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정색과 십간색에 관한 연구 -백색(白色),홍색(紅色),규색(硅色),벽색(碧色)을 중심으로-

        정성환 ( Sung Whan Ch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오정색(五正色)과 십간색(十間色)에 관한 3차 연구이다. 1차 연구에서는 전통색의 의미론적 근간인 방색(方色), 상생(相生), 상극(相剋)을 배재하고 유채색, 무채색, 간색의 개념만으로 재해석하고 이 개념을 새로운 정간색도(正間色圖)를 제시하였다. 2차 연구에서는 1차 연구결과 중 정간색도의 중심축인 정색 적색(赤色), 황색(黃色), 청색(靑色)과 간색 훈색(훈色), 녹색(綠色), 정색(정色)을 가시광선 스펙트럼의 색 이름을 문헌, 선행연구를 통해 비교 연구하였으며 특히 서로 일치하지 않는 훈색과 정색을 중심으로 한 연구결과 훈색은 주황(朱黃), 등색(橙色)과 정색은 남색(藍色)과 유사한 색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전통색의 색채 물리학적 인식을 바탕으로 하며 이는 서양보다앞섰을 가능성과 전통색의 상징적·의미론적이고 서양은 합리적이라는 기존의 이분법적 사고는 수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범위는 오정색 중 유채색 적색, 황색, 청색과 무채색 백색(白色)과 간색 홍색(紅色), 규색(硅色), 벽색(碧 色)이며, 오정색에서 백색이 가지는 의미와 홍색, 규색, 벽색의 색 이름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와 비교 연구하였다. 결과로 백색은 유채색과의 혼합을 통한 간색으로 색을 확장해 나가는 장치로서‘색은 변화가 셀 수 없이 많으나 오색을 벗어나지 않는다.’라는 원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색 이름 비교 연구를 위한 선행연구 조사결과 이수신편(理藪新編)과 규합총서(閨閤叢書)를 기반으로 한‘한국의 전통색’과는 홍색, 규색, 벽색뿐만 아니라 십간색의 많은 색에서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전통색의 오래된 역사에도 오정색, 십간색 구조는 색채 물리학적으로 정교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이러한 논리적인 정교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색 이름과 색의 삼속성에 대한 자료와 연구부족은 문제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오정색과 십간색의 전반적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연구결과 도출에 이르지못했다는 한계성과 문헌 등을 중심으로 색 이름을 비교·연구하여 문제점을 파악에 그쳤다는 한계 또한 지니고 있다. 향후 3차까지의 연구결과를 종합, 오정색과 십간색의 전반으로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This study is tertiary study about five relations colors and coexistent five relations colors. In primary research, new traditional color diagram was adduced to reinterpret traditional color through only chromatic, achromatic and secondary dispense with semantic base on traditional color as formal, relations and coexistent. In secondary research, to identify central axis consist of chromatic color-red, yellow blue(赤·黃·靑)and secondary color- hun, green and jung(훈·綠·정)compared with visible ray spectrum. Hun(훈) and jung(정) are discrepancy between orange and violet. To identify hun and jung, checked and researched literal exegesis, existing research and literature on traditional color. Result of research, basis of literal exegesis were found that traditional color hun is red-yellow and the same as orange. Secondary color between red and yellow is orange(橙色, 朱黃) rather than hun were found through existing research and literature. Finally, six traditional chromatic color name correspond with spectrum, at least. Then it is hard to deny a possibility that traditional color were based on color physics and ideas were well in advance of the age of Newton’s spectroscopy experiment. Existing dichotomous thinking that traditional color were based on symbolism and semantic and western one were based on color physics and rationality should be modified. This study range is white as five formal color, secondary color hong(紅 色), gyu(硅色)and byuk(碧色). To identify white and color name of hong, gyu and byuk, comparative study was performed with advanced study. White was proved that it was device to extend color through mixture with chromatic color. Differentiation of color name between ‘Korean traditional color’ based on Isusinpyeon, Gyuhapchongseo and advanced study was ascertained. Finally, though traditional color was exquisite system even long history, exquisite study about color name and tree attribute of color were insufficiency. This study have limitation that did not suggest an alternative though identified defec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bout color name. Following study to identify five formal color and ten secondary color will proceed through the results of tertiary study.

