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림책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 그림책 <슈퍼거북>을 중심으로

        정서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ABSTRACT A study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picture book -Focusing on Picture book called<Super Turtle>- Jeong seo yeon Major i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 Kim jun hyung A paper states the efficiency of Korean education based on picture books. It means that the Korean education by picture book is great method to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y and multicultural children. In addition, the paper clarifies the educational value and efficiency based on the picture book. Finally it come up with an efficient way to educate. It endeavors to devise and applicate efficient education method by presenting the picture book to students. It shows how educational「Super Turtle」is especially to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y that is not experience with Korean. In the aspect of literary benefit,「Super Turtle」can make students learn a lesson through interpretation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increase imagination and expressive language skills. In chapter Ⅳ, the study presents a guideline centred on teaching and learning following application of「Super Turtle」in education. It devides class into 50 minutes twice that plan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 by focusing on speaking lesson. In first class, lesson was organized of understanding the context, and expressing text or speech after learning simple vocabulary and pronouncation. In second class, it was organized of difficult speech to become further in degree. But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ho aren't native couldn't utilize Korean grammar for themeselves. Consulting the problems encountered, it provides another guidelines adapting to beginners, which are intermediate expression and elemetary grammar focusing on speaking lesson. In results of new guidelines, students get the efficient of decreasing of fault, improving the reading ability, and literary emotion by repeated learning. Therefore the picture book named 「Super Turtle」helps to expand thinking ability and cultivate emotion in the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ing. If female marrige immigrant family consistently participate in Korean education by the picture book, they will resolve the communication problems in Korean and have an positive effects on their children. * keyword : picture book, Korean education, female marriage immigrant family, communication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그림책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그림책 <슈퍼 거북>을 중심으로- 정 서 연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준 형) 본고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효용성을 밝히고 여성결혼이민자들과 다문화 아동에게 한국어 교육의 일환으로 그림책이 언어교육에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또 그림책 교육의 가치와 효용성을 밝히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살펴보았다. 그림책을 활용한 한국어교육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응용한다. 특히 한국어가 서툰 여성결혼이민자에게 그림책『슈퍼 거북』의 활용 교육은 한국어 교육 자료로서 언어 표현력 확장에 도움이 되고 상상력과 다양한 관점의 해석은 문학적 효용성을 가져다주었다. 그림책 활용 교육을 토대로 Ⅳ장에서는『슈퍼 거북』을 응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를 통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수업 시간은 50분씩 2차시를 나누어 말하기 위주의 수업으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도모하였다. 1차시 수업은 책 내용을 이해하고 간단한 어휘와 발음을 배워 말이나 글로 표현하는 수업을 진행하고, 2차시 수업은 더 심화하여 표현학습 즉 말하기 위주로 진행했다. 하지만 2차시 수업을 한 후 국어학습자와는 달리 문법 활용이 자유롭지 못한 것을 알게 되었다. 이를 토대로 한국어 교수-학습을 다시 마련한 다음, 표현하기 활동은 중급 수준으로, 문법은 초급수준으로 맞추어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직접 수업에 적용해 본 결과 반복 학습으로 오류가 줄어들었고 읽기 능력의 향상과 문학의 정서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림책『슈퍼 거북』은 다양한 형태의 교수-학습 지도를 통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사고력 확장과 정서함양에도 도움을 준다. 여성결혼이민자가 지속적으로 그림책을 통한 한국어 교육에 참여한다면 한국어를 통한 소통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그들의 자녀에게도 긍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 키워드 : 그림책, 여성결혼이민자, 의사소통, 학습 지도안, * 이 논문은 2019년 8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노년기 성인식과 성교육 수요에 관한 연구

