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군사적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 효과적인 정신교육 내용 및 방법

        정병삼(Byongsam Jung)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4 한국군사학논집 Vol.7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 군사적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 전방 부대 병사들의 정신전력을 강화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정신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군사적 긴장이 가장 고조된 ‘13년 4월 초에 전방부대에 근무하는 병사 95명을 대상으로 현 상황에서 병사들이 느끼는 감정과 병사들의 정신전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정신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관한 개방형 설문을 실시했다. 그 결과 총 473개의 의견을 회수했고, 공개코딩을 실시한 결과 총 23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이어서 전방부대 5개 사․여단 병사 37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조사 결과 병사들은 정신교육의 내용으로서는 ① 남북한군의 객관적 전력비교, ② 북한 도발 시 우리군의 대응전략, ③ 가족의 생명을 수호한다는 사명감, ④ 북한의 도발에 대한 철저한 보복과 응징 등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고, 정신교육의 방법으로서는 ① 시청각 교육, ② 강의식 설명, ③ 신념화 발표/토의 순으로 효과적이라고 응답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ive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of morale eduction for army soldiers deployed in the front area in the situation of raised military conflict. To best satisfy the purpose,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97 army soldiers. Total 473 responses were collected to be abbreviated into 23 items. At the second stage,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23 items were administered to 375 soldiers sampled from 5 divisions and brigades.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effective contents were ① objective comparisons of military power, ② army’s strategies for North Korea’s military threats, ③ devotion to the mission of defense, and ④ exhaustive retaliation against North Korea. In addition, ① Audio-visual contents, ② Lecture, and ③ Oral presentation and debate were identified to be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The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however, that were being used by offic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identified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Lastly,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 identified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have significan.

