 건강관련 자기효능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자기효능은 내적 건강통제위, 타인의존 건강통제위, 성역할 정체성의 여성성과 자아존중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자아존중감은 내적 건강통제위, 성역할 정체성의 남성성과 여성성 및 인지된 생활스트레스의 영향을 받으나, 건강위험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친구영향은 인지된 생활스트레스와 건강관련 자기효능으로부터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건강위험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혼여성의 건강위험행위를 예방하기 위하여는 건강관련 자기효능을 높이고, 자신의 성역할 정체성의 여성성에 대한 인지를 확고히 하며, 건강위험행위와 관련되어 친구영향을 적게 받도록 강조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및 교육 등의 중재방안들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보며, 건강위험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으나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내적 건강통제위와 자아존중감을 증가시키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간호중재 전략의 개발도 미혼여성의 건강위험행위를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on health risk behaviors and to develop a predictive model that explains health risk behaviors of unmarried women in Korea. A hypothetical model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 on health risk behaviors. The exogenous variables of the hypohtetical model were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masculinity and feminity of sex-role identity, and perceived life stress. The endogenous variables included self-esteem, health related self-efficacy, peer influence, and health risk behaviors such as drinking, smoking and sexual risk taking behaviors. The data was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 from 375 unmarried career women in Seoul, Kyunggi-Do, and Chungchung-Do from October, 9 to October, 28, 2000. Reliabilities of the seven instruments were tested Chronbach's alpha score which ranged from 0.64 to 0.95.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SPSS 9.02 Win Program for descriptive and correlational statistics. LISREL 8.12 Win Program was used for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to find the best fit model which assumes caus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indicated: 1) The overall measure of fit of the hypothetical model to the data was shown to be good. [x^2/df=1.46(p=.10), GFI=.98, AGFI=.94, RMR=.01, NNFI=.98, NFI=.98, CN=505] 2) Paths of the model were modified by considering theoretical implication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parameter estimates. A modified model was constructed by deleting three paths. Compared to the hypothetical model, the revised one had a better fit to the data. [x^2/df=1.28(p=.18), GFI=.98, AGFI=.94, RMR=.01, NNFI=.99, NFI=.98, CN=549] 2.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were as follows: 1)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γ11=0.29, t=6.57), masculinity(γ13=0.23, t=7.40) and feminity(γ14=0.12, t=4.08) of sex-role identity, and perceived life stress(γ15=-0.17, t=-3.08)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self-esteem. 2)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γ21=0.12, t=2.44),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γ22=0.16, t=3.22), feminity of sex-role identity(γ24=0.08, t=2.46), and self-esteem(β21=0.25, t=4.54)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health related self-efficacy. The direct effects of masculinity of sex-role identity(γ23=0.04, t=1.22) and perceived life stress on health related self-efficacy were insignificant but their indirect effects were significant. 3) Perceived life stress(γ35=0.22, t=3.95) and health related self-efficacy(β32=-0.23, t=-4.41)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peer influence. The direct effects of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γ31=-0.05, t=-1.38), and masculinity and feminity of sex-role identity on peer influence were not significant, while their indirect effects were significant on that. 4) Masculinity(γ43=0.06, t=2.75) and feminity(γ44=-0.05, t=-2.11) of sex role identity, health related self-efficacy(β42=-0.21, t=-4.37), and peer influence (β43=0.21, t=3.80)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health risk behaviors.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perceived life stress, and self-esteem had significant both indirect and total effects statistically, but not direct effects on health risk behaviors. The above findings showed that health related self-efficacy as a mediating variable had the most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health risk behaviors of unmarried women. Also peer influenc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m. Internal and powerful others health locus of control, feminity of sex-role identity, and self-esteem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health related self-efficacy. Self-esteem had not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health risk behaviors an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masculinity and feminity of sex-role identity, and perceived life stress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self-esteem. Peer influence had influenced on health risk behaviors directly, and perceived life stress and health related self-efficacy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peer influence. Finally, to increase health related self-efficacy, to identify sex-role identity, and to reduce peer influence,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and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o prevent health risk behaviors of unmarried women.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health risk behaviors of unmarried women by increasing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and self-esteem, and reducing perceived life stress which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health risk behaviors.

