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論山 開泰寺 石造供養像 硏究

        정성권(Jeong Seong Kwon) 동국대학교 박물관 2012 佛敎美術 Vol.23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Bodhisattva Image at Gaetaesa(開泰寺). Gaetaesa was built by the order of WangGeon(王建) who was the founder of the Goryo(高麗) Dynasty in 940, four years after making a surrender of the Later Paekje here. Now, Gaetaesa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he place which The Stone Buddha Triad Image(石造三尊佛) is located. The other is the Gaetaesa site(開泰寺址) that is situated 300m away from the north part of Gaetaesa. In this site, there is the Bodhisattva Image. Usually, this Image is considered that it was made at the same time when The Stone Buddha Triad Image was made in 940. Before writing about the text, I surveyed past achievements which include art history, archaeology, Korean history and other cultural and academic subjects. This paper study about when the Bodhisattva Image at Gaetaesa was made. To reveal the making time, I used archaeological relic, the roof tile tiles at the edge of eaves which were excavated at the Sungsunsa site(崇善寺址). According to the historic record, the Sungsunsa was built in 954 by Kwongjong(光宗). The roof tile which is found in The Sungsunsa, also is found in Gaetaesa site. Because of the roof tile, we can know when the Gaetaesa site started to make. Not only the excavation of the Sungsunsa site but also the archaeological achievement of the Bongupsa(奉業寺) - In 960, the JinJunsawon(眞殿寺院) which was in the Bongupsa(奉業寺) was built - we can know when the Gaetaesa site was made. The jinjun(眞殿) in the Gataesa was important than the Bongupsa's. Because WangGeon made the Gaetaesa that has important symbolic meaning. By symbolic importance, we can know that Gaetaesa was made before Bongupsa. By this kind of archaeological proofs, we can know the Bodhisattva Image at Gaetaesa site was made between 954 and 960. The Bodhisattva Image at Gaetaesa was situated in front of the stone stupa. In the unified Silla, the statue which was situated just before stupa is a monk statue. From the Gaetaesa site, the statue was changed from monk to the Bodhisattva Image. The Bodhisattva Image at Gaetaesa mean contrition. Also The Bodhisattva Image may meant Kwongjong. Kwongjong killed his two older brothers to get a position of authority. After he became King, he wanted to pray for his brother. This article assume that Kwongjong identified himself with the Bodhisattva Image at Gaetaesa site. Gaetaesa was the best place to set up the stupa with the Bodhisattva Image which pray to the Vairocana(毘盧遮那佛).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주도 돌하르방의 기원과 전개

        정성권 ( Seong Kwon Jeo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탐라문화 Vol.0 No.50

