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웹사이트 활성화 방안 : 창조경제타운의 ‘인디앱 모의투자 대회’ 사례

        정도범,홍정수,박영욱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8

        In recent years, gamification techniques using game thinking and mechanisms have been applied in many fields. It is known that gamification is to encourage people's voluntary participation by providing them with valuable fu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indie applications' simulated investment contest of Creative Economy Town using gamifi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embers participated in simulated investment and mentoring actively, which greatly increased membership and page views of the website. That is, gamification led members to feel fun and participate in idea evaluation and mentoring which are generally known as difficult activities. The case of the indie applications' simulated investment contest confirms that gamification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and has a great effect on activating the websit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enough as basic data to activate the website in the future. 최근 게임의 사고방식과 메커니즘을 이용한 게이미피케이션 기법이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게이미피케이션은 가치 있는 재미를 사람들에게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의 참여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창조경제타운의 ‘인디앱 모의투자 대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회원들은 모의투자 및 멘토링에 적극 참여하였고, 이를 통해 웹사이트의 회원가입이나 페이지뷰가 크게 증가하였다. 즉, 게이미피케이션을 통해 일반적으로 어렵게 인식되는 아이디어 평가 및 멘토링 분야에서 회원들이 재미를 느끼고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본 연구의 ‘인디앱 모의투자 대회’ 사례는 게이미피케이션을 다양한 분야에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웹사이트를 활성화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웹사이트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충분히 활용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개방형 혁신과 혁신 성과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제조업을 중심으로

        정도범,김병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

        Recently, it is difficult for a firm to survive and maintain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internal R&D only, because changes in the environment are very fast and complex. Accordingly, the paradigm of open innovation is gradually emphasized, and the ratio of external R&D has been increasing in various industries. This study analyzed open innovation through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data from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STEPI). We confirmed the ratio of open innovation based on firm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South Korea,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 innovation and innovation performance. This study suggests that open innovation is not a new paradigm that did not exist in the past. While the use of government support programs positively influence innovation performance, the use of external R&D doesn't influence innovation performance due to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managing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establish the strategic direction and support the decision making when firms conduct innovation activities in the future. 오늘날 환경의 변화가 매우 빠르고 복잡하기 때문에, 기업들은 내부 R&D만 수행하여 생존하거나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는 어렵다. 이에 따라 개방형 혁신에 관한 패러다임이 강조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들에서 외부 R&D의 비중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수행한 한국기업혁신조사(KIS)의 데이터를 통해 개방형 혁신을 분석하였다. 한국의 제조업에 해당하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개방형 혁신의 비중을 확인하였고, 개방형 혁신과 혁신 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방형 혁신은 과거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패러다임이 아닌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부지원제도의 활용은 혁신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외부 R&D의 활용은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업들이 혁신 활동을 수행할 때 전략적인 방향을 마련하거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부동산산업의 혁신 현황과 향후 과제

        정도범,김병일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7 지역산업연구 Vol.40 No.1

        우리나라의 부동산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영세하고, 종사자 수나 산출액도 낮은 수준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는 다양한 원인들이 존재할 수 있지만, 본 연구는 부동산산업의 혁신 활동을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리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의 2014년 한국기업혁신조사(KIS) 자료를 활용하였고, 부동산산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부동산산업은 타 산업과 비교했을 때 제품혁신, 프로세스혁신, 마케팅혁신과 같은 혁신 활동이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부동산산업은 조직혁신에 해당하는 혁신 활동만 타 산업과 비슷하게 수행되고 있었다. 그리고 매출액 수준이 높거나 정부지원제도를 활용하는 기업들이 조직혁신을 원활하게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향후 부동산산업의 발전을 위해 조직혁신 등의 혁신 활동이중요하며, 이를 위해 기업 자체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정부지원제도를 확산해야 한다는 결론을 제시할 수 있다. Real estate industry was small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and it was also a low level of employees and sales. Even though these aspects existed various reasons, this study focused on innovation activities of real estate industry. We analyzed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2014 data that conducted by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STEPI) and carried out Focus Group Interview based on the professionals in real estate industry. The results show that real estate industry has not done well innovation activities such as 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In real estate industry, organization innovation only has been performed similarly to other industries. Then, firms that were a high level of sales or used government support programs performed organization innovation well. Therefore, innovation activities such as organization innovation are very important to develop real estate industry. To do this, it is needed to spread government support programs as well as a firm's own efforts.

