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차량 전면부 형상에 따른 보행자사고 분석 모형 개발

        정동훈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Korea is notorious for a high rate of pedestrian deaths in comparison to other nations and other accident types. This anomaly generates substantial legal disputes and other social costs. Many studies have analyzed pedestrian-vehicle accidents. However, they tend to focus on pedestrian throw distance and study the impact based primarily on theoretical physics; they fail to factor in the frontal shapes of vehicles or accurately reflect the actual traffic accident circumstances. Also, those pedestrian-vehicle accident analysis models developed by using traffic accident reconstruction programs that do incorporate varying vehicle frontal shapes and other factors are fraught with numerous constraints when applied to vehicles produced in Korea. Even though some studies have developed models based on examples of traffic accidents involving pedestrians and Korean-made sedans, they fail to reflect the full variety of Korean-manufactured frontal designs. In our simulation analysis, we selected seven types of vehicles that represent Korean-made cars and used MADYMO (MAthematical DYnamic MOdels) programs that factor in impact speed, offset crash, and statistics for an adult male of average build to develop pedestrian throw distance models for all seven vehicle frontal shap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imulation analysis of pedestrian-vehicle accidents shows that Sedans and Compacts cause the shortest pedestrian throw distance among the various types of cars at the same impact speed. SUVs cause a longer pedestrian throw distance than those two, while Van Type 1 and Type 2 cause a pedestrian throw distance similar to that of SUVs or slightly longer. Trucks and Buses cause the longest pedestrian throw distances. Also, the pedestrian throw distance is in proportion to impact velocity, and offset crashes ar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pedestrian throw distance. Comparing the pedestrian throw distance models developed in this study to actual pedestrian-vehicle accidents shows that the analysis model for Sedans creates similar results as actual accidents except when the impact speed is high. The analysis model for Trucks also produces results close to actual accidents involving trucks, which seems to be attributed to the fragmentation of the existingbox-typemodel.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in analyzing traffic accidents in Korea as it presents models that incorporate the actual frontal shapes of vehicles produced in Korea.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studies look at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pedestrian throw distance, such as pedestrian height and offset crashes in the 80-100-percent range. Keywords: MADYMO, impact speed, pedestrian throw distance, vehicle frontal shape, pedestrian-vehicle accident analysis model 우리나라 보행자사고 사망자 비율은 다른 나라에 비해 월등히 높고, 치사율은 다른 사고유형에 비해 높아 보행자사고로 인한 사회적 손실이 심각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분쟁이 발생한다. 보행자사고 분석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차량 전면부 형상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기초적인 물리 이론을 근거로 보행자의 전도거리와 차량의 충돌속도를 분석해 실제 사고 상황을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후 사고재현 프로그램으로 차량 전면부 형상을 포함한 다중인자를 고려해 보행자사고 분석모형을 개발하였지만, 외국 차량의 전면부 형상을 고려해 다양한 국내 차량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국내 세단형 차량의 사고자료로 모형을 개발한 연구도 있었지만 다양한 차종의 전면부 형상을 반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산 대표 차종 7가지를 선정하고 충돌속도, 충돌옵셋, 성인 남성 표준 신체의 보행자를 고려해 MADYMO 프로그램으로 보행자사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차량 전면부 형상별 보행자 전도거리 모형을 개발하였다. 보행자사고 시뮬레이션 결과 세단형, 경차형 차량이 동일한 속도에서 보행자 전도거리가 가장 짧게 나타났으며, SUV형 차량은 경차형과 세단형 차량보다 보행자 전도거리가 길게 나타났다. 또한 밴형1,2 차량은 SUV형 차량과 결과 값이 유사하거나 약간 길고, 트럭형과 버스형의 결과 값이 가장 긴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충돌속도가 높을수록 차종간 보행자 전도거리 차가 커지고, 충돌옵셋이 클수록 보행자 전도거리는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개발된 차량 전면부 형상별 보행자 전도거리 모형을 실제 보행자사고와 비교한 결과, 본 연구의 세단형 모형은 충돌속도가 고속인 구간을 제외하고 실제 사고에 근접한 결과 값을 도출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트럭형 모형 또한 실제 트럭 차량의 사고와 근접한 결과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기존 박스형 모형을 세분화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가 도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실제 차량의 전면부 형상에 부합하는 모형식을 제시함으로써 교통사고 분석 업무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보행자 전도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보행자의 신장, 충돌옵셋 80~100% 구간 등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 Word : MADYMO, 충돌속도, 보행자 전도거리, 차량 전면부 형상, 보행자사고 분석모형, 보행자 선회유형

      • IPMSM의 극수에 따른 고출력 달성을 위한 회전자 형상 설계 기법 : Rotor design techniques of IPMSM according to the poles for achieving the high power