      • Cross-priming에서의 4-1BB의 역할

        정승은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Cross-priming이란 외부항원이 항원제시세포에 수용되고 재표현 되는데 세포용해성 T 림프구반응을 유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외부항원이 라이소솜 되어 MHC class II로 펴현되는 것이 아닌, TAP-mediated transport에 의해 MHC class I에 표현되어 CD8+ T세포를 priming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효과적인 cross-priming을 위해 세포용해성 T 림프구는 CD4+ T세포의 도움을 필요로 하며 이 과정에는 CD40/CD40L ligation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고 된 바 있다. 이처럼 CD40/CD40L ligation이 cross-priming에 필수적이지만 그 외에 다른 공동자극분자 역시 cross-priming에 필수적이라고 추정되고 있아. 그 중에서도 4-1BBL가 결핍된 쥐를 이용한 실험결과를 보면, 4-1BBL가 cross-priming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따라서 4-1BB역시 이 과정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은 자연스러운 추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CTL은 major histocompatibility (MHC) class I 분자에 제시된 펩타이드 항원 복합체를 인식한다. T 세포가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1차 신호인 TCR/CD3 복합체의 자극과 2차 신호인 공동자극분자의 신호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2차 신호인 공동자극 분자의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4-1BB는 활성화된 T세포 군에서 일부의 세포군 만이 발현하는 CD28과 같은 중요한 공동자극분자이지만 아직 그 기능이 확실히 연구되어있지 않다. 우리는 활성화된 CD8+ T 세포에서 4-1BB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CD11c +DCs에서 4-1BBL의 발현 또한 FACS로 분석하였다. 흥미롭게도 cross-priming에서 4-1BBL를 차단시켰을 때 대조군에 비해 그 값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cross-priming에 의해 MHC class I과 CD8+ T 세포가 상호작용하여, CTL 반응을 유도할 때 4-1BB/4-1BBL 상호작용이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의 결과로 4-1BB/4-1BBL가 cross-priming에 의해 DCs와 CD8 + T 세포가 상호작용할 때 공동자극분자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잘 이용하면 암 등의 질병 치료에 좋은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생각된다. Cross-priming represents the induction of cytotoxic T lymphocyte responses to exogenous antigens that are captured and re-presented on bone-marrow-derived antigen-presenting cells. Namely, not extracellar antigen turn into lycocome and then present on MHC class II, but present on MHC class I by the TAP-mediated transport and then make priming CD8+T cell. For effective CTL priming, the cross-priming APC must ve signaled Via CD40 by a CD4+ helper T cell and that this pathway CD40/CD40L ligation is most important thing. Although CD40/CD40 ligation is necessary on cross-priming but the other costimulatory molecules are also necessary on cross-priming. 4-1BBL Knockout mice showed the reduced CTL response. This means that 4-1BB/4-1BBL interactions are involved in the cross-priming. So, 4-1BB seems to be associated in this response. Because CTL have to recognize peptide like a CD28, 4-1BB are needed for activition. 4-1BB in importnat constimulatory molecule, and expressed on active T cells. 4-1BB is completely elucidated not yet. We found the expression of 4-1BB on activated CD8+ T cell, and also expressed on CD11c+ DCs from spleen. When 4-1BBL was blocked in CD8+ T cell activation via antigen-pulsed DC, its response was partially decreased. Therfore, we thought that 4-1BB was involved in cross-priming via interactions between CD8+ T cells and DCs, and this will be helpful for transplantation, cancer therapy, and other immunotherapy.

      • 노인의 무력감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정승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박사

        RANK : 1855

        Recently, the ratio of elderly population is rapidly growing due to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better medical services. As the average life-span of Korean elderly becomes longer, the proportion of older elderly is increasing. In a complex modern society, people lose their sense of self-control, and especially the elderly feel powerless because their social function is weakened both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And when such a powerlessness is not resolved, and therefore is repeated, causing the cycle of powerlessness-depression-hopelessness, which can ultimately lead to death. In this sense, it is deemed that the precise assessment and diagnosis of the elderlys powerlessness is very important to the nurse whose role is to maintain and improve the health of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aits of the powerlessness and to develop a tool to assess the powerlessness of Korean elderly. Summarized below are the procedures for the development of such a tool. First, 108 elderly subjects with the age of above 60 years old were interviewed to determine the areas in which they felt powerless. Second, Kims result were analyzed, and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After that, concerned specialists clarifie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of the preliminary items three times, and then reduced the number of preliminary items. Then, this study selected the final item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pre-test. The result of pre-test which was conducted with 179 elderlies with the age of above 60 years old showed alpha coefficient of internal consistency was .8720. Through item analysis, 4 items which were below 0.4 in correlation with total were excluded. Twenty seven items were finally selected to survey the elderlys powerlessness. The questionnaires on the elderlys powerlessness were drafted so that such tool may be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the four point Likert Scale, which includes the point of "strongly