      • KCI등재

        개방형 혁신 기반의 ‘온라인 수요조사’ 서비스 개발

        정도범,장혜정,이규홍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2

        Today’s innovation activities are gradually changing from technology-push innovation to market-pull innova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firms to understand consumers’ needs and demand, so open innovation that uses external ideas is emphasized. This study suggests the ‘online demand survey’ service that can reflect consumers’ opinion actively through crowd sourcing. A pilot service was provided within an online platform called ‘Idea Maru’, and we applied some of gamification factors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members. As a result of the service, 35 firms registered their demand surveys and were able to collect opinions form many members. The service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reely shares opinions among members and supports open innovation of firms. In order to further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member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the method of selecting excellent opinions in the future. 오늘날의 혁신 활동은 기술주도형 혁신에서 시장견인형 혁신으로 점차 변화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소비자의 니즈와 수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외부 아이디어를 활용하는 개방형 혁신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소비자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온라인 수요조사’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아이디어마루’라는 온라인 플랫폼 내에서 시범적으로 서비스를 실시하였으며, 회원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일부 적용하였다. 서비스 결과, 35개의 기업 들이 수요조사를 등록하여 많은 회원들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비스가 회원들 간 자유롭게 의견을 공유하고 기업들의 개방형 혁신을 지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회원들의 참여를 보다 촉진하기 위해 우수 의견을 선정하는 방식에서 지속적인 개선·보완이 요구된다.

      • KCI등재

        기업들은 언제 공동 R&D를 수행하는가? : 조직혁신과 보호수단의 역할

        정도범,장혜정,김병일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9 지역산업연구 Vol.42 No.4

        Today, technological innovation is very important fo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orsurvival of firms, and then many firms are acquiring external knowledge to perform technologicalinnovation well. In particular, joint R&D is often used by firms to learn new knowledge of partnersin the innovation process. This study examined the preceding factors affecting joint R&D in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For empirical analysis, we used the data from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in 2016conducted by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STEPI), and analyzed 1,401 manufacturingfirms and 829 service firms.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organizationalinnovation was not related to joint R&D, but in the service industry, firms that utilizedorganizational inno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nducting joint R&D. In addition, using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mong protection mechanisms had a positive effect on joint R&D in both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but maintaining confidenti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conducting joint R&D in the service industry only. These results can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betwee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This study suggests the managerial implications for firms before conducting joint R&D. Theresults of this study will do much for setting up firms’ strategies for joint R&D in the future. 오늘날, 기술혁신은 기업들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거나 생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기때문에, 많은 기업들은 기술혁신을 수행하기 위해 외부 지식을 획득하고 있다. 특히, 공동 R&D는 혁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파트너들의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본 연구는 제조업 및 서비스업을 대상으로 공동 R&D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실증 분석을 위해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실시한 2016년 한국기업혁신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제조업 1,401개, 서비스업 829개의 기업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조업에서는 조직혁신이 공동 R&D와 큰 관련이 없었지만, 서비스업에서는 조직혁신을 도입한 기업들이공동 R&D를 수행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호수단 중에서 지식재산권 활용의 경우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에서 공동 R&D를 수행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내기밀 유지는 오직 서비스업에서 공동 R&D를 수행하는데 긍정적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차이에 의해 발생했다고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공동 R&D를 수행하는 기업들에게 경영 및 관리적인 측면에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기업들이 공동 R&D와 관련된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제조업체의 R&D 협력이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혁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도범,김병일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기술혁신학회지 Vol.20 No.4

