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인세법상 비영리법인의 수익사업 범위 규정에 관한 연구 – 이자소득을 중심으로 –

        정래용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2

        This study started with a critical mind that the interest income regulations included in the scope of profit-making business of non-profit corporations are causing the following side effects while not providing actual tax revenue benefits from the government's point of view. First, unnecessary tax payment cooperation costs are incurred due to withholding of interest income. Second, there is a problem of accounting transparency of non-profit corporations. This is because the government, in principle, requires non-profit corporations to include in deductible expenses for special purpose business reserves in order to induce the use of interest income for proper business through tax laws. In other words, Korea pays a very expensive price every year at the national level to prevent the outflow of interest income from non-profit corporations for purposes other than the original purpose busines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measures. First, by excluding the interest income of non-profit corporations from the scope of profit-making businesses, they are excluded from corporate taxation. This also means that interest income is not subject to corporate tax withholding. Second, the following three agendas are proposed as complementary measures following the exclusion of profit-making businesses from interest income. First, a plan to open and report a dedicated account is introduced as a way to induce interest income from non-profit corporations to be used for specific purposes (excluding public service corporations already in operation). In addition, the external expert tax verification and reporting obligation regulations applied to public service corporations will be expanded and applied. In addition, in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tax audit regulations on non-profit corporations (including public service corporations), interest income is encouraged to be used for original purpose businesses. Non-profit corporations' exclusion of profit-making businesses from interest income meets global standards. I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Japan, Germany, and Canada, certain non-profit corporations are exempt from tax on interest income. 본 연구는 비영리법인의 수익사업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이자소득 규정이 정부 입장에서 실질적인 조세수입의 혜택은 없으면서 다음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시키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이자소득의 원천징수에 따른 불필요한 납세협력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둘째, 비영리법인의 회계투명성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정부는 세법을 통해 이자소득의 고유목적사업 사용을 유도하기 위하여 원칙적으로 비영리법인에게 고유목적사업준비금의 손금 산입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비영리법인의 이자소득이 고유목적사업 이외의 용도로 유출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너무나 값비싼 대가를 매년 지불하고 있는 셈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비영리법인의 이자소득을 수익사업의 범위에서 제외함으로써 이를 법인세 과세 대상에서 배제한다. 이는 이자소득이 법인세 원천징수 대상이 아니라는 의미이기도 하다. 둘째, 이자소득의 수익사업 제외에 따른 보완 조치로서 다음 세 가지를 제안한다. 먼저 비영리법인의 이자소득을 고유목적사업에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방안으로 전용계좌를 개설, 신고하는 방안을 도입한다(이미 시행 중인 공익법인 제외). 그리고 공익법인에게 적용되는 외부전문가 세무 확인 및 보고의무 규정을 확대 적용한다. 또한 비영리법인(공익법인 포함)에 대한 세무조사 규정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이자소득을 고유목적사업에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비영리법인 이자소득의 수익사업 제외는 글로벌 표준에도 부합한다. 미국이나, 일본, 독일, 캐나다의 경우 특정한 비영리법인의 경우 이자소득에 대한 과세를 면제하고 있다.

