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화학공정산업의 스마트 팩토리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정소미 아주대학교 공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 4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Industry 4.0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제조업과 ICT 기술 등의 융합을 통한 스마트 팩토리(Smart Factory)가 전 세계 제조업계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변화에 맞춰 국내 에너지·화학업계에서도 스마트 팩토리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화학공장의 스마트화는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첨단 ICT기술의 융합을 통해 인간의 오차를 줄이고 조기 위험감지와 이상 징후를 발견함으로써 공정운전 안전성을 더욱 제고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스마트 팩토리의 도입과 수준 증가는 그 복잡도와 불확실성을 크게 하여 다양한 형태의 산업안전 위험요인이 발생할 수 있으며 기존의 안전관리 시스템으로는 위험을 예측하고 예방하기는 어렵다. 이로 인해 예상하지 못한 문제에 직면하여 대형 인명·재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정부·산업계에서는 스마트 팩토리의 보급 및 성공적인 도입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새로운 위험요인을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는 안전대책을 거의 수립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공장에서의 중대산업사고 발생사례 및 원인에 대한 상세 통계분석을 통하여 기존 화학공장의 위험요인을 분류하였으며, 스마트 팩토리 도입 시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위험요인을 예측하여 재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화학공정산업의 스마트 팩토리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4차 산업혁명 흐름에 따른 화학공정산업의 스마트 팩토리의 성공적인 도입과 스마트한 안전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해 산업재해 예방 및 감소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새로운 감성 제품 디자인을 위한 CMF활용 서비스 디자인(감성마케팅) 연구 - 삼성의 비스코프,LG의 시그니처(오브제컬렉션)을 중심으로-

        정소미 한서대학교 국제디자인융합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analyze that the consumption trend of the market has changed to emphasize sensory stimulation, aesthetic sense, and pleasure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social and economic changes and the progress of the information society. What marketing and design using was analyzed in turn. In addition, CMF design, which has a close interaction with emotional marketing, was also analyzed, and the common elements of the two, color, material and surface treatment, were examined and analyzed in turn. Emphasizing the rise of the flow of emotion and color, and analyzing the CMF elements of refrigerators (home appliances), the product that had the most direct influence on the two through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CMF and emotional design, by age, and CMF design applied to product design The flow was analyzed. Finally, in today's emotional consumption era, CMF design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ajor factor in various fields except for refrigerators and home appliances, and it was emphasiz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dict future design trends accordingly. 본 논문에서는 사회 경제의 변화 정보화 사회의 진전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시장의 소비 트렌드가 감각적 자극과 미적 감각, 즐거움을 중시하는 것으로 변화하였음을 분석하였으며 그에 맞추어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된 감성이 무엇인지, 그 감성을 이용한 마케팅과 디자인은 무엇인지 차례대로 분석하였다. 또한 감성마케팅과 밀접한 상호작용이 있는 CMF디자인에 대해서도 분석하고 그 둘의 공통 요소인 색채가 무엇인지, 소재와 표면처리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차례대로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감성의 흐름과 색채등이 대두되었음을 강조하고 CMF와 감성디자인의 상호관계를 통해 그 두 가지가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제품인 냉장고(가전제품)의 CMF 요소를 시대별로 분석하였으며 제품디자인에 적용된 CMF 디자인 흐름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오늘날 감성 소비 시대를 맞이하게 되며 냉장고와 가전제품 분야를 제외한 다양한 분야에서 CMF디자인은 주요한 요소로 주목받고 있으며 그에 따른 향후 디자인 트렌드의 예측이 필요할 것을 강조하였다.