        정서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고령화 사회가 다양한 노인문제를 수반하고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그 문제들 중의 하나가 바로 노인의 성 관련 문제이다. 현재의 노인들은 과거로부터 성에 대한 적절한 인식 없이, 제대로 된 성교육을 받지도 못하고 한 시대를 살아오고 있다. 따라서 그릇된 성인식으로 인하여 다양한 성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는 것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에 노인들의 성인식 수준과 성교육 수요, 성교육의 실태를 분석해봄으로써 노년기에 맞는 성교육 욕구를 발견해내고자 한다. 이러한 성교육 욕구를 해소시킬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을 개발시킴으로써 올바른 성지식과 성태도를 가지게 하여 노후의 건강한 성생활을 통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성인식 수준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여성 노인보다는 남성노인이 성인식 수준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식에 있어서 연령의 분포도는 비교적 넓은 편으로 60세-79세까지 고르게 성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성욕구에 있어서는 응답자 중 56.1%가 성욕을 느끼고 응답자 중 63.5%가 성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성 중요도의 경우는 75세-79세 사이의 연령대에서 높은 인식 수준을 보였다. 성생활 여부에 있어서는 월 1회 이상 정기적인 성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이 되어서도 성생활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노인의 성인식 수준은 학력이 높을수록, 성관계가 비교적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는 집단일수록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의 성지식 및 성태도에 대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 중 64.6%가 성생활은 신체적․정신적으로 유익하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생활 여부에 따라 보다 성관계 횟수가 정기적일수록 성지식 및 성태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의 성교육 수요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대다수의 노인이 성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성교육의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성교육의 필요성을 보다 더 체감하고 있었으며, 여성보다는 남성이 더욱 필요로 하고 있었다. 성교육은 성 전문 강사를 통하고, 남녀 구분 없이 시청각 자료 등을 활용한 강의식 형태를 선호하였다. 교육장소로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노인복지관이나 노인문화센터가 적합하다고 하였다. 성교육 내용에 있어서는 주로 노화로 인한 성문제, 노인의 성욕구 및 성충동, 성윤리, 이성교제 및 재혼 등으로 국한되어 있다. 그러나 노인들의 원하는 내용으로 성생활 관련 지식 및 기술, 성 발달사항, 성기능 장애, 성병 및 성질환, 성폭력 및 성범죄 등에 대해서도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여가복지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성교육 실태를 분석한 결과 노인들에게 성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노인 성교육 실태조사 결과 노인의 욕구를 반영하여 대상의 구분 없이 강의식으로 노인복지관이나 노인문화센터에서 간헐적인 특강 형태로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문 강사의 부재로 인하여 성지식이 있는 노인이 직접 강의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하여 노년기 성에 대한 성인식을 높이고, 성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첫째, 노인에게 적합한 성교육 매뉴얼을 적극 개발해야 한다. 둘째, 노인 성교육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적극적인 정부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노인 성교육에 대한 정부의 제도적․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노인 성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변화를 위하여 대중매체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노인의 성인식 수준과 성교육 수요를 살펴봄으로써 전반적인 노년기 성교육의 수요를 살펴보았다. 또한, 노인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성교육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노인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에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질 것이다.

      • 초산모와 경산모의 임신출산 정보요구도와 이용행태

        정서연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임산부의 임신·출산 정보요구도 및 이용행태 파악하고, 초산모와 경산모 두 집단으로 나누어 분만 경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 소재 보건소, 여성병원을 이용하는 임산부 120명이었다.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활용하여 2020년 1월 2일부터 1월 17일까지 자료수집하였다. 설문도구는 선행논문의 연구 결과와 임신·출산·육아 온라인 커뮤니티(대구맘365) 게시물 빈도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임신·출산 전체 정보요구도는 초산모 3.9점, 경산모 3.99점으로 경산모가 약간 높았으며, ‘임신과 관련된 위험증상 및 대처’ 등 총 10개 개별 항목에 대한 내용별 정보요구도는 약간의 순위 차이는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시기별 정보요구도는 초산모와 경산모 모두 ‘임신 후기’에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임신·출산 정보 이용은 초산모와 경산모 모두 인터넷이 70%로 가장 많았으며, 이용하는 인터넷 매체는 ‘범용포털’은 초산모 40.3%, 경산모 56.9%, ‘블로그 및 소셜네트워크’는 초산모 21%, 경산모 3.4%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13). 임신·출산 정보에 대한 의견으로 대상자 80.8%가 대체로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96.7%가 정부 운영 임신·출산 정보 사이트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 초산모와 경산모는 임신·출산 정보요구도와 이용행태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두 집단 모두 공공기관을 통한 정확성과 신뢰성 있는 산전정보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따라서 임산부에게 인터넷 정보의 ‘다양성’과 ‘즉시성’을 반영하여 공공기관 및 의료기관에서 임산부에게 활용성 높은 산전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며, 임산부의 특성을 반영한 임신기간 동안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조선후기 풍속화 수업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정서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Living in a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and we must try not to lose our cultural identity and traditional art has become an important subject in art educa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er thought that the most familiar genr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traditional art were the most suitable materials for traditional art learning, which gives learners the opportunity to learn about our culture and reflect on the lives. Currentl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ursues to implement a classroom in which student participation classes are activated. This researcher noted the Havruta learning method as a way to implement it. The Habruta learning method is based on the learner rather than the teacher in the class, so it can fill the pursui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t the same time, it is judged that the learners can make the class new and interesting. So this researcher tried to apply this learning method to art class so that learners can freely share