      • KCI등재

        개정 합병세제에 있어서 기업회계와 법인세법간의 충돌성 연구

        정래용 한국세무학회 2011 세무와 회계저널 Vol.12 No.4

        Although the current book -tax conformity rules that allow calculating taxable income through tax adjustment based on net income resulted from corporate accounting has caused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the distortion of corporate accounting, there are some unavoidable reasons for continuing this practice.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orporate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that cannot be covered by the present tax adjustment system or areas of inconsistency between the two accounting methods. In this study, I researched the consistency between corporate accounting and tax adjustment focusing on the revised taxation on merger along with issues related to the declaration adjustment of depreciation expenses. The revised corporate tax law has caused several issues including the inconsistency among relevant laws or the absence of relevant articles related to the newly added asset adjustment account and the tax adjustment of profit and loss resulted from a merger and acquisition. Also, the revised law demands companies subject to external audit to conduct tax adjustment in book -closing, causing an issue of fairness when compared to those companies that are not subject to external audit; therefore, when an eligible merger occurs, offsetting the portion of depreciation expenses, which belongs to asset adjustment account, during tax adjustment of asset adjustment account could be a crucial reason for allowing the declaration adjustment of depreciation expenses.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content of the first clause of the fourth of Article 80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corporate tax law, which requests to include asset adjustment account of which value is bigger than 0 into profit, contradicts the fourth clause of the fourth of Article 80 of the same enforcement ordinance that demands the inclusion of asset adjustment account of which value is bigger than 0 into profit if regulations of post management are breached. It is because asset adjustment account had to be deductible as necessary expenses originally, if it has to be included into earnings when regulations of post management are breached. This contradiction has occurred as the adjustment of the differences from corporate accounting through asset adjustment account has been ignored while too focusing on tax deferral by means of asset adjustment account. Secondly, any profit or loss incurred by an eligible merger and acquisition is required to be included into profit at once based on increased net asset theory since there is no applicable regulation in corporate tax law. However, this is unreasonable because this practice is more disadvantageous than the case of ineligible merger which requires 5 year split inclusion into profit. It is likely that the revised corporate tax law has fai led to notice that profit or loss caused by an eligible merger and acquisition can occur because the logic of corporate tax law itself has been emphasized too much without fully considering corporate accounting. Thirdly, the de facto enforced request for adjustment in book -closing of depreciation expenses of companies subject to external audit is undesirable in terms of fairness matter, comparing to companies that are not subject to external audit. This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typical cases that corporate tax accounting is incapacitated by corporate accounting. When asset adjustment account is not greater than 0 in case of an eligible merger, the same amount of depreciation expenses as the asset adjustment account is considered to be deductible (△ reserve) upon tax adjustment; this can be a potent reas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declaration adjustment of depreciation expenses. 본 연구는 기업회계와 법인세법간의 충돌성으로 인한 기업의 권리훼손 문제 및 개선방안을 개정된 합병세제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인세법시행령 제80조의4 제1항에 의하면 자산조정계정이 0보다 큰 경우는 익금에 산입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나 사후관리 조정 위배시 0보다 큰 자산조정계정을 익금산입하도록 한 법인 세법시행령 재80조의4 제4항과 모순된다. 이는 자산조정계정을 통한 과세이연에 치중한 나머지 자산조정계정을 통한 기업회계와의 차이조정을 무시한데 기인한다. 둘째, 적격합병에도 불구하고 발생되는 합병매수차익의 경우 법인세법에 아무런 규정이 없으므로 순자산증가설에 의해 일시에 익금에 계상되어야 하는 것으로 오해될 수도 있으나 이는 5년간 분할 익금산입되는 비적격합병의 경우에 비해 더 불리하게 취급되는 것이어서 불합리하다. 이는 법인세법에서 기업회계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법인세법 자체의 논리에 집착한데 기인한다. 셋째, 외부감사대상법인에 대한 감가상각비의 사실상 강제 결산조정은 비외부감사대상법인과의 형평성차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는 기업회계에 의해 법인세회계가 무력화된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적격합병시 자산조정계정이 0보다 작은 경우로서 해당 자산조정계정에 상당하는 부분의 김가상각비는 손금산입(△유보)으로 세무조정하는 바, 이는 감가상각비의 신고조정제도 도입의 유력한 근거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사립대학의 감가상각 회계처리에 관한 연구

        정래용 한국세무학회 2010 세무와 회계저널 Vol.11 No.1

        그 동안 사립대학의 감가상각 제도에 대한 연구는 이것만을 별도로 취급한 연구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으며 대부분 사립대학의 회계제도에 대한 연구 중에 포함시켜 부분적으로 취급하고 있다. 이 경우도 사립대학이 왜 감가상각을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지금까지의 논의는 감가상각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이 통설로 자리 잡은 듯하다. 그러나 감가상각을 실시할 경우 구체적으로 어떻게 회계처리 해야 하는지에 대한 선행연구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사립대학이 감가상각을 실시한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회계처리 해야 하는지를 개정된 특례규칙 및 그 동안 제시된 대학회계기준(안)들에 대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정자산과 기본금을 일치시키는 회계처리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게 되는 각종 기본금대체액과 운영차액대체 항목은 회계정보의 왜곡이나 회계정보의 이해가능성 저해문제를 야기 시켰다. 동 회계처리는 감가상각비에 대한 회계처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새로운 감가상각제도 도입과 더불어 특례규칙 제25조를 완전히 폐지해야 한다. 이는 일본식 회계에서 미국식 회계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둘째, 특례규칙 제25조가 폐지될 경우 고정자산과 기본금을 일치시키는 회계처리와 관련하여 기존의 대차대조표에 기표되어 있는 기본금 항목을 수정처리 해야 한다. 즉, 기본금 항목을 다른 기본금 항목인 전기운영차액수정으로 일괄 대체시킨 후 전기운영차액수정은 감가상각 대상자산의 감가상각이나 매각(폐기)에 따라 운영계산서 항목인 운영차액대체로 전환시켜 준다. 셋째, 감가상각제도는 개정된 특례규칙이 시행되는 시점 이후에 취득하는 감가상각 대상자산에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내용연수가 전부 또는 일부 경과한 기간분의 감가상각은 예외로 하여 소급법을 적용한다. 넷째, 내용연수가 전부 또는 일부 경과된 유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비의 경우 개정된 특례규칙 시행시점 이전에 취득한 유형자산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감가상각을 실시했었더라면 이러한 회계처리 결과가 개정된 특례규칙 시행연도에 어떻게 반영될 지를 나타내는 분개를 다음과 같이 표시하도록 한다. (차변) 전기운영차액수정 ××× (대변) 감가상각누계액 ×××다섯째, 특례규칙의 재평가규정은 폐지한다. The dispute over tuitions in universities spurred quite a little interest among university administrators and students about the depreciation policy of private universities. For the depreciation cost of the material assets like educational buildings and facilities is an important part of educational cost to make it a persuasive base for tuition calculation. There has been hardly any research that dealt with the depreciation policy of private universities so far and some researches done have been seeing it as a part of their research on private university accounting. And these are focused on why private universities have to apply depreciation. Regarding this, there seems a consensus that private universities have to apply depreciation in their accounting. Yet, there is little discussion on how they deal with the depreciation cost in their accounting . This study looks into the concrete process of depreciation when they decide to do so based on the proposed revision special rules and proposals for new university accounting standards. To do so, the paper analyzes related problems. To sum up the analysis:First, the accounting process that matches the fixed asset and the endowment fund necessarily creates various endowment substitutes and operational difference substitutes to cause the distortion of accounting information and reduce the readability of it. The accounting process for these items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accounting process of depreciation. The new accounting process that takes a new way of processing depreciation cost can be done first with the abolishment of the article 25 of the special rules. This means a transition from the Japanese accounting style to the American accounting style. Second, upon abolishing the article 25 of the special rules, one should revise the endowment fund item registered in the previous balance sheet in relation to the accounting process that matches the fixed asset amount and the endowment fund. That is, one has to convert the previous period operation cost difference adjustment to the operation cost substitute which is the depreciation of the fixed assets with depreciation or the sales of fixed assets after one substitute the endowment item with other endowment time of the previous period operation cost difference adjustment. Third, regarding the beginning point of the depreciation policy, it should be by principle applied to the fixed assets with depreciation acquired after the beginning of the new accounting standards. Yet, for the assets that have partially or fully passed the durable years, it should be retroactively applied as an exception. Fourth, the new item regarding the depreciation cost of the fixed assets that have partially or fully passed the durable years should appear as the following. If the normal depreciation had conducted for the material assets acquired before the new accounting, the result of this kind of accounting would be reflected on the new balance sheet like this. (The debit side) Previous operation cost difference adjustment ×××/ (The credit side) Accumulative depreciation costs ×××. Fifth, The article of revaluation in the special rules must be aboished.