      • KCI등재

        조선시대의 호남불교 연구의 성과와 전망

        정병삼(Byung Sam Ju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9

        조선시대 불교계는 고려시대와는 달랐지만 신앙을 중심으로 본연의 역할은 유지되었다. 지역 사회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운영되었던 조선 사원은 관련 자료도 적지 않게 남겼다. 조선 불교에 대한 연구는 이런 자료를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정리하는데서 시작해야 한다. 조선전기에서 일제침략기에 이르는 사찰 수의 변화를 염두에 두면서 사원 유지 실태에 대한 실제 조사가 필요하다. 제도적으로 파악된 사찰 현황과 실상에 차이가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반인들에게 크게 영향을 미쳤던 승려들의 활동이 사찰의 성쇠와 연관이 있는지도 검토해야 한다. 16세기에 전국적으로 가장 왕성한 모습을 보였던 佛書 간행과 관련하여 현재 각 사찰 등에 전해 오는 佛典에 대한 종합 조사가 필요하다. 선초 양종으로 사찰을 정리할 때 한 곳밖에 지정받지 못했던 호남 지역 사찰에서 가장 많은 불서를 간행했던 이유와 배경은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지역불교의 현황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확보할 수 있다. 조선후기에 호남지역에서는 浮休系 문손들이 松廣寺를 터전으로 확고한 문파를 형성하였고, 淸虛系의 鞭羊派와 逍遙派가 大芚寺를 중심으로 묘향산파를 능가하는 형세를 이루었다. 그 배경으로 지적된 호남 지역의 경제적 충실이 정확한 것인지, 사원이 보다 왕성했던 영남 지역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해석해 보아야 한다. 栢庵性聰이 간행한 불서들과 履歷과정의 변화에 대한 교학적 분석과 三種禪 논쟁의 場을 마련했던 호남불교의 면모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講學의 융성과 새로운 禪觀의 제창 등 핵심적인 불교사상의 과제가 전개되었던 호남지역 불교계의 위상에 대한 검토는 조선후기 불교의 자생력에 대한 평가와 연관되는 문제이다. 호남지역에서는 유배문화의 특성으로 인해 유불의 심도 깊은 만남에 대한 실제적 이해가 가능한데, 유학자들이 불교를 접한 후 사상의 변화가 보이는지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호남지역의 義僧 水軍의 존재는 국가적 부담에 대한 불교계의 대응과 이에 관련된 사원 운영 등을 살필 수 있는 문제로서 이를 통해 호남 지역의 특성을 살필 수 있다. 조선시대 불교의 연구는 자료 확보가 일차적인 과제인데, 이는 지역 사회의 연구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이루어내야 한다. 지역 불교 연구 자료의 수집과 정리는 지역 문화의 특성을 알려주는 것이면서 조선시대 불교 상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산이 된다. 조선불교의 중요 주제를 품고 있는 호남지역 자료의 수집과 분석이 갖는 의의가 여기에 있다. In Joseon dynasty, differenf from Goryeo dynasty, the Buddhism maintained centering around belief. The monastries of Joseon dynasty connected with regional society, and some of their various records are remained now. The study on the Buddhism of Joseon dynasty start at gathering and arranging those records. The numbers of monasteries in Joseon dynasty were much changed. We should examine the real aspects of monastery numbers in this transition situation. With this point, we examine that either the active working monks are effected those numbers or not. In 16th century, the publication of Buddhism books was very popular. We should examine the books which handed down at so many monastries throughout the nation. In Honam region, only one monastery was appointed among 36 monastries in nation. So we find the reason that Honam monastries could publicated so many books. In late Joseon dynasty, Buhyu school monks founded a firm doctrinal school based on Songgwangsa, in other hand Pyeonyang and Soyo lineage of Cheongheo school prospered at Daedunsa. We should survey the reason why they were so active in Honam region, on the contrary monasteries of Yeongnam region were in more flourishing condition. Seongchong in Songgwangsa published many Buddhism books and they changed the Korean Buddhist learning course. Baekpa and Choeui made an argument about three kinds of Seon. They are the most notable themes of late Joseon dynasty Buddhism. Why they were made in Honam region? We should examine the basic ground of them. The meaning of these publishing and argument shows the situation in Buddhist work. And furthermore we can guide the autogenous power of Joseon Buddhism. In Honam region, the Confucianists met Buddhist profoundly because of their exile. We shoyld compare the Confucianists thought between before and after their exile who met Buddhist. The righteous navy was found only in Honam region along the coast. It can suggest the Buddhist`s response to the national load and the management of monastries. Through this, we can survey thr characteristics of Honam Buddhism. The study on Joseon Buddhism depend on accumulating sources. This subject should performed by regional researchers. The gathering and arranging records can show the characteristic of regional culture. Also it can show the understanding of the circumstances of Joseon Buddhism. The Honam Buddhism contains most essential themes of Buddhism in Joseon dynasty. The significance of gathering and arranging Honam Buddhism records lie in this point.

      • KCI등재

        육군3사관학교 사관생도들의 영어 학습동기 및 영어 학습전략, 군사영어 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정병삼(Byongsam Jung),이현주(Hyunjoo LEE)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3 한국군사학논집 Vol.6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nglish learning motivation and English learning strategy on military cadets' achievement in military English. To best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250 military cadets of Korea Army Academy at Yeong-choen(KAAY) were randomly sampled using systematic random sampling method. Two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them: English Learning Motivation Survey(ELMS) and Strategy Inventory for Language Learning(SILL). The achievement in military English was assessed by composite scores of mid term and final term exams. A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TOEIC) had been administered to them as a part of graduation require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 order to answer two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like these: First, the KAAY cadets' learning motiva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ir learning strategy. Second, the KAAY cadets' learning motiv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ir achievement in military English. Third, the KAAY cadets' learning strateg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ir achievement in military English.