        정동훈 한양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Hils 연계 제어특성 검증을 위한 유도전동기 시험용 부하모터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시험에 사용될 도시철도차량용 유도기의 부하특성과 동일하게 설계 포인트를 설정한 후 고출력밀도를 만족하기 위해 희토류계의 네오디뮴 자석(N38UH)를 회전자에 매입하였으며, 낮은 스위칭 주파수를 고려하여 제어의 용이성을 위해 비교적 낮은 4극 18슬롯 IPMSM 기초 설계 모델을 도출하였다. IPMSM의 설계 시, 극호율이 클 경우 높은 토크를 내기위해 Web과 Rib 폭을 자속밀도가 2 이상이 되도록 얇게 설계하여 Web과 Rib을 통한 마그네틱 자속의 누설을 최소화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고속 회전 시 회전자에 가해지는 기계적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는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Rib을 최대한 얇게 설계하여 Rib을 통한 마그네틱 자속의 누설을 최소화하는 반면, Web은 자속밀도가 포화되지 않도록 기초 설계 모델의 Web보다 넓게 설계하여 Rotor Yoke를 q축 자로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 기존에 q축 자로로 활용되던 Pole piece와 함께 Rotor Yoke를 q축 자로로 활용함으로써, q축 인덕턴스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것은 d, q축간의 인덕턴스 차가 더욱 커지게 하여 릴럭턴스 토크를 크게 증가 시키게 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방식으로 설계된 기초설계 모델보다 더욱 높은 출력을 달성할 수 있는 IPMSM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기계적 스트레스 해석 결과 Web을 확장으로 인해 회전자에 가해지는 기계적 스트레스에 기계적으로 더욱 강인한 회전자 구조를 가지는 IPMSM 최종 모델을 도출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4극 18슬롯 IPMSM이외에 4극 36슬롯과 12극 36슬롯 IPMSM설계 후 동일한 회전자 설계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제안된 고출력 달성을 위한 회전자 설계 기법의 유효함을 검증하였다.