      • KCI등재

        사립대학 재정 문제의 합리적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 교육용 시설에 대한 부가가치세 과세 문제를 중심으로 –

        정래용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3

        국, 공립대학과 사립대학은 그 운영 주체만 다를 뿐 동일한 고등교육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정부는 국, 공립대학을 사립대학보다 우대하고 있다. 국, 공립대학이 민자사업을 통해 기숙사를 신축하는 경우 부가가치세 영세율이 적용되나 사립대학은 면세를 적용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리고 교육부는 국가장학금 지원을 등록금 동결에 연계시키고 있으나 전체의 3분의 2 수준의 대학생들은 등록금 인하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기숙사비나 식비 등 등록금 이외의 다른 교육비도 부담스러운 실정이다. 게다가 사립대학들은 15년간의 등록금 동결 상황에서 점증하는 교육비 지출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 공립대학과 사립대학의 비차별성에 기초하여 학교의 교육용 시설 투자에 대한 부가가치세 영세율 전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교육비 부담 완화 차원에서 학생후생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세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만이 아닌 유아교육, 초중등교육을 포함한 교육기본법상의 모든 교육을 대상으로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provide the same higher education, except for the operating entities. However, in reality, the government prefers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over private universities. When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build new dormitories through private investment projects, a zero rate of value-added tax is applied, but private universities apply tax exemption. In addi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linking the national scholarship support to the tuition freeze, but two-thirds of the university students do not feel the reduction in tuition, and most college students are burdened with other educational expenses other than tuition, such as dormitory and food expenses. Moreover, private universities are unable to keep up with the growing demand for education expenditures in the face of a 15-year freeze on tuition fees.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poses a zero-tax conversion of value-added tax on educational facilities investment by schools based on the non-discrimination between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and private universities. In addition, in order to alleviate the burden of education expenses on students, VAT exemption for student welfare services was proposed. This study is unique in that it suggests alternatives for all education under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inclu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not just higher education.