        한반도에서 가장 큰 섬인 제주도에는 돌하르방이라 불리는 석상이 있다. 이 돌하르방은 제주도 세 곳의 지역에 산재해 있으며 현재 47기가 전해온다. 제주도를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일반 대중들에게도 인기 높은 돌하르방은 그 기원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어 왔다. 돌하르방의 기원에 대해서는 남방기원설, 북방기원설, 제주자생설 등이 제기되었다. 각 주장들은 구체적인 돌하르방의 양식분석 없이 역사적 배경이나 인류학적인 검토를 통해 돌하르방의 기원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아직까지 돌하르방의 기원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이 없다. 본 논문에서는 제주지역 세 곳에 흩어져 있는 돌하르방의 양식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복신미륵이라 불리는 석불입상에 대해서도 조성시기를 추정하였다. 복신미륵은 제주도에서 가장 큰 석불입상으로 돌하르방의 조성시기를 밝힐 수 있는 양식적 특성을 갖고 있다. 복신 미륵과 문헌자료를 통해 제주도 돌하르방 중 대정현성 돌하르방의 조성시기가 가장 오래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2기의 대정현성 돌하르방 중4기가 몽골간섭기 몽골인들에 의해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는 몽골풍 복식을 착용하고 있으며 대정현성 돌하르방과 유사한 진주 대아고등학교 석인상과의 비교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제주도 돌하르방의 기원이 유라시아 대륙에 있음을 논의하였다. On Cheju Island, the largest island in Korea, there are stone statues called Dolhareubangs. These statues are scattered in three areas of the island. Today, only 47 Dolhareubangs remain. The Dolhareubang is a popular icon symbolizing Cheju Island. However,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 over where the Dolhareubang originated. Currently, there are three theories regarding its origin: the south, the north, or Cheju. These arguments are based solely on historical backgrounds and anthropological analyses, with no analysis of the Dolhareubangs’ characteristic styles. For this reason, there have been no decisive conclusions regarding the origin of the Dolhareubang . This paper analyzed the style characteristics of Dolhareubang s scattered across three areas of Cheju Island. It also estimated the time when a stone Buddha statue called Pokshin Maitreya was built. Pokshin Maitreya is the largest stone statue of a standing Buddha in Cheju, and its style characteristics allow us to trace back to the time when it was built. Through Pokshin Maitreya and literary sources, I identified that, of all the Dolhareubangs existing in the island, those in Dolhareubang (Daejeong-hyeon, or Daejeong-county Fortress) are the oldest. Thus, this paper assumes that it is very likely that 4 out of the 12 Dolhareubangs in Daejeonghyeonseong were made by Mongols during the 13th century Mongol Occupation Era in Korean history. This assumption is backed by the fact that the costumes of these Dolhareubangs are in Mongol style.similar to the costume of the stone statue located in Taea High School in Jinju City, Gyeongnam Province. Through such analyse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origin of Dolhareubangs in Cheju Island can be traced back to the Eurasian continent.

      • KCI등재
      • KCI등재

        고려전기 남한강 유역 塔碑의 현상과 조성배경

        정성권(Jeong, Seong-kwo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8 한국고대사탐구 Vol.30 No.-

        본 논문은 남한강 유역에 건립된 탑비의 조성배경을 고찰한 글이다. 연구 대상 탑비는 10세기에 조성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와 11세기 건립된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등이다. 남한강 유역에 건립된 10세기 탑비는 고승을 추앙하고 문도들을 우대하는 일반적인 탑비의 건립목적을 넘는 역할과 상징성을 갖고 있었다.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와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는 새로운 통일왕조 고려의 등장을 알리는 국가적 기념물 역할을 하였다. 이와 더불어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는 건립 다음해에 왕권에 도전하는 충주유씨 세력의 구심점 역할도 하였다. 11세기 들어와 조성되는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는 탑비 본연의 목적인 고승에 대한 추모와 문도들의 권리를 인정해주는 상징물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해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에는 문도들의 음기가 없다. 문도들의 음기가 기록되지 않은 이유는 법안종의 쇠퇴와도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법천사지 지광국사탑과 탑비는 우리나라 석조조형물 중 가장 화려한 작품에 손꼽힌다. 이러한 탑비가 법천사에 조성된 이유로는 12조창제 확립으로 인한 흥원창의 확대, 계립령로의 정비를 통한 경상북도 북부 지역 물류와 세곡의 집중 등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제도 정비는 11세기 중엽 법천사가 대대적인 중창을 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으며 법천사의 경제적 번영은 해린의 문도들이 안정적인 수행을 할 수 있는 물적 토대가 된 것으로 본문에서 언급하였다. 남한강 유역의 탑비는 문헌사료에서 파악할 수 없었던 나말여초기의 역사적 실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1차 사료라고 할 수 있다. 9th Century stone monuments were constructed to commemorate the accomplishments of the monks who propelled Buddhism and pass on his legacy to next generation. As the era of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began in the 10th century, the political nature of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monument grew strong. Monuments built in the 10th century are strong political symbols in addition to being basic symbols of memorial and commemorating the monk. In this article, Monuments which were built durint the early 10th century are studied. The monument of Chung-Dam promotes the launch of new Unified Dynasty of Goryeo. During the reign King Kwang-Jong, the 4th king of Goryeo, he carried out a large-scale purging of high-ranking officials. Thanks to his policy, from the late 10th century, the kingship was stabilized and the political purpose of monuments was greatly reduced. Monuments built in the 11th century were done so with different purpose from those built in 10th century. Political system was stabilized since the end of the 10th century and the powers of the disciples who formed their own forces under their masters grew strong. Monuments built in the 11th century were used as a token of acknowledgment of the right of disciples who grew in power. Monuments built in the 11th century look different from the 10th century monuments that had political meaning related to the king. In case of the monument of Hae-Rin in Bup-Cheon-Temple, the unidimensional goal was to commemorate the grand monk that passed away. The more fundamental reason for its construction is to demonstrate that Hae-Rin"s disciples inherited control of the temple he had stayed at. In order to do this, the space around the monument was created into an authoritative space like the palace, showing through the majesty of spac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Hae-Rin and his disciples should be maintained.

