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일연선사비의 복원과 고려 승려 비문의 문도 구성

        정병삼(Jung Byung-Sam) 한국사연구회 2006 한국사연구 Vol.133 No.-

        Ilyeon(一然, 1206~1289) was an eminent monk in 13th century Goryeo. He wrote Sam-guk-yu-sa(三國遺事), which contains all around Korean ancient history, second oldest and important history. So he received the posthumous title Bogakguksa(普覺國師) which granted by the king. To the memory of his life, a monument to stupa was erected 1295, six years after his death. Ilyeon's monument to stupa was carved by Wang Hsi Chih(王羲之)'s collected letters, who was the greatest calligrapher, So many man wanted to get a rubbed copy of Ilyeon's monument to stupa, Now twenty seven copies were known as that rubbed copy. But Ilyeon's monument to stupa was most destroyed now. With the remained rubbed copies, we can reconstruct the original monument to stupa. Through the reconstruction, the front face completed almostly. But rear face is not complete yet. The rear face was divided three parts, the circumstance to the erection of monument to stupa, Ilyeon's disciples, and his official followers. This dividing style is unique in Goryeo. The date of erection was carved on the top site in large letters, and this is also an unique case. His disciples are consisted of 17 Daeseonsas(大禪師), 24 Seonsas(禪師), 2 Sujwase(首座), 40 Sallims(山林), 22 Samjungs(三重), 13 Daeseons(大選), 14 Ipseons(入選), 30 Chamhaks(參學), so all of them are 162 monks. Their name and position was reconstructed. His thirty nine official followers are consisted of 4 first ranks, 17 second ranks, 9 third ranks and 9 under fourth ranks officers. They positioned orderly by their ranks. Most of rear face was reconstructed by rubbed copies, but the below parts are not completed. If a new copy which contains new parts will found, the reconstruction will be supplemented. The reconstruction of Ilyeon's monument to stupa shows that the monument to stupa was consisted of 2,389 letters front face in thirty five lines, and 1,661 letters of rear face in thirty four lines. The name of the monument to stupa was carved in most big letters on the top of front face, and the erection date was carved in big letters on the top of rear face. The size of carved parts of the monument to stupa was estimated 101 centimeters width and 108 centimeters length. The list of Ilyeon's monument to stupa shows the adminstration of Goryeo Buddhist orders. Daeseonsa and other seven monk ranks is different from that of first half period of Goryeo. Sallim, Daeseon, Ipseon and Chamhak were newly appeared in late Goryeo period like this Ilyeon's monument to stupa, Most important change was the appearance of Gyojong(敎宗) monks are included in Seonjong(禪宗) Order. Basically the two orders are separated surely in early Goryeo, but in 13th century, Seon master Ilyeon's monument to stupa included some Gyo monks with most Seon monks. Like this, Ilyeon's monument to stupa offered many useful materials about various facts of Goryeo Buddhism. The reconstruction of other monk's monument to stupa also give us many historical materials. A new monument to stupa or an unrecognized rubbed copy is very important to know the little material period.

      • KCI우수등재

        신라불교사상사와 『삼국유사』의해편

        정병삼(Jung Byung-Sam) 불교학연구회 2007 불교학연구 Vol.16 No.-

          Sam-guk-yu-sa (三國遺事) is an excellent text which shows the cultural thoughts of late 13th century Goryeo. In the politically confused period, it focused on the subject of historical extraordinary and protect of Buddhist belief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independently. We can research plentiful materials of Buddhist history in Sam-guk-yu-sa. In Sam-guk-yu-sa, most important parts and subjects are the chapter of Tap-sang (塔像) and that of Eui-hae (義解). The chapter of Tap-sang contains the story about making Buddhist relics like pagodas etc. and relative stories about miracles and beliefs. The chapter of Eui-hae contains the constructions and spreads of Buddhist thoughts. So the chapter of Eui-hae is similar to the biography of the monks. In other chapters like Sin-ju (神呪) and Gam-tong (感通), we can find the matters of Buddhist thoughts also. But the accurate matters of Silla Buddhist thought, most of them are included in the chapter of Eui-hae. The chapter of Eui-hae is consisted of Vijnanavada (唯識), Madhyamika (空) and Vinaya in Three Kingdom"s period, and of Wonhyo (元曉), Vijnanavada and Hwaeom(華嚴) in unified Silla period. In comtemporary research, the history of Silla Buddhist thoughts is cope with the contents of the chapter of Eui-hae. So the chapter of Eui-hae shows us the major parts of Silla Buddhist thoughts in accordance with the periodical change. In addition, some men of major thoughs like Woncheuk, and major part like Seon (禪) were omitted. To investigate that reason is a future problem.