      • 카지노 종사원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소미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카지노 종사원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인 검증을 통하여 셀프리더십의 이론적 확장과 더불어 실제적 적용에 기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필요성과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실증적 검증을 수행 하였다. 통계기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 Duncan test,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카지노 종사원의 셀프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연구한 기존의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일치하며, 연구가설에서 언급하였듯이 카지노 종사원의 셀프리더십이 조직몰입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다. 둘째, 셀프리더십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덧붙여 셀프리더십의 하위요소인 사유적 셀프리더십과 자기관리는 다른 하위 요인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카지노 딜러의 긍정적인 사고와 자기관리는 내적 직무 동기를 유발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임파워먼트 하위요소인 의미성은 다른 하위 요인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떠한 일이나 활동이 자기에게 중요하다는 인식의 정도로 의미성이 높을수록 조직몰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간의 매개효과를 갖는다.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하위요소인 의미성 자기결정력, 영향력은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역량성 또한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나, 조직몰입의 하위요소인 규범적 몰입간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정한 기업에 한하여 결론을 도출한 부분이 아쉬웠으며, 향후 다수의 표본을 선정하여 조사한다면 좀 더 전문화 되고 특징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본다면 셀프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셀프리더십의 중요성이 높게 인지되어야 하며, 셀프리더십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리더십 프로그램이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하여 조직 몰입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종업원에게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부여하여 내적 직무 동기부여를 한다면 조직몰입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될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향후 연구방향으로는 이들 변수들 이외에 카지노 기업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한다면 셀프리더십과 조직몰입의 이론을 발전시키는데 보다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of casino employe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is, in addition, the final aim to contribute to extend the theory of self-leadership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theories through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correlation of factors had been verified based on a range of literatures and precedent studies. In order to testify the hypothesis, statical techniques such as frequent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Duncan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leadership of casino employee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about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hypothesis mentioned, furthermore, it was verified that self-leadership of casino employees contributes positively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it was shown that self-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This means that casino dealers' positive thought and self management are concerned with their internal job motivation. Third,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the meaning which is a sub-factor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higher effect compare to other sub-factors. The meaning in this study is presented as the perceptions of the degree of importance in job and activity. Therefore, it was figured out that the higher meaning of employees had a higher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this study also found out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between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was identified that each of sub-factor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meaning, self-determination, impact and competence had a mediating influence, however,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found between normative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leadership due to the fact that this study focused on specific casino companies only, the results left something to be desired, though the result s are meaningful.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tudy to aim at extended research target for getting more professional and specialized results in further study.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because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program to improve self-leadership of employees must be develop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elf leadership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psychological empowerment. Therefore, it implicates the higher level of internal job motivation to give more psychological empowerment to employees causes an adva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sequently. Moreover,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re are other elements based of characteristics of casino companies to observe closely for further theoretical development of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디자인 호텔의 하이브리드 성향에 관한 연구