      • KCI등재

        사립대학의 지방세 과세 문제에 관한 연구 - 학생복지시설용 부동산을 중심으로 -

        정래용,최헌섭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4

        최근 지방자치단체는 재정의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 학생복지시설에 대한 지방세 과세 및 세무조사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학생후생용역이 비수익사업인 교육용역에 포함되는지 여부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부는 2011년 말 사립대학을 포함한 비영리사업의 고유목적 시설에 대한 지방세 면제 일몰 조항을 신설하여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이는 비영리사업 각각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기계적 형평을 의도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먼저 학생후생용역을 비수익사업으로 법인세법에 명확히 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 논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후생용역의 운영 취지는 학생 복지이지 대학의 재정 확충이 아니다. 둘째, 학생후생용역의 위탁운영은 통제성, 전문성, 효율성 측면에서 임대가 아니다. 셋째, 학생복지시설에 대한 지방세 과세는 학생들의 서비스 요금 인상을 초래하여 학생들의 교육비를 절감시켜 주려는 정부 방침에 위배된다. 넷째, 학생후생용역은 교육용역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용역이므로 교육사업의 일부다다섯째, 고등교육법은 학생복지시설을 교육용 시설로 규정하고 있어 이를 수익용 시설로 보려는 지방자치단체의 과세 방침과 어긋난다. 이어 교육용역에 대한 지방세 면제 일몰 조항 폐지 논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의 자유에 근거한 종교 분야의 예외는 학문의 자유를 규정하고 있는 교육 분야와 형평에 어긋난다. 둘째, 헌법상 교육재정 법률주의를 규정하고 있는 교육 분야도 예외를 인정해야 한다. 셋째, 정부의 지방세 과세 강화 방침은 교육 분야의 약화를 초래할 것이다. 넷째, 종교 단체의 거센 반발을 의식한 것으로 보이는 종교 분야의 예외 규정은 설득력이 없다. Recently, local governments are showing a tendency to increase local taxation and tax audits on student welfare facilities to overcome financial difficulties. This is because it is not clear whether student welfare services are included in educational services, which are non-profit businesses. And at the end of 2011, the government established a new local tax exemption sunset clause for non-profit facilities, including private universities, and has maintained it to this day. This is because mechanical equity was intended without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non-profit business. This study first proposed that student welfare services be clearly defined in the corporate tax law as a non-profit business. The logic is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the student welfare service is student welfare, not the university's financial expansion. Second, consignment operation of student welfare services is not leasing in terms of controllability, expertise, and efficiency. Third, local taxation of student welfare facilities causes an increase in service fees for students, which runs counter to the government's policy of reducing students' education costs. Fourth, student welfare services are services that must be provided essential for educational services, so they are part of the educational project. Fifth, the Higher Education Act defines student welfare facilities as educational facilities, which runs counter to the taxation policy of local governments that view them as profit-making facilities. The logic for abolishing the local tax exemption sunset clause for educational services is as follows. First, exceptions in the field of religion based on freedom of religion are inconsistent with the field of education, which stipulates academic freedom. Second, exceptions must be recognized in the field of education, which stipulates legalism in education finance under the Constitution. Third, the government's policy of strengthening local taxation will lead to a weakening of the education sector. Fourth, the exception provision for the religious field, which appears to be conscious of strong opposition from religious groups, is not persuasive.

      • KCI등재

        특허 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한 세제적 접근

        정래용 ( Rae-young Chung ),강내철 ( Nae-chul Kang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法學硏究 Vol.26 No.4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기존의 지식산업정책은 지식재산의 창출 확대 및 보호 강화 등 지식재산 자체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국내총생산 규모에서 R&D 투자 규모가 세계에서 1위임에도 불구하고 R&D 투자 효율성은 중국 이나 일본에 뒤지고 있고 사업화되지 않고 있는 휴면 특허의 비율도 공공연구기관의 경우는 70% 수준, 일반 기업의 경우는 40% 수준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정부 의 지식재산 정책이 기술의 창출뿐만 아니라 원활한 기술이전 및 기술의 사업화를 지원하는 정책을 지향해야 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정부의 제도적, 세제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기업이나 공공연구기관의 특허 이전 비율은 3~5%로서 매우 저조한데 이는 특히 기술이전 세제의 효율성 문제를 제기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정부의 기술지원 세제정책의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한다. 즉 기존의 기술개발 촉진 정책에서 특허 기술 사업화 촉진 정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우선순위를 조정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특허 기술의 이전 및 사업화를 촉진하기 위한 세제상의 동기부여 방안을 연구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특허권 등 취득시의 세액공제 제도를 폐지하는 대신 국내 기업이 내국인으로부터 내국인이 자체 개발한 특허권 등을 취득하여 사업화하는 경우 최초로 소득이 발생한 과세연도의 개시일로부터 3년간 중소기업은 100%, 그 다음 2년간 50%를 세액 감면한다. 단, 중소기업 이외의 기업은 중소기업 세액 감면 수준의 50% 로 한다(후술하는 기술라이선스 계약 포함). 그리고 대기업 편중 논란이 있는 R&D 설비투자 세액공제 규정은 대기업에 한하여 폐지 또는 세액공제율 축소를 검토한다. 둘째, 상기 방식에 준하여 기술 라이선스 계약에 따라 이를 사업화하여 소득이 발생하는 경우 세액 감면율은 각각 50%와 30%로 한다. 셋째, 가업상속의 경우 고용유지 사후관리 요건을 원용하여 상기 세액감면이 종료 된 이후 5년간 고용유지의무를 부여하고 위배 시 기간별 추징율을 적용하여 세액을 추징한다. It should be acknowledged that the existing knowledge industry policy in Korea has focused on intellectual property itself, such as expanding intellectual property and enhancing protection thereof. However, despite of being a top R&D spender as a proportion of GDP, the effectiveness of R&D in Korea lags behind China or Japan. Dormant patent technologies which are not commercialized account for 70% of patents held by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and 40% of those held by private sector firms. This points to a dire need to focus not only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tself, but also on supporting activ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sation. However, in spite of systematic and tax benefits from the government, patent transfer between firms and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remain low at around 3 - 5%. This raises a question of efficiency in patent technology transfer tax codes. These issues require a paradigm shift in the Korean government`s technology support tax codes.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priority must shift from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promoting the commercialization of patent technology. This study examines ways to motivate patent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sation through tax cod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xisting tax exemption for patent acquisition should be abolished. Instead, when a Korean firm acquires patent developed by Korean national from Koran national, and commercialises it, from the first tax year in which revenue has been generated, tax reduction of 100% for three years and 50% for the following two years should be offered to SMEs. However, firms that are not SMEs should be eligible for 50% of tax benefits available to SMEs (including technology licensing contract mentioned below). Tax exemption for R&D facility investment, controversial for their primary beneficiary being large corporates, should be abolished or reduced for large corporates. Second, based on the aforementioned structure, when revenue has been generated from a technology licensing contract and consequent commercialisation, tax reduction should be at 50% and 30%, respectively. Third,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invoking the provisions on employment maintenance and post-management, stipulate an obligation of employment maintenance for five years after the aforementioned tax reduction. Violation should be punished with tax reclamation charge by phase.