        Today, innovation is driven by the challenge of existing paradigms and by cooperating with many other fields as well as their own, and thus the importance of open innovation is emphasize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open innovation on innovation activities and examined the role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various innovation activities. For the analysis,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data from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STEPI) in 2016 was used. A total of 1,453 manufacturing firms were selected as a sample and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As a result, R&D cooper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roduct innovation as the most representative means to acquire new knowledge and technology, while R&D cooperation has no relation with process innovation.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it strengthens positive effects of R&D cooperation on both product innovation and process innovation. Organizational change can be explain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new innovation activities, and then firms will need to consider organizational innovation in relation to R&D cooper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causal relationship and role in relation to various types of innovation, and will contribute to the firms to smoothly perform innovation activities in the future. 오늘날 혁신은 기존의 패러다임에 도전하며 자신의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분야와 협력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개방형 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개방형 혁신이 혁신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고, 다양한 혁신 활동에서 조직혁신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에서 수행한 2016년 한국기업혁신조사(KIS)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총 1,453개 제조업체를 표본으로 선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R&D 협력은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획득하기 위한 가장 대표적인 수단으로써 제품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R&D 협력은 공정혁신과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혁신의 경우에는 R&D 협력이 제품혁신과 공정혁신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모두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직 변화는 새로운 혁신 활동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즉, R&D 협력과 관련하여 기업들은 조직혁신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혁신 유형의 인과관계와 역할에 대해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기업들이 혁신 활동을 원활히 수행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정부 지원이 ICT 벤처기업의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자금 및 연구개발 지원 효과를 중심으로

        정도범,유화선,Chung, Do-Bum,You, Hwasun 기술경영경제학회 2021 기술혁신연구 Vol.29 No.3

        오늘날, 벤처기업은 국가 경제성장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ICT 벤처기업의 경우 급격한 환경 변화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써 정부의 지원 정책에 의존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정부 지원이 ICT 벤처기업의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2016년 ICT벤처패널조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자금 및 연구개발 지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각각 687개와 538개 기업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성향점수매칭을 통해 정부 지원을 받은 기업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기업(대조군)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금 지원 여부는 ICT 벤처기업의 성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개발 지원 여부는 ICT 벤처기업의 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부의 지원 유형에 따라 ICT 벤처기업의 경영 성과에 차이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 정책의 효과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ICT 벤처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특정 목적에 맞는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또한 향후 ICT 벤처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개별적인 자금 지원 또는 연구개발 지원보다 패키지(기술·경영·사업화 등) 형태의 지원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oday, venture companies are increasingly important in that they play a key role in national economic growth. However, ICT venture companies are having great difficulties in securing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due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s, and as one of the ways to solve this problem, they rely on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on management performance of ICT venture companies. For empirical analysis, the data from the 2016 ICT venture panel survey was collected, and 687 and 538 compani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funding and R&D support, respectively. Then,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companies that received government support and compani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control group)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funding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growth potential of ICT venture companies, and R&D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ability of ICT venture companies. This mean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management performance of ICT venture companies depending on the type of government support.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ffect of government's policies, and various support policies for specific purposes should be pursued to foster ICT venture companies. In addition, for the continued growth of ICT venture compani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package (technology, management, commercialization, etc.) support rather than individual funding support or R&D support.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 정규직 여부에 따른 비교 및 분석