      • KCI등재

        全文 『白花道場發願文略解』와 체원의 관음신앙

        정병삼(Jung, Byung Sam) 韓國佛敎硏究院 2011 불교연구 Vol.34 No.-

        『白花道場發願文略解』는 고려 후기에 體元이 신라 의상이 지은 것으로 전승되던 『白花道場發願文』을 해석한 책이다. 그동안 20장 분량의 『백화도량발원문약해』는 2장이 결실되어 내용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최근에 그 내용이 수록된 판본이 발견되어 全文이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의상의 『백화도량발원문』 전문과 체원의 『백화도량발원문약해』? 전문의 내용을 확인 검토하였다. 全文을 살펴본 『백화도량발원문』 은 일반적인 고난 구제가 아니라 관음을 지성으로 따르며 백화도량 정토에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발원문이었다. 체원은 『백화도량발원문약해』를 의상과 법장 등 화엄 초기 조사들의 전적을 주로 인용하여 풀이하였다. 경전은 80화엄을 주 대본으로 하고 논소는 징관의 『華嚴經疏』?를 많이 인용하여 해석하였다. 이는 白花道場의 어의적 해석을 위해 그 대본을 인용했기 때문이었다. 발원문의 圓通三昧나 大圓鏡智관음의 大慈悲등과 관련하여 『능엄경』을 전거로 해석하였다. 또 관음과 발원제자가 결국 평등한 체성으로 귀착된다는 것은 『일승법계도』 등 신라 화엄 전적을 중점 인용하여 설명하고 전체적으로는 법장의 저술을 가장 많이 인용하였다. 이러한 체원의 해석 경향은 발원문 구절을 충실히 따르면서 그에 적합한 전거를 찾기 위해 여러 가지 경전과 논소를 인용한 데 따른 것이었다. 체원이 화엄의 구도적 실천신앙을 표방하면서도 백화도량에 왕생하고자 발원문을 해석하여 널리 알리고자 한 것은 고려 후기에 보편적이던 정토왕생의 희구에 대한 화엄적 대안이었다. 체원은 의상과 의상계 화엄을 계승하여 『백화도량발원문』 의 관음신앙을 해석함으로써 고려 후기 화엄교단의 사상적 전통을 명확히 하고 화엄교단의 관음신앙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Baekhwadoryangbalwonmun, which is presumed to Euisang, shows that he prayed for Avalokitesvara. The letter intends to not deriving fears but want to rebirth in Potalaka Land, the Pure Land of Avalokitesvara. Baekhwa doryangbalwonmun-ryakhae is the interpretation of Baekhwa doryangbalwonmun. Chewon interpreted this book with quoting the works of Euisang and Fazang, the Silla and Tang founders of Hwaom Buddhism. He cited 3 versions of Avatamsaka sutra, 80 volumes, 40 volumes and 60 volumes, and quoted Huayanjingshu of Chengguan most frequently. He presented Shoulengyanjing to explain the meaning of wontongsammae, daewongyeongji and the great mercy. All these quotations were based on his effort to try to explain the Avalokitesvara belief. On the other hand he quoted the Silla Hwaeom works like I lseungbeopgyedo to explain Avalokitesvara and prayer concluded equal nature. Like this, Chewon tried to explain the Baekhwadoryangbalwonmunr's phrase accurately through presenting various suitable works. Chewon explained the Avalokitesvara belief of Baekhwadoryangbalwonmun in the tradition of the belief of Hwaeom school which was continued since Silla. Thus he tried to determine the tradition of thought of Hwaeom school in late Goryeo, and establish the Avalokitesvara belief which leads to Potalaka Land.

      • KCI등재

        7-8세기 동아시아 『약사경』 해석의 특성

        정병삼(Byung Sam Ju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3 佛敎學報 Vol.0 No.65