their opinions and broaden their perspective on the work and make a wide range of search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clas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actical research by developing a teaching plan for the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using the Habruta learning method and applying it to the first grade of high school. First, the theoretical basis of Habruta learning method and painting class desig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prepar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the application of the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confirmed by using the Habruta learning method for the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For the design of the class, the basis of class design was established by checking the degree of learning with the learners in question and answer, and the application of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six sessions for 37 students in 1 Grade, Class 4 of C High School. And, Throughout the class, the research results were analyzed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was derived through the data collected by the teacher.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derived  from  the  study  of 'A study on  the lesson plan of the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using Habruta learning method’ is as follows. First, through discussion, learners could approach the work from a new perspective. The learners shared their opinions and opinions in producing and appreciating their works as well as gen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class process in which the activities of constantly exchanging questions with their mates or friends are continued. This allows them to explore the works extensively while asking questions about the parts they did not think of, and to promote a diffusive thinking. Second, learners could the depths understand the genre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Habruta learning method. Learners made questions while watching the genre painting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 conducted the activities of discussing both pairs and all together, the expression activities based on them, the expression activities of drawing the genre paintings of my life, and the class process of questioning and presenting each other's works. Therefore, learners could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works of the gen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and expressing the gen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using the Habruta learning method. Third, learners were able to plan and express their works more closely than when they planned and expressed their works alone. Through the class process of planning and constantly asking questions and revising works with mate, learners could approach them in a new direction that they did not think about in their works and at the same time, they could think more deeply about their work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learners were enjoying art classes. In addition to listening to the thoughts of friends while participating in the class, the activity of freely asking questions to each other caused the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At the same time, learners were able to create a pleasant learning environment with interest in art classes. The signification of the study results is that considering the present of Korean art education, which has a relatively high promotion of Western art, using the Habruta learning method to learners, it is judged that they have produced educational results of not only traditional art and late Joseon genre paintings, but also flexible and expanded views on their works, while at the same time freel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It is expected that the art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using the Habruta learning method will be a way to cope with art classes centered on teacher-centered appreciation classes and expression classes. 현재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는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미술교육에서도 전통미술은 중요하게 다루어야 될 주제가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전통미술에 있어서 가장 친근한 조선후기 풍속화를 학습자들이 우리문화에 대해 알아가고 자신의 삶도 돌아보면서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전통미술 학습으로 가장 적합한 제재라고 생각하였다. 현재 2015개정 교육과정은 학생 참여형 수업이 활성화 되는 교실을 구현하는 것을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브루타 학습법에 주목했다. 하브루타 학습법은 수업에서 교사가 아닌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수업을 이루어 나가기 때문에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것을 충족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학습 제재를 학습자들이 새롭고 흥미롭게 수업을 만들어나갈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이 학습법을 미술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들끼리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며 작품을 바라보는 시각이 넓어짐과 동시에 폭넓은 탐색을 할 수 있는 것을 꾀하여 보았다. 