        정도범 한국노동연구원 2019 노동정책연구 Vol.19 No.3

        Recently, the high youth unemployment rate is a serious problem, but the frequent turnover and early retirement of college graduates who have difficulties in getting a job is becom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issue. This study analyzes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college graduates, who called ‘Millennial Generation’, and then compares them according to the regular workers. For empirical analysis, we used 2016 GOMS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from KEIS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personal development possibility, fit of aptitude (interest) and skill level of work were, the lower the probability of preparing for turnover, but fit of majo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urnover intention. Besides, whether or not to be regular workers has strengthen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development possibility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intrinsic values rather than extrinsic values to understand the values of college graduates, and the difference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was also confirmed. 최근 높은 청년 실업률이 심각한 문제지만, 어렵게 취업에 성공한 대졸 청년층의 잦은 이직이나 조기 퇴사도 점점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밀레니얼 세대’로 불리는 대졸 청년층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정규직 여부에 따른 비교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2017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16 GOMS)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의 발전 가능성, 적성(흥미) 일치도, 일의 기술 수준이 높을수록 이직을 준비할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지만, 전공 일치도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정규직 여부는 개인의 발전 가능성과 이직의도 간의 부(-)의 관계를 강화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대졸 청년층의 가치관을 파악하기 위해 외재적 가치보다 내재적 가치를 중심으로 이직의도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 간의 차이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모바일 환경에서 USIM 카드 기반 부가서비스의 이용의도: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을 중심으로

        정도범,장진혁,신현수,한규하,김동관,윤형석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09 산업혁신연구 Vol.25 No.4

        제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와 함께 등장한 USIM 카드는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시켜 주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USIM 카드 기반 부가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 및 실제 이용도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USIM 카드 기반 부가서비스의 이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를 통해 지각된 위험, 지각된 혜택, 주관적 지식, 사회적 영향, 신뢰성, 유용성, 사용 용이성, 이용의도라는 변수를 선택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20대와 30대 위주의 대학(원)생과 직장인을 대상으로 127개의 설문지를 수집하였으며, SPSS 12.0과 SmartPLS 2.0을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PLS 분석 결과, 17개의 가설 중에서 11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그리고 신뢰성, 유용성, 사용 용이성이 모두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대적으로 유용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USIM 카드 기반 부가서비스의 제공자들은 사용자들의 유용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와 컨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모바일 환경에서 USIM 카드 기반 부가서비스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식을 넓힘으로써 다양한 USIM 카드 기반 부가서비스를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정규직/비정규직 근로자 여부와 직장만족도의 관계 : 청년층의 집단별 차이에 관한 비교

        정도범 한국노동연구원 2018 노동정책연구 Vol.18 No.4

        In terms of expanding the flexibility of the labor market and short-term cost savings, irregular workers are spreading, and the discrimination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is becoming a big issue.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r/irregular workers and job satisfaction. Particularly, young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labor market for the first time or had relatively low experience are selected for the study, because they could be different from the irregular worker problems of all ages. This study uses the Youth Panel data from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nd selects a total of 16,293 samples (workers) from 2013 to 2016. As a result, it shows that regular workers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irregular worker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Besides, three groups are analyzed for final education, required skill level, and consensus of major. In the group with the low level of final education, required skill level, and consensus of major, the regular workers show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e irregular workers. However, in the case of the high group, there is no effect on job satisfaction by the regular/irregular work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are compared in relation to regular/irregular workers and job satisfaction, and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preparing policies to solve the problem of irregular workers. 최근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대와 단기적인 비용 절감이란 측면에서 비정규직 근로자가 확산되고 있으며,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 간의 차별 문제가 큰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규직/비정규직 근로자 여부와 직장만족도의 관계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노동시장에 처음 참여하거나 상대적으로 경험이 적은 청년층의 경우 전체 연령층의 비정규직 문제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청년층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청년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취업자를 대상으로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총 16,293개의 표본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정규직 근로자가 비정규직 근로자보다 직장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기존의 연구 결과들과 일치하였다. 그리고 최종학력, 필요한 기술수준, 전공 일치도에 대해 3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는데, 최종학력, 필요한 기술수준, 전공 일치도가 낮은 집단은 정규직 근로자가 비정규직 근로자보다 직장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최종학력, 필요한 기술수준, 전공 일치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에는 정규직/비정규직 여부가 직장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정규직/비정규직 근로자 여부와 직장만족도의 관계에 대해 집단별 차이를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