agree" and the point of "strongly disagree". To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number of subjects is 1,150 with ages of 60 years or more and who live in a large city, a small and middle-sized city and a rural area. The data collection was made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7, 1997, to September 13, 1997. The subjects of the test and retest were 85 elderlies. This study utilized Cronbachs α and Pearsons correlation in analyzing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and applied the factor analysis method and known group techniqu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below: 1. When the factor analysis method was applied for validity, the tool for powerlessness of elderly was separated into 5 factors: loss of self-confidence to deal with physical, emotional, social aspects of life; expulsion by others from meaningful human relate; perception that life is meaningless and time passes quickly; falling behind young people; being rejected by other people, having no influence on others. These five factors showed the difference from the original powerlessness framework. The factor loading of 27 items in the developed tool was above .4610. Thus no item was excluded. Five factors in 27 items explained 67.77 percents of the total elderly powerlessness. In addition, a survey of correlation intending to search independence among various factors evidences that such factors we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Furthermore, an application of the known group techniqu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result of the degree of elderlys powerlessness tools developed by the two groups, with illness and without. 2. In testing reliability, it was found that coefficient of test-retest was .9435(P<.0001) when the test-retest method was used as a test of stability, and that the alpha coefficient of internal consistency was .9141 over all items within the tool of elderlys powerless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ool for powerlessness of elderlies may be a useful tool with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and validity. In this sense, the tool for powerlessness of elderlies developed by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tilized in assessment of elderly nursing. 최근 사회·경제적 수준과 의학이 발달함에 따라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노인 중에서도 고령층의 비율이 점차 증가하여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통계청, 1995). 또한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은 많은 상황에서 통제감을 침범 당하게 되는데 특히 노인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기능이 약화되어 무력감이 발생하게 된다. 노인에게 있어 계속되는 무력감은 자가간호 능력이 저하되어 우울과 절망감을 경험하게 되며 결국 이 상태는 신체적 상태가 심각해져 죽음을 초래하게 되므로 노인의 무력감에 관심을 두지 않고 간과해 버린다면 노인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무력감에 대해 정확히 사정, 진단하는 것은 대상자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는 간호사들에게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노인의 신체·심리·사회상태에 맞는 표준화된 무력감 측정도구가 없으므로 외국의 무력감 도구를 번역하여 사용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노인의 무력감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시도하였다. 노인의 무력감 측정도구의 개발과정을 요약하면, 먼저 60세 이상의 노인 108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의 질문을 통해 무력감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김(1995)의 연구결과를 근거로 각 속성에 관련된 문항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예비도구는 관계 전문가에 의해 8개 속성 31문항을 선정하여 "매우 그렇다"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까지 4점 평점척도로 하였다. 예비도구로 작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60세 이상의 노인 179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한 결과, 내적 일관성은 Cronbach α 계수 .8720이었고, 문항분석을 통해 Correlation with total이 0.4이하인 4개의 문항을 제외하여 총 27문항이 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을 유의표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97년 8월 17일 부터 9월 13일 까지 였으며, 총 1150명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와 Pearson 적율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집단비교법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타당도 검정결과 타당도 검정에 있어서 구성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시도한 결과 측정도구의 구성요인은 자신 없음, 밀려남, 덧없음, 뒤쳐짐, 받아들여지지 않음의 5개 요인으로 분리되어 나타나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제시한 개념적 기틀과 차이를 나타내었다. 개발된 도구의 요인적재량은 모두 .4610이상이었으므로 삭제된 문항 없이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총 27문항은 5개의 요인으로 전체 노인의 무력감을 67.77%를 설명하고 있었다. 또한 구성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해 집단비교법을 시도한 결과 질병이 있는 노인과 질병이 없는 노인간에 무력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무력감 측정도구는 집단차이를 분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신뢰도 검정결과 신뢰도 검정에 있어서 조사-재조사법으로 검정한 결과, 상관계수 r=.9435(P<.0001)이었으며, 내적 일관성 검정에서는 무력감 총 문항에 대해 Cronbach α 계수는 .9141로 나타났다. 3. 개발된 노인의 무력감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개발된 노인의 무력감 측정도구는 2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인의 무력감 측정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측정도구를 노인간호의 사정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가 간호에 미치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노인의 무력감 현상을 연구한 결과(김경은, 1995)가 선행되어 이에 근거하여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각 요인들이 통계적으로 적절하게 구성되었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우리 나라 노인들이 가장 주요하게 지각하고 있는 무력감은 자신없음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의 무력감의 구성요인중 기력이 다해감, 단절됨과 쓸모 없음이 합쳐져서 한 요인(자신 없음)으로 나타났다. 이는 질적 연구에 의한 분석결과와 양적 연구를 통해 분석한 무력감의 속성에 차이를 발견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분명하고 다른 무력감의 속성이 존재함을 제시하였다. 