        藥師信仰은 질병 등 온갖 현세에서의 고난으로부터 구제해 주며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現世祈福的성격을 바탕으로 전개된 신앙이다. 약사신앙은 동시에 淨土往生的성격도 갖는다. 정토적 성격은 彌陀신앙과, 현세적 성격은 觀音신앙과 비슷하나 약사정토를 강조하는 것보다는 극락정토에의 인도를 설하는 것이 이채롭다. 약사신앙은 주로 유식사상가들이 지은 『약사경』 주석서에 기반하여 수 당과 신라및 일본 등 동아시아 삼국에서 널리 전개되었다. 그런데 7-8세기에 활동한 당 慧觀과 신라 大賢그리고 일본 善珠의 『약사경』 주석서가 남아 있어 이들에 대한 상호비교 검토가 가능하다. 혜관은 『藥師經疏』를 지어 체계적인 分科를 세우고 경문에 대한 상세한 주석을 통해 약사신앙의 여러 의의를 구체적으로 밝혔다. 일부가 남아 있는 혜관의 주석에서는 地論계통의 사상적 영향을 찾을 수 있는데, 이는 『약사경』 주석이 시작되던 시기의 해석 경향을 보여준다. 대현은 『本願藥師經古迹』을 저술하였는데 상세하고 체계적인 科文을 구성했지만 약사신앙의 중심인 약사여래의 12大願과 9橫死에서의 구제에 대해서는 해석이 간략한 것이 특징이다. 대신 六齋日에 대한 해석이나 삼악도에 떨어지지 않기 위해 수지해야 할 계율에 대해서는 상세하고 명확한 해석을 베풀었다. 선주의 『本願藥師經초』는 경의 大意를 밝히는 등 가장 내용이 충실한 편이나 과문의 구성은 체계성이 미흡한 편이다. 구성이 혜관의 소와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매우 유사한 면모를 보이고 있으며 해석에서 영향 관계도 드러난다. 당의 규기나 정매와 혜관, 신라의 憬興과 道倫및 대현, 일본의 선주 등 유식사상 가들의 『약사경』 주석으로 동아시아 사회에 약사신앙은 현세이익적 구제를 중심으로 정토왕생적 성격까지 갖추며 널리 수용되게 되었다. 혜관과 대현과 선주의 주석서 비교를 통해 이들이 기본적으로 유사한 틀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세부적으로 서로 다른 관점에서 『약사경』을 해석하여 자국에 약사신앙이 정착되는데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belief of Bhaisajyaguru was based on the Sutra of Bhaisajyaguru, according to saving all those who was sick and suffered from poverty and it would also prolong the life span. For this, believers should observe eight commandments and light lamps and hang ribbons. It also promise all devotees who wish to reborn in the East paradise, and will lead to the Pure Land. The belief of Bhaisajyaguru was spread in East Asia by the commentaries of the Sutra of Bhaisajyaguru. In 7th and 8th century, Huiguan(慧觀) of Tang, Daehyeon (大賢) of Silla and Zenju(善珠) of Japan wrote commentaries of that sutra. Yaoshijingshu(藥師經疏), partially preserved in the Dunhuang collection, Huiguan shows strict section and detailed explanation. The commentary of Huiguan was beginning style of that commentary. Daehyeon`s Bonweonyaksa gyeonggojeok(本願藥師經古迹) shows systematic section, but he explained briefly about twelve Great Vows and nine sudden death. He also gave a full explanation about six forbidden days and commandments. Zenju`s Yakushikyosho(藥師經疏) shows most complete explanation and he wrote about the outline of the sutra. His explanation is similar to that of Huiguan`s. Kuiji(窺基), Jingmai(靖邁) and Huiguan in Tang, Gyeongheung(憬興), Doryun(道倫) and Daehyeon in Silla, Zenju in Japan, the Yogacara School masters wrote the commentaries of the Sutra of Bhaisajyaguru. With these, the belief of Bhaisajyaguru was accepted in East Asia society. Comparing these commentaries of Huiguan, Daehyeon and Zenju, we can see that they had similar type of section and different explanation. They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belief of Bhaisajyaguru in their country each other.