      • KCI등재

        오정색과 십간색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성환 ( Sung Whan Ch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한국의 전통색에 관한 일반적인 인식은 서양의 색에 대한 관념이 사물을 과학적·분석적으로 관찰하는 합리주의적 정신을 바탕으로 한다면 한국인, 동양인의 전통적인 색에 대한 관념은 인간의 감정이나 정서 상태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데 근거를 두고 있다. 전통색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음양오행, 오방, 상생, 상극 등의 동양사상이 더해지고, 이를 뒷받침할 많은 자료들이 발굴되면서 이제는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 되어가고 있다. 오방색, 오간색이 가장 대표적인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오방색·오간색에서 방위의 개념을 배제하고 나면 기존과는 전통색에 대한 다른 해석이 가능함을 입증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색은 유채색 삼원색과 무채색 흑백 오정색이 기본색이며, 이에 유채색 간의 혼색으로 3색, 삼원색과 흑백의 무채색간의 혼색으로 6색, 무채색 간의 혼색 1색 포함 15색, 즉 오정색과 십간색이 더 타당하다. 둘째, 전통색은 삼원색을 백색과 혼합으로 명도를 높이고, 흑색과의 혼합으로는 명도를 낮추어 색을 확장시켜 나갔다. 셋째, 이러한 과정은 사물을 과학적·분석적으로 관찰하는 합리주의적 정신을 바탕이라는 서양의 색에 대한 관념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논리적인 연구에 그쳐 이를 뒷받침할 물리적,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는 단계까지는 도달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니며 이에 대한 후속연구는 향후 진행한 예정이다. General awareness about Korean traditional colors based on differentiation about conception of color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In western, awareness of color based on logical thought that observe something through scientific and analytic way. While, in eastern, awareness of color related to feeling and emotion of person. Those were transform to fact through Yin-Yang and Five Elements and co-existence and incompatibility were added on traditional color and basis of materials were found. Five primary(Obang-Saek)·5 secondary colors were typical results.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possibilities of new interpretation about five primary(Obang-Saek)·5 secondary colors, in case that exclude symbolic directions from five primary(Obang-Saek)·5 secondary color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 First, traditional colors consist of 3 chromatic colors-red, yellow and blue and 2 achromatic colors-black and white. 10secondary colors were more appropriable than 5 secondary colors because 15 colors could be mixed between 3 chromatic colors and 2 achromatic colors. Second, 3 chromatic colors were mixed with white to make 3 higher value secondary chromatic colors and mixed with black to make lower value secondary chromatic colors to get abundant colors. Third, there’s no huge difference from the process and ways to extend color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was verified. Limitations of this paper didn’t lay out a physical and scientific basis for this logical study. Further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to obtain more conclusive Korean traditional color information.

