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영유아기와 초등 학령기아동 돌봄서비스 강화 및 질 제고 방안

        정선아(Chung Shun Ah)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7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유아기 단계와 초등학교 단계 돌봄서비스 강화 및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현재 정부지원의 돌봄서비스 체제 현황과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접근성, 이용비용 능력, 형평성, 질적 수준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둘째, ‘돌봄’과 ‘교육’을 통합하고, 연령에 적합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주, 스웨덴, 일본의 사례를 통해 함의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돌봄서비스의 강화 및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개선 방안은 ‘돌봄’과 ‘교육’의 통합을 통해 연령에 적합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영유아에게 돌봄과 교육은 분리하지 않고 ‘돌봄 있는 교육’을 제공하고, 학령기 아동에게는 놀이, 레크레이션 등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다. 그 외 돌봄전담사의 확보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하여 단계별 확보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at ways of strengthening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caring service in early childhood settings and primary schools. This study is based on a perspective of integration between education and caring. Caring is an ethics of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 relations, which is, responsibility, interdependence, love, attention, ties between caring providers and children. In this respective, I analyzed diverse caring service policie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and primary schools. The gap among caring services is not great, but targets of services are overlapped due to needs-based approach. Cases of Sweden, Japan, and Australia show how education and caring is integrated for children’s wellbeing. Finally I suggested ways of enhancing quality of caring service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and primary schools.

      • KCI등재

        유아교사의 직무역량 요구 분석

        정선아 ( Shun Ah Chung ),조대연 ( Dae Yeon Ch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에게 우선시 요구되는 직무역량의 항목을 구체적으로 도출하고,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역량 요구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역할모델링의 방법을 이용하여 유아교사로서 최고의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에 관련된 문헌 분석을 통해 19개의 역량을 잠정 도출하고,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9개의 역량을 추가하여 총 28개의 직무역량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도출된 직무역량 항목을 검증하기 위하여 총 16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역량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에게 요구가 높은 8개의 직무역량이 선정되었고, 이 최우선순위의 직무역량은 교사의 근무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most and common nee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competency. It examines the need of current job competency and future job competency and rank the priority of job competency.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difference of its need between kindergarten and day care teacher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61 teachers. The researcher used Borich need assessment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for selecting the teacher competency list. As a result, 8 of the common job competency lists were selected. The competency lists are as follows: checking the safety of the indoor and outdoor facilities, managing children`s health, preparing safe and clean environment for education,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designing curriculum appropriate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supporting young children`s emotions, participating in research relevant field, and counseling with parents regarding children`s development and problems. However, the most and common job competency list was differed by teachers` working places. Interestingly, common job competency betwee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teachers was very similar with teachers` need of job competency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competency becomes comparable, because they work with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se needs are similar.

      • KCI등재

        우리나라 영유아교육 도입전개 배경의 재조명

        정선아 ( Shun Ah Chung ),윤은주 ( Eun Ju Y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1