      • KCI등재

        가업승계 세제의 실효성 확보 방안 연구

        정래용 ( Rae Yong Jung ),강내철 ( Na Chul Ka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3

        원활한 가업승계는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측면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이에 정부는 중소기업의 원활한 가업상속을 지원하기 위해 1997년에 가업상속공제제도를 최초로 도입하였고 2008년부터 가업승계에 따른 증여세 과세특례제도를 도입하였다. 그러나 국세청 통계 자료에 따르면 가업승계 대상 기업이 2만개임에도 불구하고 가업상속공제 신청자가 매년 60여건(과세미달 포함 시 70여건)에 불과하여 매우 저조하다. 이는 가업승계 세제의 실효성 문제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덕적 해이 등 후계자의 자질 문제로 인한 부작용이 적지 않은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현행 세법은 이에 대한 방지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은 가업승계와 관련된 추가적인 세제혜택 방안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가업승계 준비를 유도하기 위해 회계법인의 가업승계 적정성 확인 의무화 방안을 제시하고 자녀 이외의 제3자에게 가업을 승계시킬 수 있는 세제상의 대안을 함께 제시하여 가업승계 세제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세제상의 정책적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가업승계 조건 완화 및 추가적인 혜택제공 방안으로서 증여세 특례세율을 현행 10%(20%)에서 5%(10%)로 완화하고 가업승계 시 5년 내 대표이사 취임 의무 규정은 폐지한다. 그리고 1회에 한하여 후계자 교체기회를 부여하되 이 경우 재차 증여에 따른 증여세를 부과하지 않는다. 또한 가업승계 준비과정에서 사후관리 요건을 구비하지 못하여 증여세를 추징할 경우 부담하는 이자 성격의 가산세율을 면제하거나 국세환급가산금 수준(연1.8%)으로 인하한다. 둘째, 가업상속공제 신청 시 회계 법인으로부터의 가업상속 적정성 확인을 의무화한다. 후계자의 경영 능력 또는 도덕성은 객관적인 검증의 대상이 되기는 어려우나 후계자의 일탈이나 도덕적 해이는 내부통제 시스템을 통해 견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셋째, 제반 세제 혜택을 부여하여 자녀 이외에 기존 경영자나 전문적인 M&A 펀드와 같은 제3자로도 가업이 승계될 수 있는 기회를 제도적으로 마련해 준다. 이는 자녀에게 가업을 승계시킬 수 없는 여러 가지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한 것이다. The smooth succession of family businesses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corporate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is reason,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tax deduction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for the first time in 1997 and special provisions on gift tax for those who succeed family businesses in 2008. According to statistical data provided by the Nation Tax Service, however,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the tax deduction for family business succession has been extremely low, recording only about 60 cases (or about 70 cases if those under tax threshold are included) per year although there are around 20,000 family enterprises that are potentially to be inherited to owners` children, questio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axation system of family business succession. In addition, despite the large number of side effects caused by the incompetence of successors such as moral hazard, the current taxation system does not have provisions to prevent them. For this reason, this study proposes a compulsory measure to enforce accounting firms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family business succession in order to encourage the effective preparation for inheriting a family business and an alternative taxation system to allow family business succession to a third person other than children as well as additional tax benefits related to family business succession. The policies suggested by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taxation on family business success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part of additional benefits and the measure to ease the regulations on family business succession, the special taxation rate for gift tax needs to be reduced to 5% (10%) from the present 10% (20%) and the provision that requires the successor to become the president of the inherited company within 5 years from the inheritance needs to be abolished. There should also be one-time-only opportunity for the current successor to find other person who can inherit the family business without the risk of being imposed additional gift tax.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empt the additional tax rate that is imposed as a kind of interest when gift tax is levied because the successor does not meet the post management requirements during the preparation of family business succession, or reduce it to the level of the additional rate of national taxes. Second, the confirmation of the appropriateness of family business succession from an accounting firm needs to be obligated when applying for the tax deduction for family business because it is desirable that the aberrational behaviors or moral hazard of successors are checked by an internal control system although their management abilities or morality are difficult to be evaluated in an objective manner. Third, given various situations where family businesses cannot be inherited by children, a systematic method with tax benefits that allows a family business can be inherited by a third party other than children such as the current professional manager or an M&A fund.