      • KCI등재

        기록과 유물로 본 정암사의 창건과 전승

        정병삼(Jung Byung Sam) 한국사학회 2015 史學硏究 Vol.- No.118

        정암사는 오대산에서 문수를 친견하지 못한 자장이 태백산의 갈반지를 찾아 창건한 사찰이라고 전승되어 왔다. 이에 대한 확실한 자취는 이제까지 찾지 못했지만, 2013~2014년에 시행된 정암사 발굴조사에서 신라말 제작으로 추정되는 기와가 출토됨으로써 일단 정암사의 신라말 창건 사실은 확실한 근거를 갖게 되었다. 곧 신라말에 태백산 정암사가 상당한 규모로 건립되어 있었음을 확정할 수 있다. 또한 고려 초기의 정암사 발굴 유물이 계율과의 관련을 강조하는 것은 자장을 계승한 것임을 표방하는 것으로, 이는 자장의 창건 가능성을 더욱 크게 한다. 대부분의 사적이 자장을 오대산과 정암사에 나란히 제시하고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자장이 오대산과 태백산 정암사에 행적을 남겼을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다. 자장 관련 자료들은 자장의 오대산 사적에 대해 띠집과 같은 임시적 거처는 인정하지만 사찰의 창건은 인정하지 않는다. 이에 비해 자장의 태백산 주석은 모두 사실로 기록하고 있다. 이는 오대산 신앙이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면서 다양한 전승 속에 자장의 창건에 대해 다른 견해가 생겨났지만, 정암사는 전승이 단순하여 자장으로 모아진 차이로 생각된다. 정암사의 9세기 기와 건물과 자장이 창건했다는 石南院과의 연관은 찾을 수 없다. 신라말에 명주 일대 불교계에 범일과 그 일문의 영향력이 강하게 미쳤고, 그 현상의 하나로 수다사 대중을 매개로 자장의 행적이 오대산과 정암사 사적에 연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 이전에 정암사 발굴 유물은 자장의 행적이 정암사에 미쳤을 가능성을 크게 하며, 나아가 자장이 오대산에도 행적을 남겼을 가능성도 열어준다. 자장이 오대산을 순례했다는 전승은 중국 오대산 순례 설화로 확대되었고, 이와 같은 전승은 점차 보편화되어 10세기에 중국에도 전해져 돈황문서에 그 자취를 남기게 되었다. 정암사 발굴 결과는 고려 전기의 유물에 집중된다. 또한 수마노탑에 대한 검토 결과는 수마노탑이 신라 양식의 유풍을 이어받아 고려 초기에 건립되었고, 정암사는 계율을 강조한 사찰로서 번영하였던 사찰로 자리 매김될 수 있다. 조선 후기의 상세한 사찰 묘사도에서 보는 정암사는 진신사리를 봉안한 수마노탑의 신앙적 위상이 크게 알려진 사리신앙의 성지였다. 수마노탑은 거듭 중수 유지되었고, 특히 고종 집권 시기에는 안동김문과 흥선대원군의 주선으로 전국적인 규모의 시주로 중수되기도 했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자장이 창건 봉안했다는 불탑신앙이 있었다. Jeongamsa handed down that it was founded by monk Jajang who tried to meet Manjusri but not resulted. To this time, we cannot find the clear evidence of Jajang’s trace. The excavation at Jeongamsa in 2013~2014, we get some roof tiles which were made in 9th century, late Silla. So we have clear evidence that this temple was founded late Silla. In late Silla, they told that Jeongamsa was certainly founded by Jajang. The relics of Jeongamsa were concentrated vinaya school of Goryeo. It shows that Jeongamsa was deeply related to Jajang in early Goryeo. This shows that Jajang might go to Odaesan and Jeongamsa. This tradition was generalized at 10th century and transmitted to Dunhuang documents. Many records wrote about Jajang and Odaesan. But most of them did not say that Jajang found temple at Odaesan besides they said that there was a temporary locate. They said that Jajang founded Jeongamsa (Seoknamwon) altogether. The difference of them were Odaesan faith devided several trends but Jeongamsa kept one tradition. In late Silla, Beomil and his family’s power spreaded strongly to Gangwon Buddhism. With this trend, Jeongamsa record of Jajang was connected to that of Odaesan through Sudasa monk. Most results of excavation of Jeongamsa were the relics of early Goryeo period. The discuss on Jeongamsa Sumano stupa shows that it was builted in early Goryeo succeed to Silla style. And Jeongam-sa prospered in early Goryeo which stressing vinaya school. Sumano stupa maintained Silla style in its configuration of the ground, structure and upper parts. The history of Jeongamsa has evident position. A detailed picture of Jeongamsa in late Joseon noticed that this temple was well known for sarira faith based on Sumano stupa. With this sarira the stupa was restored continually. In Gojong period, Heungseondaewongun and Andong Kims family led the reconstruction of the stupa with the whole country. So Jeongamsa was the holy place of sarira faith. At the heart of that faith, there was the Buddha stupa which constructed by Jajang.