      • 대학생의 지식재산 리터러시 교육내용 표준 개발 및 교육 요구 분석

        정동훈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지식재산 교양 교육을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지식재산 리터러시의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대학생의 지식재산 리터러시 교육 내용 표준을 개발하는 데 있다. 또한, 개발된 교육 내용 표준을 토대로 한 설문지를 활용하여 실제 대학생의 지식재산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교육 요구를 산출하여 대학의 지식재산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 컨센서스 워크숍, 설문 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문헌 고찰에서는 논문 및 연구보고서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지식재산 리터러시 내용 영역과 하위 요소 및 성취기준을 추출하여 대학생의 지식재산 리터러시 교육 내용 표준 초안을 만들었다. 도출된 초안은 2차에 걸친 컨센서스 워크숍을 통해 수정 및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컨센서스 워크숍 참여 전문가는 총 7명으로 변리사 3명, 지식재산 전문가 1명, 교육 전문가 3명으로 구성하였다. 워크숍 결과 수렴된 의견을 종합하여 5개의 내용 영역, 27개의 하위 요소, 81개의 성취기준으로 구성된 대학생의 지식재산 리터러시 교육 내용 표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육 내용 표준을 바탕으로 22명의 지식재산 전문가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생의 지식재산 리터러시 교육 내용 표준 모델을 개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대학생의 지식재산 리터러시에 대한 인식 및 교육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전국 840명의 대학생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한 뒤 응답 오류가 없는 805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재산 리터러시는 ‘인간의 활동으로 발생한 창작물인 지식재산을 창출·권리화·보호·활용할 수 있는 지식과 능력, 태도’로 정의되었다. 둘째, 개발된 대학생의 지식재산 리터러시 교육 내용 표준은 5개의 영역, 27개의 하위 요소, 81개의 성취 기준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전문가 설문 조사를 통하여 대학생의 지식재산 리터러시 표준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은 교육과정 구성에 참고할 수 있도록 영역에 따라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각 요소를 기본/심화로 구분하였다. 넷째, Borich(1980)의 필요 평가 모델, The Locus for Focus 모델, t-검정 등을 이용하여 교육 요구가 높은 영역과 요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 요구가 매우 높은 요소는 ‘침해·분쟁 대응 방법’과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의 2개 요소가 해당하였으며, 교육 요구가 높은 요소는 ‘지식재산권의 종류’, ‘지식재산 윤리’, ‘특허 명세서 이해’, ‘청구범위 해석’, ‘침해·분쟁 대응 방법’, ‘표준특허의 이해’, ‘특허소송의 이해’, ‘특허 포트폴리오 구축’, ‘기술가치 평가의 이해’, ‘기술거래의 이해’, ‘지식재산 활용 창업’, ‘기술 마케팅’의 12개 요소가 해당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으로 연구 결과의 활용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지식재산 리터러시 교육 내용 표준을 기반으로 한 지식재산 전문 교양교육과정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된 성취기준에 근거한 지식재산 성취수준 검사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중등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지식재산 교육이 체계성·위계성·연속성을 가질 수 있는 교육 체계 수립 등의 계획이 필요하다. 넷째,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지식재산 리터러시 교육 우선 순위를 정할 수 있으며, 교육 대상 선정이나 교육 전략을 수립할 때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reference required for general education regarding intellectual property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develop a standard for educational content on intellectual property literacy for university students that can be used as a measure to identify levels of intellectual property literacy.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ims to provide reference material for the cre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curriculums in universities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 and educational demands that university students have regarding intellectual property literacy through a survey based on the educational content standards developed in this study. Literature reviews, consensus workshops, and surveys were conducted to achieve these goal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 first draft of standards for the educational content of intellectual property literacy for university students was created by deriving the content domain, the sub-element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university students. The first draft that was created went through modifications and validation processes over the two rounds of consensus workshops. A total of seven experts participated in the consensus workshops: three patent attorneys, one intellectual property expert, and three education experts. The suggestions collected during the workshops were aggregated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 standards on intellectual property literacy for university students which consisted of 5 content domains, 27 sub-elements, and 81 achievement standards. Surveys were conducted on 22 intellectual property experts based on the developed educational content standards, and a standard model for educational content on intellectual property literacy for university students was developed.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educational demands for intellectual property liter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840 university students around the country, and 805 of the survey results that did not contain response errors were analyzed.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llectual property literacy was defined as “the knowledge, ability, and attitude that can create, authorize, protect, and utilize intellectual property, which are creations that are produced from human activity.” Second, the standards for educational content for intellectual property literacy in university students that were developed consisted of 5 domains, 27 sub-elements, and 81 achievement standards. Third, a standard model for intellectual property literacy in university students was developed through expert surveys. The developed model was composed of three stages based on domain and each element was divided into basic and advanced stages so that it can be referenced when creating curriculums. Fourth, the domains and elements with high educational demands were identified using Borich’s (1980) needs assessment model,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t-tests. The elements with very high educational demand were “response methods for infringement and disputes” and “establishing a patent portfolio,” and the 12 elements with high education demand included “types of intellectual property,” “ethics of intellectual property,” “understanding patent specifications,” “interpreting patent claims,” “response methods for infringement and disputes,” “understanding essential patents,” “understanding patent litigation,” “establishing a patent portfolio,” “understanding technology valuation,” “understanding technology trade,” “creating start-ups using intellectual property,” and “technology marketing.”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esented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 results gained from this study as well as on potential future research. First,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specialized general education courses regarding intellectual property based on the standards for educational content on intellectual property literacy for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for intellectual property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developed in this study. Third, there is a need for plans geared toward the establishment of an educational system where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an be conducted systematically, hierarchically, and continually in collaboration with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Fou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termine priorities for intellectual property literacy educ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o select targets for education, and to establish educational strategies.

      • 일라이트 폴리타입 정량법을 이용한 연천지역 추가령단층의 K-Ar연대 결정

        정동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에서 명확히 제시되지 않은 full-pattern- fitting 일라이트 폴리타입 정량법을 최적화하고 그 신뢰도를 Grathoff & Moore법과 비교 검증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한 일라이트 폴리타입 연대결정법을 통해 연천단층의 1M/1Md 폴리타입 일라이트와 2M1 폴리타입 일라이트의 연대를 결정하고 그 의미에 대해 논하였다. 일라이트 폴리타입 정량법의 최적화는 Wildfire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주요조건 8가지를 조절하여 1Md 폴리타입 시뮬레이션 패턴의 최적화가 이루어진다. 기존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은 배경값을 고려하여 뉴턴법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이를 두 가지 일라이트 폴리타입 혼합물 자연시료에 대해 기존 Grathoff & Moore법과 비교하여 그 신뢰도를 약 2%내외의 실험적 오차 수준으로 검증하였다. 연천단층의 활동연대는 노두에서 여러 차례의 단층활동을 지시하는 부분의 단층비지 시료를 선택적으로 채취하였다. 그중 편광현미분석과 전자현미분석을 통해 쇄설성 일라이트와 자생 일라이트의 존재가 확인된 5개 시료에 대해 입도 분리를 진행하였으며 입도분리된 시료들은 각기 일라이트 폴리타입 정량법과 K-Ar 연대측정법을 수행하여 IAA(Illite Age Analysis) 외사법 그래프에 도시하였다. 이를 통한 자생 일라이트의 생성 시기는 각각 76.5Ma, 69.1Ma, 59.3Ma, 48.2Ma 연대 값으로 결정되었고 쇄설성 일라이트의 생성 시기는 112.4Ma, 120~125Ma로 결정되었다. 자생 일라이트의 생성은 단층에 기인한 파쇄대로의 열수 유입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것의 생성 연대는 단층 생성연대와 매우 밀접하다. 또한 IAA 그래프의 높은 linearity는 각 시기의 열수 유입은 기존의 일라이트 내 Ar을 초기화시킬 만큼의 영향을 주지 못했음을 반증한다. 따라서 연천지역 추가령단층은 모암의 퇴적 후 최소 4회의 단층활동이 있었으며, 각 연대의 간격이 7~10Ma로 주기성을 갖고 재활동하였음을 지시한다.