본 연구는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하여 조선후기 풍속화 수업’에 대한 고찰과 함께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조선후기 풍속화 수업안을 개발하여 고등학교 1학년에 적용하여 수업의 교육적 의의를 문헌연구와 실행연구를 통해 확인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하브루타 학습법과 조선후기 풍속화 수업 설계의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고등학교 1학년 대상으로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하여 조선후기 풍속화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수업의 설계를 위해 학습자와의 질의응답으로 학습의 정도를 확인하면서 수업 설계의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연구의 적용은 C고등학교 1학년 4반 학생 37명을 대상으로 총 6차시 동안 수업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수업을 진행하면서 교사의 지속적인 관찰과 수업으로 수집된 자료들을 통해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교육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조선후기 풍속화 수업안’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론을 통해 학습자들은 작품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 할 수 있었다. 학습자는 짝 또는 친구들과 함께 계속해서 질문을 주고받는 활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업 과정을 통해 조선후기 풍속화뿐만 아니라 자신의 작품을 제작하고 감상하는데 있어서 짝의 의견과 자신의 의견을 공유하였다. 이는 자신이 생각하지 못한 부분을 짝이 질문을 하면서 작품에 대해 폭넓게 탐색할 수 있으며 확산적인 사고를 촉진시킬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는 하브루타 학습법을 통해 조선후기 풍속화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풍속화 작품을 보면서 질문을 만들고 짝 그리고 다 같이 토론하는 활동과 이를 기반으로 한 표현활동, 내 삶의 풍속화 그려보는 표현활동, 그리고 서로의 작품에 질문하고 발표하는 수업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에 학습자들은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하여 조선후기 풍속화를 감상하고 표현하는 과정에서 조선후기 풍속화 작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들은 혼자 작품 계획을 세우고 표현했을 때보다 더 면밀하게 작품 제작의 계획과 표현을 할 수 있었다. 작품 계획을 세우면서 짝과 작품 계획에 대해 계속해서 질문을 하고 수정해 나가는 수업 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의 작품에서 생각지 못한 방면으로 새롭게 접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품에 대해 더 깊게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학습자들이 미술 수업을 즐기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에 참여하면서 친구들의 생각을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궁금한 점을 서로 자유롭게 질문하는 활동이 학습자들의 수업 만족감을 유발시켰다. 동시에 학습자들은 미술 수업에 흥미를 갖고 즐거운 학습 환경을 조성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연구결과의 의의는 서양미술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되어있는 우리나라 미술교육의 현재를 고려해 볼 때 우리나라의 학습자들에게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하여 전통미술, 조선후기 풍속화뿐만 아니라 자신의 작품에도 유연하고 확장된 시각을 가지고 동시에 학습자들 서로간의 자유로운 소통이 이루어지는 미술 교육적 결과를 도출하였다고 판단한다.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조선후기 풍속화 미술 수업은 수업에 교사가 중심이 되어 진행하는 감상 수업 및 표현 수업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미술 수업을 대처할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기대해본다.

      • 만5세 유치원 학급에서 실현되는 유아 참여권에 대한 연구

        정서연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논문의 목적은 만5세 유치원 학급에서 실현되는 유아 참여권의 모습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두 가지 연구문제가 제기되었다. 첫째, 유아 참여권이 실현되는 공간으로서의 유치원 환경을 살펴본다. 둘째, 유치원에서 유아 참여권 실현의 모습을 살펴본다. 유아 참여권의 영역에서는 유아가 무엇에 대한 참여권을 행사할 수 있는가를 다룬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관찰, 면담, 문서 및 시청각 자료, 현장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다. 자료 분석과정은 전사, 개방코딩 및 심층코딩, 주제발견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환경은 유아 참여권을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유치원 교육과정의 교육내용과 수립과정으로 인해 유아 참여권은 제한적으로 실현되었다. 교사가 일과 계획을 세우고 계획을 충실히 이행하는 것은 유아 참여권을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교사는 일과 계획을 이행하기 위해 활동 종료시간을 일방적으로 결정했으며 유아들은 교사가 정한 활동 종료시간을 따랐다. 유치원 공간 측면에서 유아들의 참여권이 제한적으로 실현되는 이유는 교실 내 유아의 지정된 자리와 엄격하게 구분된 흥미영역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유치원에서 유아 참여권이 실현되는 모습을 살펴봤다. 유아들은 놀이와 대·소집단 활동에 대한 참여권을 행사했다. 유아들은 놀이 측면에서 놀이 종류, 놀이 방법에 대한 참여권을 행사했으며 대·소집단 활동 측면에서 활동참여, 활동시간, 활동방법에 대한 참여권을 행사했다. 유아들은 참여권 실현의 방법으로 언어적, 비언어적 방법을 사용했다. 언어적 방법에는 자신의 의사를 직접 말하기, 상대방의 허락 구하기, 다른 힘을 가져오기가 포함되었다. 비언어적 방법에는 신체언어 사용하기, 침묵하기, 강하게 주장하기가 포함되었다. 교사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유아 참여권 실현을 지원했다. 교사의 지원은 정보제공과 주도권 공유로 구분할 수 있다. 정보제공 측면에서 교사는 일정에 대한 정보와 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했다. 주도권 공유 측면에서 교사는 활동의 주도권과 환경구성의 주도권을 유아와 공유했다. 이 연구는 유아 참여권이 실현되는 공간으로서의 유치원 환경을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유치원에서 유아 참여권이 실현되는 실제적인 모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유아 참여권이 실현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탐색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가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유아의 능력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발달장애아동 현장실습 체험연구