      • KCI등재

        전통색 오정색, 십간색과 복합색채시스템 비교연구

        정성환 ( Chung Sung Wha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2

        서구의 색채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 색채학과 전통색에 대한 축적된 선행연구에도 불구하고 이제껏 동양과 서구의 색채지각과 색채연구의 역사를 비교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서양의 색채지각과 색채연구의 역사를 비교하여 보편성과 상이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뉴턴에 의해 촉발된 서구색채연구의 광학시대 이전 시기 서구의 색채지각과 색채연구를 동양의 오정색, 십간색을 기반으로 하는 전통색과의 비교를 범위로 하며, 연구의 특성 상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는 전통색 오정색과 오정색의 혼색을 통한 상생간색·상극간색의 15색과 서구의 기본색(fundamental colors)과 기본색의 혼색을 통한 10 혼색(binary mixture)을 내용으로 하였다. 또한 4세기 칼시디우스(Chalcidius), 디귈리온(D`Aguilon), 쟌(Zahn)의 색체계 시스템의 변화과정을 내용으로 하였다. 전통색 오정색, 십간색과 복합색채시스템의 비교연구를 위해 동양의 전통색 오정색, 십간색의 색명을 기본색과 혼색의 관계를 가장 잘 나타내는 디귈리온은 복합시스템에 대입하여 연구내용을 종합하였다. 이의 결과 동양과 서구의 색채지각과 연구결과가 일치하였으며, 이는 시공간적인 제약에도 불구하고 동서양이 보편적이었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전통색 오정색과 칼시디우스 선형색채시스템의 기본색은 무채색 흑백, 유채색 적황청으로 일치한다. 둘째, 오정색의 십간색과 디귈리온 복합색채시스템의 기본색과 10혼색은 일치한다. 셋째, 오정색과 기본색, 간색과 혼합색은 용어의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개념이다. 넷째, 동양과 서구의 색채연구결과가 시공간적인 제약에도 일치하였다는 것은 결국 색채연구가 과학적인 논리에 우선하는 인간의 감각기관을 통해 얻어지는 정보 즉, `지각(perception)`이 절대적 보편성에 기초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인용된 선행연구, 문헌 등은 제한적으로 연구결과 역시 한계가 있다. 향후 상색간색과 십간색이 정립된 시기에 관한 연구와 전통색의 색명의 표준화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Despite the preliminary studies on chromatology and traditional color based on Western color research results, it is hard to find any comparative study on the history of color research and color perception between East and Wes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universality and contradiction by comparing the history of color perception and color research of East and West. In this study, we compare the color perception and color studies of Europe before the optical age of Western color research initiated by Newton with those of traditional color based on Eastern color and ten colors, through advanced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In this study, we have studied Eastern traditional 15 colors - 5 primary color and Coexistent relations Colors and Incompatible relations Colors, and 5 fundamental colors and 10 binary mixture of Western color. It also covered the a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color system from 4th century Chalcidius, D`Aguilon to Zahn. For the comparative study, substitute Eastern traditional color names for Western 15 color names on Diagillion compound color order system, which best re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fundamental colors and binary mixture. As a result, color perception and research of East and West were in agreement with each other, and it could be concluded that East and West were universal despite spatio - temporal constraint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colors of the traditional colors and the Chalcidius linear color system are matched with achromatic black and white and chromatic colors. Second, Eastern and Western 10 binary mixture coincide. Third, there is not any differentiation between Eastern and Western binary mixture except name. Fourth, the results of the color studies in East and West were consistent with the spatio-temporal constraint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color research was based on the absolute universality of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human senses, which preceded the scientific logic. It is said tha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to the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cited in this study. There are limitations is restriction on the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cited in this study. Future research on standardization and traditional colors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전통색 연구방법에 관한 고찰- 적색(赤色)을 중심으로

        정성환 ( Sung Whan Ch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5

        한국의 전통색에 관한 연구는 1972-1973년 KIST의 연구 이래 40여년에 이른다. 이러한 연구의 연구자, 연구대상, 연구목적, 연구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며, 도출된 서로 다른 연구결과물들은 명확한 검증절차 없이 인터넷은 교과서, 학술서적, 학위·학술논문에 인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색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한 연구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목적으로 대표적 사례로 적색(赤色)을 선정, 선행연구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적색의 연구방법은 측색, 문자적 의미, 문헌·고증에 따른 재현, 정량·정성조사, 앞의 방법들을 혼용하는 등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며, 당연히 연구결과 역시 각기 다름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전통색에 대한 주관적 해석이 문제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전통색 연구는 계통색·관용색, 물체색, 광원색 등 각 색의 특성과 측색을 위한 유물 선정방법, 전통색의 발색 재현 등에 대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이 필요하다는 지극히 당연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통색의 기본색 중 적색만을 중심으로 했다는 한계성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범위를 확대한 연구와 현재까지의 선행연구결과를 통합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The study of traditional color -after KIST`s research between 1972 and 1973- has been done for 40 years until now.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in various ways, and depending on the performer, subject,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it has drawn different results in the studied . Such results of research are being copied and circulated on the internet, and they are even being quoted in school`s textbooks, scholarly books, academic theses and dissertations without proper verification procedures. Henc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make a foundational study to propose research methodology to help getting the right information about Korean traditional colors. For that, we chose Red as a representative subject and made a comparison and analysis about its preceding stud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traditional color Red`s research was done through various ways like measuring colors of relic?object?light source, studying based on the meaning of the words, measuring color after reproducing color formation by following literature research, conduc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using such methods combined and so on. I also have found out that the result of the research could onl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a matter of course. and we analyzed the pros and cons and problems of each methods. The major problem is subjective interpretation about traditional color. Throug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drew a very natural conclusion that the traditional colors research requires characteristics of systematic colors, traditional colors, object`s colors, light-source colors, ect and needs objective and scientific methods in selecting relics for color measurement, in reproducing traditional color formation and in many other situations. The research has a limitation that it was performed with only "Red" as a subject - among many fundamental colors of traditional colors. From now on research with extended scope and research with all the preceding research results integrated should be performed.