        우리나라 영유아교육의 도입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서구식 유치원 설립으로 그리고 이의 배경은 일제강점기 교육 구국운동만으로 강조해 온 경향이 없지 않다. 그 결과 서구식의 유치원 교육만이 영유아교육으로 발전되었고, 이 전개과정에서 서구식 영유아교육은 전통적인 우리나라 영유아교육의 역사와 연계되지 못한 채 발전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근대 영유아교육의 도입과 전개 과정의 역사적 배경을 재조명하여, 서구식 관점의 영유아교육이 전통교육과의 단절이 아닌 전통과의 대화였다는 연결 고리를 찾고자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구 문물이 도입된 1890년대부터 해방 전까지 근대 영유아교육 도입과 전개와 관련한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서구식 유치원 설립운동으로만 알려진 영유아교육의 도입과 전개 배경을 종합적으로 재분석하였다. 그 결과, 근대 영유아교육 설립운동은 기존에 알려진 교육구국운동 뿐만 아니라 여성운동, 종교의 교세 확장, 보육운동으로서 유치원교육 등 다양한 사회정치적 배경으로 일어났으며, 아울러 지역 면에서도 서울뿐만 아니라 밀양, 마산 등 개항지를 중심으로 전국 각지에서 다양한 배경으로 활발히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 영유아교육은 다양한 배경에서 시작되었고, 서구식 유치원 설립을 통한 서구식 영유아교육을 전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를 우리나라 전통교육과 연결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교육운동으로만 알려진 유치원은 보육운동이었으며, 보육과 교육의 통합적 접근이었으며 보육을 기치로 삼고 있었다. This study is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understandings of the kindergarten foundation movement under Japanese imperialism. There are several crucial elements which most actively intertwine to emerge as causal players in the foundation, for example, feminism and the expansions and influence of religious faiths, to name but two of the many kindergarten foundation movement`s competing genesis stories dating from 1910 to 1950, yet only one, the foundation of a western style kindergarten, has been considered as the primary catalyst to boost and develop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in Korea. This study looks at the broader historical context of the period, uncovering hidden materials that document the dynamic interplay of movements and happenings, especially that of Korean traditional ECEC, to restore national recognition of that element and reestablish a balanced historical awareness of ECEC in Korea.

      • KCI등재후보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으로서 보육실습수업 사례연구

        정선아(Chung, Shun Ah),이금자(Lee, Kum Ja),김나래(Kim, Na Rae),박보영(Park Bo Young),김희진(Kim, Hee Jin)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7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성찰 요소를 강조한 보육실습수업을 통하여 실습생이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대학의 2016학년도 2학기 ‘보육실습’ 수업을 수강한 학생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한 학생 16명이며, 2016년 3월부터 12월까지 총 10개월 동안 실습생의 러닝스토리, 성찰일 지, 보육실습일지, 인터뷰자료, 수업동영상 촬영 자료 및 전사본, SNS 대화 내용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실습생별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료를 재정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체가 되어가는 보육실습 과정에서 나타난 실습생의 경험은 4가지 양상으로 나타났다. 첫째, 실습생은 지도교사의 말을 ‘실습생’인 자신이 해야 하는 일로 받아들이고 주어진 일을 성실히 수행하며 ‘실습생’으로 머물렀 다. 둘째, 실습생은 지도교사와 본인의 차이를 발견하고, 놀이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 변화하는 것을 인식하며 주어진 ‘실습생’의 이름 자리에서 벗어났다. 이들은 교사가 되면 어떻게 할 수 있을지 고민하며 ‘교사’로서 정체성을 형성해 나갔다. 셋째, 실습생은 수업 평가의 순간 ‘교사’로서 성찰하던 것을 멈추고 지도교사의 조언을 그대로 받아들이며 다시 주어진 것을 수행하는 ‘실습생’이 되었다. 넷째, 실습 중에는 ‘실습생’으로만 머물렀으나 실습 후 실습수업을 되돌려보며 어떤 교사가 되고 싶은지 고민하게 되기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tudent teachers become ‘a subject’ of their own teaching in a child care practicum course, which emphasizes one’s own reflection. This study targeted the 16 students, who took the ‘child care practicum’ course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6 at S University. It was conducted for 10 months from March to December 2016.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 teachers’ learning stories, reflective journals, child care practicum journals, interviewed materials, videos of class lessons and dialogue contents through social networ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and rearranged in a time sequence focusing that how each student teachers’ subjectivity has progresse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four types of student teacher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subject. First, some student teachers tend to accept the instruction of the experienced teachers without challenging. By receiving all instructions from the experience teachers without any challenges, they performed their works faithfully. Hence, they appear to identify themselves as ‘student teachers’. Second, some student teachers seem not to regulate themselves as ‘student teachers’ in that they seek to discov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mselves and the cooperating teacher and think about how to perform well when they become to work as ‘teachers’. Thirdly, they have a tendency to stop their own reflection as ‘teachers’ and passively accept the advices of the cooperating teachers, when the lesson evaluation was conducted after the lesson. Fourth, some student teachers who remained as “just student teachers’ became to reflect their own teachings after they exchanged their experiences with classmates. They seem to think subjectively about what the essence of teaching would be.