        정서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study aims to illustrate field experience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which graduate schoolers majoring in art therapy have had and shed light on the ultimate nature and significance of such experience in a graphic and detailed way. Based on this, the study hopes to lay the foundation for deeper understanding of and well-informed preparedness for art therapy field experience program involving handicapped children, which is aimed at graduate schoolers and center employees being involved in art therapy field experience program. Considering this, the study, as main research subject, focused on question like "What did the graduate schoolers experience in art therapy field experience program aimed 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what is the ultimate nature and significance of such experience?" and involved Max van Manen's interpretational phenomenal research method to set up and perform research stages and procedures. Research procedures comprise focus on the nature of experience, study on existential experience, interpretational and phenomenal self-reflection and interpretational and phenomenal writing. After that, the study, in an effort to collect relevant data, performed one-on-one in-depth interview with a total of study participants who ever experienced field experience program aimed 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s art therapy M.A. course takers, M.A. degree holders and graduate schoolers. Linguistic in-depth interview went on from Feb. 2021 through May and basically involved 1st and 2nd round of interview. If additional interview is deemed to be necessary, phone interview was performed to collect date until sufficient data is gathered. The analysis of gathered data resulted in eliciting 8 fundamental research themes and 31 sub-themes. In connection with this, fundamental themes are described as follows: <emotional turmoil which field experience program participants went through while art therapy program was running aimed 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trials and errors continuously experienced throughout art therapy experience program>, <burnout and burdensome limitations experienced by therapist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supervision and colleagues helpful to understand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understand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impairment and myself as a therapist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studying art therapy suited to myself>; <opportunities and experiences which art therapy is able to deliver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 myself, finding strength of art therapy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getting closer to the real concept of art therapist>; and <resource and realization which art therapy field experience program delivers aimed 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nalysis of study themes, phenomenal writing and a wide array of gathered phenomenal data, the field experience program of art therapy M.A. course takers, aimed a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may be concluded as follows. Art therapy M.A, course takers may have an opportunity to deepen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figure out one's own capacity as art therapist. This would help them to fill any loopholes in various areas such as treatment direction, interference and interaction. In particular, this led them to recognize importance of direct interaction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t different levels, seriously consider proper art therapy aimed at each of the children and thereby develop their own capacity. The real fact that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differ at individual level and that such children may be encountered at a segregated place is hard to know through books. Thus, the study emphasizes that it is important to visit and experienc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o understand them, as a matter of fact. In conclusion, the study holds significance by suggesting that art therapy experience program invol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may serve as educational field where would-be art therapists may sharpen their proficiency by experiencing a wide arra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In addition, it importantly confirms that art therapy holds strength and validity for treat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that it is necessary to restore and strengthen identity as art therapist. Such conclusion contributes to development of art therapy experience program and the site and study, which is described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aims to deliver graphic stories of MA course takers and practitioners going through art therapy experience program involving a varie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such as mentally challenged children, children with autism and ADHD and etc and shed light on the significance. This would help not just deepen understanding of field experience but also lay the foundation for further improved field experience program by reducing repetition of trials and errors. Moreover, this would serve as the basis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would-be art therapists' experience and art therapy to center employees. Secondly, the study delved into experiences of graduate schoolers and practitioners who visited and experience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eliciting practical and empirical data. This is expected to serve as data with grounds, which may be compared with experience of art therapist going through therapy sessions as a worker.