      • KCI등재

        오정색과 십간색에 관한 연구 -색상환과 색입체를 중심으로-

        정성환 ( Sung Whan Ch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1

        전통색은 음양오행ㆍ상생ㆍ상극 등의 사상과 관련이 있어 서구의 논리적, 과학적 색채이론과는 다르다는 것이 일반적 통념이다. 따라서 전통색을 서구의 색채이론과의 비교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색의 원리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통색의 구조를 색상환, 색입체 등 서구의 색채구조와 비교.연구하였으며, 본 연구의 범위는 전통색 오정색ㆍ십간색의 구조연구로 색명ㆍ색의 삼속성은 연구범위에 포함하지 않았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서적 등을 통한 문헌연구로 이루어졌다. 연구를 통해 전통색 유채색과 유채색 간의 간색은 1766년 모스 해리스(Moses Harris)의 색상환과 일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전통색 오정색과 십간색은 오스트발트(Wilhelm Fridrich Ostwald)의 색입체와 구조에서 유사함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고대로 부터 동양에서 확립된 색채의 원리가 현대 서구의 색채구조와 다르지않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전통색의 원리는 현대 광학에서의 삼원색 이론과 인쇄술에서의 사색 원리와도 비슷하다는 주장 역시 설득력을 지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통색 정색과 십간색 의 구조가 서구의 색상환과 색 입체 등의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는 결론에는 도달하였으며, 색명과 색의 삼속성에 관한 연구까지는 이르지 못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향후 이에 대한 후속연구는 진행할 예정이다. It is the traditional color is common myths associated with the concept of Yinyangwuxing(陰陽五行), Coexistent(相生) and Incompatible(相剋) is different from a logical, scientific color theory in the West. Therefore, comparative study of Western and traditional color theory is difficult to brow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raditional colors through comparison color wheel and color solid with Western and traditional color.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to structure the study of traditional color - five primary colors and ten secondary colors, three attributes of color and color names were excluded. Research methods consisted of literature studie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books. Through results of this study, traditional chromatic and secondary colors matched with the color wheel of Moss Harris in 1766 was clarified. Also traditional five primary colors and ten secondary colors were similar with color solid of Wilhelm Fridrich Ostwald and color principles of Eastern established from antiquity similar with Western one were clarified. In addition, the principle of traditional color was found to be too convincing shall have a claim that is similar in the three primary colors and four primary colors principles of optic and printing. Although this study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raditional colors same or similar with West in color wheel and solid, had limitation that did not attain the research about three attributes of color and color name. Hereafter, subsequent study will be proceed.