      • KCI등재

        고려 재조대장경 '외장'의 사상사적 의의

        정병삼(Jung, Byung-sam)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7 No.-

        해인사에 보관해온 팔만대장경 경판은 세계 조판사상 유례를 찾기 어려운 우수한 경판을 거의 완벽하게 보존해온 문화유산이다. 이제까지 경판의 정확성이나 보관의 우수성이 높이 평가받아 왔지만, 고려 대장경 문화의 사상사적 의미를 새롭게 평가해야 한다. 대장경正藏에 이은 '外藏'의 간행이 이에 대한 의미 부여가 가능하다. 初彫大藏經의 조판은 開寶板 宋本을 바탕으로 보다 정확한 契丹本과 고려의 傳本을 적극 활용하여 가장 정확한 판본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였다. 대장경 조판에 이어 義天이 敎藏을 이루어냄으로써 대장경과 교장을 함께 이루어냈다. 몽고의 침공으로 초조대장경판이 불타자 16년만에 만들어낸 再彫대장경은 초조보다 더 철저한 校勘을 통해 정확한 경판이었고, 제작과 함께 『校正別錄』을 펴내 교정 사실을 명확히 밝혔다. 장경 목록인 『大藏目錄』을 포함하여 모두 1498종의 經論이 재조대장경 正藏이다. 이에 더하여 內藏인 '正藏'에 이어 '外藏'이라 부를 수 있는조판 사업이 정장 조판 기간 중에 대장도감에서 시작되어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 졌다. '외장'은 동아시아 논저들을 주로 모은 것으로 팔만대장경판의 15종과 해인사 간행의 9종 등이다. '외장'의 중심은 화엄종 주석서와 선종 전적들이었다. 신라와 중국의 화엄종 형성기의 조사전적에 대한 신라와고려 승려들의 주석서들은 재조 사업을 주도한 守其가 소속된 화엄종의 사상적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해인사의 성향이 짙게 배어 있다. 또 선종 전적은 수선사 결사로 고려 후기 불교계를 주도하던 선종의 사상이 반영되었다. 또다른 결사인 백련사의 사상적 바탕인 천태 저술도 간행되었다. 이들 전적은 주로 고려의 傳本이 많고 고려에서 중시되던 전적들 이었다. '외장'의 간행은 고려후기 불교의 사상적 경향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이 사업이 재조대장경 조판 인력에 의해 이어졌다는데 그 사상사적 의의가 있다. 초조대장경은 동아시아 대장경 조판 체제에서 정확성을 배가하였다. 재조대장경은 초조 이후 추가된 목록에 의거하여 증보 완성하였다. 이어 동일한 인적 자원에 의해 이루어진 '외장' 조판은 고려후기 불교의 사상적 경향에 따른 독자적 사업으로서, 해인사와 수선사 중심의 고려후기 불교의 경향을 드러내준다. Palman Daejanggyeong(Goryeo Tripitaka) are the most excellent of all Tripitaka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in its accuracy and elegance. We should focus on the meaning of Goryeo Buddhist thought. Chojo Daejanggyeong(The First Tripitaka) were produced based on Sung Tripitaka and were compared with Liao Tripitaka and the Goryeo traditional edition. After that, Ucheon published Gyojang(Collection of Research) that supplement the Tripitaka. Chojo Daejanggyeong were destroyed by the Mongolian invasion, just after Jaejo Daejanggyeong(The Second Tripitaka) were engraved. They made a more precise edition by a thorough comparison with various editions. As a result, the Chief Editor Sugi wrote Gyogeongbyeollok(Extra list of revision). Jaejo Daejanggyeong was listed in 1498 books by Daejangmonnok(List of Tripitaka). Then 'Oejang' continued by Daejangdogam, the national publishing organization. The main parts of Oejang consisted of the books of Hwaeom School and Seon School(Suseonsa). It shows the tendency of later Goryeo Buddhist thought. The books of Oejang were based on a Goryeo tradition, and were accounted in Goryeo Buddhism. The publishing of Oejang verifies the main tendency of late Hwaeom School and Haeinsa. The meaning of Jaejo Daejanggyeong,(that includes Oejang) is this point. And it shows the unique tendency and ability of Goryeo Jaejo Daejanggyeong.