        정소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산업화시대에서 정보화 시대, 디지털 시대로의 급속한 발전으로 전 세계가 하나의 네트워크화가 되어감에 따라서 지구의 다양한 인종과 국가들이 서로 공존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과거의 관례적인 원리에서 벗어나 고정보다는 변화와 열립의 유형을 표출하였으며, 모든 장르에서 다원화 현상이 나타나기에 이르렀다. 또한 디지털 매체의 발전은 사회적으로 큰 변화를 이끌고 있으며 과거의 시간, 속도, 공간의 원래의 개념들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문화적 가능성들을 통해 그 동안 해결방안을 찾지 못했던 오류들을 다른 장르와의 섞임 또는 혼성을 통해 극복해 가려는 시도를 하고 있으며, 다양한 가치들의 혼합에 의해서 기존에 존재했던 대상이 다른 기능과 더 나은 가치를 가지게 됨으로써 하이브리드라는 개념의 탄생을 가져오게 되었으며 이 흐름은 모든 디자인 영역으로의 확대 현상으로 이어졌다.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1980년대 이후 호텔산업에 있어서도 다른 호텔과의 차별화 전략의 일환으로 디자인 호텔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미국적인 영향이 강한 디자인 호텔은 세계적인 유행을 타면서 국내에도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국내 호텔들이 대형화, 복합화, 고층화, 체인화하면서 경쟁에서 차별화하기 위한 디자인, 마케팅적인 전략으로 디자인 호텔이 만들어지게 되었으며 그 주된 경향으로 호텔산업에서도 하이브리드 디자인이 나타나게 되었다.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호텔이라 불리는 호텔들의 기본적, 물리적 환경들을 바탕으로 국내, 외 디자인 호텔의 경향을 알아보고, 현재 그들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주요 현상인 하이브리드의 정확한 개념과 시대적 특성, 다문화 시대 속 사회 제반 분야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하이브리드 경향을 알아보면서 그에 따라 최근 디자인 호텔에서 두드러지게 보여지는 하이브리드 성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으로 두고 다음과 같은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첫째, 디자인 호텔에서 나타나는 하이브리드 성향에 관한 연구를 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디자인 호텔의 일반적인 고찰을 한다. 디자인 호텔의 배경과 개념, 국내․외 디자인 호텔의 현황을 조사하며, 실제 사례분석에 앞서 디자인 호텔에서 나타난 하이브리드 표현 요소를 알아본다.둘째, 하이브리드의 문헌 고찰 부분에서는 하이브리드의 등장배경과 정확한 개념과 시대적 특성을 정리하고, 다문화시대 속에서의 하이브리드디자인 경향과 본격적인 사례분석에 앞서 공간 디자인에서 나타난 하이브리드 표현경향과 디자인 호텔의 하이브리드 성향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을 한다.셋째,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디자인 호텔에서 나타나는 하이브리드 성향을 실제 사례를 통해 종합 분석하고 도표화 하며, 이론적 내용을 토대로 해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디자인 호텔에서 나타나는 하이브리드 성향에 대해 분석한다.위아 같은 순서로 진행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디자인 호텔의 분류별 하이브리드 요소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디자이너 호텔에서는 장르 간 결합에 따른 하이브리드 공간이 두드러졌으며 그 다음으로는 시간적 하이브리드가 많이 나타났다. 장르적 하이브리드에서는 특히 조명을 이용한 구조 오브제화가 많이 나타났다. 또한 시간적 하이브리드에서는 다른 요소들 보다 역사적 스타일의 병치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부티크 호텔에서는 이질문화의 접목, 특히, 동서양 문화의 접목을 통한 상징적 표현으로 문화적 하이브리드와 장르적 하이브리드가 많은 공간 디자인 요소들로 비슷한 빈도로 표현 되었다. 장르적 하이브리드에서는 특히 시각적 효과와 구조적 역할을 하는 조명을 이용한 구조 오브제화가 많이 나타났다. 특히, 체인 호텔인 W Hotel들은 특수성과 더불어 고품격, 고급문화를 지향하면서 개성과 다양성을 추구하였다.아트 호텔은 실내디자인과 예술 영역간의 결합에 의한 장르간의 결합에 의한 하이브리드 공간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실내 공간에서 예술 작품의 부가, 결합 등으로 하이브리드 표현 요소를 나타내었다.둘째, 전체적으로 종합해 볼 때 디자인 호텔은 시간적, 문화적, 장르적 하이브리드 중 장르적 하이브리드가 가장 많이 나타났나. 장르적 하이브리드 중에서도 조명을 이용한 구조요소의 오브제화가 가장 많이 표현 되었고 그로인해 의도적으로 하나의 표현요소로 계획하여 기능성을 벗어난 효과를 연출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회화와 그래픽을 적용한 사례와 조소, 오브제적 공간이 많았으나 다른 요소도 많이 나타나 장르적 혼성에서는 요소들이 모두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셋째, 장르적 하이브리드 다음으로 많은 빈도를 보인 문화적 하이브리드는 이질문화의 접목, 특히 동서양 문화의 접목을 상징적 표현이 서양의 고전 양식이 장식적으로 강조되어 시간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다문화적 공간으로써의 공존현상의 특징이 두드러졌다.넷째. 마지막으로 서양의 고전 양식이 장식적으로 강조되어 시간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시간적 하이브리드가 나타나고 있다.다섯째, 다문화성 문화 속에서 디자인 호텔 공간의 하이브리드 성향에 있어서 시간적, 문화적, 장르적 하이브리드가 단일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그보다는 주로 둘 이상의 표현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나타남을 알 수 있다.디자인 개념과 표현요소가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은 디자인 호텔의 사회적 필요성과 다문화성 문화 속에서 디자인 호텔 뿐 만 아니라 모든 디자인 제반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하이브리드 성향에 따라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다문화적 사회 속에서 디자인 호텔 뿐 만 아니라 사회, 문화, 경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하이브리드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앞으로 호텔산업측면에서 디자인 호텔의 디자인적, 마케팅적인 접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차별화된 전략을 제시하여 천편일률적인 모습들이 아닌 호텔 건축과 실내 공간 디자인의 문화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각각의 호텔마다 독창적인 표현을 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Modern society has changed one network as developing from industrial to digital society and this rapidly changing is difficult to define it simply because of multiple origins. A human of all over the world live one time. As the state of things pluralistic phenomenon is appeared in all fields. Also development of the digital media and technology is occurred various changes to our society. After all these various changes in our society made hybrid notion. And this flowing expanded all design field. Specially interior design sought for new design notion to expand it to various fields of the art. And variableness to express not only individuality but also multiple origins that interacted.In the these changes, having the background of the times since the 1980's, a new concept hotel named design hotel made appearance to have a differentiated design and design hotel appeared to differential strategy of the hotel industry. The trendy design hotel having American style