      • KCI등재

        기업구조조정 세법의 개선 방안 연구 - 법적 체계와 조문 형식을 중심으로-

        정래용 ( Rae-young Chung ),최헌섭 ( Hun-seop Choi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홍익법학 Vol.17 No.4

        우리나라의 현행 기업구조조정 지원 세제는 그 내용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할 뿐 아니라 이해하기도 쉽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세법에 산재되어 규정하고 있거나 같은 법률 내에서도 규정의 배열에 있어 논리적인 일관성이 부족하여 법적 체계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업이나 과세관청 등에서 동 기업구조조정 지원 세제를 이용하거나 집행하는데 적지 않은 어려움이 초래되고 있으며 이는 결국 기업구조조정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기업구조조정 세법 체계 및 조문 형식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병과 분할 세제는 법인세법에 규정되어 있으나 합병은 우리나라에서 현실적으로 기업구조조정 수단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점, 합병 세제는 세수확보 목적보다 적격합병을 유도하여 기업의 연속성 유지를 지원하는 목적이라는 점, 합병은 분할이나 현물출자 등 다른 기업구조조정 지원 세제에 원용되는 규정이 적지 않다는 점 그리고 입법 기술 측면에서 적격합병의 경우 미국은 처음부터 양도손익을 인식하지 않고 과세를 이연하나 우리나라는 합병을 양도로 규정하여 양도손익 인식을 원칙으로 한 다음 적격합병에 따른 과세특례를 적용하여 과세를 이연시키는 방법을 택하고 있으므로 합병과세규정이 조세특례제한법에 규정되어야 할 특례규정 성격이라는 점 등을 고려하여 독일이나 중국처럼 기업구조조정 세제에 포함시켜야 한다. 분할도 원칙이 합병과 동일하다. 둘째, 가업승계와 가업상속 세제는 상속세 과세를 후대로 이연시킨다는 점에서 그 성격이 합병이나 분할과 유사하나 각각 조세특례제한법과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규정하고 있는 것은 불합리하므로 조세특례제한법으로 통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재무구조개선계획에 따른 구조조정 세제 6개 규정은 조세특례제한법의 기업구조 조정 부문에 산재되어 규정되고 있으나(1개 규정은 법인세법) 별도의 장으로 묶어서 통일적으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기업구조조정 세제의 법적 체계성 구비 방안은 현행 조세특례제한법 제5장의10 사업재편계획을 위한 조세특례를 기업구조조정 세제의 법적 체계성 구비의 표준으로 삼되기업의 연속성 유지 지원을 위한 과세 특례 규정들을 제6장 기업구조조정을 위한 조세특례로 구분하고 재무구조개선계획을 위한 조세지원 6개 규정은 제6장의2 재무구조개선계획을 위한 조세특례로 구분하며 기존 조세특례제한법 제5장의10은 제6장의3으로 구분한다. Current tax codes to support corporate restructuring in Korea are complex and diverse, not yielding to easy understanding. One point of regulation is often spread across various tax codes; even within a single legislation, arrangement of provisions lack logical coherence, raising an issue of legal system. This has led to significant difficulties on the part of firms and tax authorities who seek to benefit from or execute corporate restructuring support tax codes. This in turn has created an obstacle in corporate restructuring. This study recognises such shortcoming and seeks to propose improvements in tax code system and the style of provisions in support of corporate restructur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ergers and demerger tax codes are defined in corporate tax law, but in reality, merger is considered a means of corporate restructuring in Korea. The primary purpose of merger tax code is not to raise tax revenue but rather to induce appropriate merger to support corporate sustainability. Much of merger tax codes is invoked in other corporate restructuring tax codes such as demerger or investment in kind. Furthermore, in terms of legislative technicalities, for appropriate mergers, whereas they postpone taxation without recognising transfer profit in the U.S., Korean tax practice sees merger as transfer and in principle recognizes transfer profit before postponing tax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special tax codes for appropriate merger; this means that merger tax codes are in effect special regulations which should be defined in Tax Reduction and Exemption Control Act and, like in Germany or China, be included in corporate restructuring tax codes. The same principle applies to demerger. Second, in the case of family business succession and corporate inheritance tax codes, although they are similar to the cases of merger or demerger in that they postpone inheritance tax to the next generation, they are each defined in Tax Reduction and Exemption Control Act and in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ct. This is illogical; unification of tax codes under Tax Reduction and Exemption Control Act is recommended. Third, 6 provisions of corporate restructuring tax codes in accordance to financial structure improvement plan are currently stipulated in the corporate restructuring section of Tax Reduction and Exemption Control Act in a sporadic manner (1 code is defined in Corporate Tax Act). These should be defined with coherence in a separate chapter. Fourth, to establish systematic coherence in corporate restructuring tax codes, 10 Article 5 of current Tax Reduction and Exemption Control Act (Tax Reduction for Business Restructuring Plan) should be taken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a coherent system of corporate restructuring tax codes. Tax reductions in support of corporate sustainability should be separately defined in Article 6, Tax Reduction for Corporate Restructuring. 6 tax benefit provisions for financial structure improvement plan should be defined in Article 6-2Tax Reductions for Financial Structure Improvement Plan. Article 5 -10of the existing Tax Reduction and Exemption Control Act should be organised as Article 6-3.

