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소셜미디어에서 의견 일치/불일치 대상과의 정치 토론이 가지는 정치적 효과 연구 : 시각 다양성 인식, 정보습득감, 정치적 참여, 관심도, 지식, 효능감 변인을 중심으로

        정낙원,김성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 No.

        본 연구는 1)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미디어 이용이 정치적으로 의견이 일치하는 대상/불일치 대상과의 토론을 이끌어내는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2) 이처럼 다른 종류의 정치적상호작용이 정치 참여와 정치 참여와 관계되는 인지심리적 요인들 -정치지식, 정치적 관심도, 내적 정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미국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소셜미디어 이용은 정치적 의견이 일치하는 대상과 불일치하는 대상과의 토론을 모두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토론의 정치적 효과는 토론 대상과의 의견 일치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정치적 의견이 일치하는 대상과의 토론은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 그리고 뉴스미디어 이용 변인들의 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정치지식, 정치적 관심도, 내적 정치효능감, 그리고 정치사회적 참여에 긍정적이고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치적 의견이 불일치한 대상과의 토론은 다양한 시각 학습감과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에 대한 정보획득감을 증가시켰으나, 정치사회적참여를 비롯하여 정치지식, 관심도, 효능감 등의 정치적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치사회 참여과정의 이론적 메커니즘을 확장하고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함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1) whether using SN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increased political discussion with like-minded and/or dissimilar others, and 2) what impact the two different types of political interaction had 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related cognitive-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olitical knowledge, interest and efficacy. Results showed that using SNS enhanced political discussion both with like-minded and dissimilar others. However, political effects of political discussion differed by whether the discussion partner had similar or dissimilar political opinion. Discussing with similar others in political attitudes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political knowledge, interest, internal political efficacy, as well as political participat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and media use variables. On the other hand, discussion with dissimilar others merely had political impact, only but boosting perceived selfexposure to multiple perspectives and perceived information acquisition.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discussed.

      • 19대 총선과 18대 대선에 대한 주요 일간지 보도 분석

        정낙원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논총 Vol.20 No.-

        Election is the core element of democracy. Election is the important process through which people select local and national leaders. Voters need to make a rational decision in order to set up the right way the whole nation proceeds. Campaign news play crucial role in the election and therefore should be written to be accurate, objective, balanced, and fair so that voters receive relevant information and make the right decision. This study analyzed three major daily newspapers in Korea to inspect whether the press fulfills their social obligation. Results showed that campaign news in 2012 was generally fair and balanced in terms of the amount and the number that covered each candidate. Also the amount of in-depth news coverage about candidates' policies and promises increased compared to past elections. Nevertheless, many undesirable manners of press coverage were observed as well including coverage on candidates' campaign trails, horse race coverage, coverage on candidates' scandals proposed by the opponents, and directly quoting candidates' unrooted attack against the opponents. Desirable way of campaign coverage was discussed for future journalism practice. 민주주의의 꽃은 선거이다. 선거는 국민이 직접 지역과 국가를 이끌어갈 지도자를 선출하는 매우 중요한 민주주의 정치적 절차이다. 유권자들은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이성적 이고 합리적인 선택을 해야만 지역과 국가가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따라서 언론사들의 선거 보도는 정확성, 균형성, 객관성, 공정성을 바탕으로 책임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19대 총선과 18대 대선이 치러진 시기에 맞추어 주요 일간지가 선거 보도에 있어서 건강한 책무를 수행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후보자들에 대한 보도 횟 수와 분량에 있어서 형식적 균형성은 충족되었고, 후보자들의 정책에 대한 심층 분석 기사가 증가한 것은 바람직한 변화라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유권자들이 이성적 판단에 필요한 정보와는 거리가 먼 단순 선거 유세보도, 선거 판세보도(경마식 보도), 후보자에 대한 의혹과 구설수 관련 네거티브 보도, 후보자들의 자극적인 공격성 발언을 직접 인용하여 보도하는 행태는 여전히 문제점으로 관찰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선거 보도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밑술 담금 방법을 달리한 전통주의 이화학적 특성

        정낙원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5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ppraise physicochemical properties by utilizing different Mit-sool, Juk, Seolgi-tteok, and Godubap, to produce traditional liquor. In all experimental plots, pH and amino acidity tended to increase with duration of fermentation. Titratable acidity displayed a very high number on the second day but then tended to decrease as fermentation progressed. Sugar contents were highest on the fourth day and tended to decrease with time. Alcohol content increased sharply at the initial stage of fermentation and increased gradually. On the 15th day, traditional liquor made with Godubap recorded the highest alcohol content. Common free sugar components were glucose and sorbitol. Common free organic acid components were lactic, succinic, citric, tartaric, malic, and acetic acids.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six alcohols, five esters, three aldehydes, and two ketones. Regarding overall acceptability in the sensory evaluation, traditional liquor using Seolgi-tteok as Mit-sool scored the highest. Overall, even though different types of Mit-sool had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latile flavor compounds or sensory evaluation scores.