      • KCI등재

        기록과 유물로 본 정암사의 창건과 전승

        정병삼(Jung Byung Sam)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18

        정암사는 오대산에서 문수를 친견하지 못한 자장이 태백산의 갈반지를 찾아 창건한 사찰이라고 전승되어 왔다. 이에 대한 확실한 자취는 이제까지 찾지 못했지만, 2013~2014년에 시행된 정암사 발굴조사에서 신라말 제작으로 추정되는 기와가 출토됨으로써 일단 정암사의 신라말 창건 사실은 확실한 근거를 갖게 되었다. 곧 신라말에 태백산 정암사가 상당한 규모로 건립되어 있었음을 확정할 수 있다. 또한 고려 초기의 정암사 발굴 유물이 계율과의 관련을 강조하는 것은 자장을 계승한 것임을 표방하는 것으로, 이는 자장의 창건 가능성을 더욱 크게 한다. 대부분의 사적이 자장을 오대산과 정암사에 나란히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자장이 오대산과 태백산 정암사에 행적을 남겼을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자장 관련 자료들은 자장의 오대산 사적에 대해 띠집과 같은 임시적 거처는 인정하지만 사찰의 창건은 인정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자장의 태백산 주석은 모두 사실로 기록하고 있다. 이는 오대산 신앙이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면서 다양한 전승 속에 자장의 창건에 대해 다른 견해가 생겨났지만, 정암사는 전승이 단순하여 자장으로 모아진 차이로 생각된다. 정암사의 9세기 기와 건물과 자장이 창건했다는 石南院과의 연관은 찾을 수 없다. 신라말에 명주 일대 불교계에 범일과 그 일문의 영향력이 강하게 미쳤고, 그 현상의 하나로 수다사 대중을 매개로 자장의 행적이 오대산과 정암사 사적에 연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 이전에 정암사 발굴 유물은 자장의 행적이 정암사에 미쳤을 가능성을 크게 하며, 나아가 자장이 오대산에도 행적을 남겼을 가능성도 열어준다. 자장이 오대산을 순례했다는 전승은 중국 오대산 순례 설화로 확대되었고, 이와 같은 전승은 점차 보편화되어 10세기에 중국에도 전해져 돈황문서에 그 자취를 남기게 되었다. 정암사 발굴 결과는 고려 전기의 유물에 집중된다. 또한 수마노탑에 대한 검토 결과는 수마노탑이 신라 양식의 유풍을 이어받아 고려 초기에 건립되었고, 정암사는 계율을 강조한 사찰로서 번영하였던 사찰로 자리 매김될 수 있다. 조선 후기의 상세한 사찰 묘사도에서 보는 정암사는 진신사리를 봉안한 수마노탑의 신앙적 위상이 크게 알려진 사리신앙의 성지였다. 수마노탑은 거듭 중수 유지되었고, 특히 고종 집권 시기에는 안동김문과 흥선대원군의 주선으로 전국적인 규모의 시주로 중수되기도 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자장이 창건 봉안했다는 불탑신앙이 있었다. Jeongamsa handed down that it was founded by monk Jajang who tried to meet Manjusri but not resulted. To this time, we cannot find the clear evidence of Jajang’s trace. The excavation at Jeongamsa in 2013~2014, we get some roof tiles which were made in 9th century, late Silla. So we have clear evidence that this temple was founded late Silla. In late Silla, they told that Jeongamsa was certainly founded by Jajang. The relics of Jeongamsa were concentrated vinaya school of Goryeo. It shows that Jeongamsa was deeply related to Jajang in early Goryeo. This shows that Jajang might go to Odaesan and Jeongamsa. This tradition was generalized at 10th century and transmitted to Dunhuang documents. Many records wrote about Jajang and Odaesan. But most of them did not say that Jajang found temple at Odaesan besides they said that there was a temporary locate. They said that Jajang founded Jeongamsa (Seoknamwon) altogether. The difference of them were Odaesan faith devided several trends but Jeongamsa kept one tradition. In late Silla, Beomil and his family’s power spreaded strongly to Gangwon Buddhism. With this trend, Jeongamsa record of Jajang was connected to that of Odaesan through Sudasa monk. Most results of excavation of Jeongamsa were the relics of early Goryeo period. The discuss on Jeongamsa Sumano stupa shows that it was builted in early Goryeo succeed to Silla style. And Jeongam-sa prospered in early Goryeo which stressing vinaya school. Sumano stupa maintained Silla style in its configuration of the ground, structure and upper parts. The history of Jeongamsa has evident position. A detailed picture of Jeongamsa in late Joseon noticed that this temple was well known for sarira faith based on Sumano stupa. With this sarira the stupa was restored continually. In Gojong period, Heungseondaewongun and Andong Kims family led the reconstruction of the stupa with the whole country. So Jeongamsa was the holy place of sarira faith. At the heart of that faith, there was the Buddha stupa which constructed by Jajang.