      • KCI등재

        영어학습전략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 토익성적 변화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정병삼(Byongsam J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학습전략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토익성적의 변화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북에 소재한 K대학교 학생 47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대상들은 영어교육이 시작되기 전 진단평가로서 토익시험에 응시했고, 영어교육이 시작된 이후 2년간 총 4회에 걸쳐 토익시험에 응시하여 성적을 종단자료로 구축했다. 영어학습전략과 자기효능감을 예측변인으로 투입하여 대학생들의 토익점수에 대해 잠재성장분석을 실시하여 예측변인들이 토익성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대학생들의 토익점수의 성장은 선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어학습전략과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대학생들이 토익점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learning strategies on college students’ growth of the TOEIC scores.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474 students of Kuniversity at Gyeongbuk Province were sampled. They took 4 TOEIC tests for 2 years and the growth of scores were predicted by self-efficacy and learning strateg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f-efficacy and learning strategy effectively predict the college students’ growth of TOEIC score. The results suggest that self-efficacy as an affective factor has a unique effect on college students’ growth of English proficiency. They also suggest that English instructo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learners’ self-efficacy and learning strategies.

      • KCI등재

        안보의식의 구성요인 탐색: 사관생도용 안보의식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정병삼 ( Byong Sam Jung ),조상근 ( Sang Keun Cho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1 국방연구 Vol.5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관생도들이 지각하는 안보의식의 구성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안보의식 측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사관학교 사관생도들을 대상으로 3단계로 나누어 연구를 실시했다. 1단계에서는 90명의 생도들에게 개방형 설문지를 배부하여 안보의식 높은 생도의 행동특성을 기술하도록 했고, 2단계에서는 1단계의 설문분석 결과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안보의식을 측정하는 45문항을 개발했다. 3단계에서는 개발된 문항으로 척도를 구성하고 242명의 생도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적합한 11문항을 삭제한 후 총 35문항을 확정했다. 35문항은 안보상황에 대한 관심, 직업적 정체감, 애국심, 항재전장의식, 대적관, 정신보안 등 여섯 개의 요인에 부하되었고, 여섯 개의 하위요인은 안보의식이라는 일반요인에 부하되었다. 이어서 추출된 요인의 교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478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6개 요인은 35개 문항에 대해 타당성 있게 인관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관생도들은 일반 국민이나 대학생들보다 안보의식을 군사방위태세에 더 많이 연결시키며, 직업적 자아정체감의 한 부분으로 인식시키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 to assess the Korean military cadets` 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 by performing factor analyses. To best accomplish the purpose, total 720 cadets of K military academy were sampled and this study were implemented by three stages. First, 90 cadets were asked to describe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adets who seem to have high level of 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 At the second stage,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45 items that were composed based on the descriptions of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Finally, th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42 military cadets for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478 cadets for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that the 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 perceived by Korean military cadets was consisted of six factors: interest in national security, vocational identity, patriotism, readiness for combat, consciousness of emulation, and consciousness of counterespionage. All six factors were converged to the 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 as a general factor. The results suggest that military cadets have stronger sense of readiness of combat for national security than civilian people do and they tend to be concerned with the awareness of national security as a basis of the vocational identity.

      • KCI등재

        성취목표지향성과 심리적 기술이 사관생도들의 군사훈련 성적에 미치는 영향

        정병삼 ( Byong Sam Jung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4 국방연구 Vol.57 No.2