started to build up in the nation to meet worldwide fields. Currently, domestic hotel industry and business is remarkably growing up because of large-scale, high store, hotel chain system, and compositeness those sort of things, so that the high class hotel widened a gap with other hotels to happen a serious unbalance. To overcome the big unbalance, small sized hotels of domestic are reflected in design hotel concept and demanded to introduce a design hotel that can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hotels with a variety of parts, especially design.This study aims to establish new design concept based on physical environment and requirements of a design hotel and to investigate hybrid trend and expressions of design hotel.The study was made in following order:Firstly, the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of design hotel to get a general idea theoretically of the hotel that rapidly grow up in the multiple society, and investigated the background,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hotel. And investigat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design hotel. Finally, examined hybrid factors of design hotel.Secondly, the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appearance, exact concept, and the stages characteristics of hybrid. And currently examined trend of hybrid desig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past the hybrid expression was subject to the resistance, disorganization, and destruction, while at present it added the concept of creation to show new code. The time hybrid differed from the expression of excessively historical decoration in post modern, and the space hybrid of foreign cultural elements changed from subordinate cultural transformation process to equal process, and the genre hybrid was developed from creative purpose being different from social resistance in the past.Thirdly, outside and inside real examples were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to find hybrid trend characteristics of design hotel and to produce tables based on precedent researches.The findings were as follows:Firstly, results examined type of design hotel were as follows. Designer hotel was expressed the most by the genre hybrid, and the next was the time hybrid. particularly, the genre hybrid with object of structural elements using lighting was the most. Boutique hotel was expressed cultual and genre hybrid. The genre hybrid with object of structural elements using lighting was the most. Especially, W Hotel in chain hotel pursued their origin individuality through design. Art hotel was the most by the genre hybrid.Secondly, results examined classification design hotel among the three kinds of hybrid were as follows. The design hotel had the genre hybrid the most among the three kinds of hybrid, and the genre hybrid was often made through carving, modelling, and object space. Therefore, not only carving, modelling, and object space but also object elements were applied to space to let design elements produce strong images and to revitalize total things. And the genre hybrid with object of structural elements using lighting was expressed the most by genre hybrid and followed to plan an expression factor of lighting and to produce effects being free from functions. The next was cultural hybrid. It makes appearance by overlapped styles, decoration elements, and other culture material. Other culture material evenly made appearance despite weakness, while overlapped style did the strongest. In particular, the cultural hybrid applying Oriental material to modern space was found to be notable. The last was the time hybrid. The hybrid with the styles in the past and at present was followed to remove time factor.Thirdl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only one of the three kinds of hybrids may appearance, but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hybrids mostly make appearance in the multicultual society.The design hotel may be expressed in the three kinds of hybrids, such as, the time hybrid, the cultural hybrid, and the genre hybrid. Based on hybrid that can characterize current spirit. And it includes unlimited variety and creation of the hotel design.Therefore, in the multicultual society, it required exact concept among hybrids of various society, culture, economy fields as well as design hotel. Also in the side view of hotel industry, it is demanded that designing, marketing side of the design hotel understand, and make the differential strategy. Especially, small size hotels in the nation are demanded to introduce the concept of the design hotel because of unbalanced development of hotel business. So the author thinks that the hybrid trend needs to be researched to understand and design the design hotel and to be of help to make cultual value and originality in the hotel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 청소년의 사이버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이버 윤리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소미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analyze all the correlation of cyber violence with various stresses from schooling, pugnacity and motivation, aiming to seek ways to reduce and prevent adolescents' cyber violence by verifying efficacy of cyber ethics which seems to adjust the correlation. Surveys conducted for this study targeted 705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s in all grades, a total of 6 schools consisting of 2 middle schools, 2 academic high schools, and 2 vocational high schools in Sacheon, Jinju, Changwon, and Tongyeong of west Gyeongnam Province.