      • KCI등재

        오정색과 십간색에 관한 연구 -적(赤),훈(□),황(黃),녹(綠),청(靑),정(□)을 중심으로-

        정성환 ( Sung Whan Ch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1

        전통색 연구는 과학적, 합리적 색채관은 간과된 채 상징성과 의미에만 해석의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색이 색채 물리학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히고 전통색을 재해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전통색 赤·□·黃·綠·靑·□을 스펙트럼의 색 이름 赤·朱·黃·黃·綠·靑·藍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비교에서 일치하는 赤·黃·綠·靑과 일치하지 않는 □·□중 □·□을 중심으로 문자적 해석과 선행연구, 문헌을 연구하였다. 연구조사결과 문자적으로는 □은 적황색으로 橙色, 朱黃과 동일한 색이라는 근거를 확인하였으며, 선행연구와 자료를 통해서는 赤·黃의 간색은 橙色, 朱黃이라는 주장도 발견할 수 있었다. 같은 연구방법으로 □은 紫色이며, 자색은 보라를 의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전통색 赤·□·黃·綠·靑·□과 赤·朱黃·黃·綠·靑·藍 스펙트럼은 적어도 색 이름에서는 일치하며, 그렇다면 전통색은 색채 물리학에 기반하며 이는 뉴턴의 분광으로 시작된 서양보다 앞서 있을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음을 알수 있었다. 특히 정색의 종속변수로 정색의 혼합색인 간색이 일치한다는 것은 정색이 일치해야 가능한 것으로 이는 색이름뿐만 아니라 색 그 자체가 일치할 가능성도 동시에 있다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문헌 속에 기록만으로 존재하고 있던 전통색을 새롭게 검증하고 그 동안 간과되었던 상징성과 의미 속에 가려진 본질에 밝히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과 지속적인 연구도 강조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색 이름을 중심으로 한 비교연구로 스펙트럼과 전통색이 색의 삼속성에서도 일치하는지를 밝히지는 못했다는 한계를 지니며 후속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Traditional color study focused on symbolism and semantic overlooked scientific, reasonable color recognition as ever. Then, aim of this study is to expiscate tradition color based on color physics andto redefine it. In preceding study of this study, 15 traditional color exclude direction, co-existence and incompatibility principles were repositioned with the central axis consist of chromatic color-red, yellow blue(赤·黃·靑)and secondary color- hun, green and jung(□·綠·□). Those color were range of this study, and to compare traditional color name with Newtion’s visible color spectrum is method of this study. Red, yellow, blue and green correspond with traditional color. Hun(□) and jung(□) are discrepancy between orange and violet. To identify hun and jung, checked and researched literal exegesis, existing research and literature on traditional color. Result of research, basis of literal exegesis were found that traditional color hun is red-yellow and the same as orange. Secondary color between red and yellow is orange(橙色, 朱黃) rather than hun were found through existing research and literature. It was proved that jung was the same as with violet through the samere search method. Finanlly, six traditional chromatic color name correspond with spectrum, at least. Then it is hard to deny a possibility that traditional color were based on color physics and ideas were well in advance of the age of Newton’s spectroscopy experiment. As a dependent variable of chromatic color, secondary color name correspond with spectrum would mean possibility that secondary color correspond with spectrum. Those were significant. As the result, traditional color were shrouded in old records have to verify again and continuous research would stress to clarify essence were shrouded in symbolism and semantic of traditional color. The reason why this study is focused on color name, this study had limitation that didn’t prove to correspond with three elements of color-hue, value and chroma between visible ray color and traditional color. Following research will proceed.