      • KCI등재

        조선시대의 호남불교 연구의 성과와 전망

        정병삼(Byung Sam Ju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9

        조선시대 불교계는 고려시대와는 달랐지만 신앙을 중심으로 본연의 역할은 유지되었다. 지역 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운영되었던 조선 사원은 관련 자료도 적지 않게 남겼다. 조선 불교에 대한 연구는 이런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정리하는데서 시작해야 한다. 조선전기에서 일제침략기에 이르는 사찰 수의 변화를 염두에 두면서 사원 유지 실태에 대한 실제 조사가 필요하다. 제도적으로 파악된 사찰 현황과 실상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인들에게 크게 영향을 미쳤던 승려들의 활동이 사찰의 성쇠와 연관이 있는지도 검토해야 한다. 16세기에 전국적으로 가장 왕성한 모습을 보였던 佛書 간행과 관련하여 현재 각 사찰 등에 전해 오는 佛典에 대한 종합 조사가 필요하다. 선초 양종으로 사찰을 정리할 때 한 곳밖에 지정받지 못했던 호남 지역 사찰에서 가장 많은 불서를 간행했던 이유와 배경은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지역불교의 현황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확보할 수 있다. 조선후기에 호남지역에서는 浮休系 문손들이 松廣寺를 터전으로 확고한 문파를 형성하였고, 淸虛系의 鞭羊派와 逍遙派가 大芚寺를 중심으로 묘향산파를 능가하는 형세를 이루었다. 그 배경으로 지적된 호남 지역의 경제적 충실이 정확한 것인지, 사원이 보다 왕성했던 영남 지역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해석해 보아야 한다. 栢庵性聰이 간행한 불서들과 履歷과정의 변화에 대한 교학적 분석과 三種禪 논쟁의 場을 마련했던 호남불교의 면모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講學의 융성과 새로운 禪觀의 제창 등 핵심적인 불교사상의 과제가 전개되었던 호남지역 불교계의 위상에 대한 검토는 조선후기 불교의 자생력에 대한 평가와 연관되는 문제이다. 호남지역에서는 유배문화의 특성으로 인해 유불의 심도 깊은 만남에 대한 실제적 이해가 가능한데, 유학자들이 불교를 접한 후 사상의 변화가 보이는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호남지역의 義僧 水軍의 존재는 국가적 부담에 대한 불교계의 대응과 이에 관련된 사원 운영 등을 살필 수 있는 문제로서 이를 통해 호남 지역의 특성을 살필 수 있다. 조선시대 불교의 연구는 자료 확보가 일차적인 과제인데, 이는 지역 사회의 연구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이루어내야 한다. 지역 불교 연구 자료의 수집과 정리는 지역 문화의 특성을 알려주는 것이면서 조선시대 불교 상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산이 된다. 조선불교의 중요 주제를 품고 있는 호남지역 자료의 수집과 분석이 갖는 의의가 여기에 있다. In Joseon dynasty, differenf from Goryeo dynasty, the Buddhism maintained centering around belief. The monastries of Joseon dynasty connected with regional society, and some of their various records are remained now. The study on the Buddhism of Joseon dynasty start at gathering and arranging those records. The numbers of monasteries in Joseon dynasty were much changed. We should examine the real aspects of monastery numbers in this transition situation. With this point, we examine that either the active working monks are effected those numbers or not. In 16th century, the publication of Buddhism books was very popular. We should examine the books which handed down at so many monastries throughout the nation. In Honam region, only one monastery was appointed among 36 monastries in nation. So we find the reason that Honam monastries could publicated so many books. In late Joseon dynasty, Buhyu school monks founded a firm doctrinal school based on Songgwangsa, in other hand Pyeonyang and Soyo lineage of Cheongheo school prospered at Daedunsa. We should survey the reason why they were so active in Honam region, on the contrary monasteries of Yeongnam region were in more flourishing condition. Seongchong in Songgwangsa published many Buddhism books and they changed the Korean Buddhist learning course. Baekpa and Choeui made an argument about three kinds of Seon. They are the most notable themes of late Joseon dynasty Buddhism. Why they were made in Honam region? We should examine the basic ground of them. The meaning of these publishing and argument shows the situation in Buddhist work. And furthermore we can guide the autogenous power of Joseon Buddhism. In Honam region, the Confucianists met Buddhist profoundly because of their exile. We shoyld compare the Confucianists thought between before and after their exile who met Buddhist. The righteous navy was found only in Honam region along the coast. It can suggest the Buddhist`s response to the national load and the management of monastries. Through this, we can survey thr characteristics of Honam Buddhism. The study on Joseon Buddhism depend on accumulating sources. This subject should performed by regional researchers. The gathering and arranging records can show the characteristic of regional culture. Also it can show the understanding of the circumstances of Joseon Buddhism. The Honam Buddhism contains most essential themes of Buddhism in Joseon dynasty. The significance of gathering and arranging Honam Buddhism records lie in this point.

      • KCI등재후보

        7세기 후반 신라불교의 사상적 경향

        정병삼(Jung Byung-Sam) 불교학연구회 2004 불교학연구 Vol.9 No.-

        In Late 7th Century the Three kingdoms became the Unified Silla, and Silla established a powerful kingdom system. Then Silla Buddhism made a prominent progress in thoughts study based on vigorous management of Buddhist school. From late King Munmu period, royal family and higher classes made many monuments at major temples. The Kingdom leaded the management of the Seongjeon(成典) temples. Amita belief and Avalokitesvara belief were the most prominent believes. The Lower people generally accepted Amita belief in the behalf of the monks who made the qualification to go Pure Land so easily. Avalokitesvara belief which relieve the difficulty of real world appeared in the type of Buddhistic Pure Land(佛國土) in Silla land. Amita belief sometimes turned up with Maitreya belief, and Avalokitesvara belief assisted Amita belief. So it was a characteristic that the belief connected with other believes. Baisajyaguru-vaidurya (藥師) belief that cure a disease, Maitreya belief, Jeomchal(占察) belief, and Ksitigarbha(地藏) belief was prevalent at that times. The thoroughgoing study of thought was centered in Vijnanavada(唯識), Gisinlon(起信論) and Hwaeom(華嚴). They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studied thoroughly. So a great progress achieved in Silla thoughts. Woncheuk(圓測)"s Vijnanavada thought which emphasized harmony made a prominent methodicalness. Other various Vijnanavada thoughts were appeared and they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thought. The syudy of Vinaya(戒律) centered in Brahmajalasutra(梵網經). Vajrayana(密敎) thought continued at that time. The Buddha-dhatu(佛性論) thought which opened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Buddha to all the people made a progress. Wonhyo(元曉) eastablished the One Mind(一心) Theory in Gisinlonso(起信論疏), and found a practical theory in Gumgangsammaegyeongron(金剛三昧經論). He made this elaborate thought, and this was the most prominent essence of Silla Buddhism. Euisang(義相) established Hwaeom(Avatamsaka, 華嚴) thought to the highest level in East Asia Buddhism. He leaded Hwoeom School which consisted of various classes of people, so it contributed the harmony of Silla society. With this self-confidence of Buddhist thought Silla Buddhism created the Gumgangsammaegyeong(金剛三昧經) which compiled all the various thoughts in late 7th century. Afterwards Silla Buddhism created the Seokmahayeonlon(釋摩訶衍論) which take on Vajrayana thought in early 8th century. Like this vigorous tendency of various Silla Buddhist thoughts and believes prevailed all the classes, and they spreaded to local provinces. And thus they precede the Buddhism afterwards.

