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식민지기 한국의 한문교육 -2차 조선교육령기 『普通學敎漢文讀本(보통학교한문독본)』, 『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고등조선어급한문독본)』을 중심으로-

        정세현 ( Sehyon Jeong ) 우리한문학회 2015 漢文學報 Vol.32 No.-

        동아시아의 文語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漢文은 근대기 한국과 일본에서 한문 폐지론, 한문교육 폐지론 등의 여론이 일어나 학문으로서 사멸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었다. 明治維新 이후 서양화 일변으로 가던 일본에서 敎育勅語가 발표되고 다시금 유교의 정신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면서 한문과 동아시아 고전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되기 시작했다. 한문이 단순한 문자가 아니라 동아시아의 사상과 문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부각되면서 한때 위기에 처했던 한문교육은 공교육 과정 속에서 계속 이어질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을 바탕으로 근대기 한문에 관한 한국과 일본의 인식을 검토하고 조선총독부의 교과서정책이 한문교과서에 끼친 영향과 교과서의 구성과 특성을 검토한다. 특히 2차 조선교육령기 조선총독부가 간행한 『普通學校漢文讀本第五學年用』 『普通學校漢文讀本第六學年用』 그리고 『新編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권1~권5를 통해 조선총독부의 교과서 간행 방침과 실제 교과서의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2차 조선교육령기 한문교과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도록 한다. The period of enlightenment in East Asia was an era of change in which new philosophy and scholarship, technologies and culture entered the region. There were movements to both reject and protect the values and traditions of the pre-enlightenment era. Japan, which had begun the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movement first, brought in legal and government systems from the West. These systems quickly influenced education. Scholarship in East Asia consisted of memorization and recitation of the Confucian classics; importation of Western academics greatly changed this paradigm. In this social milieu, the meaning of a Confucian education was brought into question, with some dissenters even claiming that it impeded the progress of society. Debates culminated in the advocacy of elimination of classical Chinese altogether. In this paper I will be focusing o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s compare with education policy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22~1938).

      • 공자제를 통한 경학원과 사문회의 교류 - 공자이천사백년추원기념제(孔子二千四百年追遠記念祭)를 중심으로

        정세현 ( Sehyon Jeong ) 우리한문학회 2016 漢文學報 Vol.35 No.-

        經學院과 斯文會는 근대기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유교기관으로 잡지의 발행과 유교강연회 등 여러 가지 유사한 점이 있지만 공자의 학덕을 기리는 석전제를 거행했다는 중요한 공통점도 가지고 있다. 특히 석전제의 장소가 조선왕조와 에도막부를 대표하는 교육기관인 옛 성균관의 대성전, 쇼헤이자카학문소(昌平坂學問所)의 유시마 성당(湯島聖堂)이었는데 이를 통해 한일의 유교교육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석전제를 계승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경학원과 사문회의 석전제는 석전의례 뿐 아니라 기관의 임직원 및 초빙 강사의 강연회, 전시, 다과회 등으로 이어졌고 석전에서는 기관의 관계자는 물론 황실, 정치가, 학교의 교원, 학생, 경찰 등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참가했다. 경학원의 석전제에는 사문회의 관계자가 참가하고 강연을 했고, 사문회의 공자제전에서는 경학원의 직원이 자주 참가했다. 본고에서는 메이지유신 이후 일시적으로 정지되었던 유시마성당의 공자제가 부활하게 된 원인과 공자제를 통한 경학원과 사문회와의 교류, 특히 1922년 공자추원기념제의 배경과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Kyeonghakwon and Sibunkai are most famous Confucian institutions that represent Korea and Japan in modern times. Both of institution had many similarities such as the issue of magazines, Confucian lectures and Confucian ceremony. Especi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place of Confucian ceremony was DeaseongJeon of Syeongkyunkwan and Yusimaseido of Syoheizakagakumonzo which is representative educational institution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Edo shogunate. After held the Confucian ceremony of Kyeonghakwon and Sibunkai that continued Confucian lecture or exhibition and reception. Not only the officials of the institution but also the politicians, teachers of the school, students, police, ordinary people participated Confucian ceremony. In case of Sibunkai many of ordinary people worshipped after the ceremony and participated lectures and exhibitions.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restoration of Confucian ceremony in Yushima Seido, which was temporarily discontinued after the Meiji Restoration, and the exchange of the Kyeonghakwon and Sibunkai through the Confucian ceremony, especially focus on 2400th Memorial ceremony of Confucious in 192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