        본 연구는 성취목표지향성과 심리적 기술이 사관생도들의 군사훈련 성적에 미치는 영 향을 분석하고, 또한 그 영향이 전투기술학, 전술학, 특수전학 등 세 가지 영역에서 차이 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육군 K사 관학교생도 379명을 대상으로 2013년 7월 군사훈련 실시 전에 성취목표지향성 검사와 심리적 기술검사를 실시했다. 이어 이들의 군사훈련 성적을 종속변수, 성취목표지향성과 심리적 기술을 독립변수, 일반학 성적을 통제변수로 투입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독립변수들의 영향력이 군사훈련의 각 영역별로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확 인하기 위해 각 영역별 점수를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성취목표지향성은 심리적 기술을 통한 간접효과가 있었고, 특히 숙달접근이 가장 큰 효 과가 있었다. 이어서 심리적 기술이 군사훈련의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초기술은 전투기술학, 인지적 기술은 전술학, 그리고 임상적 기술은 특수전학에 가장 큰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ilitary cade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he psychological skills on their achievement in military drills. To best accomplish the purpose, Ottawa Mental Skill Assessment Tool-3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ventor were administered to 379 cadets of K Military Academy. At the first stag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best fitted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latent variabl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sychological skill and the scores in military dril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ilitary cade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especially mastery-approach and performance-approach types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their psychological skills. At the second stage, four path analyses were conducted to find whether the effects of sub-types of the psychological skill on the three areas of military drills(combat skill, tactics, and special operation) are different.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like these: first, the basic psychological skill has the strongest positive effect on the basic combat skill, and second, the perceptual-cognitive skill on the tactics, and the clinical skill on the special operation.

      • KCI등재

        한국 청년들의 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병삼 ( Byongsam Jung ),박균열 ( Gyunyeol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어떤 공동체에서든 청년은 중추적 위치에 있다. 그들은 공동체를 지속가능하게 이끌어갈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역량을 구비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청년들의 정치참여에 영향요인이 작용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 연구는 한국 청년들의 정치참여에 영향을 주는 융합적 요인의 영향과 구조관계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 한국청년경제사회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20세에서 40세까지 총 3,530명의 청소년 활동경력, 학력, 정규직 여부, 거주지역 등이 정치효능감을 매개로 정치참여 의사, 정치참여 빈도, 투표참여 등에 주는 영향을 분석했다.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인구통계변인이 정치참여에 직접 영향을 주는 부분매개모형과 정치효능감을 매개로 정치참여에 영향을 주는 완전매개모형을 비교했는데, 그 결과 부분매개모형이 더 우수한 적합도를 보였다. 이는 청년들의 정치참여 증진을 위해 다양한 교육 및 배경변인의 영향이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and structural relationship of complex factors affecting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Korean adolescents. For that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data of the 2019 Korean Youth Economic and Social Panel, which sampled 3,530 young adults aged 20 to 40 years old, including academic background, full-time status, and residential area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such as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politics, frequency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in voting were tested based on the prior research. The researcher compared the model fit differences between the partial mediating model hypothesizing the direct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voting and the complete mediating model including only indirect effect of demographic variables via political efficac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better model fit indices of partial mediating model. The results show that educational and other background factors are involved in the Korean adolescents' political participation.

      • KCI우수등재

        신라불교사상사와 『삼국유사』의해편

        정병삼(Jung Byung-Sam) 불교학연구회 2007 불교학연구 Vol.16 No.-

          Sam-guk-yu-sa (三國遺事) is an excellent text which shows the cultural thoughts of late 13th century Goryeo. In the politically confused period, it focused on the subject of historical extraordinary and protect of Buddhist belief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independently. We can research plentiful materials of Buddhist history in Sam-guk-yu-sa. In Sam-guk-yu-sa, most important parts and subjects are the chapter of Tap-sang (塔像) and that of Eui-hae (義解). The chapter of Tap-sang contains the story about making Buddhist relics like pagodas etc. and relative stories about miracles and beliefs. The chapter of Eui-hae contains the constructions and spreads of Buddhist thoughts. So the chapter of Eui-hae is similar to the biography of the monks. In other chapters like Sin-ju (神呪) and Gam-tong (感通), we can find the matters of Buddhist thoughts also. But the accurate matters of Silla Buddhist thought, most of them are included in the chapter of Eui-hae. The chapter of Eui-hae is consisted of Vijnanavada (唯識), Madhyamika (空) and Vinaya in Three Kingdom"s period, and of Wonhyo (元曉), Vijnanavada and Hwaeom(華嚴) in unified Silla period. In comtemporary research, the history of Silla Buddhist thoughts is cope with the contents of the chapter of Eui-hae. So the chapter of Eui-hae shows us the major parts of Silla Buddhist thoughts in accordance with the periodical change. In addition, some men of major thoughs like Woncheuk, and major part like Seon (禪) were omitted. To investigate that reason is a future problem.