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현장실습 경험에 관한 목소리를 상세하게 기술하고, 궁극적으로 그 체험의 본질과 의미가 무엇인지 생생하고 풍부하게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토대로 발달장애아동이 있는 미술치료 현장실습에 있어서 석사과정생들과 이를 운영하는 기관 관계자들에게 본 실습 현장과 대상에 대한 이해와 준비를 높이기 위한 기초 교육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현장실습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이를 근거로 연구 단계 및 절차를 계획하고 수행하였다. 연구 절차는 체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체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되어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현장실습을 수행한 경험이 있는 수료생과 졸업생을 포함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인 총 6명의 연구 참여자와 일대일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언어적 심층 면담은 2021년 2월부터 5월까지 실시되었으며, 1차·2차 면담을 기본으로 이후 추가적 면담이 필요한 경우 전화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8개의 본질적 주제와 31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이와 관련한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발달장애아동과 만나는 미술치료 회기 안에서 실습생으로서 겪는 감정의 소용돌이>, <우왕좌왕 계속해서 겪게 되는 시행착오>, <발달장애아동을 대하는 치료사로서 마주하는 소진과 버거운 한계>, <발달장애아동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슈퍼비전과 동료>, <발달장애아동과 치료사로서의 나를 다시 이해하며 그에 맞는 미술치료를 연구함>, <미술치료가 발달장애아동에게 줄 수 있는 기회와 그 경험들>,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의 힘을 발견하고 미술치료사로서 한 발짝 다가서는 나>, <발달장애아동과의 미술치료 현장실습이 주는 자원과 깨달음> 위와 같이 도출된 주제 분석과 현상학적 글쓰기, 수집된 다양한 형태의 현상학적 자료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의 발달장애아동 현장실습 체험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전공 석사과정생은 현장실습을 통해 발달장애아동에 대한 이해와 인식, 미술치료사로서 그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를 토대로 치료 방향과 개입, 상호작용 등 여러 방면에서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연구해나간다. 특히 다양한 발달장애아동을 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접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으며, 각 아동에 적절한 미술치료를 진지하게 고민하며 그 역량을 발전시킨다. 발달장애아동의 특성이 개인마다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과 그러한 아동들을 한 곳에서 만날 수 있다는 실질적인 정보를 서적을 통해 접하기에는 한정적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 실제 현장에서 발달장애아동을 만나 그들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실습이 현장에서 다양한 발달장애아동을 접하는 미술치료사로서 그 전문성을 발달시키기 위한 교육 현장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의 힘과 가치를 이해하고 미술치료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회복 및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그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론을 통해 미술치료 현장실습과 현장 그리고 연구에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지적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ADHD 등이 있는 다양한 발달장애아동 대상 미술치료 실습 현장에서 이를 경험한 석사과정생, 실습생의 생생하고 풍부한 이야기를 전달하고 그 의미가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실습 현장에 대한 이해 뿐만 아니라 실습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여 준비시킬 수 있는 기초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장에서 기관 담당자에게 미술치료 수련생로서의 경험과 미술치료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발달장애아동을 만난 현장실습을 체험한 석사과정생, 즉 실습생의 경험을 탐구하였으므로 이로 도출된 실제적이고 경험적인 정보가 근무 형태로 회기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경험과 비교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위치 추적 기술을 활용한 자동출결관리 시스템의 구축

        정서연 전북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Due to the development and popularization of smartphone technology, bluetooth is being used in various aspects. In addition, indoor location recognition technology using beacon is actively developed in various fields. We propose indoor location recognition technology of beacon and after-school attendanc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phone. It is wasted a lot of class time in the management of attendance of the existing call method, and intends to introduce the electronic attendance system. However, attendance systems such as RFID and NFC incur the costs of installing dedicated terminals and issuing cards. Therefore, by using beacons and existing smartphones, it is expected to reduce the cost and prevent the loss of the cards and increase the convenien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tervention of student attendance check by easily configuring the function of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fter-school classroom rather than university. Developing attendance management applications using a beacon and a smartphone and applying them to the attendance management of after-school classes does not require teachers to waste lessons and allows students to concentrate more on lessons.