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s program of SPSS 18.0 which applied to 660 of them while 45 of them were excluded because they were either returned empty or responded unfaithfully. The summary of study results is as follows. The results include analysis of relations of cyber violence with stresses from schooling(stress in study and stress in friendship), pugnacity, motivation(entertainment, desire to be recognized, and sense of belonging). First, variables affecting cyber verbal violence are pugnacity, entertainment and desire to be recognized. Second, variables affecting cyber sexual violence are stress in friendship, pugnacity, entertainment and sense of belonging.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efficacy of cyber ethics between motivation and cyber violence. First, in terms of a relation of motivation with cyber verbal violence, only entertainment appeared to be adjusted by cyber ethics. In other words, there is less cyber verbal violence in the case of a full of entertainment with higher cyber ethics; in contrast, more cyber verbal violence happens under the condition of lower cyber ethics. Second, when it comes to a relation of motivation with cyber sexual violence, both entertainment and sense of belonging appeared to be adjusted by cyber ethics. To put it another way, cyber sexual violence is decreasingly affected by entertainment and sense of belonging as these two items increase, but rather cyber ethics increasingly affects cyber sexual viol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e as follows in regard to social welfare. First, it is needed to develop 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skills program in order to reduce adolescents' stress in dealing with friendship. Second, it is helpful to develop a program enabling adolescents to adjust their resentment so that their pugnacity can be decreased. Third, to satisfy adolescents' desires, a group activity program improving their sociality is required. Fourth, educating cyber ethics should be strengthened to decline cyber violence of adolescents. Fifth, responsibilities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need to be reinforced at school. Finally, it is significant to build up a cement network among persons, households,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 영아보육교사의 전문가적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정소미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현장이야기를 들어보고, 영아반 보육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영아보육교사의 전문가적 역할은 무엇인지, 그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경기도 수원과 화성, 오산에 근무하는 만 2년 이상의 영아반 보육경력을 가진 영아보육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은 2009년 6월부터 8월까지 각각2~3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영아반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일상보육활동이야기를 들어보고, 영아보육교사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얻어진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영아보육교사의 전문가적 역할과 그 의미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들이 보육 현장에서 전문가적 역할이라고 인식하고 실천하고 있는 현재 그들의 역할에 관한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영아 보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일상적이고 발현적인 영아 중심의 보육을 제공하는 것이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적인 역할이라고 생각하고 보육 현장에서 실천하고 있었다. 또한 영아의 발달적 특성과 단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놀이 활동과 자극을 주어야 하고, 영아와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영아의 안정적인 애착 형성을 돕고, 올바른 성격 형성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하였다.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적 역할로 영아의 적응을 돕는 활동도 빼 놓을 수 없는데, 교사는 영아 뿐 아니라 부모와의 원만한 상호작용을 하면서 영아의 적응을 도와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보육교사들의 역할들은 영아들에게 신체적, 정신적, 인지적 발달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원만한 성격형성에도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고 인식하면서 이러한 역할들을 영아보육교사의 전문가적 역할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영아보육교사들이 인식한 전문적 역할이 가지는 의미이다. 교사들이 수행하고 있는 역할들은 영아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영아 교사 자신에게도 큰 의미를 가진다고 하였다. 우선 영아의 개별적 요구와 특성에 맞춘 보육을 실현하면서 영아보육교사는 스스로 능동적인 보육주체로서 자각하게 된다. 그러면서 영아를 단순히 보호해 주어야할 존재로 인식하지 않고 함께 존중받고 사랑 받아야 할 존재로 인식하였다. 또한 영아들의 자조 활동을 돕고 적응을 돕는 과정에서의 기다림, 인내와 수용, 이해하는 마음은 영아 뿐 아니라 부모와 동료교사에 이르기까지 적용되면서 신뢰로운 인간관계가 폭 넓게 형성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영아보육교사들은 영아와의 온정적인 애착 형성과 상호작용이 단순히 직업으로서 만들어지는 감정이 아닌 전문적이고 반향적인 역할 수행과정과 사랑이 전제된 것으로 인식했다. 영아 시기가 인간 성격 형성의 매우 중요한 시기임을 깨달은 보육교사들은 그 시기를 맡고 있는 자신들의 역할의 중요성과 함께 자신의 역할만큼이나 존귀한 자기 자신도 발견하게 되었다. 