      • KCI등재

        오정색과 십간색에 관한 연구-흑색(黑色),자색(紫色),류황(류黃),암색(암色),불색(불色)을 중심으로-

        정성환 ( Sung Whan Ch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전통색 중 오정색(五正色)과 십간색(十間色)을 중심으로 한 연구로 세 차례의 선행연구에 이은 4 차 연구이다. 선행연구의 내용은 전통색의 의미론적 근간인 음양오행(陰陽五行), 방색(方色), 상생(相生), 상극(相剋)의 개념 속에 가려져 있던 색채적인 특성과 구조를 파악하고 이수신편(理藪新編)과 규합총서(閨閤叢書)를 기초한‘한국의 전통색’에서 제시된 정색 다섯 색, 간색 열색과 색명을 문헌, 선행연구, 자료와 비교 연구하였다. 결과로 전통색의 개념을 새롭게 정리하여정간색도(正間色圖)로 제시하였다. 정간색도의 수직의 중심축인 정색 적색(赤色), 황색(黃色), 청색(靑色)과 간색 훈색(훈色), 녹색(綠色), 정색(정色)을 문헌, 선행연구를 통해 비교 연구하여 빨강(red), 주황(orange), 노랑(yellow), 초록(green), 파랑(blue), 보라(violet)등 가시광선 스펙트럼과 일치함을 밝힐 수 있었다. 무채색 백색은 유채색 적색, 황색, 청색과 홍색(紅色), 규색(硅色), 벽색(碧色)의 간색, 흑색은 같은 방법으로 자색(紫色), 류황(류黃), 암색(암色), 무채색 백색(白色)과 간색 불색(불色)으로 정간색도의 수평축을 형성하여 채도와 명도의 변화를 통해 색의 확장이 이루어짐을 알수 있었다. 본 연구는 흑색과 간색 자색, 류황, 암색, 불색(불色)의 색과 색명을 문헌, 선행연구, 자료와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로 고전에 근거한 정색과 간색의 관계를 다시 규명하고, 색명을 검증하였으며, 전통색은 기존의 측색, 문자적 해석, 정량 정성 조사를 통한 연구방법으로는 진정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우며, 각각의 색을 따로 떼어 연구하는 방법으로는 전체적 구조를 이해할 수 없음을 밝힐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전통색의 색명은 시대, 지역, 저자에 따라 가장 보편적으로 부여되었으며, 따라서 현대에 보편타당성이 담보할 수 없으며 전통색의 계승과 발전을 위하여 이에 대한 향후연구가필요함은 강조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he fourth study followed advanced research on traditional colors of five primary color(五 正色) and ten secondary color(十間色) with a focus on the study. The contents of the preceding study semantic foundation of the traditional color of Yin-Yang and Five Primary Substance Ideology(陰陽五 行), Bangsaek(方色), Win(相生), Sanggeuk (相剋) identify the color characteristics and the structure was shrouded in concepts and Yisusinpyun(理藪新編) and Gyuhapchongsu(閨閤叢書) presented in a color intensity-based ‘traditional colors of Korea, five colors, with color names ten colors sampling of the literature, previous studies, data and research were compared. Organize a new concept of traditional color to the results presented in Jeonggansaekdo(正間色圖). A vertical central axis of the red color intensity of the color red(赤色), yellow(黃色), blue(靑色) and hunsaek(훈色), green(綠色), jungsaek(정 色) a document, compared with a previous study Red and Research red, orange, yellow, green, blue, violet said that such consistent and visible light spectrum. Achromatic white is colored red, yellow, blue and red color(紅色), gyusaek(硅色), byeoksaek(碧色), purple and jasaek(紫色), ryuhwang(류黃), am(암色), with white-bulsaek(불色) to form a horizontal axis of the color it was found to expansion of the color by changing the color saturation and brightness. This is comparative study of black, purple, ryuhwang, dark, color and bulsaek with advanced researches and literature researches. Results, r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 primary color and ten secondary color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Traditional color can not fathom the true meaning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methods as colorimetry, literal interpretation, quantitative, qualitative research, and determined that it is hard to understand overall structure of traditional color through apart study of each color. In addition, the traditional color of the existing color names were most commonly granted in accordance with the age, location, author, therefore, can not guarantee universal validity in current times, future research is needed in order for it to inherit and develop the traditional color should be emphasized.

      • KCI등재

        새로운 무보법의 개발 방향에 관한 기초연구

        정성환 ( Sung Whan Ch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동작을 기록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새로운 무보법을 개발하기 위해서 무용 기록법을 연구한다는 것은 효과적이고 가치 있는 일이다. 왜냐하면 무용분야에서 먼저 인간의 동작을 기록하는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1460년 마귀리트 도트리슈(Marguerite d``Autriche)에 의해 개발된 이후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진화되어 왔기 때문이다. 첨단 기록장치가 많이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복잡한 매커니즘으로 이루어지는 인간의 동작을 기록하는 무보법(movement notation)은 여전히 중요하며 또한 로보틱스, 애니메이션, 시뮬레이션, 게임디자인 등 다른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연구되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무보법이 안무를 위해 기록하고, 재연되는 동작을 기록하는 것이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Rudolf von Laban, Pierre Conte, Rudolf Benesh, Eshkol & Wachmann 등의 4대 무보법과 북한의 자모식 무보법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조사와 분석결과 동작을 기록하는 방법으로 인터페이스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한글과 한글 자모와 대안일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new movement notation. To develop new movement notation, to study about dance notation is effective and valuable in advance. Because dance field perceived necessity to notate human bodily action early, then dance notations have developed and evolved steadily, since the first dance notation published by Marguerite d`Autriche in 1460. Although high tech recording system have developed, movement notation to record human bodily action is still important why human bodily actions consist complex mechanism. It`s not easy to notate for choreography, performance and notate it even though it utilizes an researches on another industrial fields like robotics, animation, simulation and game design vigorously. Then, to grasp of the problem research and analyze Rudolf von Laban, Pierre Conte, Rudolf Benesh, Eshkol & Wachmann and North Korea`s movement notation through consonants and vowels. The result of research, Hangul and Hangul vowel and consonant would be a substitute as a interface to notate human bodily action.