      • KCI등재

        원주지역 주요 寺址 석탑의 편년과 의의

        정성권(Jeong, Seong-kwo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5 No.-

        본 논문은 원주지역의 주요 사지인 거돈사지와 법천사지, 흥법사지에 건립된 삼층 석탑의 편년과 미술사적 의의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본문에서는 각 사지에 존재하는 삼층석탑의 양식을 살펴보았으며 발굴조사 결과와 가능한 경우 금석문도 함께 고찰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거돈사지 삼층석탑이 9세기 중반 경 단의장옹주의 후원으로 지증대사 도헌이 거돈사를 중창했을 때 조성된 석탑임을 알 수 있었다. 거돈사지 삼층석탑은 본 논문에서 다루는 세 사지에 있는 석탑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조성된 석탑임을 알 수 있었다. 흥법사지 삼층석탑은 10세기경 만들어진 고려시대 석탑으로 알려져 있다. 본문에서는 석조미술 흐름의 맥락상 태조 왕건에 의해 흥법사가 중창되는 10세기 초반 경에 석탑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법천사지 삼층석탑은 발굴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11세기 중반 경에 조성된 석탑임을 고찰하였다. 거돈사지 삼층석탑은 신라문화의 북방한계선 중심에 세워진 상징성이 큰 석탑임을 본문에서 논의하였다. 본문에서는 신라문화의 북방한계선을 평면 방형의 이중기단을 구비한 삼층석탑의 분포를 통해 유추하였다. 그 결과 통일신라 문화의 북방한계선이 속초-인제-횡성-원주-안성-평택으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거돈사지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문화의 북방한계선 중심에 세워진 석탑으로 본문에서는 통일신라 문화의 거점을 나타내는 상징적 아이콘으로 해석하였다. West of Wonju city, there are Han river and Sum river. In ancient, river is kind of expressway. Near the place which Sum river run into Han river, Many famous temples were built. For example, Geodonsa(居頓寺), Heungbeopsa(興法寺), Beopcheonsa(法泉寺). These temples were built in late United Shilla period and rebuilt in early Goryeo period. All of these temples have stone stupa. Geodonsa and Heungbeopsa have three story stone stupa in the middle of temple site. Beopcheonsa also have three story stone stupa but this stupa was collapsed along time ago. This stupa materials were found by an archaeological dig. This paper analyzed the styl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stupa and archaeological remains of three temple site. The stone stupa in the Geodonsa temple site has been known that was built 9th century. This paper studied when the stupa was built. To find the Specific Time Period, this paper analyzed stela of accompanying stupa of buddhist priest Jijengdaesa of Bongam temple. In this stela, there is a record about building of Geodonsa. The result of investigation, the author could find the age of the Geodonsa stupa. It was built between 864 and 867. The stone stupa in the Heungbeopsa temple site has been known that was built 10th century. Heungbeopsa was rebuilt by Taejo Wang Geon(太祖王建) around 924. Many scholars have been thought that this stupa was built late 10th century. Because the stupa has local style not main stream style. This paper studied when the stupa was built specifically. According the Bonupsa local style stupa could built even though the temple built by Taejo wanggeon in early Goryeo period. Because of this, the author presumed that Heungbeopsa stupa was built around 924. Beopcheonsa has been excavated for 10 years. The team did archaeological dig shows that Beopcheonsa temple was rebuilt on a large scale around 1067. Because of this, the author could know that Beopcheonsa stupa was built in the same period.