      • 종양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죽음 인식이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서연 울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종양내과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과 죽음 인식을 확인하고 긍정심리자본과 죽음 인식이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이를 통해 간호사들의 긍정심리자본을 개발하고 긍정적 죽음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임종간호 수행 향상 및 질적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종양간호사 127명이다. 긍정심리자본은 Luthans와 Youssef(2007)의 PCQ(Psychological Capital Questionnaire)를 Lee와 Choi(2010)가 번안한 도구로 24문항(6점 척도), 죽음 인식은 Kim, Kim & Tak(1997)이 개발하고 Kim(2006)이 수정·보완한 것을Cho(2011)가 수정한 23문항(5점 척도), 임종간호 수행은 Bae(2000)가 개발한 49문항(4점 척도)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127명(100%) 모두 여성 이었으며 연령은 평균 28.71±4.68세였다. 학사 및 3년제 대학 졸업자가 89.8%, 일반간호사가 95.3%였고, 54.3%가 종교를 가지고 있었다. 미혼이 74.0%였고, 총 근무경력은 평균 5.70년 현 부서 근무경력은 평균 4.36년이었고 51.2%의 간호사가 여가활동을 가지고 있었다. 환자의 죽음을 처음 경험한 임상경력은 3개월 미만 76.4%였고, 최근 1년간 담당 환자의 죽음 경험 횟수는 6회 이상이라고 응답한 간호사가 55.1% 였으며 89%의 간호사가 임종관련 교육을 받았다고 하였고 최근 1년 이내 가까운 가족이나 지인의 임종 경험 유무에 대한 질문에 ‘없다’고 응답한 간호사가 65.4% 였다. 64.6%의 간호사가 자신의 죽음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환자의 죽음이라고 하였으며 임종간호 수행 시 가장 어려운 점에 대한 질문에 ‘시간이 없어서’라고 응답한 간호사가 44.1%였다. 임종간호에 대한 지식습득 경로는 직무/보수교육이 56.7%로 가장 많았고 대상자의 임종간호 유형에는 심리적 간호형이라고 응답한 간호사가 52.8%였다. 2. 대상자의 긍정심리자본 점수는 3.93±0.83점, 죽음 인식은 3.68±0.99점, 임종간호 수행은 2.86±0.65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F=23.20, p<.001), 교육수준(t=4.37, p<.001) 직위(t=2.87, p=.005), 결혼 상태(t=4.85, p<.001), 총 근무경력(F=24.63, p<.001), 현 근무경력(F=9.76, p<.001)이었으며 임종간호 관련 특성 중 유의한 변수는 없었다. 4. 대상자의 죽음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연령(F=12.43, p<.001), 학력(t=2.00, p=.047) 종교(t=3.51 p=.001), 결혼 상태(t=2.07, p=.040), 총 근무경력(F=6.78, p=.002)이었으며 임종간호 관련 특성으로는 임종관련 교육 유무(t=2.15, p=.033), 임종간호 수행에 어려움을 미치는 요인(F=3.74, p=.003), 임종간호 유형(F=4.87, p=.003)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임종간호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일반적 특성으로 연령(F=9.91, p<.001), 총 근무경력(F=7.32, p=.001), 현 근무경력(F=4.52, p=.013)이었으며 임종간호 관련 특성으로 임종관련 교육 유무(t=1.61, p=.019), 죽음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F=3.44, p=.019), 최근 1년 이내 가족이나 지인, 친구의 임종 경험 유무(t=3.64, p<.001)로 나타났다. 6. 긍정심리자본의 하위 영역과 죽음 인식 간에는 자기 효능감(r=.39, p<.001), 희망(r=.36, p<.001), 낙관주의(r=.24, p<.001), 회복탄력성(r=.26, p<.001)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인식과 임종간호 수행 간에도 양의 상관관계(r=.29, p<.001)를 보였으며 긍정심리자본과 임종간호 수행 간에는 자기 효능감(r=.36, p<.001), 희망(r=.45, p<.001), 낙관주의(r=.37, p<.001), 회복탄력성(r=.42, p<.001)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7. 임종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은 긍정심리자본의 하위 영역 중 희망과 회복탄력성이었고, 최근 1년 이내 가족이나 지인, 친구의 임종 경험 유무가임종간호 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종간호 수행에 대한 설명력은 29.1%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긍정심리자본과 죽음인식, 임종간호 수행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긍정심리자본의 하위 영역인 희망과 회복탄력성이 임종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임종간호 수행 향상 및 질적 발전을 위해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을 강화시킬 수 있는 체계적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임종간호 수행의 질적 발전을 위한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임종간호의 긍정성을 높일 수 있는 반복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일상 속 키치를 반영한 조형표현 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정서연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본인 작품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서술이다. 