자신이 좀 더 특별한 사람이라는 인식은 자신의 역할에 대해 반성하고 돌아보는 기회를 가지게 해서 결과적으로 영아보육교사 자신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도전으로의 의미를 가지게 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로서의 발달과정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처음 영아반 교사가 된 것을 통과의례로 받아들이고 준비되지 않았던 영아반 생활에서 방황과 혼란기를 맞았다. 이러한 갈등을 이직이라는 결정을 하면서 새로운 환경, 새로운 영아들을 접하며 그동안의 교사로서 자신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하게 되었고, 자기 성찰 능력 구축을 위한 열정을 가지면서 조금씩 성장을 하게 되었다. 영아반 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을 통해서 영아보육의 전문가로 거듭나는 이상 다섯 단계의 역할 수행에서의 인식 변화 과정을 경험하면서 영아보육교사들은 전문가로서 한 발 더 가깝게 다가가고 있었다. 넷째, 영아보육의 전문적 역할을 수행해 가면서 겪는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감이다. 보육의 초임 시절 아무 것도 제대로 된 역할을 하지 못했던 때와 비교하여 현재는 훨씬 나아진 모습으로 보육에 임하고 있지만 여전히 이상적인 자신의 보육관과는 다른 현실에 부딪히며 고뇌하는 보육교사들을 볼 수 있었다. 우선 동료 교사들의 비교육적인 행태를 접하게 되었을 때와 바람직한 보육 환경 조성의 역할을 알고 있는 만큼 다 해주지 못했을 때 교사가 겪는 갈등이다. 사랑 없이 폭력적이거나 방관적인 행태로 아이들을 대하는 동료교사를 경험하면서 이를 시정해 주지 못하고 아이들의 안전을 책임져 주지 못했을 때 자신을 역할을 다하지 못했다는 자책감이 들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장시간의 보육 업무로 영아에게 유익한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 주지 못했을 때도 교사는 올바른 역할을 다하지 못했다고 생각했다. 보육교사는 영아의 인지· 언어· 사회성 발달을 위해 환경조성자적 역할을 대해야 함을 잘 알고 있었지만 긴 시간 동안의 보육 업무 외에 새로운 환경을 꾸며주기 위한 교재, 교구 개발은 어렵다고 답하면서 자신의 역할과 현실적 한계 사이에서 현실에 안주하려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였다. 영아보육과정이라는 영아의 시기 발달적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는 영아반 교사들은 더 이상 학습 위주의 프로그램 위주의 수업에 연연해하지 않았다. 하지만 학부모의 요구가 프로그램, 학습 위주의 수업임을 감안하여 보여지는 수업은 진행하되 그 수준과 범위는 영아의 요구에 맞추는 것으로 영아의 발달수준과 학부모의 요구를 모두 적절히 잘 수용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아보육교사 자신이 갖는 자긍심에 관한 문제이다. 영아보육교사들은 영아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영아에 대한 좀 더 많은 이해를 하기 위한 긴 시간의 영아보육의 경험과 그에 필요한 자기 개발을 아끼지 않았지만 짧은 교육과정과 유치원교사에 견주어 수준이 낮다고 평가되는 사회적 시각에 교사들은 스스로도 위축된다고 하였다. 영아보육교사가 전문가로서 대접받기 위해서는 영아보육교사 스스로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과 함께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 교사의 부정적 정서경험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 : 적응적 인지적대처와 주의재배치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소미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사가 교실에서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경험과 정서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의 과정 변인들, 즉, 적응적 인지적대처, 주의재배치행동의 매개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교사의 부정적 정서경험과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대처, 주의재배치행동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둘째, 교사의 부정적 정서경험과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대처, 주의재배치행동은 이중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 822명을 대상으로 부정적 정서경험과 정서조절능력, 적응적 인지적대처 그리고 주의재배치행동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AMOS 18.0 프로그램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개별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팬텀변수를 사용한 효과분해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부정적 정서경험은 적응적 인지적대처를 매개로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부정적 정서경험과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대처와 주의재배치행동을 통한 이중 매개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정서를 대해 연구를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이중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정서조절의 과정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셋째, 정서조절의 과정에서 개인 내적 변인들에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였다는 점이 의의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교사의 정서경험, 정서조절능력과 정서조절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사의 정서조절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과 정서조절 과정에 개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Preparation of hybrid nanocylinders

        정소미 부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선형의 무정형 고분자사슬은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형태로 존재하기 위해 주로 random coil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분자량과 분포를 제어한다고 하더라도 형태까지 제어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주 사슬의 길이가 가지 사슬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고 가지 사슬의 밀도와 길이가 충분히 큰 고분자 브러쉬는 가지 사슬 간 반발력으로 인해 완전히 펼쳐진 형태의 비대칭적 분자구조체를 만들기 때문에 정밀 합성을 통해 분자 하나의 크기와 형태를 비교적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ATRP를 이용해 grafting from방법으로 실린더 형태의 고분자 브러쉬를 합성하고 말단에 나노입자를 도입함으로써 크기와 형태가 일정하면서 분자 내에서 이방성을 실현한 하이브리드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고분자 브러쉬 말단에 p(AA) 킬레이트 그룹을 도입함으로써 금속이온의 환원반응과 아미노 그룹을 갖는 나노입자의 커플링 반응을 통해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를 합성할 수 있었다. 합성한 하이브리드 재료의 구조는 AFM, TEM 측정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하이브리드 재료는 나노입자가 가지는 광학적 전기적 특성과 고분자가 가지는 화학적 구조적 특성이 결합되어 나노과학, 생명 과학 등의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1990년대 소설의 여성 주체 연구 : 은희경·전경린을 중심으로