      •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한 LDLR(-/-) 마우스 모델에서 가미삼황사심탕의 항고지혈증 효능 : Anti-Hyperlipidemic Effects of a Gami-Sam-Hwang-Sa-Sim-Tang in LDLR(-/-) Mice Fed a High cholesterol Diet

        정동훈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배경 및 목적: 삼황사심탕은 《금궤요략》에 처음 수록된 처방으로 최근에는 고혈압, 동맥경화 및 불면증을 치료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벚나무 껍질의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prunetin은 지질대사를 조절하여 혈중 지질저하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 바가 있다. 이에 삼황사심탕과 벚나무 껍질로 구성된 가미삼황사심탕(GSST)을 활용하여, LDLR(-/-) 쥐에서 혈중 지질저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실험동물을 무작위로 일반사료식이 군, 고콜레스테롤 식이 군, simvastatin 투여(10 mg/kg, 경구투여 + 고콜레스테롤 식이)군, 가미삼황사심탕 투여(10, 50 또는 250 mg/kg, 경구투여 + 고콜레스테롤 식이)군 총 6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13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혈청을 채취하여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TC)과 저밀도콜레스테롤(LDL)을 측정하였다. Western blot과 PCR 분석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발현을 및 mRNA를 측정하였다. 결과: GSST는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췄다. 또한 간 내 PPAR-γ, HMGCR, AMPK, SREBP-2, IL-1β의 수치를 유의하게 낮췄음이 확인되었다. 고찰 및 결론: GSST는 LDLR(-/-) 쥐에서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PPAR) γ 억제와 AMPK 활성화를 통해 혈중 지질저하효과를 나타내어 고지혈증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Sam-Hwang-Sa-Sim-Tang, a Korean traditional medicine, first contained in 《Geumgweyoryak》, is recently reported that treatment for arteriosclerosis, hypertension, and insomnia. Also, prunetin, a component of Prunus bark, is reported that has a hypolipidemic effect. In this study, Gami-Sam-Hwang-Sa-Sim-Tang (GSST), consisting of Sam-Hwang-Sa-Sim-Tang and Prunus bark, is investigated for hypolipidemic effects i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receptor knock-out (LDLR(-/-)) mice. Methods: LDLR(-/-) mice were randomized into the normal diet (ND) group, high cholesterol diet (HCD) group, and treatment groups fed HCD with simvastatin (10 mg/kg, p.o.) or GSST (10, 50 or 250 mg/kg, p.o.) for 13 weeks. Serum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TC), LDL were determined by enzymatic methods. Expressions of mRNA and protein were measured by using real-time 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GSST decreased the serum levels of TC and LDL. Also, GSST significantly suprressed the expression of PPAR-γ, HMGCR, SREBP-2 and IL-1β in the liver, and activated AMPK pathway. Discussions and conclusions: These findings showed that GSST improved hyperlipidemia mouse model by suppressing PPAR-γ signaling and activating AMPK pathway.

      • 전동차 회생 전력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 도입에 관한 연구

        정동훈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에서 운행되고 있는 전동차량은 95% 이상이 회생 가능한 시스템 구조로 되어 있으나, 회생 에너지의 활용면 에서는 많이 부족한 상황 이므로 에너지의 재활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처럼 회생 에너지의 사용이 효율적이지 못함으로 인하여 가선 전압 변동과 회생 실효가 발생하여 에너지 손실과 터널 내에 분진 등 환경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요인들을 해결하고 효율적인 전동차 회생 에너지를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슈퍼 캐패시터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를 적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회생 에너지를 슈퍼 캐패시터에 충·방전하기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시하여 기존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효용성을 높이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 하였다. 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회생 에너지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의 도입은 가선의 안정화와 전기 에너지 사용량 절감 및 열차의 제동 관련 장치의 마모를 줄이는 등 운영 기관의 경영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사용량 절감으로 정부의 녹색 성장 정책에 기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