      • KCI등재

        경기도 내 통일신라 석불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고찰

        정성권(Jeong, Seong-Kwon) 부산경남사학회 2013 역사와 경계 Vol.86 No.-

        본 논문은 경기도 내 통일신라 석불의 존재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한 글이다. 현재 경기도에는 여주 계신리 마애불, 여주 포초골 석불좌상, 평택 심복사 석조 비로자나불좌상 등과 같이 나말려초기로 비정되는 석불이 여러 구 존재한다. 그러나 경기도 내에서 학자들 간의 이견이 없는 통일신라 석불은 알려져 있지 않다. 석불뿐만 아니라 석탑 역시 학자들이 모두 인정하는 통일신라 석탑은 존재하지 않는다. 한강유역을 포함한 경기도 일원은 이미 삼국시대부터 신라의 영역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그런데 통일신라 불상은 강원도 철원 도피안사에 존재하고 있으며 석탑에 부조된 불교조각의 경우 금강산을 비롯한 현재의 휴전선 인근에도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경기도 일원에 통일신라시기 조성된 것으로 알려진 불상이 한 구도 알려진 것이 없다는 점은 매우 의아스럽다. 필자의 이러한 의문은 안성 봉업사지에 세워진 고려시대 삼층석탑 기단부가 통일신라 석탑의 기단을 재사용하여 만들어진 것임이 발굴조사를 통해 밝혀지면서 조금씩 풀렸다. 통일신라 석탑의 존재는 이 지역에 통일신라 석불이 존재하였을 가능성이 있음을 말해주는 방증이었다. 이러한 의문점과 봉업사지 발굴조사를 통한 통일신라 석탑 부재의 출현은 봉업사지 일대 불상들의 조성시기에 대하여 재검토를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 결과 봉업사지 일대의 많은 석불들 중에서 죽산리 석불입상이 통일신라시기 조성된 불상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문에서는 죽산리 석불입상이 세워졌던 사역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 사역은 통일신라 말기에 폐허가 되었으며 10세기 후반 광종대 이후 다시 중창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죽산리 석불입상이 통일신라 시기 조성된 불상이거나 10세기 후반기에 조성된 불상임을 의미하였다. 발굴조사 분석과 더불어 본문에서는 죽산리 석불입상 주변의 불상들과 조성시기를 알 수 있는 불상들에 대한 양식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죽산리 석불입상은 10세기 후반경에 나오는 고려시대 불상들과 양식적 친연성이 적으며 오히려 통일신라시기의 불상들과 양식적으로 유사한 점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죽산리 석불입상은 그동안 알려진 바와 같이 고려초나 고려 전기에 조성된 불상이 아니라 통일신라 후반기에 조성된 석불임을 밝힐 수 있었다. This paper is the letter which it considers about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f the stone Buddhist image that was made in Unified Silla at Gyeonggi province. Presently, in Gyeonggi province, there are many images of Buddha which seems to be made in the near the early Koryo dynasty. However, in Gyeonggi province, the stone Buddha image that was made in Unified Silla without the objection between scholars is not known. In not only stone image of Buddha but also stone pagoda, It doesn"t exist that scholars admit as the stone pagoda altogether made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in Gyeonggi province. The Gyeonggi region including the Han River basin was included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in the territory of Shilla. The stone pagoda of the Unified Kingdom of Silla and image of Buddha is in the Cheolwon district and the three-story stone tower is at the Kumkang Mountains and near the armistice line. But it is very strange in the Gyeonggi region that there is no Unified Silla image of Buddha. This curiosity of mine could be solved through the excavation investigation. In the Bongupsa(奉業寺) site of temple excavation, the Unified Silla stone pagoda lower part was confirmed in the Goryeo dynasty stone pagoda under. The image of Buddhas on this region(竹州) were again examined due to this. Consequently, I could know that Juksanri image of stone Buddha was made with the period of united Silla. The temple foundation where there is the Juksanri image of stone Buddha was excavated. In 10 century first half year, the excavation result this site of temple became the ruin. Consequently, the Juksanri stone Buddha knew that it is not close in the Goryeo dynasty image of Buddhas and made of 10 century second half of the year. Rather, the Juksanri image of stone Buddha resembles the Unified Kingdom of Silla image of Buddha. In conclusion, this paper announced that Juksanri stone Buddha was made in the period of united Sill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이천 소고리 마애여래좌상과 마애삼존불상의 특징과 의의