      • KCI등재

        고려후기 불교 조영물의 발원 내용에 나타난 불교신앙의 경향

        정병삼(Jung, Byung Sam)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8

        고려후기에 다양한 불교신앙이 전개되었고 여러 가지 공덕불사가 성행하였다. 신앙의 실천에는 염불과 독송 등의 실천과 함께 불사를 추진한 공덕 또한 중요하다. 고려후기에 시행된 많은 불사와 관련하여 그 발원내용을 알 수 있는 자료가 적지 않게 남아 있다. 이들의 분석을 통해 당시 신앙 경향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다. 불상이나 불화 또는 경전은 각각의 신앙을 담당하는 역할이 주어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들 불사를 추진하면서 신앙인들은 복합적인 바람을 여기에 담아냈다. 조영물 하나에 한 가지 신앙만을 발원하는 것보다는 두세 가지 바람을 함께 담아내는 경우가 더 일반적이었다. 신앙의 다양화와 동시에 신앙의 복합화가 고려 후기 불교 신앙의 구체적인 모습이다. 불교 신앙이 확대될수록 정토신앙 중심의 다양화가 일반적인 경향을 보임과 동시에 신앙의 복합화 또한 나타나지만, 고려후기의 다양한 불사 조영물을 통해 구체적인 신앙 사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고려후기에 조성한 불상은 아미타상이 가장 많다. 사람들은 아미타상을 조성하며 아미타불의 극락에 왕생하려는 바람 외에 수복과 풍년, 국가안녕 등의 현세이익을 빌었고, 현세이익을 대표하는 관음상을 조성하며 정토왕생을 기원하였다. 불화의 경우에도 조성 사례나 신앙 내용이 압도적으로 많은 아미타불도를 조성하며 정토왕생과 현세적 기원을 함께 발원하였다. 이와 같은 경향은 불서 간행에서도 마찬가지여서, 간행 경전의 본래 지향에 더하여 모두 함께 이익을 얻기를 기원하고 극락왕생하기를 빌었다. 사경은 발원문 또한 현세에서 전쟁이 그쳐 나라가 평안하고 풍년이 들고 복락을 누리고 장수하고, 내세에서는 극락정토에 태어나 즐거움을 누리는 것을 말하고 있어 경전 사이에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 금고나 향로 범종 등의 여러 불구는 일정한 신앙 지향이 있지 않아 조성자의 기원이 중요하다. 금고의 발원은 전쟁의 종식과 장수와 같은 현실에서의 복락 실현이 가장 많은 사례를 보여 불상 등과 차이가 있으며, 한 사례에 두세 가지의 복합적인 기원을 담고 있다. 향로 또한 두세 가지 기원을 함께 담아 조성했는데, 현세이익과 극락왕생 그리고 깨달음의 증득이 거의 비슷한 분포를 보인다. 범종은 현실기원이 절반의 경우에 나타나고 그 뒤를 이어 깨달음의 증득이 보이지만 왕생이 적은 것이 다르다. 석등과 정병 등 여러 가지 성격이 다른 불구들의 조성에는 정토왕생을 더 많이 기원한 것으로 나타난다. 고려후기의 불교 신앙은 내세의 정토왕생을 전면에 내세우고 여기에 현세의 안녕을 함께 기원하는 복합신앙이 가장 보편적인 신앙 경향이었다. 다만 불상 불화 불서의 경우에는 왕생 기원이 가장 두드러지지만, 금고 향로 범종 같은 불구의 경우에는 기원 내용이 골고루 비슷한 것이 다르며, 현세이익 비중이 더 크고 깨달음의 증득을 명시한 예가 적지 않다는 차이가 있다. In late Goryeo, there were various Buddhist faith and many Buddhist services were done. With Buddhist services which done in late Goryeo, quite many notes of prayers record was remained. I will analyze these notes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Buddhist faith. Buddhist sculptures, paintings, sutras have their own role in faith. People made this Buddhistic objects and pray for complex faith. They did not pray one wish to one objects, generally pray two or three wishes. The diversity and complexation of faith was the characteristic of late Goryeo Buddhist faith. Among the Buddhist statues of late Goryeo, Amitabhas are most. The notes of prayers placed in the construction of Amitabha statues mainly wished for the rebirth in Pure Land, add to this they wish longevity and healthy life, rich harvest, peace of the nation. The notes of prayers placed in the construction of Avalokiteshvara are about prosperity in the secular world, and rebirth in Pure Land. The Majority of Buddhist painting Amitabha, the prayers wish to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happiness and comfort in the secular world. This tendency is same as in publication of Buddhist sutras or transcribing sutras. The tendency to pray for the comfort of people in this life and rebirth in the Pure Land regardless of the types of Buddhist sutras. Like metal drum, incense burner and Buddhist bell, offering instruments are not fiwed to certain faith, so the notes of prayers are important. With the metal drums, people wish cease of the war and longevity. The majority of metal drums shows praying for the prosperity in the secular world. With the incense burners, people wish two or three wishes at same portion, prosperity in the secular world, rebirth in the Pure Land, attain enlightenment. With the Buddhist bells, people wish the prosperity in the secular world in half portion, and rebirth in the Pure Land portion is little. Various offering instruments, stone light and kundika, people mainly wish rebirth in the Pure Land. These various wishes of people depending on the object and subject but shares in common that they pursued happiness and comfort in the secular world. The tendency of Buddhist faith in late Goryeo, it was the complex trends which accompanied wishes for the benefits in the present world as well as the rebirth in Pure Land. Buddhist sculptures, paintings and sutras, the wish of the rebirth in Pure Land is remarkable, but the offering instruments like metal drums, incense burners and Buddhist bells, the wish shows similar cases of faith, and the benefits in the present world is frequent, in some case wish the attain of enlightenment.