      • KCI등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전래동요 분석

        정선아(Shun Ah Chung),서화니(Hwa Ni Seo) 한국음악교육학회 2013 음악교육연구 Vol.42 No.4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의 맥락 속에서 유아 교사들이 전래동요를 접근하고자 할 때, 교사들에게 ‘전래동요’ 접근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전래동요’ 활동 재구성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전래동요’ 관련활동 17개의 활동목표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래동요’ 관련 활동목표 39개중 28개가 한국 전래동요 특성과 관련성이 있었다. 전래동요의 노랫말, 음악, 놀이(유희)를 중심으로 분석한 ‘전래동요’ 목표 분석결과 노랫말과 관련된 목표가 6개(21.4%), 음악과 관련된 목표는 15개(53.6%), 놀이와 관련된 목표 7개(25%)로 음악과 관련된 활동목표가 가장 많았고, 노랫말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plan and practice as well as to reconstruct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 and activities based on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for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objective and the content of seventeen activities related to the traditional children`s songs from the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Firstly, according to the statement methods of objectives in 28 activities included 6 lyrics-centered statements, 15 melody-centered statements, and 7 play-centered statements. Secondly, in thirty-one activities related to children`s traditional songs had mostly ‘singing songs in diverse ways’ and ‘making one`s own creative lyrics, melody, and length of beats’ activities in the Age 4 and 5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

      • KCI등재

        ‘어린이는 놀이로 세상을 배운다’에 대한 비판적 성찰: “세계-내-존재”와 “세계-의-존재” 관점에서

        정선아(Chung, Shun Ah)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6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는 놀이로 세상을 배운다’라는 테제에는 놀이의 자발성을 함축하고 있다. 이 테제를 “세계-내-존재”와 “세계-의-존재”라는 어린이 앎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어린이는 “세계-내-존재”(being-in-the-world)라는 관점은 어린이의 앎즉 놀이와 학습을 분리하고, 성인이 계획한 놀이에서 어린이가 세계의 지식을 발견하는 학습을 의미한다. 반면, 어린이 앎의 두 번째 관점인 “세계-의-존재”(being-of-the-world)는 어린이의 삶과 앎은 얽혀있으며, 상호호혜적 관계이므로 앎은 세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정한다. 즉 어린 이는 놀이에서 세계와 만나고, 세계는 어린이의 앎을 변화시키는 주체적 힘을 발현하고, 어린이는이 과정에 참여하면서 앎을 이루어간다. 두 번째 관점에서 어린이는 놀이로 세상을 배우기보다는 놀이에서 세상과 조우하고, 세상에 의해 놀이는 변화되고, 확장되어간다. 즉 어린이 놀이의 자발성은 세계와 만나는 과정에서 세계에 의해 어린이가 영향을 받는 과정이다. 즉 어린이는 놀이에서 되어가는 존재이고, 놀이는 어린이를 만드는 힘을 지니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a thesis “children learn through play” based upon two perspectives of children’s knowledge. First perspective is “being-in-the-world.” In other words, the world(knowledge) and children’s life is separated. Accordingly, for children’s knowledge, the world is organized through a tool, which is play. Children learn the knowledge by play. Second perspective is “being-of-the-world.” In this perspective, children and the world is not separated, thus the world initiates children’s learning. In other words, while children play, the world(knowledge) emerges itself to children. in this process, children’s play is transformed through the play. Play is thus children’s learning itself.