      • 미디어의 아프리카 묘사 방식 분석

        정낙원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논총 Vol.21 No.-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s how mass media, such as television and newspapers describe Africa. Data were collected from content analysis of news pertaining to Africa, Africa sponsorship advertisements, and fund-raising programs. Based on the results, it will be discussed how media portray Africa and how media portrayals of Africa influences public’s image of Africa. 대부분의 사람들에겐 아프리카 땅은 직접 경험해보지 못한 미지의 땅이다. 아프리카 대륙은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도 멀고, 경제 규모가 크지 않아 수출입 교류도 활발하지 않으며, 이질적인 정치적,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땅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중이 접하는 아프리카는 거의 모두 TV나 신문에서부터 오며, 그들이 가지는 아프리카에 대한 정보와 이미지는 전적으로 TV나 신문과 같은 대중 매체에 의해 얻어지며 형성된다고 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이를 전제로 이 보고서는 대표적인 대중 매체인 TV와 신문이 아프리카를 어떻게 묘사하여 대중에게 전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뉴스(신문 뉴스, 방송 뉴스), 아프리카 후원 광고, 아프리카 관련 방송 프로그램(다큐멘터리, 모금 방송, 예능, 시사프로그램)등의 미디어 콘텐츠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미디어의 아프리카 묘사 방식의 일반적 경향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대중 매체의 아프리카 묘사가 대중의 아프리카 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무선데이터 서비스의 보편적 요금제 도입에 대한 고찰

        정낙원,김성욱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1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Moon Jae-in administration’s universal service policy of mobile date to lower communications fares can be justified. To do so, this work takes a look into the key features of mobile data in our society based on a theoretical perspective as well as a practical point of view. Also, it attempts to figure out whether mobile data service should be included in the scope of universal service in Korea by analysing the key features of mobile data and rethinking the basic concepts of universal service. As a result, this work reaches a conclusion that the government should reconsider universal service policy of mobile date and reform a universal service system in a different way. 지난 5월 출범한 문재인 정부가 국민들의 기본권 확대 및 통신비 절감 방안의 하나로 무선데이터 서비스의 보편적 요금제를 추진하면서 그동안 답보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보편적 서비스의 역무범위 개편 및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다시 한 번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무선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보편적 요금제 도입이 가져올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보편적 요금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우선 보편적 서비스의 정의와 개념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이동전화의 데이터 서비스가 보편적 서비스의 범주에 포함되어야 하는지 또 데이터 서비스가 보편적 서비스의 범주에 포함된다면 그 범위와 한계는 어디까지인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정부주도로 추진되고 있는 무선데이터에 대한 보편적 요금제가 국내 통신 산업 및 통신서비스 시장에 미칠 영향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보편적 서비스 역무 개편 방안 및 제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에서 의견 일치/불일치 대상과의 정치 토론이 가지는 정치적 효과 연구 : 시각 다양성 인식, 정보습득감, 정치적 참여, 관심도, 지식, 효능감 변인을 중심으로

        정낙원,김성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38

        본 연구는 1)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소셜미디어 이용이 정치적으로 의견이 일치하는 대상/불일치 대상과의 토론을 이끌어내는 효과가 있는지, 그리고 2) 이처럼 다른 종류의 정치적상호작용이 정치 참여와 정치 참여와 관계되는 인지심리적 요인들 -정치지식, 정치적 관심도, 내적 정치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미국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소셜미디어 이용은 정치적 의견이 일치하는 대상과 불일치하는 대상과의 토론을 모두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토론의 정치적 효과는 토론 대상과의 의견 일치여부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정치적 의견이 일치하는 대상과의 토론은 성별, 교육수준, 소득수준, 그리고 뉴스미디어 이용 변인들의 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정치지식, 정치적 관심도, 내적 정치효능감, 그리고 정치사회적 참여에 긍정적이고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치적 의견이 불일치한 대상과의 토론은 다양한 시각 학습감과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에 대한 정보획득감을 증가시켰으나, 정치사회적참여를 비롯하여 정치지식, 관심도, 효능감 등의 정치적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정치사회 참여과정의 이론적 메커니즘을 확장하고 소셜미디어의 정치적 함의를 논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1) whether using SN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increased political discussion with like-minded and/or dissimilar others, and 2) what impact the two different types of political interaction had 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related cognitive-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political knowledge, interest and efficacy. Results showed that using SNS enhanced political discussion both with like-minded and dissimilar others. However, political effects of political discussion differed by whether the discussion partner had similar or dissimilar political opinion. Discussing with similar others in political attitudes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political knowledge, interest, internal political efficacy, as well as political participation, even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and media use variables. On the other hand, discussion with dissimilar others merely had political impact, only but boosting perceived selfexposure to multiple perspectives and perceived information acquisition.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