      • KCI등재

        채권금융기관 주도 기업구조조정 제도 관련 세제의 개선방안 연구

        정래용(Rai-Yong Jung),최헌섭(Hyeon-Seop Choi) 한국기업법학회 2016 企業法硏究 Vol.30 No.4

        현행 기업구조조정 세제는 대부분 1997년의 외환 위기나 2008년의 금융 위기에 따른 기업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한 세제로서 최근의 변화된 현실 여건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자율 협약이나 워크아웃 같은 채권금융기관 주도 기업구조조정의 경우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채권금융기관과 채무기업의 도덕적 해이는 적지 않은 사회적비용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는 관련 법률들에서 사실상 규제조항이 전무한 상태에 있으며 세법은 기업구조조정과 관련된 법률에 근거하여 시행되는 구조조정이라면 다른 추가 조건 없이 조세지원을 제공하고 있어 조세지원의 정당성 문제가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세법을 통해 관련 기관들의 도덕적 해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한 것이다. 즉 채권금융기관 주도 기업구조조정과 관련된 도덕적 해이 문제를 세제 측면에서 해결하기 위한 대안은 다음과 같은 세제지원 조건을 추가하는 것이다. 첫째, 채권금융기관과 구조조정기업이 공동으로 합의하여 작성한 도덕적 해이 방지 대책을 구조조정기업의 관할세무서에 제출하게 한다. 이는 도덕적 해이 방지 대책과 관련한 서류 제출 의무화 그 자체만으로도 도덕적 해이 방지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위배 시 세액 추징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도덕적 해이 방지대책으로 파산관재인 제도를 원용한 관리 감사 제도를 제시한다. 즉 채권금융기관에 등록된 인재풀에서 선임된 관리 감사로 하여금 구조조정협약의 이행실태를 확인하게 하는 등 구조조정기업의 운영에 대한 실질적인 내부감사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둘째, 부실 경영에 대하여 대주주(기업의 경영에 대하여 사실상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자 포함)가 일정한 책임을 부담하는 방안을 채권금융기관과 구조조정기업이 공동으로 합의한 뒤 일정한 서식에 의거 구조조정기업의 관할 세무서에 제출하게 한다. 기업의 부실화는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에게 적지 않은 재정적 손실 등을 야기하게 되는 점을 감안한다면 기존 대주주로 하여금 소위 “이익은 사유화하고 손실은 사회화”하도록 허용하는 것은 주식회사 제도의 한계가 아닐 수 없고 이는 또 다른 도덕적 해이가 아닐 수 없기 때문이다. 부실 경영에 대하여 대주주가 책임을 부담하는 방안으로는 차등 감자 방안을 제시한다. The current taxation systems for corporate restructuring, most of which have been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the process of industrial restructuring since the 1997 and 2008 financial crises, do not effectively respond to the practical requirements that have been changed recently. In addition, in case of creditor-led corporate restructuring such as voluntary agreements and workouts, huge social costs are being incurred by the moral hazard of creditor banks and debtor companie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restructuring methods. Nonetheless, there are practically no regulations on these matters and furthermore the tax law allows unconditional tax supports for any corporate restructuring practices performed based on laws related to industrial restructuring, causing the legitimacy issues. For this reas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olicy suggestions to resolve the moral hazard incurred by interested parties in terms of the tax law. Specific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ral issues incurred during a creditor banks-led corporate restructuring can be resolved by implementing the following tax support conditions. The first is to demand the creditor banks and debtor companies to submit measures to prevent moral hazards that are established by mutual agreement to the competent tax office. The obligation to submit the moral hazard prevention measures will substantiall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the occurrence of moral hazards. It is because there is a risk of imposing a penalty tax upon the violation of the measures. In addition, as a part of the measures to prevent moral hazards, this study suggests a management audit system based on the existing bankruptcy administrator system. In other words, a managing auditor selected from the human resource pool registered in creditor financial institutions will be authorized to perform in effect internal audits of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including the supervision of the fulfillment of the restructuring agreement. The second is to enforce the creditor banks and debtor company to agree that controlling shareholders (including those who have exercised actual influence over the management of the company in question) will bear a certain level of responsibility for the poor management and submit the agreement written on a certain format to the competent tax office. It is because the practice that allows controlling shareholders “to enjoy benefits privately while the society bears losses” is apparently another kind of moral hazard as well as the manifestation of corporation system’s limitation, considering that corporate insolvency may result in significance financial losses to interested parties. The differential capital reduction is also suggested as a method to ensure that controlling shareholders assume the responsibility for their poor manage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완전포괄주의에 따른 증여세제 문제점 연구 - 명의신탁 증여의제를 중심으로 -