      • KCI등재

        ‘CO-DESIGN’을 통한 아이들이 놀러오는 학교 놀이터 만들기 사례 연구

        정선아(Chung, Shun Ah),김희진(Kim, Hee Jin),박보영(Park, Bo Young),편해문(Phyen, Hae Moon)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20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CO-DESIGN’을 통해 학교 구성원과 놀이터 전문가가 학교 놀이터 조성에 참여하는 과정과 그 의미를 탐구하는데 있다. ‘CO-DESIGN’은 놀이터 사용자인 어린이, 교사, 부모 그리고 놀이터전문가가 함께 놀이터 디자인에서부터 조성까지 전 과정에 참여하여 놀이터를 만드는 협력적 참여과정이다. 놀이터 관련 이해 당사자만 놀이터를 디자인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참여디자인’을 확장한 개념이다. 연구 방법은 A시 교육청의 ‘아이들이 놀러오는 학교 놀이터 만들기’ 사업에 선정된 두 초등학교에 ‘CO-DESIGN’을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는 사례 연구이다. 두 학교의 ‘CO-DESIGN’은 2017년 9월 ~ 2018년 4월까지 약 7개월 간 이루어졌으며, 참여 관찰자로서 연구자는 전 과정을 촬영 및 녹음을 하고, 참여자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두 학교의 ‘CO-DESIGN’ 절차는 ‘놀이터 디자이너와의 만남’, ‘놀이와 놀이터에 대한 관점 세우기’, ‘학교 놀이터 디자인하기’, ‘설계 디자인 공유하기’, ‘시공’, ‘어린이 감리’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CO-DESIGN’를 통해 만들어진 학교 놀이터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터는 어린이를 중심으로 한 ‘경청의 공동체’에서 만들어졌다. 둘째 모든 참여자들의 수평적 소통으로 만들어진 놀이터이다. 셋째 사용자인 어린이의 놀이에 따라 ‘되어가는 놀이터’ 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members of school community and the play experts take part in building a meaningful place for school playground through ‘CO-DESIGN’. ‘CO-DESIGN’ refers to a cooperative process of building a playground of which participants are from children, parents, teachers and to experts. This is a broader conception of ‘Participatory-design’ in that the existing conception is based only upon the persons concerned. The methodology for this research adopts the case study. It examines the two schools’ ‘CO-DESIGN’ carrying out ‘Building a playground, welcoming children’ in A local school distri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7months from September 2017 to April 2018. The whole process of this research was filmed and recorded. Also, as a participant observer, it took the various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of ‘CO-DESIGN’. As a result, course of ‘CO-DESIGN‘ was that, ‘Meeting Playground Designers’, ‘Setting a Perspective on Play and Playground’, ‘Designing School Playgrounds’, ‘Sharing Plan Design’, ‘Construction’, ‘Child construction supervision’. Meanings of playground that found out from this research through ‘CO-DESIGN’ come as follows. First, the playground is built upon ‘Community of listening’ with child-centered approach. Second, the playground involves horizontal communication by all participants. Finally, it is ‘Becoming-playground’ of which focus is on children’s playing.

      • KCI등재

        한국 근대 유치원의 기원과 성격에 대한 비판적 재고* - ‘私立明信高等女學校附屬幼稚園’ 설립 규칙을 중심으로 -

        정선아(Chung, Shun Ah),김병길(Kim, Byoung Gill)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6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6 No.2