본인의 작품 주제인 ‘일상 속 키치한 우리들의 모습’이라는 작품에 대하여 논의함에 있어 미술표현에 있어서의 키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작품의 주제는 무심히 지나칠 수 있는 일상적인 삶을 키치적 표현방법으로 드러나게 하였다. 본론에서는 본인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한 키치의 개념과 정의를 확인 후 키치가 현대 미술과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밝힌다. 아방가르드적 키치와 현대 미술에 나타난 키치 연구를 통해 본인 작품에서의 영향력과 차이점을 알아본다. 그리고 현대 미술에 나타난 키치 연구에서는 팝아트의 대표적인 작가 앤디워홀과 리히텐슈타인에 대해서 알아본다. 본인 작품 분석에서는 앞서 살펴본 키치의 이론을 바탕으로 본인 작품에 대한 의도를 내용적 형식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주변에 존재하는 향수, 과시, 그리움, 일탈, 취미, 놀이, 모방, 대리만족, 성, 캐릭터 등의 본인 작품 속 키치적 표현연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형식적 분석에서는 키치적 형식을 빌어 주제, 의미, 구도, 조형표현방법, 구도, 재료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알아본다. 또한 동시대 작가의 작품 연구를 통해 일상적인 소재의 쓰임에 대해서 본인과의 구분 되는 점을 알아본다. 결론적으로 본인 작품의 주제인 ‘일상 속 키치한 우리들의 모습’ 을 키치적 표현방법을 통해서 알아 본 것을 토대로 앞으로 작품 방향에 대해 모색해본다. 본 연구를 통해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일상의 자연스러운 모습들을 어떻게 본인 작품을 통해 생각해 볼 수 있을 지 계기를 만들어 보고자한다. This study is description about my own artwork's contents and forms. In discussing my artwork whose theme is 'Our appearances in the kitsch in daily life', I would like to cover the problems of kitsch in artistic expressions. The theme of the artwork revealed the ordinary life, which can be neglected, through the kitsch expression method In the main body,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kitsch were confirmed for understanding of my artwork, and then how kitsch was developed in the relation with modern art. Through the research on avant-garde kitsch and kitsch in modern art, the influence and difference in my artwork are studied. In addition, for kitsch research in modern art, Andy Warhol and Lichtenstein, who are representative pop artists, are studied. Regarding the analysis of my artwork, the intention of my artwork is researched in the content and formal aspects based on the kitsch theory mentioned above. In the content aspect, the study researches such kitsch expressions in my artwork as nostalgia, ostentation, yearning, deviation, playing, imitation, vicarious satisfaction, sex and character, which exist around us in various forms. The formal aspect is specifically divided into theme, meaning, structure, artistic expression method and materials. In conclusion, the future artwork direction is sought based on what is researched above about the theme 'Our appearances in the kitsch in daily life' through the kitsch expression method. This study is expected to establish the base to consider natural appearances of daily life that can be neglected easily in my ar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