        정래용 ( Rae Yong Ju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홍익법학 Vol.15 No.2

        본 논문은 완전포괄주의에 따른 증여세제의 문제점을 검토하되 현행 명의신탁 증여의제규정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즉 증여세 완전포괄주의 및 이와 관련된 최근의 입법들(차명계좌의 증여추정 및 금융실명법 개정 등)을 명의신탁 증여의제 규정과 비교하고 재조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증여세 완전포괄주의와 관련된 명의신탁 증여의제 규정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명의신탁 증여의제 규정은 완전포괄주의에 따른 포괄증여 개념과 서로 부합하지 않으며 충돌된다. 동 규정의 취지는 명의신탁을 규제하기 위해 증여세를 이용하는 것이지 명의신탁이 증여에 해당하므로 증여세를 과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 명의신탁의 증여의제 규정은 증여세 완전포괄주의 입법을 보완한 소위 일감몰아 주기의 증여의제와는 달리 거래의 실질이 증여가 아니라는 점에서 증여의제로 규정하는데 무리가 있다. 일감몰아주기의 경우 명의신탁과는 달리 경제적 실질이 증여이지만 실현된 이익이 아니어서 증여로 의제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 명의신탁 증여의제 규정은 신설된 차명계좌의 증여추정 및 금융실명법 개정 등에 비추어 볼 때 중복, 과잉 규제의 성격이 있다. 대표적으로 상장 차명주식의 경우 차명계좌의 증여추정 규정에도 해당되고 명의신탁 증여의제 규정에도 해당된다. 그리고 본 연구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단기적으로는 납세의무자를 명의신탁자인 증여자로 전환하고 수탁자는 2차 납세의무자로 하거나 연대납세의무자로 하여 실질과세원칙에 부합한 입법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장기적으로는 명의신탁 증여의제 규정을 상속세 및 증여세법 체계에서 분리하여 조세특례제한법의 특례규정으로 규정하되 증여세가 아닌 증여세 부과의 예에 따라 행정벌을 부과하여 규제하는 체제로 변경한다.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roblems of the gift tax act system according to the complete negative system focused on the constructive gift for normal trust. This thesis is to compare the current regulation on constructive gift for normal trust with comprehensive taxation on gift tax and recent legislation related to it (presumption of donation from borrowed-name bank accounts and law revision on real name financial transaction, etc) and to present improvement plans through shedding new light on them. Problems in the regulation on constructive gift for normal trust related to comprehensive taxation on gift tax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gulation on constructive gift for normal trust does not agree with the concept of comprehensive bestowal based on comprehensive taxation but it comes into conflict. It is because the intent of the regulation is to control the registration under a third party`s name by using gift tax, not because registration under a third party`s name is bestowal and gift tax is consequentially imposed. Second, unlike deemed donation subject to so-called tunneling on which legislation of comprehensive taxation on gift tax is supplemented, the regulation on deemed donation in registration under a third party`s name can hardly be defined as deemed donation in that the substantiality of transaction is not bestowal. In case of tunneling, different from registration under a third party`s name, the economic substantiality is bestowal but not realized profits, which is, therefore, deemed as bestowal. Third, the regulation on constructive gift for normal trust is regarded as redundant and excessive in light of newly established presumption of donation from borrowed -name bank accounts and law revision on real name financial transaction. A representative case of listed stocks under a borrowed name is subject to both regulations on presumption of donation from borrowed-name bank accounts and on constructive gift for normal trust. Improvement plans this study suggests are as follows. In the short run, legislation should be made to conform with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taxation by changing a taxpayer into a bestowment subject to normal trust and making a fiduciary as a secondary taxpayer or one who is jointly and severally liable for tax payment. In the long run, the regulation on constructive gift for normal trust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system of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law and then stipulated as special provision of Tax Reduction and Exemption Control Act but it should be altered as a system to impose the administrative punishment in accordance with examples of imposing gift tax, not with the gift tax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