      • KCI등재

        전주한옥마을 간판정비를 위한 디자인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형성은 ( Sung Eun Hyoung ),홍정표 ( Jung Pyo Hong ),정성환 ( Sung Whan Chung ) 한국감성과학회 2009 감성과학 Vol.12 No.4

        본 연구는 전주의 한옥마을을 전통문화 중심도시로 육성시키기 위해서 진행하였던 간판정비 사업을 중심으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전체구성 방법은 표준화 디자인에 있어서 활용과 설명방법 그리고 각종 사인물에 있어서 올바른 설치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사인디자인 적용과 기본방향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에 있어서는 전주시 시민과 외부인 그리고 한옥마을에 주거하는 주민 등 600명을 대상으로 한옥마을의 일반적 특성, 한옥마을의 정보습득과 이동성 그리고 한옥마을의 간판 규제와 범위 등 3분야로 나누어 설문을 진행하였다. 위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전주한옥마을에 있어서 디자인 컨셉과 세부적인 간판 적용방법을 규정하였고 사인물 디자인에 대한 픽토그램과 전통 한옥에 있어서 사인물 설치 방법을 제시하였다. 전주한옥마을에 대한 사인물 정비의 행정적 절차 규정에 있어서는 전주시와 간판 광고업자, 한옥마을 심의위원회, 지역주민의 상호협력 방법 등 행정적으로 사업 진행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주한옥마을 사인디자인 사업진행 방향을 종합하였고 관련 담당부서와 협의를 통해 앞으로 전주한옥마을을 전통과 역사가 잘 보존된 지역으로서 육성 발전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has been prepared based on signboard arrangement works in order to foster Jeonju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 village as a main city of traditional culture. Overall composition has been suggested based on basic direction of signboard design in order to ensure design standardization method and utilization and right installation of various signboards. Enquete had been progressed by dividing into three area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tyle house villag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mobility and regulation/range of signboard with taking 600 number of persons from Jeonju citizens, outsiders and residents of Korean style house village as targets. Based on above result, design concept and detailed sign application method had been defined and pictogram and signboard installation method of Korean style house was suggested. As for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nd regulations of signboard arrangement, cooperative method among Jeonju City, publicity company, deliberation committee and local residents and administrative project implementation method were suggested. Therefore, this study had summarized the project progress of signboard design for Jeonju traditional Korean style house village so that it may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ensuring that this village would be developed as a region where tradition and history will be well conserved in the future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relevant authorities.

      • SCOPUSKCI등재

        간내공간점유병소의 진단에 있어서 간주사 , 복부초음파 , 단일광자방출단층촬영 ( SPECT ) 의 비교검토

        조성원(Sung Won Cho),심찬섭(Chan Sup Shim),함승원(Seung Won Ham),김영순(Young Soon Kim),정성환(Sung Whan Chung) 대한소화기학회 198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20 No.2

        N/A Single-photon ern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is a new image method that offers the advantage of cross-sectional imaging and improved contrast resolution as compared with conven- tional planar imaging. Ultrasound (US), conventional planar scintigraphy (PS), and single-photon em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 were compared in 36 patients with suspected focal hepatic disease. Ultrasonography had slightly higher sensitivity (90%) and specificity (100%) than either PS or SPECT. A comparison of the diagnosis demonstrated that SPECT had greater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than conventional scans. Although SPECT was inferior to the US examination in detecting focal hepatic disease, especially less than 3 cm in size. The combination of SPECT and US was an excellent method for the earlv detection of focal hepatic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