        정성권 ( Jeong Seong-kwon ) 한국불교사연구소 2021 한국불교사연구 Vol.19 No.-

        본고에서는 이천 소고리 마애여래좌상과 마애삼존불상의 조성시기와 미술사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천 소고리 마애여래좌상의 조성시기는 9세기부터 고려중기까지 다양한 의견이 제시된 바 있다. 이에 반해 소고리 마애삼존불상은 고려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문에서는 소고리 마애불의 조성시기를 파악하기 위해 먼저 마애여불이 위치한 장소에 대해 검토하였다. 소고리 마애불은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주요 간선 교통망으로 활용되었던 봉업사지 - 설봉산성을 연결하는 교통로의 중간지점에 해당한다. 이 교통로 주변지역 일대에는 다양한 시기의 불상이 분포해 있다. 본문에서는 소고리 마애여래좌상과 양식적 특징을 비교할 수 있는 통일신라 9세기 석불을 비롯하여 10세기 및 11세기 석불과 마애불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고리 마애여래좌상은 11세기 조성된 영월암 마애여래입상, 덕주사 마애여래입상과 같은 대형 마애불과 양식적으로 유사한 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고리 마애여래좌상이 위치한 곳은 11세기 번성하였던 대표적 법상종 사찰인 법천사, 북악사(영월암), 칠장사의 중간지점에 해당한다. 본문에서는 소고리 마애여래좌상이 11세기 법상종 사찰의 후원으로 사찰간의 중간지점에 조성된 미륵불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동안 고려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알려진 소고리 마애삼존불상은 고려후기 및 조선전기 불상과 비교하여 조선전기 15세기에 만들어진 불상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인근에서 발굴된 15세기 주거지와 야철시설 유적은 소고리 마애삼존불상을 조성한 장인들과 관계가 깊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the period of creation of the Buddha statue in Sogori, Icheon was examined. Opinions on the date of the creation of the Sogori Buddha in Icheon vary from the 9th to the 12th century. In this study, the location of the Sogori Buddha image was reviewed in order to determine the time of its formation. Sogori Buddha statue is the midpoint between Anseong Bongeopsa Temple Site and Seolbongsanseong Fortress in Icheon, which was used as a major transportation network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Goryeo Period. Buddha statues of various periods are distributed along the transportation route connecting theBongeopsaji site and Seolbongsanseong Fortress and the surrounding area. In this text, Buddha statues from the 9th to 11th centuries that can be compared with Sogori Buddha images are analyzed. As a result, Sogori Buddha statue was stylistically similar to the Yeongwolam Buddha statue created in the 11th century and the large Buddha statue carved into rocks such as the Deokjusa Buddha statue.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Sogori Buddha statue was made in the 11th century. It has been known that the Sogori Buddha statue, in which three Buddha images are carved on a single rock, was made in the late Goryeo period. In this text, the Buddha statues of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ies were compared with the Buddha statue of Sogori carved with three Buddha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tone carving of Sogori, in which the three Buddhas were carved together, was made in the 15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