      • KCI등재

        기획논문: 여행기를 통해 본 동서양의 교류와 소통 : 혜초가 본 인도와 중앙아시아

        정병삼 ( Byung Sam Jung ) 동국사학회 2010 동국사학 Vol.49 No.-

        혜초는 8세기 전반에 인도와 중앙아시아 일대를 순력한 후 『往五天竺國傳』을 남겼다. 현존하는 필사본은 앞뒤가 떨어져 나간 일부분의 짧은 분량으로서 草稿일 가능성이 많지만 현존본만으로도 『왕오천축국전』의 8세기의 유일한 주요 순례기이고 海路로 가서 陸路로 돌아온 유일한 기록이라는 등의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현존 『왕오천축국전』에는 인도 지역보다 중앙아시아에 대한 서술이 상대적으로 많은 분량을 차지한다. 이는 혜초가 佛蹟 순례를 위한 인도 여행 못지않게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관심이 컸음을 의미한다. 이 시기 중앙아시아는 아랍의 지배가 굳어지는 격변을 겪던 시기였고, 혜초는 아랍 주도 시기의 정치적 질서의 변화를 작은 분량이지만 생생하게 담아냈다. 이는 『대당서역기』나 『불국기』등과 비교할 때 두드러진 특징이다. 인도 지역의 서술에서 『왕오천축국전』은 오천축에 대한 서술이 이곳저곳에 나뉘어 있고, 불교 유적에 대한 기술도 정연하지 않는 등 아직 구조화되지 않은 모습을 보인다. 아랍의 지배력이 확대되는 격변기의 중앙아시아를 순력한 혜초가 남긴 아랍과 페르시아와 비잔틴제국, 소그드 제국과 투르크 등 중앙아시아 일대의 광범위한 나라들에 대한 탐방과 인상적인 傳聞 기록은 동서문화 교류의 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왕오천축국전』에는 다른 순례기에서 볼 수 없는 詩가 5편 실려 있다. 혜초는 주관적 편견을 제거하고 여행지의 사실을 객관적으로 기술하는 산문 부분에 중점을 두면서도, 순례 중 만났던 여러 난관을 헤쳐 나가 순례의 誓願을 완성하고자 하는 생생한 감정을 시에 진솔하게 담아 구도자의 정서를 표현함으로써 전편에 걸쳐 견실한 짜임새를 갖추게 되었다. Hyecho(慧超) made a pilgrimage to India in early 8th century, and wrote a record WangOcheonchukgukJeon(往五天竺國傳). The record which was extent is the center part of complete version. And this record seems to be a draft copy. WangOcheonchukgukJeon is a particular record on India and Central Asia. It is an unique description in early 8th century, and an only record which comes to India by sea and back to China by land. In this record, Hyecho wrote more about Central Asia than India. This is the distinctive character among other pilgrimages like FuguoJi and DatangXiyuJi. At that time India and Central Asia were in the era of change. In WangOcheonchukgukJeon, Hyecho wrote the circumstances of Buddhism, geography, customs, products, language and political condition of each countries he passed. These descriptions showed the real political conditions of the countries. The descriptions of Persia, Arab, Byzantine, Sogd and Turks are very important meanings in the point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Moreover, WangOcheonchukgukJeon contains 5 poems which express the emotion of the pilgrimage, relatively other records have no poem. Hyecho explained the fact of pilgrimage in prose style, and the religious emotion in verse sty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