        한국 근대 유치원 교육의 기원과 성격은 서구유치원제도의 도입과 우리나라 유아를 대상으로 한교육에 그 근간을 두고 규명한 결과, 당시 수많은 유치원이 설립되고 운영되었음에도 이의 현실이 부각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유치원의 운영 및 설립 주체, 성격 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 이다. 이는 한국 근대 유치원 교육의 기원과 복합성을 조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본 연구는 한국 근대 유치원 교육의 역사 지평을 넓히기 위하여 그간 간과되어 왔던 1900년대 초반 여학교에 부설로 설립된 유치원의 성격을 재조명하여 유치원 교육 기원의 복잡성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명신여학교는 사립 여학교로는 최초로 유치원 설립 규칙을 학교 규칙에 포함시켰 다. 사립 명신여학교는 당시 식민화 정책, 기독교로 대변되는 서구적 가치, 민족주의에 기반한 조선 전통이 상호 길항하는 혼종적 국면속에서 전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유치원을 설립운영하지 못하였지만 사립 명신여학교의 유치원 설립 규칙에 나타난 유치원 운영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인 유아를 위한 유치원 설립을 시도한 명신여학교의 이념적 모태가 되었을 근대 수신교과 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전통 교육과 서구 제도로 알려진 유치원 교육이 어떻게 조응하며 전통을 계승하고 근대의 새로운 이념과 길항하였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 결과, 명신여학교의 유치원 설립 규칙은 현재의 유치원 교육과정과 같이 유치원의 설립 목적, 보육과목, 대상 연령, 원아수, 재원시 간, 운영시간, 휴업일, 학생기록부, 휴원 규정 등 내용이 매우 상세하게 수록하고 있어, 운영의 실제를 엿볼 수 있었다. 또한 명신여학교에서 채택하고 있던 근대 수신교과서는 전통 여성교육과 유치원 교육이 남녀평등, 덕육, 지육, 체육의 조화 즉 양성평등과 전인발달을 이루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서구적 가치와 전통 교육을 연계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origin and character of modern kindergarten education through reviewing a case of kindergarten principle of Myungsin Women’s High School. In addition, the kindergarten principle of Myungsin Women’s high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by imperial family and royal women reflected the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In this respect, he character of modern kindergarten needs to be extended from introduction of Western education system to succession of Korean tradition. The origin and character of kindergarten is always written based on the Westernized modern kindergarten system and education of Korean children. Accordingly, many of kindergartens established in Korea were not introduced as well as dealt in the history of kindergartens. In oder to restructure and elaborate its history, we examine the character of the first principles of kindergarten affiliated women’s high school in 1908. Especially, Myungsin Women’s school regulation specifically indicated the rules to establish the kindergarten, such as purpose, subjects, children’s age, duration time, running time, student records, holidays, and etc. The rules are not different from current regulations for establishing daycare and kindergarten. In addition, Myungsin women’s high school education adopted moral education by using ‘Soo-Sin’ textbook which succeeded Korean tradition. Accordingly, its kindergarten education would have been based on the similar contents. What we argue here is that the history of kindergarten was an encountering between the traditional education and Western modern education. In other words, kindergarten education as well as women’s school education was a hybrid and competition between Korean tradition and Western modern education.

      • KCI등재

        만 1세 영아의 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이수영(Yi, Su Young),정선아(Chung, Shun Ah)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1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ages of infants,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in environments geared toward extending their experiences provided by their teacher, and the significance of their experiences. A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over approximately five months between March and July, 2009, from 9 a.m. to 7 p.m. while the selected infants were cared. The environments offered by their teacher were categorized by time, and the interaction and experiences of the infants and how their experiences were linked to one another were observed. As a result, it s found that the infants formed a relationship with the given surrounding environments in a positive manner, and their thinking was expanded while they continued to make a circular inquiry. Moreover, they made new attempts that were different from what the teacher initially intended. They paid attention to the content of activities rather than their form in that process, and they got interested in the nature of things and had a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s provided by the teachers. The findings of the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It s needed to focus on the positive construction of cognitive skills by infants instead of interpreting their activities just to find out what development they made and what results they produced. In addition, their circular inquiry process should be valued, and what made them make an unintended attempt in the given environments should be investigated. As infants are easily interested in the contents of activ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ings,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intentionally offered by teachers should be grasped in advance, and the kinds of environments that encourage their inquiry should be created to help them gain various experiences. This study made it clear that infants should be regarded as ones who find and construct meanings in daily life, and that teachers who prepare all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should have a dynamic interaction with them to be involved in their meaning constr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만 세 영아의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교사들은 어떻게 영아들과 상호작용하면서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영아들의 경험은 어떠한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의 만 세반 교사 인과 명의 영아이다 연구기간은 년월부터 월까지이며 참여관찰의 방법으로 자료가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영아들은 교사가 제공한 활동에 참여하여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상호호혜적인 관계를 맺어나갔다 또한 영아들은 교사가 활동에서 기대하는 결과보다는 활동에 사용되는 자료들에 더 몰입을 하였다 이를 통해 영아의 지식의 연결성을 존중하고 제공된 환경에서 다른 시도를 하는 과정들에 주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이 과정에서 사물이 가지는 특성에 주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교사는 제시한 활동의 자료들에 대한 특성을 미리 염두해두고 자료 탐색을 격려하는 열린 환경을 통해 누적적인 경험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환경의 제반을 구성하는 교사들 또한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영아와 함께 의미를 축척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이 교육경험임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포스트모던 그림책 수업 활용을 통한 유아교사의 경험 연구