이는 우리 나라 노인의 무력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연구가 되어 우리 나라 노인 무력감의 모델이 있어야 함을 제시하는 길잡이가 된다고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의 목적이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인만큼 간호연구 면에서의 의의는 특히 중요하다. 서구의 무력감 도구를 그대로 번역하여 사용하는 현실과, 대상자의 무력감과 관련된 간호현상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측정도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노인의 무력감을 측정하기 위한 다각적인 접근법을 시도하였다. 한국 노인의 사회, 문화적인 배경을 고려하여 대상자의 무력감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측정도구의 개발은 이론 발전을 위해 간호연구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는 신뢰도 및 타당도 검정결과가 평가되었기에 본 도구를 이용하여 여러 간호상황에서 필요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체계적인 연구활동을 통해서 얻어진 지식체는 간호의 과학적인 지식체를 형성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인의 무력감 측정도구는 계속 사용하여 끊임없는 연구와 보완을 통해 노인의 무력감 진단도구로 활용될 수 있겠다. 셋째, 간호현상에서 간호대상자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는 간호사는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사정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중재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노인의 무력감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할 만 하고 타당성이 있는 측정도구의 개발로 간호사정단계에 이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무력감의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각 대상자의 특별한 요구에 맞는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 초등학교에 있어 전통미술을 활용한 통합교과적 디자인 학습 지도방안 연구

        정승은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우리의 다음 세대들은 이러한 다문화 시대의 영향을 더욱 더 크게 받을 것이며 이때 우리의 문화를 좀 더 배우고 이해하지 못한다면 우리는 정체성을 잃고 여러 문화 속에서 가치관의 혼란을 겪게 될 것이다. 전통미술을 올바로 체득하고 거기서 느낀 감흥과 아동의 창의력으로 디자인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 문화를 올바로 인식하고 그것을 충분히 내면화하여 우리다운 디자인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여 전통미술교육과 디자인 교육, 통합교과 교육론에 대하여 개념파악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서울지역의 초등학교 4∼6학년 교사와 미술교과 전담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전통 미술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문제점을 분석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통합교과적 디자인 학습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world gets closer and the culture communicating speed in the world is faster than past time, due to development of computer, internet & many kinds of technology. Under the circumstance, our descendants will be affected more than us and they would lose their identity and be experienced confused standard of values among worldwide & various cultures, if they don't learn and understand our own culture properly. In the same sense of art education, the various and every each countries' cultures can be adapted, enjoyed and filtered properly, as we can understand, feel and re-evaluate our ancestors' consciousness and emotion in cultural activity. We think that our design education is treated indifferently among other art fields while it affect our students very much in motivation of originality. We won't be educated and did adequate design education which had traditional & contemporary sense, in school, even though our most traditional design gets spotlight and is highlighted in the world. I tried to find how to educate design subject to our students by the means of feeling and student's originality which come from our traditional arts. This study aimed to let our students represent and express our traditional arts by the most korean design, after they fully understand, recognize and internalize ours. I suggested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giv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general idea about traditional art education, design education, and integral curriculum. Based on questionnaire analysis about traditional art education situation in primary school, we know that the traditional education is emphasized strongly in the 7th curriculum, but there aren't practical and concrete method of education and enough time for the traditional art lessons and no effective education by lack of appreciation opportunity and resourc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make more effective lessons of traditional arts, it require enough time to appreciate, express and re-develop the sense of arts and beauty on the one theme. But, the time for it is not so enough. Thus I suggest the integrated lessons among other subjects to give time to think, make plan, express and appreciate enough the tradition arts. Though the traditional arts education is necessary to our young students, teachers in the fields has less importance on it. In addition, the 7th curriculum emphasized it, but no concrete and practical teaching methods in it, thus the lesson become just simple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y used the feeling. Abundant resources, various audio-visual materials and easier and more systematic approach on the traditional arts can be more effective method of eduction and make our students understand it easily. We, teachers have to let them experience it by expression, appreciate contemporary arts which came from traditional arts, and invent traditional arts in the new view points by means of their own discussion. Cooperation-learning which is composed of korean design discovery and invention should occur to consistently in the education fields. Thus, we can make macroscopic traditional arts education, in stead of microscopic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