        정소미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은희경과 전경린의 소설을 대상으로 기존의 권력 담론인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허상에 사로잡혔던 여성 주체가 진실을 마주하게 되면서 이를 어떻게 극복하지는 보여줌으로써 1990년대 문학 담론 속 두 작가가 이루어낸 문학적 가치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에서 은희경의 여성 주체에 대한 논의는 가부장적 체제에 대한 저항의 면모에 주목하거나 여전히 가부장적인 담론에 사로잡힌 모습의 주체에 집중하는 두 가지 양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본고는 여성 주체의 저항에 주목하면서도 주체가 삶에 냉소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기존의 권력에 사로잡힌 것에 머무른 것만이 아닌 자기인식에 도달함으로써 내적 진실을 찾게 된다고 본다. 한편 전경린 소설의 기존 연구는 여성 주체가 처한 현실의 상황과 그를 어떻게 극복하는지 잘 보여주었지만 본고는 여성 주체를 전체성의 환상을 인식한 주체로 보고 타자와의 연대를 통하여 실천하는 모습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한다. 은희경의 여성 주체는 남근 상징질서 속에서 분열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분열된 주체의 모습은 상징계 속에 안주하며 살아가는 자들에게는 정신병리적인 모습으로 보이지만 실상 그들의 증상은 그동안 표현될 수 없었던 욕망의 강렬한 표출이자 저항의 드러남이다. 그러나 여성 주체의 욕망은 좌절되고 상징계의 체계 안에 통합되어 살아가는 것이 불가능하며 그것은 곧 환상이었음을 깨닫는다. 여성 주체는 그 과정에서 자신의 모습에 환멸을 느끼고 진정 진실이 무엇인가 깨닫게 되는 과정을 통해 이데올로기의 기만을 폭로한다. 전경린의 여성 주체는 자신이 세상에 맞지 않는 역겨운 아브젝트의 존재로 생각하고 무기력하게 살아가지만 결코 그러한 남성의 체계 속에 속박되어 살아가는 것을 수용하지만은 않는다. 결국 자신이 아브젝트임을 받아들이고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질서를 교란시키면서 전복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진실을 깨닫게 된 여성 주체의 극복 방식은 공동체의 사유를 통해 형상화된다. 은희경의 경우, 하나로 결속시키는 합일의 공동체의 폭력성을 거부하며 하나의 실체를 형성하지 않는 상호작용의 ‘소통’을 통한 분유의 공동체를 유보상태로 둔다. 이를 통해 차이를 인정하는 공동체의 도래를 기대해볼 수 있다고 본다. 전경린은 은희경과 마찬가지로 존재들의 다양성, 즉 차이에 주목한다. 다만 은희경과 달리 전경린은 이들의 적극적인 연대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도래할 공동체를 향한 해방을 숲으로의 떠남으로 형상화한다. 그렇게 전경린의 여성 주체는 타자를 향하여 실천하는 좀 더 적극적인 주체로 나아가게 된다. 그리하여 두 작가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보편의 논리에 사로잡혀 합일에 이르는 공동체를 해체하는 사유는 공동체를 이루기 위해 필요했던 가치순환적인 진실을 전달한다. 본고는 은희경과 전경린이 개인의 내적인 진실을 다루는 미시 담론에 주목하였고 작품의 미학적 접근을 시도하여 여성의 목소리가 ‘소음’으로 치부되던 현실에서 그것을 ‘목소리’로 변환되는 문학의 정치를 이루어냈다고 본다.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시선에 저항한 두 작가의 여성 주체들은 그렇게 남성의 시선에 의해 규정된 왜상의 구멍을 간파한다. 이데올로기의 환상적 시나리오를 알아챈 여성 주체들은 그것을 도피할 것인가 새롭게 구성할 것인가의 갈림길에 직면하게 된다. 그 갈림길에서 두 작가의 여성 주체는 기존의 체계를 응시하고 순응하는 것에 수치심을 느끼며 가부장의 이데올로기에 더 이상 얽매이지 않기를 택한다. 이로써 두 작가는 여성 주체의 자기 인식과 자기배려를 형상화하여 소음이 목소리가 되는 실천을 이루어냈으며 이는 이전과는 다른 여성 문학의 새로운 미학적 정치의 담론을 만들어낸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iterary values that the writers Eun Hee-kyung and Jeon Gyeong-rin achieved in the literary discourse in 1990s by showing how the female subjects in their novels, who were seized with the patriarchal ideology, the existing power discourse, face the truth and overcome that. In previous studies, Eun’s discussion on female subjects showed two aspects―focusing on the appearance of resistance to patriarchy or centering upon the subject who is still obsessed by the patriarchal discourse. This study figures that the reason why the female subjects show a cynical attitude toward life while paying attention to resistance is because they not only remain preoccupied with the established power but also find the inner truth by reaching self-awareness. Meanwhile, existing studies on the novels by Jeon showed the real situation that the female subject faced and how she overcame it, bu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female subjects, considering them as the ones who recognize the illusion of generalness and focusing on their practice through solidarity with others. Female subjects in the books by Eun look fragmented in a phallic symbolic order. This fragmentedness appears to be psychopathological to those who settle for the symbolic world, but in reality, their symptom is both an intense expression of desire and exposure of resistance that have not been disclosed so far. However, the female subjects realize that their desires are frustrated, that it is impossible for them to live integrating with the system of symbolic world. The female subjects get disenchanted with themselves along the way and reveal the deception of ideology by realizing what the genuine truth is. Female subjects in the books by Jeon consider themselves as a disgusting “abject” that does not fit with the world spending days in a state of torpor, but they never accept living a life under restraint based on such a male-centered system. They face the fact that they are “abjects”, showing the possibility of overthrow as disturbing the order in their own ways. The way the female subjects who realized the truth overcome the established power discourse is represented through community thoughts. In the case of those in Eun’s works, they deny the violence instinct of united community that unites as one and leave the sharing community through “communication” for interaction that does not form a single substance in the state of reservation. Jeon gives attention to the diversity of existences, or difference. Jeon shows the possibility of their active solidarity and represents their liberation toward the forthcoming community as leaving for the forest. Therefore, these two writers’ reason for dismantling the community that arrives at unity as being preoccupied with universal logics without acknowledging differences conveys the value-circulating truth needed for the formation of community. This study considers that Eun and Jeon focused on micro-discourses dealing with individual inner truth, attempted an aesthetic approach to their works, and achieved literary politics that converts the reality where women’s voices were considered as “noises” into “voices.”