      • KCI등재

        7-8세기 동아시아 『약사경』 해석의 특성

        정병삼(Byung Sam Ju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3 佛敎學報 Vol.0 No.65

        藥師信仰은 질병 등 온갖 현세에서의 고난으로부터 구제해 주며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現世祈福的성격을 바탕으로 전개된 신앙이다. 약사신앙은 동시에 淨土往生的성격도 갖는다. 정토적 성격은 彌陀신앙과, 현세적 성격은 觀音신앙과 비슷하나 약사정토를 강조하는 것보다는 극락정토에의 인도를 설하는 것이 이채롭다. 약사신앙은 주로 유식사상가들이 지은 『약사경』 주석서에 기반하여 수 당과 신라및 일본 등 동아시아 삼국에서 널리 전개되었다. 그런데 7-8세기에 활동한 당 慧觀과 신라 大賢그리고 일본 善珠의 『약사경』 주석서가 남아 있어 이들에 대한 상호비교 검토가 가능하다. 혜관은 『藥師經疏』를 지어 체계적인 分科를 세우고 경문에 대한 상세한 주석을 통해 약사신앙의 여러 의의를 구체적으로 밝혔다. 일부가 남아 있는 혜관의 주석에서는 地論계통의 사상적 영향을 찾을 수 있는데, 이는 『약사경』 주석이 시작되던 시기의 해석 경향을 보여준다. 대현은 『本願藥師經古迹』을 저술하였는데 상세하고 체계적인 科文을 구성했지만 약사신앙의 중심인 약사여래의 12大願과 9橫死에서의 구제에 대해서는 해석이 간략한 것이 특징이다. 대신 六齋日에 대한 해석이나 삼악도에 떨어지지 않기 위해 수지해야 할 계율에 대해서는 상세하고 명확한 해석을 베풀었다. 선주의 『本願藥師經초』는 경의 大意를 밝히는 등 가장 내용이 충실한 편이나 과문의 구성은 체계성이 미흡한 편이다. 구성이 혜관의 소와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매우 유사한 면모를 보이고 있으며 해석에서 영향 관계도 드러난다. 당의 규기나 정매와 혜관, 신라의 憬興과 道倫및 대현, 일본의 선주 등 유식사상 가들의 『약사경』 주석으로 동아시아 사회에 약사신앙은 현세이익적 구제를 중심으로 정토왕생적 성격까지 갖추며 널리 수용되게 되었다. 혜관과 대현과 선주의 주석서 비교를 통해 이들이 기본적으로 유사한 틀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세부적으로 서로 다른 관점에서 『약사경』을 해석하여 자국에 약사신앙이 정착되는데 기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e belief of Bhaisajyaguru was based on the Sutra of Bhaisajyaguru, according to saving all those who was sick and suffered from poverty and it would also prolong the life span. For this, believers should observe eight commandments and light lamps and hang ribbons. It also promise all devotees who wish to reborn in the East paradise, and will lead to the Pure Land. The belief of Bhaisajyaguru was spread in East Asia by the commentaries of the Sutra of Bhaisajyaguru. In 7th and 8th century, Huiguan(慧觀) of Tang, Daehyeon (大賢) of Silla and Zenju(善珠) of Japan wrote commentaries of that sutra. Yaoshijingshu(藥師經疏), partially preserved in the Dunhuang collection, Huiguan shows strict section and detailed explanation. The commentary of Huiguan was beginning style of that commentary. Daehyeon`s Bonweonyaksa gyeonggojeok(本願藥師經古迹) shows systematic section, but he explained briefly about twelve Great Vows and nine sudden death. He also gave a full explanation about six forbidden days and commandments. Zenju`s Yakushikyosho(藥師經疏) shows most complete explanation and he wrote about the outline of the sutra. His explanation is similar to that of Huiguan`s. Kuiji(窺基), Jingmai(靖邁) and Huiguan in Tang, Gyeongheung(憬興), Doryun(道倫) and Daehyeon in Silla, Zenju in Japan, the Yogacara School masters wrote the commentaries of the Sutra of Bhaisajyaguru. With these, the belief of Bhaisajyaguru was accepted in East Asia society. Comparing these commentaries of Huiguan, Daehyeon and Zenju, we can see that they had similar type of section and different explanation. They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belief of Bhaisajyaguru in their country each 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