        안소영(An, So-Young),정선아(Chung, Shun-Ah)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4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다양한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수업에 활용하면서 겪는 교사의 경험을 살펴보 고자 하는 연구이다. 경기도 S유치원의 담임교사 5명이 연구 참여자이며, 2013년 4월 24일부터 2013년 7월 26일까지 총 14주 동안 이들의 포스트모던 그림책 수업 관찰과 개별 면담을 통하였다. 연구 결과, 누리과정 지도서를 참고하여 수업 주제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그림책을 선정해왔던 교사들은 새로운 문학 장르인 포스트모던 그림책에 대한 경험이 없어 수업에 어려움을 느꼈다. 기존 전통 그림책을 수업에 활용했던 것과 같이, 교사가 수업 전 계획한 활동지 및 질문 위주로 ‘예-아니오’의 질문형태의 상호작용을 하였으나 연구가 진행되면서 교사들은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통해 능동적으로 그림책의 의미구성에 참여하는 유아의 모습을 보게 되고, 유아의 언어에 경청하고 텍스트의 의미구성을 위해 협동 적으로 상호작용 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유아들과의 개방적 상호작용을 통해 포스트모던 그림 책에 대한 유아들의 다양한 생각을 볼 수 있게 되고, 기존과 다른 새로운 유아의 이미지를 갖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교사들은 경험에 기반을 둔 정형화된 수업을 성찰하고, 교사로서 부족한 부분을 자각 하여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새로운 것에 대한 개방적인 자세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포스트모던 그림책을 수업에 도입하는 것으로 교사는 유아에 대한 이해를 높이게 되었고, 유아와 적극적으로 소통하려는 자세를 지닐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 현장 교육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educators’ experience of using postmodern picture books in classroom setting.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posed: What sorts of experiences do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gain as they apply postmodern picturebooks to their class? For this purpose, 5 teachers at S Kindergarten in B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pril 2013 to July 2013, each participant had 14 weekly interviews with the researcher after they used postmodern picturebooks in their class. During this period the researcher observed and recorded the teachers’ classes while using postmodern picturebook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beginning of the study,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postmodern picturebooks as unfamiliar and difficult picturebooks because of their former reading reference. They were more likely to select picturebooks directly related to the theme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Also they were more likely to spend more time on doing worksheets and asking questions that they prepared beforehand rather than focusing on reading postmodern picturebooks and interacting with children. Moreover, teachers tended to ask ‘yes or no’ questions and guided children to find ‘right answers’. In the middle of the study, early childhood educators were able to see how children interact with the texts in postmodern picturebooks. The teachers listened carefully to children’s language, and showed positive attitudes in order to interact and create meanings of the texts together. Also the participants had open-ended questions during interaction with children and could see children’s various thoughts about postmodern picturebooks. This made the teachers have a new perspective on children. At the end of the study, the teachers reflected on their class that they have done and realized that they were not adequately prepared for teaching. This helped the participants to realize the need of study and to be more opened to new concepts and materials. Furthermore, cooperative attitudes, such as discussing and sharing information, were found among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