      • 한국 아동의 신뢰성 판단에 정보제공자의 특성이 미치는 영향

        정소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학령전기 아동들은 정보제공자의 신뢰성을 판단함에 있어 정확성, 성별, 연령 등 정보제공자의 여러 가지 특성을 고려한다. 그러나 이와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는 미국과 같은 서구권에서 수행된 것으로 한국 아동에게서 동일한 결과를 관찰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실험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아동을 대상으로 정보의 출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서 정보제공자의 어떤 특성들이 보다 중요하게 고려되는지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선행연구의 일반화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4-5세 아동들에게 정보제공자의 연령, 성별, 지위를 비교하는 사진을 제시한 후 지식을 더 많이 보유했을 것으로 기대되는 사람과 실제로 새로운 물건의 이름에 대해 물어보고 싶은 사람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반응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다. 연령을 집단으로 비교하였을 때 4세 아동은 특정한 사람에 대한 유의한 선호를 보이지 않았으나 5세 아동은 아동보다는 성인을, 평범한 성인보다는 선생님의 지위를 가진 성인을 더 많이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남아와 여아를 나누어 분석하자 4세 남아에게서 유일하게 지위에 대한 높은 비율의 선택 반응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택적 신뢰 상황에 있어 연령, 성별, 지위와 같은 정보제공자의 특성에 대한 인식이 한국 아동의 경우 만 5세경에 이르러서야 나타나며 특히 발달 시기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가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구 2를 통해 문화에 따른 중요성에 있어 선행 연구와 차이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되는 연령 요인과 정확성 요인을 대비하는 선행연구를 재검토함으로써 선행연구의 일반화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정확한 성인과 또래 아동이 정보를 제공하는 상황을 제시하자, 한국의 4세와 5세 아동은 미국에서 성장한 아동들과 동일하게 정확한 또래 아동을 높은 비율로 선택하여 연령 보다 정확성에 따른 선호를 보인 반면, 3세 아동은 어떤 정보제공자를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여 선택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만 3세 아동의 수행이 정보제공자의 정확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신뢰하는 능력이 미성숙하기 때문인지 연령에 효과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연구 3에서는 연령은 동일하지만 정확성이 다른 두 명의 성인이 정보제공자로 제시되었고 연령 요인이 사라지면 한국의 3세 아동도 정확한 정보제공자를 잘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특히 3세 여아에게서 관찰되었는데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달리 연령 요인의 영향이 정보제공자의 성별과 관련되며 3세와 3세 이후 아동에게 달리 작용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핵심어: 신뢰성 판단, 선택적 신뢰, 연령, 정확성, 발달, 문화적 요인, 성별 차이 When judging the reliability of informant, preschool children consider several characteristics of informant such as accuracy, gender, or age. However,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selective trust were conducted in the Western children (such as the U.S.), and there was no empirical research that examined whether the same results in Korean children could be observed. Therefor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nt a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o Korean children in choosing the source of the information, and discuss the generalizability of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In Study 1, 4 and 5-year-olds were given two informants’ photographs comparing the age, gender, and status. Then they were asked who they expect to have more knowledge and which informant they would like to ask about the name of the novel item. As a result,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children’s age and gender. 4-year-olds did not show preference for a certain characteristic of informant, while 5-year-olds selected an adult more than a child, and a teacher than an ordinary adult. Interestingly, 4-year-old boys preferred the teacher relatively, but 4-year-old girls did not show preference for status. This suggests that the perception of informant’s characteristics such as age, gender, and status in selective trust situations only appears at around 5 years of age in Korean children, indicating that there may be gender differences in developmental period. In study 2, it was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the generalization of previous studies by reexamining prior study comparing age factor that expected to show differences in cultural significance, and accuracy factor. When inaccurate adult and accurate peer child were presented, 4 and 5-year-old children in Korea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peer informant, while 3-year-old children were at chance selecting the informants. In Study 3, it examined whether the performance of these 3-year-old children were due to influence of informant's age, or the immature ability to selectively trust informant according to their accuracy. When two adults with the same age but different accuracy were presented as informants, 3-year-old children were also able to select correct informant. However, these results were observed especially in girls, which suggests that the influence of age factors is related to the gender of the informant and may be different for children after 3 and 3 years of age, unlik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Keywords: selective trust, age, accuracy, development, cultural factor, gender 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